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030B1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Google Patents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4030B1 KR101644030B1 KR1020150122668A KR20150122668A KR101644030B1 KR 101644030 B1 KR101644030 B1 KR 101644030B1 KR 1020150122668 A KR1020150122668 A KR 1020150122668A KR 20150122668 A KR20150122668 A KR 20150122668A KR 101644030 B1 KR101644030 B1 KR 101644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rail groove
- departure prevention
- hole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공; 상기 이탈방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장착공; 및 상기 장착공 상에 상기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는 탄성에 의해 팽창되면서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도어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축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레일 홈으로 쌓이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n escape prevent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so that the escape preventing fun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rrespective of a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rail groove of the rail fram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A mounting hole formed on a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And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inserted while being inflated due to elasticity when the door is located on the mounting hole and being retracted from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the door opening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levator door.
Accordingly, not only high safety can be ensured but also an escape preventing fun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방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대해서도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가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는 상부가 도어 개폐장치의 안내레일 상에 설치된 행거롤러가 구비되어 그 행거롤러가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도어가 매달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도어의 하부는 바닥면에 설치된 레임 프레임의 레일 홈 상에 삽입된 가이드장치인 도어 슈가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Generally, the elevator door is provided with a hanger roller provided on a guide rail of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door is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guide rail provided with the hanger roller, The door shoe, which is a guide device inserted in the rail groove of the frame frame, is inserted and maintained in a restrained state.
도어 슈는 도어의 하단 프레임에 스크류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과, 상기 장착 브래킷에 레일 홈에서 슬라이딩 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 슈는 장착 브래킷과 가이드 슈가 하나로 제작되는 것과, 또는 하나의 장착 브래킷 상에 한 쌍의 가이드 슈가 결합된 형태로도 제작된다. The door shoe is constituted by a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lower frame of the door by a screw or a bolt, and a guide sho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lidable in the rail groove in the mounting bracket. At this time, the door shoe may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guide shoe together, or by assembling a pair of guide shoes on one mounting bracket.
그러나 상기한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서도 레일 홈 상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이 쉽게 절곡 되면서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승강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vator door,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which is inserted and supported on the rail groove by a small shock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easily bends and falls off the rail groove,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prior art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escap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707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레일 홈의 양측에 돌출레일을 형성하고, 도어 슈의 가이드 슈에 상기 돌출레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27076 (hereinafter referred to as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0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2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7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60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1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0445호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996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레일 홈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도어에 상기 고정수단으로 걸어질 수 있는 고리 형태의 걸이수단을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Korean Patent No. 10-0952038, Korean Patent No. 10-1016261, Korean Patent No. 10-125778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86071, Korean Patent No. 10-0873165, Korean Patent Laid- 10-094599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registered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45996, the fixing means being fixed to the rail groove of the frame,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having a hooking means in the form of a 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레일 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도어 슈의 가이드 슈를 새로 제작하여 적용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을 가진다. However,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걸이수단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도어에 가해지는 큰 충격이나 압력에 따라 쉽게 변형되는 단점을 가지며, 특히 무엇보다도 레일 홈에는 잦은 출입과 개폐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고, 이러한 각종 이물질은 걸이수단이 삽입되는 고정수단으로 삽입됨으로써, 오히려 도어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인해 결국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latch means provided on the door has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easily deformed by a large impact or pressure applied to the door. Especially, in the rail groove, Type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and accumulated and these various kinds of foreign substances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for inserting the hooking means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re obstructed ra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대해서도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가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door sho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groove of the rail fr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scape preventing device for an elevator door, which is capable of facilitating an escape prevention function irrespective of a foreign matter flowing into a rail groove of a rail fr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인한 설치 또한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nstallation by a simple structure even easi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해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가 바닥면에 마련된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로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공; 상기 이탈방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장착공; 및 상기 장착공 상에 상기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는 탄성(彈性)에 의해 팽창되면서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도어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축되는 록킹(locking)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system for preventing a door sho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a rail groove of a rail frame provided on a floor by an impact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apparatus according to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공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레일 홈의 측면과 접촉 또는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 내부에 구비된 제1 탄성체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공으로 출입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mounting hol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at the side of the rail groove, And a locking member.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공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탈방지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록킹로드, 상기 이탈방지공의 반대 측 록킹로드의 끝단에 장착되어 레일 홈의 측면으로 지지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한다.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rod slidab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o be able to move into and out of the detachment prevention hole, and a second elastic body mounted on an end of the locking r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tachment hole and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rail groove do.
