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7493B1 -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 Google Patents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93B1
KR101657493B1 KR1020150118110A KR20150118110A KR101657493B1 KR 101657493 B1 KR101657493 B1 KR 101657493B1 KR 1020150118110 A KR1020150118110 A KR 1020150118110A KR 20150118110 A KR20150118110 A KR 20150118110A KR 101657493 B1 KR101657493 B1 KR 10165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lastic
waste
metal
col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연
김성진
제정열
김병록
정은호
이은성
최장호
박석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엔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엔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1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79Optical identification, e.g. cameras or spectroscop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물질 및 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한 금속 선별분류장치;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 분리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색상별로 분리하기 위한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를 경유하면서 색상별로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광을 이용하여 소재별로 선별 분리하기 위한 광학 선별분류장치;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를 경유하면서 별도로 분리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분리하기 위한 정전 선별분류장치; 및 상기 광학 선별분류장치와 상기 정전 선별분류장치에서 소재별로 분리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난연성 및 비난연성으로 분리하기 위한 X-RAY 선별분류장치를 포함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장치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METHOD FOR SORTING AND RECYCLING OF FLAKE PLASTICS}
본 발명은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파쇄(flake) 형태의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각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그리고 난연성 및 비난연성별로 분류할 수 있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재활용을 위하여 집하장으로 입고될 때, 이러한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은 크게 난연성, 비난연성으로 특성이 상이하고, 난연성 및 비난연성 각각에서는 다양한 소재가 혼합되어 있으며, 색상 측면에서도 화이트, 블랙, 빨간색 등 여러 색상들을 가진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혼합 상태로 입고된다.
따라서, 이러한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혼합 상태로 입고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특성별, 소재별, 색상별로 분류하여야 하는 데, 종래의 재활용 공정에서는 효율적인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활용 플라스틱의 순도가 낮고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6948호(2011.05.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된 선별 수단에 의해 특성별, 소재별, 색상별로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선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물질 및 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금속 선별분류장치;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 분류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를 경유하면서 색상별로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광을 이용하여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광학 선별분류장치;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를 경유하면서 별도로 분류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정전 선별분류장치; 및 상기 광학 선별분류장치와 상기 정전 선별분류장치에서 소재별로 분류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난연성 및 비난연성으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X-RAY 선별분류장치를 포함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금속 선별분류장치는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금속 선별분류장치; 및, 금속 센싱(Metal sensing)을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금속감지기를 포함하는 제2금속 선별분류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학 선별장치는 근적외선(NIR)을 이용하여 재질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근적외선 선별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물질 및 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금속 선별분류공정;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 분리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색상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를 경유하면서 색상별로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광을 이용하여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광학 선별분류공정;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에서 분리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정전 선별분류공정; 및, 상기 광학 선별분류공정과 상기 정전 선별분류공정에서 소재별로 분류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난연성 및 비난연성으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X-RAY 선별분류공정을 포함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금속 선별분류공정은,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금속 선별분류공정; 및, 금속 감지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제2금속 선별분류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광학 선별공정은 근적외선(NIR)을 이용하여 재질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근적외선 선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 공정의 문제점은 순도가 낮고 회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화된 선별 공정에 의해 특성별, 소재별, 색상별로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선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일 