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49B1 -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1749B1 KR101651749B1 KR1020140167289A KR20140167289A KR101651749B1 KR 101651749 B1 KR101651749 B1 KR 101651749B1 KR 1020140167289 A KR1020140167289 A KR 1020140167289A KR 20140167289 A KR20140167289 A KR 20140167289A KR 101651749 B1 KR101651749 B1 KR 101651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ding
- circuit breaker
- electric wire
- contactor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과제]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입 방식이라도, 그 조립성도 확보하면서, 나사 방식과 동등 레벨의 밀착도를 가진 회로 차단기를 얻는다.
[해결 수단] 해당 회로 차단기에 접속되는 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며, 베이스에 압입에 의해서 고착되는 L자형의 접속 단자의 굴곡부에, 상기 전선이 접속되는 면과 면일의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연장면은, 커버와 상기 베이스의 맞춤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선단과 근접시키도록 했다. [PROBLEMS] A circuit breaker having a degree of adhesion equal to that of a screw type is obtained, while ensuring the assembling property, even if the terminal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is a press-fit typ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MEANS FOR SOLVING PROBLEMS] A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at a bent portion of an L-shaped connecting terminal interposed between a wire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and fixed to the base by press fitting, the extending portion including a surface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and an extended surface And the extending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brought close to the tip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ting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base to the bas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配線)용 차단기나 누전(漏電) 차단기 등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외부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er such as a circuit breaker for wiring (wiring), a leakage circuit breaker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terminal to which an external electric wire is connected.
예를 들면, 트랜스(Transfer)로부터 부하(負荷) 기기에 이르는 전선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한, 이 전선이나 부하 기기의 소손(燒損)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시설(施設)된 해당 전선의 도중에 회로 차단기가 배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서, 이 회로 차단기에는, 전선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기 회로, 즉, 단상(單相), 3상(相), 혹은 3상(相) 4선(線) 등에 따른 극수(極數)의 단자가 구비되며, 해당 전선(회로 차단기로부터 본 경우,「외부 전선」이 된다. 이하,「전선」이라고 칭함)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ic wires and load devices from being burned out due to the over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ic wires from the transformer (load) to the load (load) device, It is known that a circuit breaker is disposed in the middle. To this end, the circuit breake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circuit composed of an electric wire, that is, a terminal having a number of poles corresponding to a single phase, a three-phase phase, or a three-phase four- And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wire (referred to as an "external electric wire" when viewed from the circuit break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ctric wire").
회로 차단기와 전선과의 접속 방법에는, 예를 들면, 단자를 판 스프링 모양으로 구성하고, 그 스프링력으로 전선과의 접촉 압력을 유지하는, 이른바 속결(速結) 단자 방식이나, 전선을 버스 바(bus bar)로 불리는 도체로 하고, 이 도체에 접속시키는 플러그 인(Plug-in) 방식도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 어느 정도의 통전(通電)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시공 간소화를 그다지 따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에 구비된 나사(screw)의 와셔(washer)나 선 가압 단자에, 압착 단자를 마련한 전선 혹은 전선 그 자체를 접속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이 방식이 널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reaker and the electric wire includes, for example, a so-called quick connection method in which terminals are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and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electric wire is maintained by the spring force, a plug-in system is known in which a conductor called a bus bar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a certain amount of current carrying capacity is required or the simplification of the construction is not so significant, it is preferable that a wire having a crimp terminal is provided on a washer or a wire- Or the wires themselves, and as a result, this method is widely known in general.
그런데, 이 회로 차단기를, 분전반(分電盤) 등에 다수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분전반의 설치 스페이스(space)의 제약 때문에, 분전반 자체의「슬림화(downsizing)」, 나아가서는, 내장되는 회로 차단기의 소형화가 요구되며, 각 메이커(maker)도, 그 소형화에 경쟁을 하고 있다. 그 한편으로, 전술한「전선이나 부하 기기의 소손 방지」, 즉, 과전류 검출 장치나 개폐 기구, 또는 전기 회로 차단에 따르는 아크(arc)를 소멸시키는 소호(消弧) 장치 등을 해당 회로 차단기에 수납하면서, 그 성능도 향상시키려면, 이 성능 향상에는 직접 기여하지 않는 부재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However, when a large number of such circuit breakers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ard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of "downsizing" of the distribution board itself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tribution boards, Miniaturization is required, and each maker also competes in miniaturization.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prevention of burnout of electric wires and load devices", that is, an overcurrent detecting device,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or a so-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while accommodating,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members that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this performance improvement.
