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4459B1 -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459B1
KR101664459B1 KR1020140153677A KR20140153677A KR101664459B1 KR 101664459 B1 KR101664459 B1 KR 101664459B1 KR 1020140153677 A KR1020140153677 A KR 1020140153677A KR 20140153677 A KR20140153677 A KR 20140153677A KR 101664459 B1 KR101664459 B1 KR 10166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rod
speed
adju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274A (ko
Inventor
김형찬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4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3Deree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23K9/1336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 구동력을 발생해서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송급하는 송급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로드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에 착용해서 용접 작업에 사용될 로드를 자동으로 송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ROD FEEDER AND FEEDING METHOD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작업시 로드를 자동으로 송급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재라 불리는 두 물체 사이 또는 한 물체의 용접부에 용접봉을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접합시키는 다양한 용접법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가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Tungsten Inert Gas Welding, 이하 'GTAW'라 함)법이다.
GTAW는 다양한 용접방식 중 고품질 정밀용접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된다.
이러한 GTAW는 크게 반자동용접, 자동용접, 수동용접으로 구분된다.
용접에서 쓰이는 용가재는 코일 모양의 선으로 된 재료를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용접와이어라 부른다.
용접작업시 용접와이어를 중단없이 모재에 접근시켜 아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를 와이어 송급장치(Wire feeder)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반자동용접이라 한다.
그리고 용접선을 따라 아크를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반되는 경우 이를 자동용접이라 한다.
반면, 수동용접은 반자동용접, 자동용접과 달리, 작업자가 직접 한손에 용접토치를 들고, 다른 한손에 용접와이어를 잡고서 용접부위를 용접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수동용접은 자동용접에 의해 용접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모재의 부분이나 자동용접에 의해 용접된 부분이 불충분하게 용접된 경우 시행된다.
그러나 수동용접은 작업자가 약 1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용접와이어(rod, 이하 '로드'라 함)를 사용하는데, 이를 손으로 잡고 용융부에 송급하기 때문에 용접와이어의 송급속도가 느려지고, 단위시간당 용착량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용접시 한 손으로 로드를 송급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피로도를 크게 증가시키며, 작업자의 팔과 어깨 등에 무리를 가하여 작업자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동용접은 많은 경험에서 기인한 고도의 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의 수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TAW 작업시 와이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송급장치의 구성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683호(2009년 3월 6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999-0076272호(1999년 10월 15일 공개)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해야 하는 그립형(grip type)으로 제조됨에 따라, 중량이 무겁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팔에 무리가 가해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는 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해서 송급하는 기능만을 제공함에 따라, 와이어의 송급속도 조절이 어렵고, 와이어의 송급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 용접작업시 막대형 용접와이어를 자동으로 송급할 수 있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대형 용접와이어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 구동력을 발생해서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송급하는 송급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로드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송급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장착부나 송급부 내부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급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로드를 송급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송급되는 로드를 가이드하는 송급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듈은 로드를 사이에 위치시켜 송급하도록 상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의 외주면에는 로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슬릿이나 리브가 형성되거나, 마찰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로드의 송급 방향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방향조절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조절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송급 방향 조절명령에 기초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조절 스위치는 각각 전진과 후진 명령을 입력받는 전진 및 후진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작업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따라 송급 방향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는 로드의 송급 속도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속도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급 속도 조절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변경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는 작업자의 전후 조작에 따라 이동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되거나, 작업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 스위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작업자의 손등이나 손바닥에 장착 가능하도록 밴드 부재나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방법은 (a) 용접 작업시 장착부의 장착공을 통해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송급부를 구동시켜 로드를 송급하는 단계 및 (b) 입력부에 마련된 방향조절 스위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구동 방향을 조절하여 로드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c)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속도조절 스위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로드의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해서 압력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c2)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에 마련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로드의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에 착용해서 용접 작업에 사용될 로드를 자동으로 송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작업의 진행상태에 따라서 입력부에 마련된 스위치를 조작해서 로드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용접 작업 속도에 맞춰 송급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이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도록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됨에 따라, 작업자의 팔이나 어깨에 가해지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드 송급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송급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로드 송급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막대형 용접와이어(이하 '로드'라 함)를 송급하는 로드 송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릴에 감긴 용접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드 송급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20), 구동력을 발생해서 로드(12)를 전후 방향으로 송급하는 송급부(30), 장착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로드(12)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40) 및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해서 송급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10)는 송급부(30) 및 제어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는 장착부(20)나 송급부(30) 내부에 내장되는 배터리(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상용전원을 인가받고, 각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레벨로 변환된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장착부(20)는 내부에 손가락을 삽입해서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은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송급부(30)는 로드(12)를 송급하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1), 구동모터(31)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로드를 송급하는 구동모듈(32) 및 송급되는 로드를 가이드하는 송급팁(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는 송급부의 사시도이다.
