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4068B1 -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068B1
KR101644068B1 KR1020140165268A KR20140165268A KR101644068B1 KR 101644068 B1 KR101644068 B1 KR 101644068B1 KR 1020140165268 A KR1020140165268 A KR 1020140165268A KR 20140165268 A KR20140165268 A KR 20140165268A KR 101644068 B1 KR101644068 B1 KR 10164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iomass
viscosity
derived
low viscos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790A (ko
Inventor
장부경
김병일
박성윤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4016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0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0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되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형성되어 자발 고권축 특성을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Polytrimethyleneterephthalate Composite Fibers Using materials from biomass and Method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하여 자발 고권축 특성을 갖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소재의 발굴 및 적용은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석유로 대표되는 화석연료로부터 생산되는 폴리머는 그 매장량에 있어 한계가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높아 친환경 소재로의 대체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친환경 소재는 생분해성에 주로 그 초점을 두고 제품이 개발되어 오면서 소재가 가진 고유 특성인 가수분해나 방사성 불량, 딱딱한 촉감 등의 이유로 실제 상용화하기에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섬유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생물체량 또는 생물량이란 의미로 생물체를 열분해시키거나 발효시켜 메탄ㆍ에탄올ㆍ수소와 같은 연료, 즉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채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생물량은 생물 생산에 따라 증가하는데 군집의 호흡량ㆍ고사탈락량ㆍ피식량 등을 공제한 것이 축적량이 된다. 생태계에 있어서는 영양 단계가 낮은 생물군의 생물량이 많고, 이것을 먹는 고차의 생물군의 생물량은 적다.
바이오매스는 지구상의 생물권에는 동식물의 유체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무기물로 환원시킨다는 물질 순환 사이클이 있는데, 이 미생물을 대신하여 인간이 이것을 에너지나 유기 원료로 이용하자는 것이다.
현재의 에너지원(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는 머지않은 장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1978년 말부터 시작된 제2차 석유 파동을 계기로 세계 각국에서는 바이오매스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섬유산업에서도 환경 부담이 적고 바이오매스(biomass)를 이용하여 다양한 섬유와 섬유소재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의 화합물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1,3-프로판디올을 에스테르화 및 축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원료물질인 테레프탈산 및 1,3-프로판디올을 바이오매스로부터 얻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미국 특허 제 8,415,496호는 바이오매스인 뮤콘산 (Muconic acid)으로부터 테레프탈산을 합성하고,종래까지 석유화학기반의 원료 물질이었던 테레프탈산을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된 원료로서 대체하는 기술을 개시한바 있다.
한편, 테레프탈산을 합성하는 과정에는 여러 부산물의 발생이 수반되는데, 부산물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CHDCA (Cychlohexanedicarboxylic acid : C8H12O4) 이다. CHDCA는 이가산을 합성하는 과정 중에 생성되다.
이러한 CHDCA는 테레프탈산의 방향족 고리가 지방족 싸이클로헥산으로 치환된 구조로서 전체 테레프탈산 내에 0.01 내지 0.5mol%로 생성되는데, 그 함량이 일정치 못하고 다른 부반응을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CHDCA는 고순도의 테레프탈산 수득에 장애가 되기에 추가 정제공정을 필요로하고, 테레프탈산 내의 균일하지 못한 함량은 합성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물성 편차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할 때 사절이 일어나지 않는 적합한 방사조건을 잡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 유래 테레프탈산을 이용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섬유를 방사하는 것 이상으로 더 나아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면 형태로 복합섬유 제조시에 바이오매스 유래 원래를 이용할 경우 공정성을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물성이 균일하고, 우수한 자발고권축 특성을 발현시키는 복합섬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하여 자발 고권축 특성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석유화학에서 얻어지는 원료로부터 합성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할 때 동등한 수준의 공정성을 갖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자발고권축 특성의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석유화학에서 얻어지는 원료로 제조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물성에서 차이가 없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자발고권축 특성의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되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의 CHDCA(Cychlohexanedicarboxylic acid : C8H12O4) 함량이 1~2.5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는 0.85~1.05g/d이고, 상기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가 0.80~0.9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차이는 0.05~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차이는 수학식 1로 계산한 K값이 0<K≤0.09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4113966375-pat00001
식중 [η]H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고, [η]L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다.
