[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5394B1 - 어패류 집어장 - Google Patents

어패류 집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94B1
KR101665394B1 KR1020140112672A KR20140112672A KR101665394B1 KR 101665394 B1 KR101665394 B1 KR 101665394B1 KR 1020140112672 A KR1020140112672 A KR 1020140112672A KR 20140112672 A KR20140112672 A KR 20140112672A KR 101665394 B1 KR101665394 B1 KR 10166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fish
shellfish
fishes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417A (ko
Inventor
이정찬
Original Assignee
이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찬 filed Critical 이정찬
Priority to KR102014011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해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이나 생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의 일부가 해저면의 뻘모래로 매설되고 상부는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침하를 방지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관 형태의 인공어초가 복수 개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 및 상기 인공어초 라인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적어도 두 줄 이상이 형성되는 집어부;를 포함하는 어패류 집어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해저면이나 해류에 의한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어패류의 생육을 촉진시킴과 아울러 양질의 어패류를 수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어패류 집어장{Seafood Gather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인공어초(人工魚礎)를 이용한 바다 속 자연 그대로 어패류가 생육할 수 있는 집어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해저면(海底面)으로 침하(沈下)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遊泳)이나 생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어패류 집어장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人工魚礎)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돌 또는 낡은 배 등을 해저에 투입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장이 되게 인공적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이때, 인공어초의 수심은 대략 20~40m에 설치된다.
어초는 양성장이나 어장으로서 가치가 큰 것으로, 그 이유는 평탄한 해저에 비하여 유속이 빨라 산소나 먹이 등의 공급량이 많아 저서생물의 서식장으로서 환경이 적합한 조건으로 인해 실제로 그들의 서식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양성장으로서의 가치가 큰 조건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어초에서는 해류에 따라 상승기류가 발생하고 이때 저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운반된다. 영양염류가 많은 표층 부근에는 식물성 부유생물이 번식하고 이들을 먹고사는 동물성 부유생물이나 소형동물들이 뒤따라 번식하게 되며, 다시 이들을 먹고사는 유영수산동물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어초를 설치한 곳은 어장으로서의 가치가 큰 것이다.
인공어초는 대부분이 단위 유닛 형태로 제작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 연결하여 집합체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와 같이 인공어초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534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PVC관 집합체를 콘크리트관에 설치하여, 붕장어의 서식이 가능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446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공적으로 해조류 종묘가 착생된 다수개의 어초블록을 골조로 형성된 다면체의 하우스형 프레임에 체결하여 갯녹음 해역 및 서식환경이 열악한 해역에 설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해중림을 조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바다 생태계가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207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설치 해역의 수리환경에 특성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며 높은 이안제로서 기능하여 모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식의 우려가 없고 부가적으로 인공 어초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공구조물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619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초의 기능뿐 아니라 수중에 있는 해조군락 및 먹이생물이 황폐화되어가는 것을 현상을 방지하는 다기능성 어초로서 어초 외부에 다양한 해조류 조성이 가능하며, 특히 음지생물의 서식용 공간을 형성시켜 다양한 수산생물 및 해조류 조성의 서식환경을 최적화시킴으로서 위집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황폐화되어가는 바다의 환경복원 및 어촌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바다숲 조성용 다기능 터널형 인공어초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53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44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2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61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특정한 어류만을 양식할 수 있는 단점은 물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단점도 가진다.
특허문헌 2 또한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작이 번거롭고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단점과, 설치 또한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도 가진다.
특허문헌 3은 바다에 설치하기에는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은 물론 해수면과 근접된 부분은 파랑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4는 인공어초의 제작이 번거롭고 복잡함은 물론 해초 군락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 또한 번거로운 설치작업을 해야하는 단점과 함께 인공어초 간의 연결작업 또한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관 형태의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해저면(海底面)으로 침하(沈下)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遊泳)이나 생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어패류 집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 형태인 인공어초 간의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내부로의 빛 투과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패류의 채취(採取)가 번거로움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 형태의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 또는 생육하면서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지는 집어장으로, 상기 집어장은 하부의 일부가 해저면의 뻘모래로 매설되고 상부는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침하를 방지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관 형태의 인공어초가 복수 개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 및 상기 인공어초 라인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적어도 두 줄 이상이 형성되는 집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인공어초와 인공어초가 