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7723B1 -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723B1
KR101647723B1 KR1020090119194A KR20090119194A KR101647723B1 KR 101647723 B1 KR101647723 B1 KR 101647723B1 KR 1020090119194 A KR1020090119194 A KR 1020090119194A KR 20090119194 A KR20090119194 A KR 20090119194A KR 101647723 B1 KR101647723 B1 KR 10164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um rotation
water
water supply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459A (ko
Inventor
김우영
홍문희
우경철
이상헌
오수영
임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11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2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515101A priority patent/CN102639776A/zh
Priority to AU2010313878A priority patent/AU2010313878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58 priority patent/WO2011053091A2/en
Priority to US12/917,776 priority patent/US8997290B2/en
Priority to EP10827179.2A priority patent/EP2496754B1/en
Priority to JP2012537809A priority patent/JP2013509283A/ja
Priority to EP16158602.9A priority patent/EP3054046B1/en
Priority to AU2010313954A priority patent/AU2010313954B2/en
Priority to AU2010313875A priority patent/AU2010313875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65 priority patent/WO2011053095A2/en
Priority to EP10827176.8A priority patent/EP2496753B1/en
Priority to PCT/KR2010/007661 priority patent/WO2011053092A2/en
Priority to JP2012537808A priority patent/JP5756116B2/ja
Priority to US12/917,758 priority patent/US20110099727A1/en
Priority to US12/917,737 priority patent/US8919154B2/en
Priority to JP2012537807A priority patent/JP2013509281A/ja
Priority to CN201080051503.1A priority patent/CN102639775B/zh
Priority to CN201080051420.2A priority patent/CN102597355B/zh
Priority to EP10827175.0A priority patent/EP2496752B1/en
Publication of KR2011006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59A/ko
Priority to US14/310,197 priority patent/US912112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방으로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도어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 일부를 상기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해 소정 시간 동안 분사시키는 도어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전면 도어, 급수장치, 도어 분사부, 세탁 행정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순환시켜 분사하게 된다.
한편, 세탁물은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에 형성된 세탁물 출입홀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내부로 투입되거나 외부로 반출되는데, 최근에는 세탁 과정을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관망할 수 있도록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를 투명 재질로 형성한 후 세탁물 처리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여부를 직접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 또는 세탁 과정 중인 세탁물이 상기 전면 도어의 내부면에 닿음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에 찌든 물때가 생겨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전면 도어를 개방한 후 내부면을 닦아줌으로써 해결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도 예상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세탁이 완료되는 세탁행정 후기 또는 탈수 행정 전 단계에서 세탁조 내부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일부를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방으로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전면 도어와, 세탁수 일부를 상기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해 분사시키는 도어 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전면 도어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전면 도어의 내부면 중 상단부를 향해 사선으로 세탁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분사부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 과정 중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되기 전에 세탁수를 상기 전면 도어를 향하여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호스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을 세제박스로 안내하는 제1급수호스와, 상기 급수밸브를 통과한 물을 스팀발생수단으로 안내하는 제2급수호스로 구성된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분사부는, 적어도 상기 제1급수호스 및 제2급수호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급수호스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도어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분지된 분지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분지호스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개스킷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개스킷에 설치되되 상기 개스킷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원통부와,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의 상단 각각에서 연장되어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급수호스와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와,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 하단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커넥팅 노즐장치의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저수된 세탁수를 펌핑하여 다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으로 순환 공급하는 세탁수 순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 하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드럼 측으로 안내하는 순환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는, 각각 상기 제1급수호스로부터 분지된 분지호스와, 상기 스팀발생수단과 연결되는 스팀호스 및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과 연결되는 순환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 중 상기 분지호스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노즐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분사부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개스킷에 설치된 별개의 커넥팅 노즐장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분사부에 해당하는 노즐부는, 상기 전면 도어측을 향하여 개구되되, 폭이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설정된 