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7558B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558B1
KR101657558B1 KR1020150161521A KR20150161521A KR101657558B1 KR 101657558 B1 KR101657558 B1 KR 101657558B1 KR 1020150161521 A KR1020150161521 A KR 1020150161521A KR 20150161521 A KR20150161521 A KR 20150161521A KR 101657558 B1 KR101657558 B1 KR 10165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handle
elastic portion
grip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15016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58B1/ko
Priority to CN201620435057.9U priority patent/CN20591322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58B1/ko
Priority to PCT/KR2016/012943 priority patent/WO201708665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집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부 및 제1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고리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집게부 및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접촉되는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탄성부와 예각의 각도를 이루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끼워맞춤되는 결합기둥을 포함하는 제2 집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게{CLAMP}
본 발명은 빨래, 종이, 천 등을 클램핑할 수 있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다양한 물건을 집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빨래 집게는 주로 빨랫줄 등에 빨래를 걸어놓기 위해 만든 도구로서 일상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빨래 집게와 같은 집게는 힌지부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릴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의 빨래 집게 몸체들 및 빨래 집게 몸체들의 힌지부에 결합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빨래 집게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빨래 집게 몸체들의 일측단은 상호 접촉되고 타측단인 손잡이 부분은 벌어진 상태이며, 손잡이 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오므려진 일측단이 벌어지고 벌어진 일측단에 빨래 등을 삽입한 후 손잡이 부분에 가해진 힘을 제거함으로써 빨래를 빨랫줄 등에 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게들은 탄성 부재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탄성 부재들은 텐션 스프링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집게들은 쉽게 부식되고 텐션 스프링에 형성된 녹 등이 빨래 등에 떨어져 빨래에 얼룩을 발생시키고, 텐션 스프링의 부식에 의하여 집게의 수명이 크게 감소되며 텐션 스프링에 의하여 생산 원가가 상승된다.
공개특허 제10-2012-0055150호, 빨래집게 (2012년 5월 31일 공개)
본 발명은 구조를 개선하여 텐션 스프링 없이 빨래, 종이, 천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의 부식에 의해 발생된 녹에 의한 얼룩 발생을 방지하고, 수명을 크게 연장하며, 생산 원가를 크게 감소시킨 집게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집게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부 및 제1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고리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집게부 및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접촉되는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탄성부와 예각의 각도를 이루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끼워맞춤되는 결합기둥을 포함하는 제2 집게부를 포함한다.
집게는 상기 제1 손잡이부 중 상기 제2 손잡이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 중 상기 제1 요철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더 포함한다.
집게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탄성부가 끼워맞춤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부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결합기둥이 형성된다.
집게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일측을 막아 상기 결합 기둥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된다.
집게의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와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집게의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집게의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2 손잡이부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들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은 상호 면 접촉된다.
집게의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탄성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텐션 스프링 없이 빨래, 종이, 천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의 부식에 의해 발생된 녹에 의한 얼룩 발생을 방지하고, 수명을 크게 연장하며, 생산 원가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천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집게(300)는 제1 집게부(100) 및 제2 집게부(200)를 포함한다.
제1 집게부(100)는 제1 손잡이부(110), 제1 탄성부(120) 및 몸체부(130)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부(110)는, 예를 들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을 갖는 제1 손잡이부(110)에는 엄지 또는 엄지와 인접한 손가락이 삽입되기에 적합한 개구(115)가 형성된다.
제1 손잡이부(110)의 내측면은, 예를 들어,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손잡이부(110)의 외측면은 환형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1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손잡이부(110)의 외측면 중 제1 집게부(200)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1 요철부(116)가 형성된다. 제1 요철부(116)는 제2 집게부(200)와 접촉되어 빨래, 종이 및 천 등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탄성부(120)는 제1 손잡이부(110)에 형성되며, 제1 탄성부(120)는 제1 손잡이부(110)의 외측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탄성부(120)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휨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제1 탄성부(120)가 탄력적으로 휠 수 있도록 제1 탄성부(120)는 휨이 가능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120)는 제1 손잡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120)가 제1 손잡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1 탄성부(120)는 제1 손잡이부(110)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120)는 직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1 탄성부(120)는 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2 집게부(200)와 결합되었을 때 제2 집게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30)는 제1 탄성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며, 몸체부(130)는, 예를 들어, 제1 탄성부(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120)는 몸체부(13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탄성부(120)는 몸체부(13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몸체부(130)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30)의 상단에는 고리(13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손잡이부(110), 제1 탄성부(120) 및 몸체부(130)를 갖는 제1 집게부(100)는, 예를 들어, 제2 집게부(200)와 조립된다.