맞닿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이 형성된 인공어초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정렬과 유동성 방지를 위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각 인공어초에는 좌우 유동성 방지를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잡석층에는 미역 및 해조류 포자(胞子)가 투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끝단에는 착탈 가능한 채집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 형태의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해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이나 생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저면이나 해류에 의한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어패류의 생육을 촉진시킴과 아울러 양질의 어패류를 수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관 형태인 인공어초 간의 연결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내부로의 빛 투과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어패류의 생육 발달을 더욱더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 어패류의 채취가 번거로움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어패류를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어패류를 채취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어패류를 채취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원형이나 사각형 등과 같은 관 형태의 인공어초(10)를 이용하여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 또는 생육하면서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지는 집어장(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가두리 양식장과 같이 일정 지역에 가두어진 상태가 아니라, 즉 자연 그대로 관 형태의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해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이나 생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어장(1)은 하부의 일부가 해류에도 움직임 없이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저면의 뻘모래로 매설되고 상부는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침하를 방지하는 잡석층(20)과; 상기 잡석층(10)의 상면에 관 형태의 인공어초(10)가 복수 개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30); 및 상기 인공어초 라인(30)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잡석층(20)의 상면에 적어도 두 줄 이상이 형성되어 많은 어패류가 군집(群集)할 수 있는 집어부(40);를 포함한다.
잡석층(20)은 대략 1m의 높이로, 뻘모래로 매설은 대략 50㎝이며, 해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대략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면적은 상기 인공어초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집어부에 따라 적정한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 형태의 인공어초(10)는 통상적인 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직경은 어패류 채취 시 잠수부가 통과할 수 있는 대략 1~1.5m가 적정하며, 길이는 대략 10m로 약 3개 정도가 연결되어 인공어초 라인(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공어초는 원형이나,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집어장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바다에서 어패류가 자연스럽게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해저면으로 일정 량의 잡석이 투하되어 형성되는 잡석층(20)과, 상기 잡석층(20)에 어패류가 자유롭게 유영하거나 생육할 수 있도록 투하되는 관 형태의 인공어초(10)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30)으로 이루어 지는 집어부(40)가 형성됨으로써, 번거롭거나 복잡한 과정을 거쳐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하고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배경기술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인공어초에서 가지는 장점은 물론 특히, 인공어초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집어부에 의하여 어패류의 군집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계로, 통상 가두리 양식장에서와 같이 일정 지역에 가두어 양식하는 어패류에 비하여 자연산 그대로 많은 량의 어패류를 생육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인공어초 라인(30)의 인공어초(10)와 인공어초(10)가 맞닿는 부분에는 해수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이 인공어초의 내부가 유입되도록 투과되는 유입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12)이 형성된 인공어초(1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정렬과 유동성 방지를 위해 연결되는 통상적인 연결부(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유입공간은 인공어초의 각 끝단을 가공하여 인공어초의 각 끝단이 맞닿을 때 틈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유입공간은 작은 어패류는 출입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어느 정도 발육된 상태에서는 출입할 수 없는 폭을 가진다.
연결부(15)는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각 인공어초(10)의 맞닿는 각 끝단에 연결공을 형성하여 통상의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고리 등을 형성하여 와이어나 로프 등에 의해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연결부의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인공어초 라인을 구성하는 인공어초의 내부로 유입공간을 통하여 유입되는 빛에 의하여 어패류의 생육을 더욱더 촉진시킨다. 또, 각 인공어초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 고정됨에 따라 올바르게 정렬은 물론 해류에 의해서도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공어초 라인(30)의 각 인공어초(10)에는 해류에 의한 좌우 유동성 방지를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통상적으로 인공어초를 와이어로 감싸 잡석층으로 고정하는 방식은 물론 인공어초의 양측에 잡석층과 인공어초를 고정하는 통상의 쐐기 등과 같은 받침 고정구나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잡석층(10)에는 그 잡석층을 시공 후에 어패류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도시하지 않은 미역 및 해조류 포자를 투하시킴으로써,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역과 해조류의 식물이 자라게 됨에 따라 상기한 집어부로 집어된 어패류의 생육을 더욱더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정 크기로 자란 미역이나 해조류는 어패류의 먹이는 뿐만 아니라 채묘(採苗)도 가능하여 조건을 가진다.
그에 따라 배경기술에서와 인공어초에서 가지는 충분한 먹이를 제공함은 물론 특히 잡석층에 투하되는 미력과 해조류 포자에 의해 더욱더 많은 량의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풍부한 먹이를 먹고 자란 어패류를 채취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인공어초 라인(30)의 끝단에는 착탈 가능한 채집망(50)을 설치하고, 반대 측으로 잠수부나 혹은 별도로 채취할 수 있는 수단을 통하여 상기 채집망으로 어류는 몰아 포집시킨 상태에서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류는 인공어초 라인의 각 인공어초에서 생육하는 것을 걷어 수거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집어장은 통상적인 가두리 양식과 같이 일정 지역에 어패류를 가두어 생육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바다에서 생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어패류를 대량으로 수확할 수 있는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1 : 집어장
10 : 인공어초 12 : 유입공간
15 : 연결부 20 : 잡석층
30 : 인공어초 라인 40 : 집어부
50 : 채집망