세탁 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 단계와, 상기 제1급수 단계 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에 의하여 그 내부에 배치된 세탁물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저속 회전시키는 제1드럼 회전 단계와,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후 상기 터브 내에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 단계와, 상기 제1배수 단계 후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재공급하는 제2급수 단계와, 상기 제2급수 단계 후 상기 드럼을 세탁물이 상기 드럼 내부의 내주면에 붙어 회전되도록 고속 회전시키는 제2드럼 회전 단계와,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 후 상기 터브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외부로 재배출시키는 제2배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급수 단계 내지 상기 제2배수 단계의 어느 특정 구간에서 세탁물이 출입되는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도어 클리닝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시작 전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시작 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배수 단계 및 상기 제2배수 단계의 시작 전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배수 단계 및 상기 제2배수 단계의 시작 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전에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전에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하여 외부 수원인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 과정 중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이 완료되기 전에 도어 분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 도어를 향하여 세탁수를 분사하는 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전면 도어를 청소하는 불편을 덜어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의 커넥팅 노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커넥팅 노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내부 공간을 갖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1)와, 상기 터브(21)의 내측 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22)과, 상기 드럼(22)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55)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60)와, 상기 터브(21)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장치(70)와, 상기 터브(21) 하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펌핑하여 다시 상기 터브(21)의 내측으로 순환 공급하는 세탁수 순환수단(80)과, 상기 급수장치(60)에서 공급하는 세탁수를 고온/고압의 증기로 가열하여 상기 터브(21)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수단(9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세탁물 처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11)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19)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본체(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2)와, 상기 프론트 커버(12)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15)과, 상기 캐비닛 본체(11)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커버(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12)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19)을 여닫기 위한 전면 도어(1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전면 도어(13)는 가운데 일부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상기 드럼(22) 내부를 관망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7)와, 사용자로부터 세탁 코스,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8)가 구비된다.
세탁 코스는 세탁물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및 조용조용 코스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동작은 크게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또는 건조 등이 행하여진다.
세제박스(33)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상기 세제박스(33)는 상기 프론트 커버(12)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박스(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상기 터브(21) 내로 유입된다. 상기 세제박스(33)는 상기 터브(21) 내부와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세제박스(33)에서 세제가 섞인 세탁수가 상기 터브(21)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급수 벨로우즈(6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수장치(70)는, 상기 터브(21)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후술하는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80)의 순환펌프(81)로 안내하는 배수 벨로우즈(71)와, 상기 순환펌프(81)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호스(72)로 구성된다.
상기 터브(21)는, 상기 드럼(22)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상기 탑 커버(16)에 매달리며, 댐퍼(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드럼(22)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시 세탁물을 강제 회전시키기 위해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터(25)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터브(21) 사이에는 개스킷(53)이 구비된다. 상기 개스킷(53)은 일측이 상기 캐비닛(10)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터브(21)의 개구된 전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터 브(21)에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21)와 상기 캐비닛(1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53)은 플렉서블 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둘레를 따라 주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브(21)의 진동을 완충시킨다.
상기 급수장치(60)는 외부호스(61)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호스(61)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62)와, 상기 급수밸브(62)를 통과한 물을 상기 세제박스(33)로 안내하는 제1급수호스(63a)와 상기 급수밸브(62)를 통과한 물을 상기 스팀발생수단(90)으로 안내하는 제2급수호스(6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급수호스(63a)에는 중간에서 분지되어 상기 세제박스(33)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후술하는 커넥팅 노즐장치(100)(200)로 연결되는 분지호스(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지호스(65)는 Y자관(64)으로 연결되어 한쪽으로는 상기 세제박스(33)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이하, 이를 편의상 제1유로라 칭함)가 되고, 다른 한쪽으로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200)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수원 유로(이하, 이를 편의상 제2유로라 칭함)가 된다.