소재로의 분리가 선행되고 난 이후 단일 소재의 난연 및 비난연 구분을 정확히 수행함으로써,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 선별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거된 파쇄(flake) 형태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단일 선별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활용의 대상이 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생활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복합재질의 플라스틱 포장용기류나 폐합성수지 등을 포함하며, 재질에 따라 PE, PP, PS, ABS, GPPS, S.A.N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특성에 따라 난연 및 비난연 재질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적용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형상, 강도, 색상 등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들은 색상 외에는 그 특성 및 재질을 육안으로 분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다양한 적용제품에 사용된 후 폐기되는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파쇄(flake) 상태로 선별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들에서 개별 부분들은 하나의 소재 하나의 색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부분들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이종의 색상, 이종의 소재 부분들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선행 작업으로 플라스틱 제품들을 개별 부분들로 분류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은 분쇄장치에서 분쇄되는 공정을 거치는 플라스틱을 지칭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단일 선별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장치는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물질 및 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금속 선별분류장치(10,20)와,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30)와, 분류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백색 및 그 밖의 혼합 컬러색(mixed color) 플라스틱 폐기물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40)와,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40)를 경유하면서 분류된 백색, 혼합 컬러색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예컨대 근적외선(NIR)을 이용하여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광학 선별분류장치(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30)를 경유하면서 별도로 분류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전 선별분류장치(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학 선별분류장치(50)와 상기 정전 선별분류장치(60)에서 소재별로 분류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난연성 및 비난연성으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X-RAY 선별분류장치(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선별분류장치(10,20)는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금속 선별분류장치(10)와, 금속 센싱(Metal sensing)을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금속감지기를 포함하는 제2금속 선별분류장치(20)를 포함함으로써, 금속재 및 금속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재활용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금속 선별분류장치(10)에서, 에디 전류는 금속판을 강한 자기장에서 움직이거나 금속판에 걸린 자기장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때 전자기 유도 효과에 의해 금속판에 생기는 소용돌이 형태의 전류를 말하며, 와전류라고도 한다.
상기 제1금속 선별분류장치(10)는 컨베이어의 단부 표면에 에디 전류를 발생시켜 플라스틱 폐기물이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플라스틱 폐기물 중 도체인 비철의 선별을 수행하고, 일반적으로 기타물질은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낙하시켜 분리를 하게 된다.
상기 제2금속 선별분류장치(20)에서의 금속감지기는 컨베이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금속 이물질이 포함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30)는,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블랙계열의 색상과 비-블랙계열의 색상으로 구분하되,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정전 선별분류공정으로 진행시키고, 분류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백색, 비 백색의 플라스틱 폐기물별로 세밀하게 분류한 뒤, 광학 선별분류공정으로 진행시켜 소재별로 선별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정전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하는 정전 선별분류장치(60)는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진동판에 유입되어 진동에 의해 정전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의 진동에 의해 배출되는 정전기 하전 상태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양극판과 음극판을 통과하면서 정전기 전위에 따라 각각 PE, PP, PS, ABS, GPPS, S.A.N 등과 같은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게 된다.
상기 광학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하는 광학 선별분류장치(50)는 비-블랙 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해서 PE, PP, PS, ABS, GPPS, S.A.N 등과 같은 소재별로 분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학 선별분류장치(50)는 플라스틱 중 한 소재씩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PE가 센싱되는 영역을 통과할 경우 PE만 선별하고, 같은 방법으로 PP가 센싱되는 영역을 통과할 경우에는 PP만 선별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 선별분류장치(50)는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반사광을 분석하여 시분할 순서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40)의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과 광학 선별분류장치(50)의 광학 선별분류공정은 그 순서를 서로 달리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40)의 색상 선별을 선행한 후 광학 선별분류장치(50)의 소재 선별을 후속 공정으로 수행하거나, 광학 선별분류장치(50)의 소재 선별을 선행한 후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40)의 색상 선별을 후속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과 광학 선별분류공정의 공정 순서가 서로 변경이 되더라도 그에 따른 플라스틱 폐기물의 특성이나 품질에는 아무런 변함이 없다.