Claims (5)

  1. 관 형태의 인공어초를 이용하여 어패류가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유영 또는 생육하면서 먹이 또한 충분하게 공급이 이루어지는 집어장으로,
    상기 집어장은 해류에도 움직임이 없도록 하부의 50㎝가 해저면의 뻘모래로 매설되고 상부는 해저면으로부터 50㎝ 높이로 돌출되어 침하를 방지하는 잡석층;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관 형태의 인공어초가 복수 개로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는 인공어초 라인; 및
    상기 인공어초 라인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잡석층의 상면에 적어도 두 줄 이상이 형성되는 집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잡석층에는 어패류의 먹이 또는 채묘 가능하게 미역 및 해조류 포자가 투하되며,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한쪽 끝단에 착탈 가능한 채집망을 설치하고, 반대 측에서 채집망으로 어류를 몰아 포집하여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집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인공어초와 인공어초가 맞닿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이 형성된 인공어초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정렬과 유동성 방지를 위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집어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어초 라인의 각 인공어초에는 좌우 유동성 방지를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집어장.
  4. 삭제
  5. 삭제
KR1020140112672A 2014-08-27 2014-08-27 어패류 집어장 Expired - Fee Related KR10166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672A KR101665394B1 (ko) 2014-08-27 2014-08-27 어패류 집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672A KR101665394B1 (ko) 2014-08-27 2014-08-27 어패류 집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17A KR20160025417A (ko) 2016-03-08
KR101665394B1 true KR101665394B1 (ko) 2016-10-13

Family

ID=5553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6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5394B1 (ko) 2014-08-27 2014-08-27 어패류 집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64U (ja) * 1984-06-29 1986-01-24 株式会社クボタ 人工魚礁
JPH0715931Y2 (ja) * 1990-01-27 1995-04-12 コマニー株式会社 耐火間仕切り用柱
KR200157463Y1 (ko) * 1997-04-16 1999-10-01 김갑용 인공 어초
KR20030091211A (ko) * 2002-05-25 2003-12-03 최일석 고정식 전복 양식용 구조물
KR100734466B1 (ko) 2006-04-11 2007-07-02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0435342Y1 (ko) 2006-08-31 2007-01-17 김성도 붕장어 어초
KR100953619B1 (ko) 2009-03-09 2010-04-20 (주)나우앤하우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1253207B1 (ko) 2011-05-17 2013-04-10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모래유실방지와 어초 기능을 복합화한 다기능 인공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17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63552B (zh) 一种生态修复型海洋牧场及其构建方法
JP5936005B2 (ja) 浮沈型回転式養殖生簀
CN108901965A (zh) 一种大型网箱养殖鱼类分级采捕装置及其大型网箱和方法
KR101642778B1 (ko) 해상 가두리 양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JP6997791B2 (ja) 人工ナマコリーフを利用したマナマコの海底養殖方法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CN104221977A (zh) 一种河蟹池和草鱼池一体化养殖方法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KR101712267B1 (ko) 해상 전복양식용 골쉘터
KR102094037B1 (ko) 바지락 유생 및 치패 중간육성장치
CN103270982B (zh) 解放眉足蟹人工苗种培育方法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101665394B1 (ko) 어패류 집어장
KR102094038B1 (ko) 개량된 와류시설을 이용한 바지락 자연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CN212212242U (zh) 海上悬浮式鳗草无土移植装置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101889652B1 (ko) 굴 양식 장치 및 양식 방법
KR20170065263A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JP2007082466A (ja) 栽培養殖漁業用魚礁
KR101437895B1 (ko) 인공어초
CN216392663U (zh) 一种防海参逃跑的鱼礁
KR101437469B1 (ko) 하이브리드 갯벌참굴 양성기
KR101442408B1 (ko) 인공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