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4744B1 -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744B1
KR101644744B1 KR1020150052971A KR20150052971A KR101644744B1 KR 101644744 B1 KR101644744 B1 KR 101644744B1 KR 1020150052971 A KR1020150052971 A KR 1020150052971A KR 20150052971 A KR20150052971 A KR 20150052971A KR 101644744 B1 KR101644744 B1 KR 10164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lab
hole
strip mem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102015005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7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33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0Producing and filling perforations, e.g. tarsia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격부(16)를 사이에 두고 중첩설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1,12)으로 이루어진 창프레임(10)과, 상기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지고 상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로 이루어지며 이 관통공(13)에 끼워지는 슬랩글라스(20)와,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지지판(11,12) 사이의 이격부(6)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띠부재(26)를 포함하는 슬랩글라스 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slab glass type stained glass window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슬랩글라스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미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제작할 수 있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주로 성당이나 교회와 같은 종교 건축물의 창호에 사용되어온 것으로서, 납을 주재료로 하는 케임(came)이라는 창틀에 다양한 형태로 절단된 칼라유리판을 끼워서 제작한 창호로서, 이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투과되는 빛은 칼라유리판의 색상에 따라서 화려하면서도 은은한 빛을 띠어서 신비롭고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스테인드글라스의 칼라유리판의 두께는 수mm 정도로 얇은데, 이러한 얇은 칼라유리판과는 달리 두께가 수십mm 정도인 이른바, 슬랩글라스(slab glass)를 이용한 스테인드글라스창도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슬랩글라스로 만든 스테인드글라스창은 얇은 칼라유리로 된 스테인드글라스창보다는 좀 더 중후하고 엄숙한 느낌을 준다. 종래의 이러한 슬랩글라스를 이용한 스테인드글라스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창호의 규격에 맞도록 제작된 형틀에 미리 비정형적으로 절단된 다수의 슬랩글라스편을 원하는 형태로 배치하고, 이들 슬랩글라스 사이의 여백부에는 시멘트나 기타의 경화재를 부어서 슬랩글라스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작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스테인드글라스의 중량이 많이 나가며, 이에 따라 코스트가 많이 들고 시공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특허공개 WO99/58343 (1999. 11. 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랩글라스를 이용한 스테인드글라스창의 제작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이격부(16)를 사이에 두고 중첩설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1,12)으로 이루어진 창프레임(10)과, 상기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지고 상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로 이루어지며 이 관통공(13)에 끼워지는 슬랩글라스(20)와,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지지판(11,12) 사이의 이격부(16)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띠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프레임(10)에는 슬랩글라스(20)가 끼워지지 않은 관통공(14)을 포함하며, 이러한 관통공(14)에는 상기 이격부(16)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의 칼라유리로 된 박판글라스(40)가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12) 사이에 끼워져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창프레임(10)용 지지판(11,12)과, 상기 지지판(11,12)의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로 이루어진 슬랩글라스(20)와,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부착할 소정 폭의 결합띠부재(26)와, 상기 결합띠부재(26)와 동등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11,12)의 다른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의 박판글라스(4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결합띠부재(26)를 부착하는 단계; 결합띠부재(26)가 부착된 슬랩글라스(20)를 지지판(11)의 대응하는 관통공(13)에 삽입하여 결합띠부재(26)가 지지판(11)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단계; 박판글라스(40)를 대응하는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 상에 배치하고 박판글라스(40)의 둘레부와 지지판(11)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또 다른 지지판(12)의 관통공(13)에 기설치된 슬랩글라스(20)의 상면이 끼워지도록 지지판(12)을 기설치된 지지판(11)과 정합시켜 중첩설치하는 단계; 지지판(11)과 지지판(12)의 테두리부를 마감띠부재(18)로 부착하여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부(16)를 사이에 두고 중첩설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1,12)으로 창프레임(10)을 형성하고, 상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의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이격부(6)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띠부재(26)를 부착시킴으로써, 슬랩글라스(20)를 