상기 Y자관(64)은 상기 제1급수호스(63a)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입구 부분에는 유입되는 물이 각각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로 나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이를 분리하는 미도시의 분지패널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지패널은 상기 세제박스(33)로 유입되는 상기 제1유로 측으로 좀더 많은 물이 필요하므로(세제 등을 용해하기 위한 용도임) 상기 제1유로측의 단면적이 크고, 상기 제2유로측의 단면적은 작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세제박스(33)로 공급되는 상기 제1유로를 따라 공급된 물은 상 기 세제박스(33) 내부에 담겨있는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와 섞여 세탁 행정을 위한 세탁수로 사용되고,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200)로 공급되는 상기 제2유로를 따라 공급된 물은 곧바로 외부 수원으로부터 직접 상기 드럼(22)으로 공급되는 비교적 깨끗한 물로써 헹굼 행정을 위한 세탁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80)은 상기 터브(21) 하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81)와, 상기 순환펌프(81)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22) 측으로 안내하는 순환호스(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펌프(81)에서 펌핑된 세탁수가 상기 드럼(22) 측으로 안내되는 상기 순환호스(82)는 후술하는 커넥팅 노즐장치(100)(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의 순환수 유로를 편의상 제3유로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스팀발생수단(90)은 상기 터브(21)와 상기 급수장치(60) 사이에 설치된 스팀발생기(91)와, 상기 스팀발생기(91)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드럼(22)측으로 안내하는 스팀호스(92)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팀호스(92)는 상기 스팀발생기(91)와 후술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100)와 연결되고, 이 스팀 유로를 편의상 제4유로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스팀발생기(91)의 내부에는 미도시되었지만 급수되는 세탁수를 가열시키는 히터가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53)에는 상기 제2유로 내지 상기 제4유로에 해당하는 상기 외부 수원 유로의 상기 분지호스(65)와, 상기 순환수 유로인 상기 제3유로의 상기 순환호스(82)와, 상기 스팀 유로의 상기 스 팀호스(92)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분지호스(65)와 상기 순환호스(82) 및 상기 스팀호스(92)를 통하여 급수되는 외부 수원과 순환수 및 스팀을 분사하는 커넥팅 노즐장치(10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후술하는 별도의 커넥팅 노즐장치(200)와의 구별을 위하여 설명의 편의상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로 정의하고, 도면부호 100을 지정하여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개스킷(53)의 상부에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가 연결되도록 보스부(53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는 상기 보스부(53a)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53)에 설치될 때 상기 보스부(53a)를 통해 상기 개스킷(53)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원통부(101)(102)(103)와,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101)(102)(103)의 상단 각각에서 연장되어 상기 분지호스(65)와 상기 순환호스(82) 또는 상기 스팀호스(92)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104)(105)(106)와,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101)(102)(103)의 하단을 모두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스킷(53)의 내측으로 세탁수와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세탁수와 스팀을 동시에 분사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부(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부(101)(102)(103)와 상기 호스 결합부(104)(105)(106) 및 상기 노즐부(109)는 각각 분리되어 하나씩 별도로 제작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지호스(65) 및 순환호스(82), 그리고 상기 스팀호스(92)가 결합되도록 상기 호스 결합부(104)(105)(106)가 3개가 구비되 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101)(102)(103) 각각에는 상기 개스킷(53)의 상부에서 하향 걸림되도록 걸이부(101a)(102a)(103a)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01a)(102a)(103a)는 상기 원통부(101)(102)(103)의 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원통부(101)(102)(103) 각각에는 상기 개스킷(53)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103b)가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53)의 보스부(53a)에는 상기 끼움돌기(103b)가 끼워지는 끼움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104)(105)(106)는 상기 개스킷(53)의 외둘레면보다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원통부(101)(102)(103)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104)(105)(106)에는 상기 순환호스(82) 또는 상기 스팀호스(92)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104a)(105a)(106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04a)(105a)(106a)는 상기 걸이부(101a)(102a)(103a)와 마찬가지로 상기 호스 결합부(104)(105)(106)의 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개스킷(53)의 외둘레면보다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지호스(65) 및 상기 순환호스(82)와 상기 스팀호스(92)는 상기 복수개의 호스 결합부(104)(105)(106) 각각에 끼움된 후, 클램프(104)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노즐부(109)는 도 3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지호스(65) 및 상기 순환호스(82)가 연결된 상기 각각의 원통부(102)(103) 직하방에 폭이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후방부에 배치된 상기 드럼(22)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드럼 분사부(107)와, 상기 스팀호스(92)가 연결된 원통부(101) 직하방에 배치되고 후방부에 배치된 상기 드럼(22) 측을 향하여 개구되게 형성된 스팀 분사부(108)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는, 상기 분지호스(65)가 연결된 상기 원통부(103)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분지호스(65)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상기 전면 도어(13)가 배치된 전방으로 분사시켜주는 도어 분사부(110)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도어 분사부(110)가 반드시 상기 분지호스(65)가 연결된 상기 원통부(103)의 직하방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순환호스(82)가 연결된 상기 원통부(102)의 직하방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에 해당되는 투명부(14)에 세탁수를 분사시켜줌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을 깨끗하게 씻어주어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에 찌든 때가 끼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분지호스(65) 또는 순환호스(82)가 연결된 상기 원통부(102)(103)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그 노즐부(109)가 전방부에 배치된 상기 전면 도어(13)측을 향하여 개구되되, 폭이 점차로 확장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드럼 분사부(107)에 인접되게 형성되되, 상기 원통부(103)의 가운데 하면을 중심으로 상기 드럼 분사부(107)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분사부(110)가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분지호스(65) 또는 상기 순환호스(82) 중 어느 하나의 직하방에 배치된 상기 드럼 분사부(107)와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각각 하나의 상기 분지호스(65)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분지되어, 상기 드럼 분사부(107)로부터는 상기 드럼(22)을 향하여 상기 드럼(22)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골고루 적심되도록 세탁수가 분사되고, 상기 도어 분사부(110)로부터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을 향하여 세탁수가 골고루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 전부에 골고루 분사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도어 분사부(110)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공급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 전부에 대한 고른 분사가 어려운 바, 이 때에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 상단부를 향하여 사선 방향으로 분사시키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분사부(110)로부터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 상단부를 향하여 세탁수가 분사되면, 분사된 세탁수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을 골고루 씻겨주게 된다.