또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강도가 2.5~3.5g/de이고, 신도가 45~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되는 고유점도 차이가 0.05~0.10인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하는 용융단계; 용융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방사하는 방사단계; 및, 방사된 복합섬유를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고점도, 저점도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로 후속의 이완 열처리 공정에서 자발 고권축 특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석유화학에서 얻어지는 원료로 제조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물성에서 차이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단면 형태로 복합방사하여 자발고권축 특성을 갖는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terephthalate : PTT)는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바이오매스 유래란 석유화학 유래로부터 생산된 원료가 아니라, 자연계의 바이오매스로부터 얻은 유기 원료를 의미하며 주요 원료인 테레프탈산과 1,3-프로판다이올 역시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되어 형성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중합도 등의 차이를 통해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3-0152141호에서 CHDCA 함량이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생산시 균일도에 영향을 미쳐 함량에 따라 물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CHDCA 함량이 일정 범위에서 물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석유화학에서 얻어지는 원료로 제조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물성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의 CHDCA(Cychlohexanedicarboxylic acid : C8H12O4) 함량이 1~2.5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몰%인 것이다.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는 0.85~1.05g/d이고,
상기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가 0.80~0.90g/d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차이는 0.05~0.1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이의 고유점도 차이가 0.05 미만인 경우에는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수축율 차이가 적어 복합섬유의 권축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이의 고유점도 차이가 0.1을 초과하며 권축율이 큰차이가 없으며, 복합섬유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이의 고유점도 차이는 하기 수학식 1로 구한 K값이 0<K≤0.09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4113966375-pat00002
식중 [η]H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고, [η]L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다.
상기 고점도 및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적은 점도 차이를 갖는 고분자의 조합일지라도 방사시 두 성분간의 용융점도 차이나 복합비율 등을 조절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점도 차이를 갖는 고분자들을 이용해서도 만족할 만한 권축율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의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중량비 30:70~70:3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두 성분간의 용융점도차이 조절은 각 성분의 익스트루더(Extruder)의 온도 조건을 달리하여 각 성분 용융체의 열이력을 달리하거나 고점도 성분과 저점도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점도와 저점도는 용융점도 차이가 1000Poise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방사온도는 240~270℃의 범위 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강도가 2.5~3.5g/de이고, 신도가 45~65%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강도가 2.5 g/de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낮아서 방사공정에서 사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직물제조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강도가 3.5 g/de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직물제조 후 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신도가 45%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공정시 모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도가 6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제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고유점도 차이가 0.05~0.1인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하는 용융단계, 용융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방사하는 방사단계, 방사된 복합섬유를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의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일반적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와 같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융단계는 용융온도는 고점도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융점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사단계에서 방사속도는 1000~4000m/min으로 방사할 수 있으며, 상기 연신단계에서는 연신온도는 50~80℃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연신비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의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신단계 이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의 자발 고권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완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180~240℃에서 열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고점도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섬유를 구성하여 이완 열처리를 통해 고점도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수축율 차이로 권축이 발생하여 자발 고권축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CHDCA가 포함된 바이오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에스테르 반응조에 투입한 뒤, 2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여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금속 함량 기준 최종 중합체의 90ppm 함량이 포함된 TBT 촉매와 함께, 최종 감압도가 0.1mmHg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55℃까지 승온시키며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종료 전력치를 다르게 하여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4의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와 CHDCA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60℃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방사노즐을 사용하여 2000m/min의 속도로 방사한 후 연신배율 1.5배, 연신온도 55℃, 열처리온도 220℃에서 연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나, 석유화학을 통해 얻어지는 테레프탈산과 1,3-프로판다이올을 이용하였으며, CHDCA를 함유시키지 않고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의 방사공정성 및 원사물성을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고유점도(IV): 각 폴리머를 120℃의 오르토-클로로 페놀에 1% 농도로 충분히 용해시킨 후 30℃ 항온조에서 우베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 강신도 : 온도 20℃, 습도 65%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인스트론(Instron) 기기를 사용하여 시료길이 200mm, 크로스 헤드 스피드(Cross head speed) 400mpm의 조건으로 5회 측정 후 평균값 측정.
* 직물의 30% 신장탄성회복율(FR30, %): 직물을 경,위사 방향으로 각각 5.5㎝×30㎝을 3매 작성한 후 시험편의 폭을 5㎝로 인장시험기에 장착 후 초하중을 부여하여 시편이 펴지도록 한다. 저속신장측정법(JIS L 1018-70)으로 100%/분의 속도로 신도 30%까지 신장시킨 후 반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수축을 시켜 이때의 응력-신장 곡선에서 응력이 초하중이 될 때의 신도(ε)를 측정하고 경,위사 방향 각각의 평균값을 측정.
