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072B1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072B1 KR101652072B1 KR1020140151192A KR20140151192A KR101652072B1 KR 101652072 B1 KR101652072 B1 KR 101652072B1 KR 1020140151192 A KR1020140151192 A KR 1020140151192A KR 20140151192 A KR20140151192 A KR 20140151192A KR 101652072 B1 KR101652072 B1 KR 1016520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vector
- value
- layer
- current block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베이스 레이어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블록에 대한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되는 이웃 블록의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베이스 레이어의 부호화 정보에 따라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인핸스먼트 레이어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24)
- 제1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제2 레이어의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의 제1 특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특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이어의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레이어의 제2 특징값에 기초하여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움직임 벡터 해상도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움직임 벡터 해상도의 단위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가 하프 펠(half pel) 단위인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1만큼 쉬프트 연산을 적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가 정수 펠(integer pel) 단위인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2만큼 쉬프트 연산을 적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는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상기 참조 블록의 텍스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움직임 벡터 차분값 또는 움직임 벡터 예측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값은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 차분값, 움직임 벡터들 간의 거리값(Euclidian Distance), 움직임 벡터 예측값의 크기 또는 화소값들의 분산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은 상기 제1 특징값과 제1 임계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은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예측값으로 유도되고,
상기 제1 특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은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유도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예측값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움직임 벡터 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은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상수값으로 스케일링하여 유도되고,
상기 상수값은 상기 제1 레이어와 상기 제2 레이어 간의 해상도 차이를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값은 상기 제2 레이어의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는 상기 제2 특징값과 제2 쿼터 임계값 간의 비교 또는 상기 제2 특징값과 제2 하프 임계값 간의 비교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제2 레이어보다 해상도가 높은 레이어인,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 레이어의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제2 레이어의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레이어의 제1 특징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특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레이어의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 레이어의 제2 특징값에 기초하여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움직임 벡터 해상도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움직임 벡터 해상도의 단위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는 인터 예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가 하프 펠 단위인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1만큼 쉬프트 연산을 적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가 정수 펠 단위인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에 2만큼 쉬프트 연산을 적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재설정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는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상기 참조 블록의 텍스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움직임 벡터 차분값 또는 움직임 벡터 예측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 차분값, 움직임 벡터들 간의 거리값(Euclidian Distance), 움직임 벡터 예측값의 크기 또는 화소값들의 분산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특징값을 산출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제1 특징값과 제1 임계값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획득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제1 특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예측값으로 유도하고,
상기 제1 특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유도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예측값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움직임 벡터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움직임 벡터 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참조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상수값으로 스케일링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초기값을 유도하되,
상기 상수값은 상기 제1 레이어와 상기 제2 레이어 간의 해상도 차이를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삭제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제2 레이어의 참조 블록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특징값을 산출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 예측부는,
상기 제2 특징값과 제2 쿼터 임계값 간의 비교 또는 상기 제2 특징값과 제2 하프 임계값 간의 비교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결정하는,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 삭제
-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어는 상기 제2 레이어보다 해상도가 높은 레이어인,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192A KR101652072B1 (ko) | 2014-11-03 | 2014-11-03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192A KR101652072B1 (ko) | 2014-11-03 | 2014-11-03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344A KR20160051344A (ko) | 2016-05-11 |
KR101652072B1 true KR101652072B1 (ko) | 2016-08-29 |
Family
ID=5602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11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2072B1 (ko) | 2014-11-03 | 2014-11-03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07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8347A1 (ko) * | 2018-02-28 | 2019-09-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WO2023085704A1 (ko) * | 2021-11-09 | 2023-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복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36302B (zh) * | 2019-09-27 | 2023-10-24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视频解码、编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解码器、编码器 |
CN112040242A (zh) * | 2020-07-30 | 2020-12-04 |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 基于高级运动矢量表达的帧间预测方法、装置及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30993B2 (ja) * | 2011-07-14 | 2015-12-09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2014
- 2014-11-03 KR KR1020140151192A patent/KR10165207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8347A1 (ko) * | 2018-02-28 | 2019-09-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US11006144B2 (en) | 2018-02-28 | 2021-05-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
US11388435B2 (en) | 2018-02-28 | 2022-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
US11394998B2 (en) | 2018-02-28 | 2022-07-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
US11412251B2 (en) | 2018-02-28 | 2022-08-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
US11451822B2 (en) | 2018-02-28 | 2022-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
WO2023085704A1 (ko) * | 2021-11-09 | 2023-05-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비디오 복호화 방법, 비디오 복호화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344A (ko) | 2016-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9478B2 (en) | Scalable video signal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2286856B1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US10250902B2 (en) | Method for inducing motion information in multilayer structure and apparatus using same | |
KR20140138538A (ko) | 복수의 레이어를 지원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 |
US20160330458A1 (en) | Scalable video signal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 |
US1018764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multilayer video signal | |
KR20150133682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133683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101652072B1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움직임 정보 탐색 방법 및 장치 | |
KR20150110294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64677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48077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40145559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133684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09468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43990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WO2014189345A1 (ko) | 멀티 레이어 구조에 있어서 움직임 정보의 유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
KR20150044394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75031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71653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14872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64675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09470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37659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
KR20150009469A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