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478B1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Google Patents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9478B1 KR101649478B1 KR1020140187369A KR20140187369A KR101649478B1 KR 101649478 B1 KR101649478 B1 KR 101649478B1 KR 1020140187369 A KR1020140187369 A KR 1020140187369A KR 20140187369 A KR20140187369 A KR 20140187369A KR 101649478 B1 KR101649478 B1 KR 101649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space
- unit
- passenger
- mov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00—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 B61D1/06—Carriages for ordinary railway passenger traffic with multiple deck 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4—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with more than one de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상기 1층 승하차 공간부상에 구비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이층 고속열차에 구비된 이층객차유닛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층객차유닛 중 1층 차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에서 승객이동 안내유닛이 설치된 영역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이층객차유닛의 1층 및 2층 승하차공간부의 횡단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층 고속열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1층 승하차공간부의 평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0: 제1 이층객차유닛 20: 제2 이층객차유닛
70: 이층 갱웨이유닛 110: 1층 차체
111: 1층 객실 113: 1층 승하차공간부
120: 2층 차체 123: 2층 승하차공간부
300: 출입문유닛 400: 계단유닛
410: 제1 계단영역 420: 제2 계단영역
510: 가이드 부재 520: 제1 지시부재
530: 제2 지시부재 600: 중앙 손잡이부재
Claims (8)
- 제1 이층객차유닛, 제2 이층객차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층 갱웨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은,
1층 객실을 갖는 1층 차체와, 상기 1층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2층 차체를 갖는 차체유닛;
상기 1층 차체에 형성된 1층 승하차공간부를 개폐하는 출입문유닛;
일단이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2층 차체에 형성된 2층 승하차공간부로 연결되는 계단유닛; 그리고,
상기 1층 승하차 공간부상에 구비되어 승객의 승하차시 1층 승객과 2층 승객의 이동을 개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를 제1 이동공간과 제2 이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계단유닛과 상기 1층 차체의 내벽 사이에는 차량부속품의 수납을 위한 제1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계단유닛은 상기 1층 차체의 객실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출입문유닛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제1 계단영역과, 상기 제1 계단영역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 계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로 유입된 승객이 곧바로 상기 제1 계단영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계단영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계단영역의 하단부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층 승하차공간부는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계단영역과 연결되는 계단연결부와, 상기 계단연결부와 연결되면서 승객을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2층 객실로 안내하되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층 객실유입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계단연결부는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이층객차유닛과 상기 제2 이층객차유닛 사이의 객차간이동은 상기 이층 갱웨이유닛을 통해서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 중 상기 제1 이동공간과 상기 제2 이동공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직립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1층 차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1층 객실의 출입구인 1층 객실통로문과 상기 계단유닛 사이에서 상기 1층 차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1층 객실통로문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상기 1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이동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계단영역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상기 2층 승객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2 이동공간에는 상기 제1 계단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열차의 주행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바닥면의 하부공간에 배치되고, 열차의 정차중에는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봉들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봉들 사이로 승객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1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1 지시부재와, 상기 제2 이동공간의 바닥에 구비되어 2층 승객의 이동을 지시하는 제2 지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부재 및 상기 제2 지시부재는 각각 지시점멸등 또는 지시페인팅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층 승하차공간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계단유닛의 하부영역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2층 승객의 계단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위한 중앙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369A KR101649478B1 (ko) | 2014-12-23 | 2014-12-23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369A KR101649478B1 (ko) | 2014-12-23 | 2014-12-23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828A KR20160076828A (ko) | 2016-07-01 |
KR101649478B1 true KR101649478B1 (ko) | 2016-08-19 |
Family
ID=5650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7369A Active KR101649478B1 (ko) | 2014-12-23 | 2014-12-23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947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57839A (zh) * | 2022-08-19 | 2022-11-01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客室楼梯、车体及轨道车辆 |
CN116001824A (zh) * | 2022-11-15 | 2023-04-25 |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 一种双层轨道车辆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312Y1 (ko) | 2000-06-01 | 2000-11-01 | 주식회사우대기술단 | 일방보행 유도장치 |
KR100564344B1 (ko) | 2003-02-25 | 2006-03-27 | 고영국 | 피난로 유도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5965B1 (ko) * | 2009-07-07 | 2012-02-23 | (주)창조 |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
KR20140048597A (ko) | 2012-10-16 | 2014-04-24 | 한국철도공사 | 복합수송객차 |
KR101396208B1 (ko) * | 2012-10-19 | 2014-05-1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복층식 열차의 객실 구조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7369A patent/KR10164947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312Y1 (ko) | 2000-06-01 | 2000-11-01 | 주식회사우대기술단 | 일방보행 유도장치 |
KR100564344B1 (ko) | 2003-02-25 | 2006-03-27 | 고영국 | 피난로 유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828A (ko) | 2016-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5371B1 (ko) | 2층 승객용 비상탈출장치를 갖는 이층 고속열차 | |
RU2283270C2 (ru) | Система лифтов | |
EP1843928B1 (en) | Double-deck railway vehicle | |
KR101396206B1 (ko) |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복층식 열차 | |
US9809933B2 (en) | Multiple tier elevated light train | |
RU2430847C2 (ru) |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 |
KR101649478B1 (ko) | 승객이동 가이드유닛을 갖는 이층 고속열차 | |
US2285933A (en) | Double deck rail car | |
CN110626373B (zh) | 铁路车辆的车厢 | |
RU2467900C2 (ru) | Двухэтажный вагон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1595776B1 (ko) | 이층 고속열차 | |
GB191318601A (en) | Improvements in Double-decked Cars. | |
TR201815965T4 (tr) | Yolcu vagonu ve böyle bir vagonu içeren tren. | |
KR20140048597A (ko) | 복합수송객차 | |
KR101675370B1 (ko) | 이층 고속열차 | |
KR102378074B1 (ko) | 수직 이동형 소형궤도차량 및 그 전용 궤도 | |
HU213710B (en) | Double-deck passanger car | |
RU123743U1 (ru) | Состав двухэтаж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электропоезда | |
ES2954630T3 (es) | Vehículos ferroviarios con piso superior, piso inferior y piso intermedio | |
RU72922U1 (ru) | Двухэта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 |
ES2292005T3 (es) | Vehiculo ferroviario de dos pisos con compartimentos de literas. | |
US1958234A (en) | Double deck coach | |
JP2018094957A (ja) | 乗降システム | |
US1901023A (en) | Single deck bus with superimposed seats | |
RU20894U1 (ru) | Двухэтажны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ваго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