여기서, 전술한 단자의, 회로 차단기의 외곽이 되는 케이스에의 배치 방법으로서, 종래의 나사 방식으로부터 압입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나사 방식과 관계되었던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고, 그 스페이스를 성능 향상으로 돌리거나, 동등 성능을 유지하는 경우이면, 그 외곽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 각각 짐작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Here, as a method of disposing the above-described terminals on the case serving as an outer casing of the circuit breaker, by changing from the conventional screw type to the press-fit type, the space related to the screw type can be omitted, Or if the same performance is maintained, miniaturization of the outer periphery can be achiev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렇지만, 이 단자는, 전기 회로 시공 업자 등이 전선을 접속할 때에 주목되는 것으로서, 그 성능, 즉 케이스에의 밀착도를 떨어뜨릴 수는 없다. 그렇지만, 전술한 나사 방식과 동등한 밀착도를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압입 맞물림 부분을 길게 하는 등의 세공(細工)을 실시했다고 해도, 케이스에의 압입 하중이 증가하는 것만으로, 그 조립성이 악화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압입에 따르는 케이스의 파손 등을 유발하는 것도 생각되어진다. However, this terminal is noticed when an electric circuit installer or the like connects the electric wire, and its performance, that is,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case can not be lowered. However, in order to obtain a degree of adhes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screw type, even if punching such as lengthening of the indentation engaging portion is performed, the assembling property deteriorates only by increasing the indentation load on the case And it is conceivable that, in some cases, the case may be damaged by press-fitting.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입 방식이라도, 그 조립성도 확보하면서, 나사 방식과 동등 레벨의 밀착도를 가진 회로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having a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a screw system, .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는, 절연체로 형성된 커버(cover) 및 베이스(base)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핸들(handle)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판(frame plate)의 사이에 배치된 개폐 기구부와, 상기 개폐 기구부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크로스바(crossbar)와, 이 크로스바와 연동하여 적어도 일단에 가동 접점을 가지는 가동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점과 접리(接離)를 반복하는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양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재단(裁斷)하는 소호(消弧) 장치와, 상기 고정 접촉자 혹은 상기 가동 접촉자와, 해당 회로 차단기에 접속되는 전선과의 사이에 개재하며, 상기 베이스에 압입에 의해서 고착되는 L자형의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이 L자형의 접속 단자의 굴곡부에, 상기 전선이 접속되는 면과 동일면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상기 돌기부의 이 면은, 상기 커버와 베이스의 맞춤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선단과 근접시키도록 한 것이다.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made of a cover and a base formed of an insulator and a frame having an operating handle protruding from the cover and opposed to each other A movable contactor having a movable contact at least at one end thereof in cooperation with the crossbar, and a fixed contact which repeats contact and disengagement with the movable contact, A stationary contactor, an arc extinguishing device for cutting an arc generated between the two contacts, and a contactor interposed between the stationary contactor or the movable contactor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And an L-shaped connecting terminal fixed to the base by press-fitting, wherein a bent portion of the L-shaped connecting terminal is flush with the surface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he surface of and at the same time, the projection maryeonham a projection made of, will from the abutment surfaces of the cover and the base so as to close to the tip ends of the projections projecting toward the base.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성이 뛰어나고 저가이면서, 전기 회로 시공 업자 등이 전선을 해당 회로 차단기의 단자에 접속할 때에, 그 단자가 들뜨지 않고, 품질적으로도 안정된 회로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ircuit breaker that is excellent in assemblability and low in cost and stable in quality even when an electric circuit installer or the like connects the electric wire to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reaker without lifting the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회로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붙이기 전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접속 단자만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before the cover is attached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only the connection terminal in Fig.