상기 록킹부재 및 록킹로드의 이탈방지공이 위치한 선단은 레일 홈 측에서 승강장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한다. The leading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locking rod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is locate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rail groove side to the landing side.
상기 경사면의 일측과 그 일측과 맞닿는 이탈방지공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인 각각의 곡면부를 더 포함한다. And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one surface of the escape prevention hole which abuts one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may further include respectiv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대해서도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가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레일 홈으로 쌓이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oor sho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groove of the rail frame against impact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o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high safety and to smoothly carry out the departure prevention function irrespective of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rail groove.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한 설치 또한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기존의 엘리베이터 도어에도 간편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Further, since the installatio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can be further facilitated, the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in a short tim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elevator doors.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일부 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vator door,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vator door,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flat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엘리베이터 도어(100)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에 의해 도어(100)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110)가 바닥면에 마련된 레일 프레임(120)의 레일 홈(1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1)를 제시한다. 상기 도어 슈(110)는 도어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12)과 상기 장착 브래킷(112)에 형성되어 레일 홈(122)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슈(114)로 구성된다. Th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에 대해서도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가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특히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상관없이 이탈방지 기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oor sho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groove of the rail frame against impact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So that the departure-avoidance fun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탈방지장치(1)는 레일 홈(122)의 일측면에 통상적인 천공작업을 통하여 형성되는 이탈방지공(10)과; 상기 이탈방지공(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슈(110)의 장착 브래킷(112)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장착공(20); 및 상기 장착공(20) 상에 상기 이탈방지공(10)에 위치하였을 때는 탄성(彈性)에 의해 팽창되면서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100) 개방에 따른 도어(100)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이탈방지공(1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축되는 록킹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공과 장착공 및 록킹수단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
도어 슈(100)의 장착 브래킷(112)은 장착공(20)을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크기 보다 상기 장착공(20)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즉, 장착 브래킷(112)에 형성되는 가이드 슈(114)의 양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20)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The
록킹수단(30)은 장착공(20) 상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에서 레일 홈(112)의 측면과 접촉 또는 이탈방지공(10)에 위치하였을 때 내부에 구비된 제1 탄성체(34)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공(10)으로 출입하는 록킹부재(3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36)의 이탈방지공(10)이 위치한 선단은 레일 홈(122) 측에서 승강장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6a)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경사면은 도어가 개장되는 방향으로부터 폐쇄되는 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제1 탄성체은 통상의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The locking means 30 includes a
록킹부재(36)는 통상적인 플레이트 형태나 바 형태 등 엘리리베이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두께 또한 레일 홈에 따라 적정한 두께를 갖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에 따라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가 슬라이딩되어 폐쇄될 때,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의 장착공 상에 마련된 록킹수단의 록킹부재는 레일 프레임에 형성된 이탈방지공의 위치로 위치하였을 때 하우징 내에서 제1 탄성체에 의해 수축 지지되어 있다가 팽창되면서 이탈방지공으로 삽입되어 진다. When the pair of elevator doors are slid and closed,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escape prevention hole formed in the rail frame, And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while expanding.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 등이 발생하더라도 레일 프레임의 레일 홈으로부터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과 함께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공으로 삽입되는 록킹수단의 록킹부재에 의하여 도어의 하단이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Even if an impact or pressure exerted from the outside is generated in the elevator door, the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means inserted from the rail groove of the rail frame together with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into the escape prevention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The lower end is not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특히 종래와 같이 레일 홈에 고정수단을 마련함으로 인해 유입되는 이물질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mplicated technical structure, but can solve all the problems caused by a foreign matter introduced due to a simple structure, particularly, by providing fixing means in a rail groove as in the prior art.