도 7은 도 3의 구성 중 커넥팅 노즐장치의 다른 실시예(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지금까지 커넥팅 노즐장치의 일실시예(100)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어 분사부(110)가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에 상기 노즐부(109)의 일부로써 반드시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와는 별도의 커넥팅 노즐장치(2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라고 칭함)로 성형 제작되고,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래의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는 상기 분지호스(65), 순환호스(82) 및 상기 스팀호스(92)가 연결되는 상기 원통부(101)(102)(103)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그 하부에 배치된 상기 노즐부(109) 또한 이에 대응되는 숫자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200)는, 상기 도어 분사부(110)가 상기 노즐부(109)의 일부로써 일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와는 별도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200)는, 상기 노즐부(109)가 직접 상기 도어 분사부(110)의 역할을 하는 바, 상기 도어 분사부(1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호스 결합부(206)에는 상기 분지호스(65) 또는 순환호스(82) 중 어느 하나가 곧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분사부(110)는 별개로 성형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200)의 노즐부(109)에 해당되는 부분으로써, 하나의 원통부(203)와 하나의 노즐부(109)를 갖고, 상기 노즐부(109)가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100)에 형성된 상기 도어 분사부(110)의 형상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 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노즐부(109)가 상기 도어 분사부(110)로서, 반드시 상기 전면 도어(13) 측만을 향하여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109)는 상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럼(22)측을 향하여 분사시키는 일반적인 드럼 분사부(107) 역할을 할 수 있는 외에, 추가로 상기 노즐부(109)와 대향되는 상기 전면 도어(13) 측을 향하여 개구된 도어 분사부(110)로서의 역할을 하는 노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03a 및 203b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걸이부와 끼움돌기이고, 미설명 도면부호 206a는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 리브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팅 노즐장치(200)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장치(60)로부터 외부 수원인 세탁수 또는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80)으로부터 순환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드럼 분사부(107)에 의하여 상기 드럼(22)측으로 세탁수 또는 순환수가 분사되고, 상기 도어 분사부(110)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13)측으로 세탁수 또는 순환수가 분사되면서, 동시에 급수 및 전면 도어 청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상기 급수밸브(62)의 작동을 제어하는 미도시의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의 세탁 코스 중 세탁 행정이 종료하기 전 및 헹굼 행정이 종료하기 전에 상기 제1급수호스(63a)를 통하여 외부 수원인 물이 소정 시간 동안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밸브(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1)의 세탁 코스 중 세탁 행정이 종료하기 전 및 헹굼 행정이 종료하기 전에 상기 순환호스(82)를 통하여 순환수가 소정 시간 동안 순환되도록 상기 순환펌프(8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제어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먼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15)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를 작동시키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기 설정된 세탁 코스로 작동을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탁 과정은, 세탁 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으로 세탁물의 세탁을 위하여 상기 터브 (21)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 단계(S10)가 실시되고, 상기 제1급수 단계(S10) 후 상기 세 탁물이 수용된 상기 드럼(22)을 세탁물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할 수 있도록 저속 회전시키는 제1드럼 회전 단계(S20)를 실시되며,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 후에는 상기 터브(21) 내에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 단계(S30)가 실시되고, 상기 제1배수 단계(S30) 후에는 상기 터브(21)내로 세탁수를 재공급하는 제2급수 단계(S40)가 실시되며, 상기 제2급수 단계(S40) 후에는 상기 드럼(22)을 세탁물이 상기 드럼(22) 내부의 내주면에 붙어 회전하도록 고속 회전시키는 제2드럼 회전 단계(S50)를 실시되고,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 후 상기 터브(21)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외부로 재배출시키는 제2배수 단계(S60)가 실시된다. 물론,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의 전 구간에서 상기 배수장치(70)가 작동되는 상기 제2배수 단계(S60)가 동시에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1) 내로 급수되는 세탁수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장치(60)에 의하여 상기 세제박스(33)를 경유하면서 세제 또는 섬유 유연제와 혼합된 상태의 세탁수일 수 있고, 상기 급수장치(60)에 의하여 상기 세제박스(33)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상기 터브(21) 내부로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태의 외부 수원인 세탁수일 수 있으며, 상기 세탁수 순환수단(80)에 의하여 상기 순환호스(82)를 통해 유입되는 순환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으로 상기 드럼(22)을 회전시키는 단계로써, 통상 상기 드럼(22)이 회전될 때 그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저속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드럼(22)의 하부면에 밀집되어 있다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동작으로 세탁물간 또는 세탁 물과 상기 드럼(22)간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세탁되도록 강제회전시키는 제어 구간을 말한다.