이와 같이 정전 선별 및 광학 선별을 통해 소재별로 분리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은 난연재와 비난연재의 밀도 차이에 따라 난연재와 비난연재의 여부를 판단하는 X-RAY 선별분류장치(70)에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난연성 플라스틱 폐기물 및 비난연성 플라스틱 폐기물로 분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 선별과 광학 선별을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게 될 경우, 종래의 정전 선별분류공정 및 광학 선별분류공정 각각이 가지는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광학 선별분류공정은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는 데 유효하나,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 선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정전 선별분류공정은 하전을 이용한 선별방식으로 장비가 고가이고, 처리용량이 작은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플라스틱 폐기물과 관련하여 단일 소재의 난연 및 비난연 선별에 최적화되어 있는 X-RAY 선별분류장치는 2종 이상의 혼합 소재에서, 난연성 및 비난연성 선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선별 공정에 대한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블랙계열과 비-블랙계열로 분류하고, 각각 광학 선별과, 정전 선별이라는 특화된 공정을 각각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플라스틱 선별 공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소재별로 선별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대상으로 X-RAY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난연성 및 비난연성 플라스틱 폐기물로 선별하여 분류하게 되므로 선별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선별 공정의 효율을 높여 플라스틱 폐기물의 순도 및 회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X-RAY 선별분류장치(70)에서 최종적으로 분류된 파쇄(flake) 상태의 각 플라스틱 폐기물은 세척장치(80)에서 세척공정을 거치게 되며, 펠렛압출장치(90)에 의해 최종 재활용 제품인 펠렛(pellet)으로 제조된다.
상기 세척장치(80)는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의 특성상 표면에 오염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펠렛 제조까지를 고려한다면 이러한 세척장치(80)에 의한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세척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의 특성, 색상 및 소재별 분류 공정에 대하여 자동화 공정에 의한 연속적인 프로세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선별분류공정을 경유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일시적인 보관, 운반 및 선별 등의 일련의 공정을 비연속적(batch process)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낭비되는 플라스틱류의 자원을 최대한 재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재를 선별하여 분류하는 금속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하되, 에디 전류를 이용하여 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금속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하고, 이어서 금속 감지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제2금속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한다(S10).
이어서,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한다(S20).
이어서, 분류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백색, 비 백색 플라스틱 폐기물 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을 수행(S30)하고,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을 거치면서 분류된 백색, 비 백색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광학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한다(S40). 이때,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과 광학 선별분류공정은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분류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정전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소재별로 선별되어 분류되고(S50),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선별되어 분류된 백색, 비 백색 플라스틱 폐기물은 광학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소재별로 별도 분류된다.
이어서, 정전 선별분류공정 및 광학 선별분류공정을 통해 소재별로 각각 선별, 분류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난연성 및 비난연성 여부를 선별하여 분류하는 X-RAY 선별분류장치(70)에 의해 난연/비난연 선별분류공정을 수행한다(S60).
이와 같이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을 분리하고, 색상별, 소재별, 특성별로 선별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종류별로 각각의 저장 영역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선별 공정을 통해 색상 및 소재별로 선별된 파쇄(flake) 상태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세척장치(80)에서 세척 공정을 경유하고(S70), 펠렛압출장치(90)에서 최종 재활용 제품인 펠렛 형태로 압출하여 제조(S80)된다.
본 발명은 자동화된 선별 공정에 의해 특성별, 소재별, 색상별로 정확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선별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율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이,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최대한 선별, 분류하여 회수하게 되면 단순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되던 폐기물 중 상당량을 재이용 또는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신규 수익 창출, 폐기물 소각 처리에 소요되던 처리 비용 절감, 폐기물 소각 또는 매립으로 인한 환경 오염 감소 등의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금속 선별분류장치 20 : 제2금속 선별분류장치
30 : 제1색상 선별분류장치 40 : 제2색상 선별분류장치
50 : 광학 선별분류장치 60 : 정전 선별분류장치
70 : X-RAY 선별분류장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금속 물질 및 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금속 선별분류공정;
    금속이 분리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
    분리된 비-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로부터 색상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
    상기 제2색상 선별분류공정를 경유하면서 색상별로 분류된 플라스틱 폐기물 각각을 광을 이용하여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광학 선별분류공정;
    상기 제1색상 선별분류공정에서 분리된 블랙계열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재별로 선별하여 분류하기 위한 정전 선별분류공정; 및,
    상기 광학 선별분류공정과 상기 정전 선별분류공정에서 단일 소재별로 분류된 각 플라스틱 폐기물을 난연성 및 비난연성으로 선별하여 분류함으로써 선별 공정을 최소화하면서도 선별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X-RAY 선별분류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또는 재활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별분류공정은, 에디 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을 선별하여 분류하는 제1금속 선별분류공정; 및,
    금속 감지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감지하는 제2금속 선별분류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또는 재활용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선별공정은 근적외선(NIR)을 이용하여 재질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는 근적외선 선별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또는 재활용방법.