Fig. 5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 modified example.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트립(trip) 상태에 있는 회로 차단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 1은 완성 상태, 도 2는 커버를 붙이기 전의 상태이다. 또, 도 3은 도 1에서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 도 4는 요부가 되는 접속 도체의 외관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1 and 2 show an appearance of a circuit breaker in a trip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1 shows a completed state, and FIG. 2 shows a state before a cover is attached.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Fig. 4 is an external view of a connecting conductor serving as a recessed portion.
도 1 ~ 3에서, 3극(極)용 회로 차단기(101)의 절연 케이스는, 커버(1) 및 베이스(2)로부터 구성되며, 이 중 베이스(2)에, 조작 핸들(3)을 구비한 개폐 기구부(51)와, 극수(極數) 만큼(이 경우, 3개)의 소호 장치(52) 및 과전류 트리핑 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핸들(3)은 커버(1)의 핸들용 창공(窓孔, 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음으로써, ON 혹은 OFF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는 것은 주지와 같다. 또, 소호 장치(52)와 과전류 트리핑 장치(53)의 위치 관계로부터, 4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측 전선과 접속되는 전원측 접속 단자, 5는 역시 도시하지 않는 부하측 전선과 접속되는 부하측 접속 단자인 것도, 주지와 같다. 또, 각각의 전선의 접속을 함에 있어서는, 각 접속 단자(4, 5)의 나사 구멍(4a, 5a)에 와셔 등을 구비한 나사에 의해서, 전선 혹은 전선의 선단에 코킹(caulking)된 압착 단자를 조이지만, 그 나사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1 to 3, the insulating case of the
또, 개폐 기구부(51), 소호 장치(52), 및 과전류 트리핑 장치(53) 그 자체도 주지이다. 즉, 회로 차단기(101)에는, 전원측 접속 단자(4)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에 고정 접점(6)을 가지는 고정 접촉자(7)와, 가동자 받이부(8) 및 과전류 트리핑 장치(53)를 매개로 하여 부하측 접속 단자(5)에 접속되며, 일단에 가동 접점(9)을 가지고, 개폐 기구부(51)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재인,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인 크로스바(10)에 의해서 유지되는 가동 접촉자(11)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접촉자(7)와 가동 접촉자(11)와의 사이에서 접리(接離)가 반복되고, 특히 개리(開離)에 의해서, 고정 접점(6)과 가동 접점(9)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 장치(52)에의해 재단(裁斷)하고 있다. 또, 개리는, 조작 핸들(3)에 의한 OFF 방향으로의 조작, 혹은, 그 전기 회로의 전류의 초과 상태에 따른 과전류 트리핑 장치(53)의 작동에 의해, 개폐 기구부가 응동(應動)함으로써 행해진다. 게다가, 이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회로 차단기(101)는, 역시 주지의 영상(零相) 변류기(12) 및 누전 트리핑 장치(54)를 구비한, 이른바 누전 차단기이기 때문에, 그 전기 회로의 누설 전류가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도, 전술한 개리가 행해진다. 이들 주지의 장치 등은,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할애(割愛)한다. Also, the opening /
이하, 본 발명의 요부인 각 접속 단자에 대해서, 특히 부하측 접속 단자(5)로 좁혀 설명한다(이하, 단자(5)로 칭함). 단자(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형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면 알파벳의「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L자형의 저면에 해당하는 제1 면(5b)에 전선 혹은 전선의 선단에 코킹된 압착 단자가 밀착하고, 도시하지 않는 나사를 나사 구멍(5a)에 조임으로써, 전선과 단자(5)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 제1 면(5b)으로부터 직립하는 장단(長短)의 제2 면(5c) 및 제3 면(5d)은, 각각, 이들면으로부터 볼록해진 한 쌍의 타출부(打出部, 5e)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자(5)가 베이스(2)에 마련한 삽입홈(2a, 도 3 참조)에 삽입됨으로써, 이른바 압입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2 면(5c)은 영상 변류기(12)를 관통하는 도체(13), 혹은, 고정 접촉자(7)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도시하지 않은 도체와의 용접면이기도 하다. Hereinafter,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s, which is a substa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as a load-side connection terminal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5). As shown in Fig. 4, the