제1 집게부(100)를 제2 집게부(200)와 조립하기 위하여 제1 집게부(100)의 몸체부(130)에는 제2 집게부(2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33)이 형성된다. 결합홈(133)은 몸체부(130)에 대하여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부(130)에는 결합홈(133)과 함께 결합홈(133)의 일측단을 향해 돌출된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데, 이탈 방지부는 후술 될 제2 집게부(200)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집게부(200)의 일부가 이탈되어 제1 집게부(100) 및 제2 집게부(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집게부(200)는 제1 집게부(100)와 결합된다.
제2 집게부(200)는 제2 손잡이부(210) 및 제2 탄성부(220)를 포함한다.
제2 손잡이부(210)는 제1 손잡이부(110)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손잡이부(210)는, 예를 들어,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을 갖는 제2 손잡이부(210)에는 엄지 또는 엄지와 인접한 손가락이 삽입되기에 적합한 개구(215)가 형성된다.
제2 손잡이부(210)의 내측면은, 예를 들어,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손잡이부(210)의 외측면은 환형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1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손잡이부(210)의 외측면 중 제1 집게부(100)의 제1 요철부(116)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2 요철부(216)가 형성된다. 제2 요철부(216)는 제1 요철부(116)와 접촉되어 빨래, 종이 및 천 등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탄성부(220)는 제2 손잡이부(210)에 형성되며, 제2 탄성부(220)는 제2 손잡이부(210)의 외측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탄성부(220)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휨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제2 탄성부(220)가 탄력적으로 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220)는 휨이 가능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220)는 제2 손잡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부(220)가 제2 손잡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2 탄성부(220)는 제2 손잡이부(210)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220)는 직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2 탄성부(220)는 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제1 집게부(100)와 결합되었을 때 제1 집게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집게부(200)의 제2 탄성부(220) 및 제1 집게부(100)의 제1 탄성부(110)는 상호 예각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220)의 단부에는 결합 기둥(225)이 형성되는데, 결합 기둥(225)은 제1 집게부(100)의 몸체부(130)에 형성된 결합홀(133)에 끼워맞춤되기에 적합한 형상 및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2 탄성부(220)에 형성된 결합 기둥(225)이 몸체부(130)에 형성된 결합홀(133)에 끼워맞춤된 후 결합 기둥(225)은 제1 집게부(100)의 몸체부(130)에 형성된 이탈방지부(133)에 걸려 결합홀(13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제1 집게부(100)의 제1 손잡이부(110) 및 제2 집게부(200)의 제2 손잡이부(210)는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집게부(100)의 제1 탄성부(120) 및 제2 집게부(200)의 제2 탄성부(220) 역시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집게부(100)의 제1 손잡이부(110) 및 제2 집게부(200)의 제2 손잡이부(210)가 환형 형상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들의 접촉 면적이 매우 작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들 사이에 빨래, 종이 또는 천 등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들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부(110) 중 제2 손잡이부(2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 확장부(117)가 형성된다. 제1 확장부(117)는 제1 손잡이부(110) 중 제2 손잡이부(210)와 접촉되는 부분을 평탄면으로 형성하여 제2 손잡이부(21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2 손잡이부(210) 중 제1 손잡이부(110)의 제1 확장부(117)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제1 확장부(117)와 면 접촉되는 제2 확장부(217)가 형성된다. 제2 확장부(217)는 제2 손잡이부(210) 중 제1 확장부(117)와 접촉되는 부분을 평탄면으로 형성하여 제1 확장부(117)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손잡이부(110) 및 제1 탄성부(120)가 연결되는 부분 및 제2 손잡이부(210) 및 제2 탄성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은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손잡이부(110) 및 제1 탄성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손잡이부(110) 및 제1 탄성부(1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연결부(118)가 형성되며 제1 연결부(118)는 제1 탄성부(1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손잡이부(210) 및 제2 탄성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손잡이부(210) 및 제2 탄성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2 연결부(218)가 형성되며 제2 연결부(218)는 제2 탄성부(22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천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게(300)에 천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엄지 및 엄지와 인접한 손가락을 각각 제1 집게부(100)의 제1 손잡이부(110) 및 제2 집게부(200)의 제2 손잡이부(210)에 각각 삽입하고 엄지 및 상기 손가락을 벌린다.