더욱이, 본 발명은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공으로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에 형성되는 장착공 상의 록킹수단에 의하여 록킹됨으로써, 강한 충격이나 압력에도 이탈됨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originally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strong shock or pressure by being locked by a locking means on a mounting hole formed in a mounting bracket of a door shoe by a release preventing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a rail groove .
아울러, 록킹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레일 홈의 측면과 접촉시에는 최소한의 접촉면적을 가짐에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경사면은 록킹부재가 이탈방지공으로 삽입된 후 이탈시에는 그 경사면이 이탈방지공이 형성된 레일 홈의 일측면을 자연스럽게 타면서 하우징 내의 제1 탄성체는 수축이 이루어짐에 따라 록킹부재는 하우징 측으로 삽입되어 원활하게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의 끝단은 레일 홈의 측면과 더욱더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slope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has a minimum contact area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slid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When the slope is inserted after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on hole, As the first elastic body in the housing is contracted,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irst elastic bod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for further smooth sliding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또, 상기 경사면(36a)의 일측과 그 일측과 맞닿는 이탈방지공(10)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인 각각의 곡면부(38)를 더 포함한다. 이는 록킹부재가 이탈방지공으로 삽입과 이탈시에 각 곡면부가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더욱더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one sid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horizontal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에 마련되는 록킹수단을 더욱더 간단하면서 설치 또한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can be made more simple, more convenient to install, and more convenient.
록킹수단(30)은 장착공(2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탈방지공(10)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록킹로드(30A)와, 상기 이탈방지공(10)의 반대 측 록킹로드(30A)의 끝단에 장착되어 레일 홈(122)의 측면으로 지지되는 제2 탄성체(30B)를 포함한다. 이때, 제2 탄성체는 통상적인 판 스프링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cking means 30 includes a
즉, 록킹로드가 레일 홈 상에 있을 경우, 제2 탄성체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록킹로드가 이탈방지공에 위치할 경우에는 수축되었던 상기 제2 탄성체의 팽창에 의해 록킹로드가 이탈방지공으로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어가 개방됨으로 인해 록킹로드가 이탈방지공 상에서 이탈되어질 때에는 팽창되었던 상기 제2 탄성체는 다시 수축된다. That is, when the locking rod is on the rail groove, the second elastic body is kept in a contracted state, and when the locking rod is positioned on the escape prevention hole, the expansion of the contracted second elastic body causes the locking rod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Further, when the locking rod is releas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due to the door being opened, the second elastic body that has been expanded is contracted again.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록킹수단은 전술한 록킹수단에 비하여 더욱더 간단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전술한 록킹수단과 같은 원리로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공으로의 출입하는 원리는 동일하다. The locking mean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above-described locking means, and the same principle as the locking mean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ck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l groove.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록킹수단의 록킹로드는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의 장착공 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조립작업 또한 삽입하여 끼움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locking rod of the locking mean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ixed to the mount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but is slidable, so that the assembling operation is also inserted and fitted simply and conveniently.
또한, 제2 탄성체는 일단이 록킹로드의 끝단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며, 타단인 레일 홈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이거나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elastic body has one end fixed to the end of the locking rod by ordinary welding or bolt, and the portion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at the other end is bent or curved so as to smoothly slide. .
한편, 상기 록킹로드(30A)의 이탈방지공(10)이 위치한 선단은 레일 홈(122) 측에서 승강장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6a)을 더 포함함은 물론 상기 경사면(36a)의 일측과 그 일측과 맞닿는 이탈방지공(10)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인 각각의 곡면부(38)를 더 포함한다. The tip end of the
그에 따라 록킹로드 또한 전술한 록킹부재와 같이 이탈방지공 상으로 원활하게 삽입은 물론 이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So that the locking rod can also be easily detached as well as smoothly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ng cavity like the above-described locking member.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록킹로드와 제2 탄성체로 구성되는 록킹수단은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적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변형이 손상 발생시에도 교체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us, the locking means composed of the locking rod and the second elastic body,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due to its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repla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can be achieved.