창프레임(10)의 관통공(13)에 삽입하고 결합띠부재(26)에 의해 결합지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이 용이한 슬랩글라스를 이용한 스테인드글라스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부의 관통공(14)에는 창프레임(10)의 이격부(16)와 동등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의 칼라유리로 된 박판글라스(40)로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12) 사이에 끼워 부착함으로써, 제작코스트를 절감하면서도 중후하고 둔탁한 느낌의 슬랩글라스(20)와 상대적으로 경쾌하고 산뜻한 느낌의 박판글라스(40)에 의한 투광효과가 조화를 이루는 스테인드글라스창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테인드글라스의 제조에 있어서는 먼저 슬랩글라스(20)의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의 결합띠부재(26)를 접착제로 부착한 후에, 이 슬랩글라스(20)를 하나의 지지판(11,12)의 관통공(13)에 끼워서 결합띠부재(26)가 지지판(11,12)의 관통공(13) 둘레부에 맞닿아 슬랩글라스(20)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박판글라스(40)는 다른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배치하고, 박판글라스(40)와 지지판(11)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킨 후에, 나머지 하나의 지지판(12)을 끼워서 지지판(11,12)의 테두리부를 마감띠부재(18)로 부착하여 마감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에 의해 신속하게 스테인드글라스창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조공정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1,12)으로 이루어지는 창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13,14)은 칼라유리로 된 스테인드글라스가 끼워지는 부위로서, 비정형의 형태 또는 특정한 문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창프레임(10)의 인접한 지지판(11,12) 사이에는 이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1,12)은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끼워질 슬랩글라스의 두께와 중량을 고려하여 강도가 우수한 금속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지판이나 목재판, 인조목재판넬 등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11)의 두께를 다른 지지판(12)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지판(11,12)은 분체도장 등의 방법을 통해 적절한 칼라로 도색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슬랩글라스(20)는 창프레임(10)의 두께보다 큰 두께의 플레이트 또는 슬랩 형상의 칼라유리로 제작되며, 그 윤곽형태는 지지판(11,12)의 관통공(13)의 형상과 정합되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그 표면은 반드시 평탄할 필요는 없고 불규칙하거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져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에는 결합띠부재(26)가 부착된다.
이 결합띠부재(26)는 납케임이나 기타 유연한 재질의 금속띠부재, 또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적절한 고무 또는 연질수지로 제작되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부분적으로 끊어지도록 부착된다. 이 결합띠부재(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과의 접촉부위와 슬랩글라스(20)와의 접촉부위에 실리콘접착제(27)와 같은 접착제나 본드를 주입하여 부착한다. 그러나 이 결합띠부재(26) 자체가 접착력을 가진 띠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로 실리콘접착제(27)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이 결합띠부재(26)는 창프레임(10)의 한 쌍의 지지판(11,12) 사이에 끼워져서 슬랩글라스(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창프레임(10)의 이격부(16)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제작되어 지지판(11,12) 사이에서 가압밀착되도록 하는 규격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슬랩글라스(20)는 지지판(11,12)의 모든 관통공(13,14)에 끼워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슬랩글라스(20)는 재료가 두껍고 제작이 어려워서 가격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슬랩글라스(20)는 일부의 관통공(13)에만 끼우고 나머지 관통공(14)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칼라유리로 제작된 박판글라스(4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박판글라스(40)는 지지판(11,12) 사이의 이격부(16)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이격부(16)와 두께와 동등하거나 약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윤곽형태는 대응하는 관통공(14)보다 약간 커서 관통공(14)을 커버하고 잔여부가 관통공(14)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규격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칼라유리로 된 박판글라스(40)는 지지판(11,12)의 대응하는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12) 사이에 끼워지고 실리콘접착제(27)를 박판글라스(40)와 지지판(11,12)의 접촉부위에 도포하여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부착된 박판글라스(40)는 슬랩글라스(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서 제작코스트가 절감되며, 아울러 빛의 투과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중후하고 둔탁한 느낌의 슬랩글라스(20)와는 달리 경쾌하고 산뜻한 빛의 투과가 발휘되어 서로 다른 성격의 빛 투과효과에 의한 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랩글라스를 이용하는 스테인드글라스창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지지판(11,12)을 준비한다. 어느 하나의 지지판(11)은 제조과정 및 완성된 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다른 하나의 지지판(12)보다 두꺼운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 지지판(11,12)은 금속판을 분체도장하여 제작하고, 관통공(13,14)은 레이저절단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디자인에 따라 임의의 부정형 또는 소정 문양을 갖도록 절단한다.
