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230B1 - 집적 회로 및 표준 셀 라이브러리 - Google Patents
집적 회로 및 표준 셀 라이브러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1230B1 KR101651230B1 KR1020150018867A KR20150018867A KR101651230B1 KR 101651230 B1 KR101651230 B1 KR 101651230B1 KR 1020150018867 A KR1020150018867 A KR 1020150018867A KR 20150018867 A KR20150018867 A KR 20150018867A KR 101651230 B1 KR101651230 B1 KR 101651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 cell
- boundary line
- standard cell
- pi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03—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haracterised by the die pad
- H01L23/4951—Chip-on-leads or leads-on-chip techniques, i.e. inner lead fingers being used as die pa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a 내지 도 1c에 예시된 표준 셀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들의 일부에 대한 레이아웃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a 내지 도 1c에 예시된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에 따른 표준 셀들의 레이아웃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표준 셀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들의 일부에 대한 레이아웃들이다.
도 5는 액티브-투-액티브 간격에 따른 표준 셀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액티브-투-액티브 간격에 따른 표준 셀의 전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에서 액티브-투-액티브 간격에 배치된 더미 핀들의 개수에 따른 누설 전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에서 액티브-투-액티브 간격에 배치된 더미 핀들의 개수에 따른 동작 속도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레이아웃이다.
도 10은 도 9의 레이아웃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레이아웃을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X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0a, 10b, 10c: 집적 회로
100, 100a, 100b: 반도체 소자
Claims (21)
- 적어도 하나의 표준 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준 셀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액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대향하는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액티브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 상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전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셀 바운더리 라인들은 상기 핀들에 평행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 상의 상기 핀들의 개수가 변경될 때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셀 바운더리 라인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도전 라인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제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제2 액티브 영역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거리들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 상에 액티브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들 상에 더미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과 상기 제1 액티브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과 상기 제2 액티브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제2 액티브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더미 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핀들의 개수가 증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더미 핀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의 개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액티브 핀들의 개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티브 영역에는 제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되고, 상기 제2 액티브 영역에는 상기 제1 도전형과 다른 제2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표준 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준 셀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액티브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핀들에 대해 평행한 더미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전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가장 인접하고,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가장 인접하고,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액티브 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액티브 핀들의 개수가 변경될 때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셀 바운더리 라인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도전 라인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과 상기 제1 액티브 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과 상기 제2 액티브 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더미 핀의 개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더미 핀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액티브 핀들의 개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생성 방법. -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표준 셀 라이브러리로부터, 표준 셀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표준 셀들을 이용하여 상기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셀들은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핀들,
상기 핀들에 평행한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액티브 영역,
상기 제1 셀 바운더리 라인에 대향하는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2 셀 바운더리 라인에 평행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전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 상의 상기 핀들의 개수가 변경될 때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셀 바운더리 라인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도전 라인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길이가 증가하면 상기 제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제2 액티브 영역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거리들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길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 상에 배치된 액티브 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영역들이 배치되지 않은 더미 영역들 상에 배치된 더미 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티브 핀들의 개수가 변경될 때 상기 제1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제2 액티브 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더미 핀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셀들은 제1 표준 셀 및 제2 표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준 셀의 제2 바운더리 라인과 상기 제2 표준 셀의 제1 바운더리 라인이 접하도록 상기 제1 표준 셀과 상기 제2 표준 셀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준 셀에 포함된 제2 액티브 영역과, 상기 제2 표준 셀에 포함된 제1 액티브 영역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레이아웃 생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832,325 US9460259B2 (en) | 2014-08-22 | 2015-08-21 | Methods of generating integrated circuit layout using standard cell library |
US15/271,883 US10108772B2 (en) | 2014-08-22 | 2016-09-21 | Methods of generating integrated circuit layout using standard cell libra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2040479P | 2014-08-22 | 2014-08-22 | |
US62/040,479 | 2014-08-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538A KR20160023538A (ko) | 2016-03-03 |
KR101651230B1 true KR101651230B1 (ko) | 2016-09-05 |
Family
ID=5553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8867A Active KR101651230B1 (ko) | 2014-08-22 | 2015-02-06 | 집적 회로 및 표준 셀 라이브러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12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3927B1 (ko) * | 2016-07-29 | 2023-08-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로컬 레이아웃 효과를 고려하여 집적 회로를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US10817637B2 (en) | 2016-07-29 | 2020-10-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designing integrated circuit by considering local layout effect |
US10970450B2 (en) | 2016-11-29 | 2021-04-06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Cell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same |
KR102630392B1 (ko) * | 2016-12-06 | 2024-0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 설계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KR102631912B1 (ko) | 2016-12-15 | 2024-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 설계 방법 및 반도체 장치 |
KR102825813B1 (ko) | 2019-11-18 | 2025-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11361A (ja) * | 2007-06-13 | 2008-12-25 | Nec Electronics Corp | 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のレイアウト設計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の自動レイアウト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4417B1 (ko) * | 2012-03-30 | 2018-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 설계 방법 |
KR101953240B1 (ko) * | 2012-09-14 | 2019-03-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핀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KR20140046655A (ko) * | 2012-10-09 | 2014-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핀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
2015
- 2015-02-06 KR KR1020150018867A patent/KR10165123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311361A (ja) * | 2007-06-13 | 2008-12-25 | Nec Electronics Corp | 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のレイアウト設計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の自動レイアウト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538A (ko) | 2016-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8772B2 (en) | Methods of generating integrated circuit layout using standard cell library | |
US9837437B2 (en) | Integrated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based on integrated circuit, and standard cell library | |
US11282836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standard cell library | |
KR101651230B1 (ko) | 집적 회로 및 표준 셀 라이브러리 | |
US10691859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designing layout of integrated circuit | |
US9905561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 |
KR101953240B1 (ko) | 핀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
KR102308781B1 (ko) |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
KR101971327B1 (ko) | 집적 회로 배열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47380A (ko) | 집적 회로 및 상기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설계 방법 | |
TWI628741B (zh) | 積體電路、基於積體電路的半導體元件及標準單元庫 | |
US9436792B2 (en) | Method of designing layout of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 |
KR20140046655A (ko) | 핀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
KR101697343B1 (ko) |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설계 방법 및 상기 집적 회로의 제조 방법 | |
KR101979733B1 (ko) | 적어도 하나의 핀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 |
US20220343053A1 (en) | Semiconductor structure of cell array with adaptive threshold volt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