이 L자형의 단자(5)의 제1 면(5b)과 제2 면(5c)의 굴곡부에는, 제1 면(5b)으로부터 연장하여 면일(面一, 단차가 없음)이 되는 면, 즉, 제1 면(5b)과 동일면이 되는 돌기부(5f)가 마견되어 있다. 한편, 도 2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커버(1)에는, 이 커버(1)와 베이스(2)의 맞춤면으로부터, 베이스(2)측으로 돌출한 돌출부(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양자, 즉, 돌기부(5f)와 돌출부(1b)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5f)의 지면상, 상부에, 또한 근접하도록 돌출부(1b)가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선 혹은 전선의 선단에 코킹된 압착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스페이스, 즉, 제1 면(5b)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기 회로 시공 업자 등이 전선을 단자(5)에 조인 후, 예를 들면, 나사의 선단에 끼워 넣어진 드라이버를 뽑을 때나, 어떤 사정으로 전선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등에, 단자(5)가 들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단자(5)의 삽입홈(2a)으로의 삽입은, 조립성을 고려한 압입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품질의 안정과 아울러, 조립 비용 저감도 많이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접이란, 커버(1)와 베이스(2)를 감합(嵌合, 끼워 맞춤)할 때에, 돌출부(1b)와 돌기부(5f)가 간섭하여 커버(1)와 베이스(2)와의 감합에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를 두고 돌출부(1b)와 돌기부(5f)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돌출부(1b)의 치수 공차를 고려한 거리를 두고 돌출부(1b)와 돌기부(5f)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물론, 커버(1)와 베이스(2)와의 감합에 간섭하지 않으면, 돌출부(1b)와 돌기부(5f)가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다. The surface of the L-
또, 돌기부(5f)는, 도 3 혹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제2 면(5c)과 면일, 즉, 제2 면(5c)으로부터의 돌출하지 않으면,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영상 변류기(12)에 구비되는 누전 검출 회로(12a)의 삽입 스페이스가 보다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돌출부(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1)와 일체 성형으로 했지만,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 즉, 배리어(barrier, 14)로 하여 돌기부(5f)에 접촉시켜도 좋고, 특히, 소호 장치(52)에서의 아크 재단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을 위한 고안을 실시한 다음에, 전원측 접속 단자(4)와의 조합으로 보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배리어(14)와 같이, 돌출부(1b)를 별도의 부재로서 마련하는 경우, 베이스(2)를 아래로 회로 차단기를 배치했을 때에, 돌출부(1b)의 자중에 의해서, 돌출부(1b)와 돌기부(5f)는 접촉하고 있다. 한편, 돌출부(1b)의 자중이 돌기부(5f)측을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로 차단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반드시 돌출부(1b)와 돌기부(5f)가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커버(1)에 돌출부(1b)를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b)(배리어(14))와 돌기부(5f)는, 근접하고 있으면 괜찮다. 3 or 4, the
1 - 커버 1b - 돌출부
2 - 베이스 3 - 조작 핸들
4 - 전류측 접속 단자 5 - 부하측 접속 단자
5b - 제1 면 5c - 제2 면
5f - 돌기부 6 - 고정 접점
7 - 고정 접촉자 9 - 가동 접점
10 - 크로스바 11 - 가동 접촉자
51 - 개폐 기구부 52 - 소호 장치
100 - 회로 차단기 1 -
2 - Base 3 - Operating handle
4 - Current side connection terminal 5 - Load side connection terminal
5b -
5f - protrusion 6 - fixed contact
7 - fixed contact 9 - movable contact
10 - Crossbar 11 - Operational Contact
51 - opening / closing mechanism part 52 -
100 - Circuit breaker
Claims (3)
상기 L자형의 접속 단자의 굴곡부에, 상기 전선이 접속되는 면과 면일(面一)의 연장면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의 연장면은, 상기 커버와 베이스의 맞춤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선단과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rame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n operation handle protruding from the cover; a crossbar rotatably coupled with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portion; A stationary contactor having at least a movable contact having a movable contact at one end thereof and a stationary contact point repeatedly contacting and separating with the movable contactor and a stationary contactor having an arc extinguishing arc, And an L-shaped connection terminal interposed between the fixed contactor or the movable contactor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and fixed to the base by press fitting,
Wherein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bent portions of the L-shaped connecting terminals, the protruding portions being formed of a flat surface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which the electric wires are connected, and the extending surfaces of the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the base side Wherein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is in proximity to or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상기 전선이 접속되는 면으로부터 연속하는 굴곡후의 면과,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면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after the bending continuing from the surface 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and the tip end of the protrusion are the surface side.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79536 | 2014-04-08 | ||