그리고 제작할 창프레임(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대응하는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칼라유리로 된 슬랩글라스(20)를 준비한다. 이 슬랩글라스(20)의 표면은 평탄하게 제작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연스러운 형태미와 빛의 굴절효과를 얻도록 울퉁불퉁하게 제작된다.
또한 이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에 부착할 결합띠부재(26)를 창프레임(10)의 이격부(16)의 두께와 동등한 두께를 갖도록 준비한다. 이 결합띠부재(26)는 슬랩글라스(20)의 비정형의 둘레형태에 밀착되도록 잘 휘어질 수 있는 납케임이나 유연한 재질의 금속띠부재 또는 연질합성수지나 합성고무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지지판(11,12)의 슬랩글라스(20)가 끼워지지 않는 다른 관통공(14)을 위해 이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를 가지며 결합띠부재(26)의 두께, 즉 조립할 창프레임(10)의 지지판(11,12) 사이의 이격부(16)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이보다 얇은 두께의 칼라유리로 된 박판글라스(40)를 준비한다.
이와 같이 필요한 부품들이 준비되면,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결합띠부재(26)를 실리콘접착제(27)로 부착한다. 이 결합띠부재(26)는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슬랩글라스(20)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단속적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어느 하나의 지지프레임(11)을 수평으로 배치한 후에, 결합띠부재(26)가 부착된 슬랩글라스(20)를 대응하는 관통공(13)에 끼워 삽입한다. 그러면 결합띠부재(26)는 지지프레임(11)에 걸리게 되고 슬랩글라스(20)는 지지판(11)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실리콘접착제(27)를 결합띠부재(26)와 지지판(11)의 접촉부위에 주입하고, 필요에 따라 결합띠부재(26)와 슬랩글라스(20)의 접촉부위에도 실리콘접착제(27)를 도포할 수 있다.
이어서, 박판글라스(40)를 대응하는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설치한다. 이 때 박판글라스(40)의 둘레부는 관통공(14)의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박판글라스(40)의 둘레부와 지지판(11) 사이에 실리콘접착제(27)나 접착력을 가진 퍼티, 또는 필러 등을 부착하거나 채워서 박판글라스(40)를 지지판(11) 상에 부착한다. 이러한 박판글라스(40)의 설치공정은 전술한 슬랩글라스(20)의 설치공정 보다 먼저 또는 이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관통공(13,14)에 대하여 슬랩글라스(20)와 박판글라스(40)를 설치한 후에, 또 다른 지지판(12)을 기설치된 슬랩글라스(20)의 상면이 관통공(13)에 끼워지도록 기설치된 지지판(11)과 정합시켜서 중첩설치한다. 그리고 지지판(11,12) 사이의 테두리부를 마감띠부재(18)를 대거나 접착제 또는 필러를 충전하여 부착마감한다. 이렇게 제작된 스테인드글라스창을 성당이나 기타 건물의 창틀에 설치하게 된다.

Claims (3)

  1. 이격부(16)를 사이에 두고 중첩설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1,12)으로 이루어진 창프레임(10)과, 상기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지고 상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로 이루어지며 이 관통공(13)에 끼워지는 슬랩글라스(20)와,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지지판(11,12) 사이의 이격부(16)에 끼워져 지지되는 결합띠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프레임(10)에는 슬랩글라스(20)가 끼워지지 않은 관통공(14)을 포함하며, 이러한 관통공(14)에는 상기 이격부(16)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며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의 칼라유리로 된 박판글라스(40)가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12) 사이에 끼워져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3.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공(13,14)이 형성된 한 쌍의 창프레임(10)용 지지판(11,12)과, 상기 지지판(11,12)의 관통공(13)에 정합되는 윤곽형태를 가며 창프레임(10)보다 두꺼운 칼라유리로 이루어진 슬랩글라스(20)와,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부착할 소정 폭의 결합띠부재(26)와, 상기 결합띠부재(26)와 동등하거나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11,12)의 다른 관통공(14)보다 큰 윤곽형태의 박판글라스(4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랩글라스(20)의 둘레측면을 따라 결합띠부재(26)를 부착하는 단계; 결합띠부재(26)가 부착된 슬랩글라스(20)를 지지판(11)의 대응하는 관통공(13)에 삽입하여 결합띠부재(26)가 지지판(11)에 걸리도록 설치하는 단계; 박판글라스(40)를 대응하는 관통공(14)을 커버하도록 지지판(11) 상에 배치하고 박판글라스(40)의 둘레부와 지지판(11)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또 다른 지지판(12)의 관통공(13)에 기설치된 슬랩글라스(20)의 상면이 끼워지도록 지지판(12)을 기설치된 지지판(11)과 정합시켜 중첩설치하는 단계; 지지판(11)과 지지판(12)의 테두리부를 마감띠부재(18)로 부착하여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의 제조방법.