구동모터(31)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정역 회전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듈(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를 사이에 위치시켜 송급하도록 상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러(34,35) 또는 제1 및 제2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34,35) 중에서 제1 롤러(34)는 구동모터(3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고, 제2 롤러(35)는 제1 롤러(34)와 접촉된 상태에서 종동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롤러(34,35)의 외주면은 로드(12)가 송급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롤러(34,35)의 외주면에는 로드(12)의 송급 과정에서 마찰력을 이용해서 로드(12)를 송급하고 로드(12)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릿(도면 미도시)이나 리브(도면 미도시)가 형성되거나, 마찰재(도면 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
송급팁(33)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송급팁(33)의 내부에 로드(12)가 삽입되어 송급되도록 송급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40)는 로드(12)의 송급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 스위치(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향조절 스위치(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를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를 향해 송급하도록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전진 스위치(43)와 로드(12)를 모재 반대 방향으로 송급하도록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후진 스위치(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용접 작업시 전진 스위치(43)를 조작해서 모재를 향해 로드(12)를 송급하고, 용접 작업 중지시에는 후진 스위치(44)를 조작해서 로드를 모재 반대 방향으로 송급해서 다음 작업시까지 대기하거나 로드(12)를 송급부(30)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송급 방향 조작명령을 입력받도록 전진 및 후진 스위치(43,44)를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작업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따라 송급 방향을 조절하도록 토글 스위치나 슬라이딩 스위치, 푸시 스위치와 같이 위치가 조절되는 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방향조절 스위치(41)로 사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대신에, 하우징(21) 일측에 손가락에 장착할 수 있도록 밴드 부재(22)나 클램핑 부재가 마련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밴드 부재(22)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이나 손바닥에 장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되고, 밴브 부재(22)의 양단에는 장착 부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해서 부착하도록 벨크로(velcro)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부재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 손바닥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집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4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2)의 송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속도조절 스위치(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조절 스위치(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에 따라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압력감지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 스위치는 내부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이용해서 작업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압력감지신호의 전압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속도조절 스위치(42)는 도 4에 도시된 방향조절 스위치(41)와 같이 작업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따라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로드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모터(3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구동모터(31)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동모터(31)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유닛(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구동모터(31)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변경해서 구동모터(3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제어회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된 로드 송급 장치를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에 착용해서 용이하게 로드를 송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로드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용접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로드 송급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의 로드 송급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의 S10단계에서 작업자는 장착부(20)의 하우징(21)에 마련된 장착공간에 손가락, 예컨대 집게 손가락을 삽입해서 로드 송급 장치(10)를 착용한다.
물론, 본 발명은 장착부(20)에 밴드 부재(22)나 클램핑 부재를 마련해서 작업자의 복수의 손가락이나 손등, 손바닥에 로드 송급 장치(10)를 착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송급팁(33)의 후단에 형성된 투입구에 용접 작업시 사용될 로드(12)를 투입한다(S12).
그러면, 로드(12)는 송급부(30)에 마련된 제1 및 제2 롤러(34,3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송급팁(33)의 송급공간까지 투입된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로드(12)를 송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14).
그리고 이후 용접 작업 과정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명령에 따라 로드(12)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집게 손가락을 장착부(20)의 장착공간에 삽입하여 로드 송급 장치(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해서 입력부(40)에 마련된 방향 조절 스위치(41) 및 속도조절 스위치(42)를 조작할 수 있다.
만약, 입력부(40)의 전진 스위치(43)가 조작되면, 제어부(50)는 전진 스위치(43)를 통해 입력된 전진 조작 명령에 따라 모재를 향해 로드(12)를 송급하도록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한다.