특히,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로 구현되는 구간에서는, 세탁물이 세제 및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상태의 세탁수가 섞여 있는 바, 일반적인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구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 후 실시되는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럼(22)을 회전시키는 실시 단계이긴 하지만, 상기 드럼(22)의 회전 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와는 달리, 상기 드럼(22)이 회전될 때 상기 드럼(22)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 상기 드럼(22)의 내주면에 붙어서 계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저속이 아닌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바, 상술한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는 적당하지 않고, 세탁물에 포함된 잔류 세탁수를 상기 드럼(22)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제거하는 탈수 행정에 적당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S40)는 '급수'라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기능 단계로 정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는 '드럼의 회전'이라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기능 단계로 정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1배수 단계(S30) 및 제2배수 단계(S60) 또한 '배수'라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기능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어느 하나의 동일 기능 단계가 종료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세탁물이 출입되는 세탁물 출입홀(19)을 개폐하는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내지 상기 제2배수단계(S60)의 어느 특정 구간에서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투명부, 14)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는, 세탁수를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14)을 향해 분사시켜줌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13)의 내부면이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실시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급수 단계(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40) 중 어느 하나의 종료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실시되거나,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의 종료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50)는,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40)의 종료 후 및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의 종료 후에 모두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40)는 상기 노즐부(103)를 통하여 세탁수가 급수되는 경우이므로 구태여 각각의 종료 시점을 구분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S40)와 동시에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가 실시됨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급수 단계(S10) 및 상기 제2급수 단계(S40)의 종료 후 각각 이어지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의 시작 전에 소정 시간 실시되는 특정 구간을 두어 그 특정 구간만큼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20)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S50)의 종료 후 각각 이어지는 상기 제1배수 단계(S30) 및 상기 제2배수 단계(S60)의 시작 전에 소정 시간 실시되는 특정 구간을 두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실시할 수 있으며, 위 설정된 특정 구간 전부에 대하여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구간을 두어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는, 상기 급수 단계(S10)가 종료되기 전 또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S50)가 종료되기 전에 소정 시간 해당하는 다른 단계(S30 및 S60 제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와 동시에 실시될 수 있고, 다른 단계(S30 및 S60 제외) 전부에 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일반적인 세탁 코스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S100)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를 관망할 수 있는 상기 전면 도어의 투명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킴과 아울러 가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개스킷에 설치된 상태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노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구성 중 커넥팅 노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세탁물 처리기기 10: 캐비닛
11: 캐비닛 본체 12: 프론트 커버
13: 전면 도어 14: 투명부
15: 컨트롤 패널 16: 탑 커버
17: 표시부 18: 입력부
19: 세탁물 출입홀 21: 터브
22: 드럼 33: 세제박스
53: 개스킷 60: 급수장치
61: 외부호스 62: 급수밸브
63: 급수호스 63a: 제1급수호스
63b: 제2급수호스 64: Y자관
65: 분지호스 66: 급수 벨로우즈
70: 배수장치 71: 배수 벨로우즈
72: 배수호스 80: 세탁수 순환수단
81: 순환펌프 82: 순환호스
90: 스팀발생수단 91: 스팀발생기
92: 스팀호스 100,200: 커넥팅 노즐장치
109: 노즐부 110: 도어 분사부
S10: 제1급수 단계 S20: 제1드럼 회전 단계
S30: 제1배수 단계 S40: 제2급수 단계
S50: 제2드럼 회전 단계 S60: 제2배수 단계
S100: 도어 클리닝 단계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설정된 세탁 코스 신호가 입력되면 캐비닛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 단계와;
    상기 제1급수 단계 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에 의하여 그 내부에 배치된 세탁물이 들어올려졌다가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을 저속 회전시키는 제1드럼 회전 단계와;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후 상기 터브 내에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 단계와;
    상기 제1배수 단계 후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재공급하는 제2급수 단계와;