분분 CHDCA함량
(몰%)
고유점도 방사공정성 원사물성
고점도 저점도 일반사절 수율
(%)
강도
(g/de)
신도
(%)
FR30
(%)
실시예 1 1 1.0 0.9 4 99.2 2.91 55.4 96
실시예 2 1 1.0 0.85 6 98.9 2.85 56.5 93
실시예 3 1.5 1.0 0.9 5 98.8 2.87 53.6 92
실시예 4 1.5 1.0 0.85 5 99.0 2.95 54.1 96
비교예 0 1.0 0.9 4 99.3 2.98 56.3 95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방사공정성과 원사물성이 비교예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와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종래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를 대체하여 사용가능하며, 이를 통해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바이오매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되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의 CHDCA(Cychlohexanedicarboxylic acid : C8H12O4) 함량이 1~2.5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는 0.85~1.05g/d이고, 상기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점도가 0.8~0.90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차이는 0.05~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차이는 수학식 1로 계산한 K값 0<K≤0.09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수학식 1]
    Figure 112014113966375-pat00003

    식중 [η]H는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고, [η]L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는 강도가 2.5~3.5g/de이고, 신도가 45~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7. 바이오매스 유래 테레프탈산과 바이오매스 유래 1,3-프로판다이올을 중합하여 형성되는 고유점도 차이가 0.05~0.10인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하는 용융단계;
    용융된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복합방사하는 방사단계; 및,
    방사된 복합섬유를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저점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의 CHDCA(Cychlohexanedicarboxylic acid : C8H12O4) 함량이 1~2.5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제조방법.
KR1020140165268A 2014-11-25 2014-11-25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68A KR101644068B1 (ko) 2014-11-25 2014-11-25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68A KR101644068B1 (ko) 2014-11-25 2014-11-25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90A KR20160062790A (ko) 2016-06-03
KR101644068B1 true KR101644068B1 (ko) 2016-08-01

Family

ID=5619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068B1 (ko) 2014-11-25 2014-11-25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67B1 (ko) * 2018-11-30 2020-08-28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틸렌프라노에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96B1 (ko) * 2002-05-27 2005-04-07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1219736A (ja) * 2010-03-23 2011-11-04 Toray Ind Inc 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943A (ko) * 2004-10-04 2006-04-07 주식회사 휴비스 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
KR101235016B1 (ko) * 2010-05-03 2013-02-21 주식회사 휴비스 우수한 내열특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296B1 (ko) * 2002-05-27 2005-04-07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11219736A (ja) * 2010-03-23 2011-11-04 Toray Ind Inc 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90A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High molecular weight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furandicarboxylate) copolyesters: from catalyzed polycondensation reaction to thermomechanical properties
TWI499612B (zh) 製備共聚酯醚薄膜的方法及其用途
JP2009091694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それを用いた繊維及び自動車内装材
CN112280014A (zh) 一种耐穿刺PBSeT生物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Jia et al. Copolyesters developed from bio‐based 2, 5‐furandicarboxylic acid: Synthesis, sequence distribution,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poly (propylene‐co‐1, 4‐cyclohexanedimethylene 2, 5‐furandicarboxylate) s
CN103665351A (zh) 聚对苯二甲酸环己烷二醇/丁二醇共聚酯及其制备和应用
CN105504239B (zh) 一种高强低伸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CN105506773B (zh) 一种高强中缩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CN107840946A (zh) 一种生物基高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463608B (zh) 一种高强安全带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CN107840948B (zh) 一种生物基高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04241B (zh) 一种高模低缩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CN105504244B (zh) 一种超高强型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Tang et al. Biobased 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101644068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hen et al. Low‐crystallinity to highly amorphous copolyesters with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based on rigid carbohydrate‐derived building blocks
KR101881825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1562A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081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섬유
KR101744259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633B1 (ko)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제조 방법
KR102238286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CN105603559B (zh) 一种高强车模聚酯工业丝及其制备方法
CN105001405A (zh) 制备共聚酯醚薄膜的方法及其用途
CN107189368B (zh) 一种高耐热耐候性的涤纶纤维母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