반면, 입력부(40)의 후진 스위치(44)가 조작되면, 제어부(50)는 후진 스위치(44)를 통해 입력된 후진 조작 명령에 따라 모재 반대 방향을 향해 로드(12)를 송급하도록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입력부(40)의 전진 스위치(43)가 조작된 상태 또는 방향조절 스위치(41)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 조작된 상태에서 속도조절 스위치(42)가 조작되면, 속도조절 스위치(42)의 이동 방향 정보 또는 속도조절 스위치(42)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해서 압력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50)의 속도제어회로(52)는 속도조절 스위치(42)로부터 전달되는 이동 방향 정보 또는 압력감지신호에 따라 송급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속도제어회로(52)는 작업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속도조절 스위치(42)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면, 구동모터(3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송급 속도를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속도제어회로(52)는 속도조절 스위치(42)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지면, 구동모터(3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송급 속도를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로드의 송급 방향, 송급 속도를 조절하여 송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된 로드 송급 장치를 작업자의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로드의 송급 방향 및 송급 속도를 조절해서 용이하게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막대형 용접와이어(로드)를 송급하는 로드 송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릴에 감긴 용접와이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에도 적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로드 송급 장치를 이용해서 수동 용접 작업시 로드를 자동으로 송급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12: 로드 20: 장착부
21: 하우징 22: 밴드 부재
30: 송급부 31: 구동모터
32: 구동모듈 33: 송급팁
34,35: 제1,제2 풀리 40: 입력부
41: 방향조절 스위치 42: 속도조절 스위치
43,44: 전진,후진 스위치 50: 제어부
51: 스위칭유닛 52: 속도제어회로
60: 전원공급부

Claims (13)

  1.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되는 장착부,
    구동력을 발생해서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송급하는 송급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로드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급부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해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해서 로드를 송급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송급되는 로드를 가이드하는 송급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로드를 사이에 위치시켜 송급하도록 상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일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로드의 송급 속도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속도조절 스위치와
    로드의 송급 방향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방향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는 작업자의 전후 조작에 따라 이동하여 이동 방향 정보를 출력하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마련되거나,
    작업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 스위치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급 속도 조절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변경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제어회로와
    상기 송급 방향 조절명령에 기초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롤러의 외주면에는 로드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발생하는 다수의 슬릿이나 리브가 형성되거나, 마찰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부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장착부나 송급부 내부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 스위치는 각각 전진과 후진 명령을 입력받는 전진 및 후진 스위치를 포함하거나,
    작업자의 전후 방향 조작에 따라 송급 방향 조절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손등, 손바닥에 장착 가능하도록 밴드 부재나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를 이용한 용접용 로드 송급 방법에 있어서,
    (a) 용접 작업시 장착부의 장착공을 통해 작업자의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송급부를 구동시켜 로드를 송급하는 단계,
    (b) 입력부에 마련된 방향조절 스위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구동 방향을 조절하여 로드의 송급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부에 마련된 속도조절 스위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로드의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c1)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해서 압력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c2) 제어부에서 상기 압력감지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송급부에 마련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로드의 송급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로드 송급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53677A 2014-11-06 2014-11-06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KR10166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77A KR101664459B1 (ko) 2014-11-06 2014-11-06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677A KR101664459B1 (ko) 2014-11-06 2014-11-06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74A KR20160054274A (ko) 2016-05-16
KR101664459B1 true KR101664459B1 (ko) 2016-10-11

Family

ID=5610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77A KR101664459B1 (ko) 2014-11-06 2014-11-06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5861A (zh) * 2016-11-23 2019-07-19 依赛彼集团公司 具有自动可调节的焊丝夹持力的送丝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69U (ko) * 1989-07-19 1991-03-13
KR19990076272A (ko) 1998-03-30 1999-10-15 윤영석 티그 용접 와이어 자동 송급장치
KR200443683Y1 (ko) 2007-04-27 2009-03-06 안충호 셈카드 및 보수셈 익힘 방법
KR20100050223A (ko) * 2008-11-05 2010-05-13 한국기계연구원 가스텡스텐아크 용접용 와이어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274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88118T3 (en) Wire feed system for controlling welding wire feed
CN102905834A (zh) 推拉送丝系统
EP2593264B2 (en) Heat input control for welding systems
CN112423928B (zh) 用于受控短路焊接系统中的缓冲器感测的系统和方法
EP3385023B1 (en) Systems for and method of arc welding with wire manipulation control
JP5392750B2 (ja) 溶接ワイヤ送給機及び溶接装置
EP1512480A2 (en) Voltage regulated mig welding using a constant current power source
KR101664459B1 (ko) 용접용 로드 송급 장치 및 로드 송급 방법
KR20140143709A (ko) 아크 용접 장치, 아크 용접 시스템 및 아크 용접 방법
JP2006326679A (ja) ロボット溶接制御装置
KR20100050223A (ko) 가스텡스텐아크 용접용 와이어 자동공급장치
JP2001212671A (ja) 自動機用溶接機
KR200443638Y1 (ko) 휴대용 용접와이어 송급장치
CN102189314A (zh) 非熔化电极电弧焊接控制方法
KR20090127758A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와이어 텐션 조절 장치 및 이에적합한 조절 방법
KR20140070836A (ko) 자동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US121096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rive roll contact force in welding-type systems
JP2013066906A (ja) アーク溶接装置
KR100899759B1 (ko) 용접기의 필러 와이어 공급 장치
TWM604684U (zh) 多模式控制型焊接加工裝置
JP2022520543A (ja) ワイヤ送り装置、及びワイヤ送り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
KR20140060904A (ko) 티그 와이어 자동 송급장치
US202303986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ld process selection and isolation from a voltage sensing wire feeder
TW202208096A (zh) 多模式控制型焊接加工裝置
KR20230032350A (ko) 연장 와이어 피더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