    상기 제2급수 단계 후 상기 드럼을 세탁물이 상기 드럼 내부의 내주면에 붙어 회전되도록 고속 회전시키는 제2드럼 회전 단계와;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 후 상기 터브 내에 저수된 세탁수를 외부로 재배출시키는 제2배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배수 단계 및 상기 제2배수 단계를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기능 단계라고 할 때, 어느 하나의 동일 기능 단계가 종료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세탁물이 출입되는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하는 전면 도어의 내부면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도어 클리닝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시작 전에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시작 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배수 단계 및 상기 제2배수 단계의 시작 전에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후 각각 상기 제1배수 단계 및 상기 제2배수 단계의 시작 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구간에서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의 종료 전에 상기 제1급수 단계 및 상기 제2급수 단계와 동시에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클리닝 단계는,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의 종료 전에 상기 제1드럼 회전 단계 및 상기 제2드럼 회전 단계와 동시에 실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90119194A 2009-11-02 2009-12-03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ctive KR10164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94A KR101647723B1 (ko) 2009-12-03 2009-12-03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12537808A JP5756116B2 (ja) 2009-11-02 2010-11-02 洗濯方法及び洗濯機
PCT/KR2010/007658 WO2011053091A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US12/917,776 US8997290B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EP10827179.2A EP2496754B1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JP2012537809A JP2013509283A (ja) 2009-11-02 2010-11-02 洗濯方法及び洗濯機
EP16158602.9A EP3054046B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U2010313954A AU2010313954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AU2010313875A AU2010313875B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a mechanism for changing wash water into whirling water
PCT/KR2010/007665 WO2011053095A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CN2010800515101A CN102639776A (zh) 2009-11-02 2010-11-02 包括将旋转水喷射到滚筒中的喷射嘴的洗衣机和洗涤方法
PCT/KR2010/007661 WO2011053092A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US12/917,737 US8919154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EP10827176.8A EP2496753B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a mechanism for changing wash water into whirling water
US12/917,758 US20110099727A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JP2012537807A JP2013509281A (ja) 2009-11-02 2010-11-02 洗濯機
CN201080051503.1A CN102639775B (zh) 2009-11-02 2010-11-02 包括将旋转水喷射到滚筒中的旋转喷嘴的洗衣机
CN201080051420.2A CN102597355B (zh) 2009-11-02 2010-11-02 在洗衣机中洗涤衣物的方法和洗衣机
EP10827175.0A EP2496752B1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AU2010313878A AU2010313878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US14/310,197 US9121125B2 (en) 2009-11-02 2014-06-20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194A KR101647723B1 (ko) 2009-12-03 2009-12-03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59A KR20110062459A (ko) 2011-06-10
KR101647723B1 true KR101647723B1 (ko) 2016-08-11

Family

ID=4439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194A Active KR101647723B1 (ko) 2009-11-02 2009-12-03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082B1 (ko) 2015-06-30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72B1 (ko) * 2003-01-30 2011-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KR20060089300A (ko) * 2005-02-03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060102926A (ko) * 2005-03-25 2006-09-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도어 세척구조
KR20070026923A (ko) * 2005-08-2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5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466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spray nozzle
US9121125B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KR1014358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50015892A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6004490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4174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825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KR100739612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CN113748237B (zh) 滚筒洗衣机
KR101647723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CN113748239B (zh) 滚筒洗衣机
KR102013187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탁수 공급방법
KR2016011168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31331B1 (ko) 듀얼분사식 세탁기
KR20070071095A (ko) 드럼세탁기
KR102448862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710389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5072A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20060023607A (ko) 다림질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KR19980014947U (ko) 드럼 세탁기
KR20040006217A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JP2018061536A (ja) ドラム洗濯機
KR20110011316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