JP2014079536 | 2014-04-08 | ||
JPJP-P-2014-102530 | 2014-05-16 | ||
JP2014102530A JP6217517B2 (en) | 2014-04-08 | 2014-05-16 |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6761A KR20150116761A (en) | 2015-10-16 |
KR101651749B1 true KR101651749B1 (en) | 2016-08-26 |
Family
ID=5460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7289A Active KR101651749B1 (en) | 2014-04-08 | 2014-11-27 |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217517B2 (en) |
KR (1) | KR101651749B1 (en) |
TW (1) | TWI54185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96140B2 (en) * | 2018-11-12 | 2022-07-05 | 日東工業株式会社 | Terminal circuit breaker terminal fitting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0092A (en) | 1999-05-31 | 2000-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Circuit breaker |
JP2012089372A (en) | 2010-10-20 | 2012-05-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Circuit br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47011Y2 (en) * | 1972-12-28 | 1980-11-05 | ||
JPS5798661U (en) * | 1980-12-08 | 1982-06-17 | ||
JPH0623174U (en) * | 1992-08-28 | 1994-03-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tact |
JP2000021284A (en) * | 1998-07-03 | 2000-01-21 | Toshiba Corp | Terminal device of circuit breaker |
KR100542880B1 (en) * | 2003-11-26 | 2006-01-20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ircuit breaker |
-
2014
- 2014-05-16 JP JP2014102530A patent/JP6217517B2/en active Active
- 2014-11-20 TW TW103140192A patent/TWI541851B/en active
- 2014-11-27 KR KR1020140167289A patent/KR1016517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0092A (en) | 1999-05-31 | 2000-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Circuit breaker |
JP2012089372A (en) | 2010-10-20 | 2012-05-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Circuit br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207542A (en) | 2015-11-19 |
KR20150116761A (en) | 2015-10-16 |
TWI541851B (en) | 2016-07-11 |
JP6217517B2 (en) | 2017-10-25 |
TW201539513A (en) | 2015-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71654B1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US10236150B2 (en) | Molded-case circuit breaker for DC | |
US9136083B2 (en) | Enclosed bus bar fuse holder | |
US10483065B2 (en) | Molded-case circuit breaker for DC | |
JP5531894B2 (en) | Earth leakage breaker | |
CN100485845C (en) | Contactor with connector module for controlling electromagnetic drive device | |
JP4367407B2 (en) | Control circuit connection device for drawer type circuit breaker | |
US9012801B2 (en) | Flexible shunt for vacuum circuit breaker | |
JP2007287708A (en) | Additional alarm unit for branch circuit breaker | |
KR101651749B1 (en) | Circuit breaker | |
CN204303707U (en) | Breaker | |
US20080102714A1 (en) | Service switching device and connection terminal for a service switching device | |
KR101606641B1 (en) |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 |
JP4457952B2 (en) | Circuit breaker movable contact device | |
JP4856518B2 (en) | Circuit breaker | |
WO2020194704A1 (en) | Connection conversion adapter and electric device | |
WO2021058552A1 (en) | Fuse-based electrical switching device | |
JP2001167682A (en) | Multipole switch terminal unit | |
CN111566773B (en) | Electronic trip device of circuit breaker for wiring | |
KR200496737Y1 (en) |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CN117153632A (en) | Direct current breaker | |
JP2013062125A (en) | Circuit breaker | |
CN103426694A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