사용자가 엄지 및 엄지와 인접한 손가락을 벌림에 따라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는 벌어지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탄성부(120,220)들에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벌어진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들 사이에 천을 배치하고 엄지 및 엄지와 인접한 손가락을 오므림으로써 제1 및 제2 손잡이부(110,210)들 사이에는 천이 고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구조를 개선하여 텐션 스프링 없이 빨래, 종이, 천 등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의 부식에 의해 발생된 녹에 의한 얼룩 발생을 방지하고, 수명을 크게 연장하며, 생산 원가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제1 집게부 200...제2 집게부
300...집게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1 손잡이부, 상기 제1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탄성부 및 제1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고리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 집게부; 및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접촉되는 제2 손잡이부, 상기 제2 손잡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탄성부와 예각의 각도를 이루는 제2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끼워맞춤되는 결합기둥을 포함하는 제2 집게부를 포함하는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중 상기 제2 손잡이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손잡이부 중 상기 제1 요철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제2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집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탄성부가 끼워맞춤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부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상기 결합기둥이 형성된 집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결합홈의 일측을 막아 상기 결합 기둥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집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부와 대칭 형태로 배치된 집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2 탄성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곡면 형태로 형성된 집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2 손잡이부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확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부와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확장부들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부들은 상호 면 접촉되는 집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탄성부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부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탄성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집게.
KR1020150161521A 2015-11-18 2015-11-18 집게 Active KR10165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21A KR101657558B1 (ko) 2015-11-18 2015-11-18 집게
CN201620435057.9U CN205913221U (zh) 2015-11-18 2016-05-12 夹子
PCT/KR2016/012943 WO2017086659A1 (ko) 2015-11-18 2016-11-10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521A KR101657558B1 (ko) 2015-11-18 2015-11-18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58B1 true KR101657558B1 (ko) 2016-09-19

Family

ID=5710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521A Active KR101657558B1 (ko) 2015-11-18 2015-11-18 집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57558B1 (ko)
CN (1) CN205913221U (ko)
WO (1) WO2017086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253A (zh) * 2021-01-05 2021-04-13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衣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93U (ko) * 1980-06-30 1982-01-26
JPS6243591U (ko) * 1985-08-26 1987-03-16
JPH0658891U (ja) * 1992-05-01 1994-08-16 一誠 山田 ワンタッチふとん挟み
JP2003159496A (ja) * 2001-11-28 2003-06-03 Masamitsu Irei 多目的挟持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5150A (ko) 2010-11-23 2012-05-31 엄성식 빨래집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10B1 (ko) * 2013-10-27 2015-02-04 주식회사 대연 집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393U (ko) * 1980-06-30 1982-01-26
JPS6243591U (ko) * 1985-08-26 1987-03-16
JPH0658891U (ja) * 1992-05-01 1994-08-16 一誠 山田 ワンタッチふとん挟み
JP2003159496A (ja) * 2001-11-28 2003-06-03 Masamitsu Irei 多目的挟持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5150A (ko) 2010-11-23 2012-05-31 엄성식 빨래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253A (zh) * 2021-01-05 2021-04-13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衣夹
CN112647253B (zh) * 2021-01-05 2025-02-14 广东好太太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衣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659A1 (ko) 2017-05-26
CN205913221U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558B1 (ko) 집게
JP5235931B2 (ja) 衣服用クリップ
JP5511111B1 (ja) ピンチ具
KR20140002402A (ko) 버튼 개폐장치
TWM589068U (zh) 夾具止滑套
US2551196A (en) Securing device for the pin stem of a button or the like
JP7239914B1 (ja) 片手で操作可能な洗濯バサミ及び洗濯ハンガー
JP4716847B2 (ja) 挟み具
KR200434631Y1 (ko) 피건조체 파지구
KR100295408B1 (ko) 끈 고정구
KR100430963B1 (ko) 머리핀
JP2016147035A (ja) 片手だけで操作できる洗濯バサミ
US20070215655A1 (en) Garment hanger
KR20140040785A (ko) 집게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JP2014184099A (ja) 挟持具
KR20180001792U (ko) S-자형 집게
KR101425987B1 (ko) 집게
KR200213802Y1 (ko) 한손 빨래집게
JP7343904B2 (ja) ピンチ
JP4800002B2 (ja) 挟み具
EP4470425A1 (en) Clip and clip-equipped hanger
KR200277793Y1 (ko) 머리핀
KR200222646Y1 (ko) 이중 빨래집게
KR101688796B1 (ko) 다용도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