KR1020150052971A 2015-04-15 2015-04-15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71A KR101644744B1 (ko) 2015-04-15 2015-04-15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71A KR101644744B1 (ko) 2015-04-15 2015-04-15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744B1 true KR101644744B1 (ko) 2016-08-02

Family

ID=5670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744B1 (ko) 2015-04-15 2015-04-15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30B1 (ko) 2023-12-05 2024-05-03 한솔접합유리 주식회사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테인드 글라스 및 스테인드 글라스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6734A (ja) * 1987-03-25 1988-10-03 Osamu Naito ステンドグラスの製造方法
JPH06247750A (ja) * 1993-02-25 1994-09-06 Takizumi Denki Kogyo Kk ステンドグラスの製造方法
JPH0859305A (ja) * 1994-08-12 1996-03-05 Toyo Polymer Kk ステンドグ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9058343A1 (en) 1998-05-14 1999-11-18 Decoglas Limited Providing decoration on a substrate
JP2009202550A (ja) * 2008-02-29 2009-09-10 Kagen Rin カラーステンドグラスパズルの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6734A (ja) * 1987-03-25 1988-10-03 Osamu Naito ステンドグラスの製造方法
JPH06247750A (ja) * 1993-02-25 1994-09-06 Takizumi Denki Kogyo Kk ステンドグラスの製造方法
JPH0859305A (ja) * 1994-08-12 1996-03-05 Toyo Polymer Kk ステンドグ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9058343A1 (en) 1998-05-14 1999-11-18 Decoglas Limited Providing decoration on a substrate
JP2009202550A (ja) * 2008-02-29 2009-09-10 Kagen Rin カラーステンドグラスパズル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530B1 (ko) 2023-12-05 2024-05-03 한솔접합유리 주식회사 스테인드 글라스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테인드 글라스 및 스테인드 글라스를 포함하는 복층 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0728A (en) Window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586624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ristalldekorationselementen
KR101644744B1 (ko) 슬랩글라스타입 스테인드글라스창 및 그 제조방법
ITRM20110531A1 (it) Modulo di mosaico di tessuto e metodo per la relativa realizzazione
WO2013077754A1 (en) Method for embedding glass lites into door slabs or similar
CA2088601A1 (en) Assembly of glass pieces into two and three dimensional shapes
ITRM20120282A1 (it) Metodo per l¿applicazione di elementi decorativi su superfici curve.
US20040163759A1 (en) Decorative glass block
US3927643A (en) Aquarium
JP3187473U (ja) 装飾パネル
US20070094956A1 (en) Carved solid face door and method of fabrication
JP2015059322A5 (ko)
KR20140135289A (ko) 보석장식부가 구비된 현관문과 그 제조방법
JP2015059322A (ja) タイル貼着シート
JP2008025203A (ja) 採光扉
KR101575496B1 (ko) 상감 장식 제공 방법
CN211473872U (zh) 嵌有玻璃的木门结构
RU165594U1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с невидимым креплением
KR101402136B1 (ko)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CN204340523U (zh) 一种带激光内雕装饰图案的双层玻璃主体
ITUB20156097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pannello multistrato in materiale composito
ITMO20030035U1 (it) Manufatto monolitico per la costruzione di canalette di sfioro e-o deflusso di acque
CN211499566U (zh) 一种不露胶的大理石装饰框
RU20921U1 (ru) Остекленная дверь
CN104060787B (zh) 三维立体装饰板组合式背衬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