KR1020150118110A 2015-08-21 2015-08-21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Active KR10165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110A KR101657493B1 (ko) 2015-08-21 2015-08-21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110A KR101657493B1 (ko) 2015-08-21 2015-08-21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493B1 true KR101657493B1 (ko) 2016-09-30

Family

ID=5707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110A Active KR101657493B1 (ko) 2015-08-21 2015-08-21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69A (ko)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에코리아 재생플라스틱 펠릿 선별장치
KR102068438B1 (ko) * 2019-05-09 2020-02-11 김태하 폐분체도료 재활용을 위한 선별방법
KR20240125154A (ko) 2023-02-10 2024-08-19 (주)이에스알산업 복합폐합성수지 용융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537A (ja) * 2000-07-10 2004-01-29 デル グリューネ プンクト デュアレス システム ドイチラン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混合物からプラスチックをその種類に応じて分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79541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臭素系難燃剤含有樹脂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KR20100016069A (ko) * 2007-04-18 2010-02-12 토마스 에이. 바레리오 재활용된 물질을 선별하고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48490B1 (ko) * 2009-11-27 2010-03-18 서흥인테크(주)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2537A (ja) * 2000-07-10 2004-01-29 デル グリューネ プンクト デュアレス システム ドイチランド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混合物からプラスチックをその種類に応じて分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016069A (ko) * 2007-04-18 2010-02-12 토마스 에이. 바레리오 재활용된 물질을 선별하고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9279541A (ja) * 2008-05-23 2009-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臭素系難燃剤含有樹脂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KR100948490B1 (ko) * 2009-11-27 2010-03-18 서흥인테크(주)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69A (ko)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에코리아 재생플라스틱 펠릿 선별장치
KR102068438B1 (ko) * 2019-05-09 2020-02-11 김태하 폐분체도료 재활용을 위한 선별방법
KR20240125154A (ko) 2023-02-10 2024-08-19 (주)이에스알산업 복합폐합성수지 용융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rranti et al. Techniques for separation of plastic wastes
Richard et al. Optimization of the recovery of plastics for recycling by density media separation cyclones
US201100176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Like-Type Materials from an Electronic Waste System
US20080073251A1 (en) System and process for reclaiming and recycling plastic
JP2006505419A5 (ko)
Küppers et al. Influences and consequences of mechanical delabelling on PET recycling
KR102121874B1 (ko)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Makenji et al. Mechanical methods of recycling plastics from WEEE
KR101965425B1 (ko) 비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장치
KR101657493B1 (ko) 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Menad Physical separation processes in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recycling
Lahtela et al. Mechanical Sorting Processing of Waste Material Before Composite Manufacturing-A Review.
US8302777B2 (en) Reducing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recovered plastics
KR20220148806A (ko) 도시 및/또는 산업용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유래하는 중합체의 선택 및 분리 방법
JP2025069358A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を処理するためのプラスチックリサイクル方法
AU2025201816A1 (en) Method, Process, and System of Using a Mill to Separate Metals from Fibrous Feedstock
KR101662055B1 (ko) 비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 및 재활용방법
EP3954473A1 (en) A method of processing waste material to produce various grades of plastics
Makenji Mechanical methods for recycling waste composites
EP063530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Formkörpern aus unterschiedlichen Polymeren
US8813972B1 (en) Secondary separation system for recyclables
DE4407768A1 (de) Verfahren zur Wiederaufarbeitung von verbrauchten Bleiakkumulatoren
CN109513526A (zh) 一种工业区垃圾的分选流程
US20130105365A1 (en) Methods for creating high purity streams of plastics recovered from durable goods
KR102807623B1 (ko) 폐유리 선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폐유리 선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