1 : 이탈방지장치
10 : 이탈방지공 20 : 장착공
30 : 록킹수단 30A : 록킹로드
30B : 제2 탄성체 32 : 하우징
34 : 제1 탄성체 36 : 록킹부재
36a : 경사면
100 : 엘리베이터 도어
110 : 도어 슈 112 : 장착 브래킷
114 : 가이드 슈 120 : 레일 프레임
122 : 레일 홈1:
10: Breakaway ball 20: Mounting ball
30: Locking means 30A: Locking rod
30B: second elastic member 32: housing
34: first elastic member 36: locking member
36a:
100: Elevator door
110: Door shoe 112: Mounting bracket
114: guide shoe 120: rail frame
122: rail groove
Claims (5)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공;
상기 이탈방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장착공; 및
상기 장착공 상에 상기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는 탄성에 의해 팽창되면서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도어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축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공 상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레일 홈의 측면과 접촉 또는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 내부에 구비된 제1 탄성체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공으로 출입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의 이탈방지공이 위치한 선단은 레일 홈 측에서 승강장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door sho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a rail groove of a rail frame provided on a floor surface by impact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may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A mounting hole formed on a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And
And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inserted while being inflated by elasticity when the door is located on the mounting hole and being retracted from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housing fixed to the mounting hole,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at the side of the rail groove, And a locking member,
Wherein a tip end of the locking member where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is locate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rail groove side to the landing side.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레일 홈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공;
상기 이탈방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 슈의 장착 브래킷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장착공; 및
상기 장착공 상에 상기 이탈방지공에 위치하였을 때는 탄성에 의해 팽창되면서 삽입되어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 개방에 따른 도어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이탈방지공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축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장착공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탈방지공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록킹로드, 상기 이탈방지공의 반대 측 록킹로드의 끝단에 장착되어 레일 홈의 측면으로 지지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 departure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door sho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door from being detached from a rail groove of a rail frame provided on a floor surface by impact or pressure externally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departure prevention device may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hol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rail groove;
A mounting hole formed on a mounting bracket of the door sho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And
And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inserted while being inflated by elasticity when the door is located on the mounting hole and being retracted from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rod slidab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to be able to move into and out of the detachment prevention hole, and a second elastic body mounted on an end of the locking r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tachment prevention hole and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rail groove Wherein the elevator door is detached from the elevator door.
상기 록킹로드의 이탈방지공이 위치한 선단은 레일 홈 측에서 승강장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tip end of the locking rod where the departure prevention hole is located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from the rail groove side to the landing side.
상기 경사면의 일측과 그 일측과 맞닿는 이탈방지공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인 각각의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respective curved portions eac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and one side of the escape prevention hole contacting the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668A KR101644030B1 (en) | 2015-08-31 | 2015-08-31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668A KR101644030B1 (en) | 2015-08-31 | 2015-08-31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4030B1 true KR101644030B1 (en) | 2016-08-10 |
Family
ID=5671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2668A Active KR101644030B1 (en) | 2015-08-31 | 2015-08-31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40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8987A (en) | 2022-05-13 | 2023-11-21 | 주식회사 신대이엔지 |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076A (en) | 1999-09-10 | 2001-04-06 | 장병우 | Door shoe and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door |
JP4031926B2 (en) * | 2001-10-26 | 2008-01-0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landing door equipment |
KR20080086071A (en) | 2007-03-21 | 2008-09-25 |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 Safety hatch door safety device of elevator |
KR100873165B1 (en) | 2007-04-02 | 2008-12-09 | 최경돈 | Elevation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landing door, guide rail with locking member and elevator landing door with locking member |
KR20090110445A (en) | 2008-04-18 | 2009-10-22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
KR100952038B1 (en) | 2007-09-21 | 2010-04-07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1016261B1 (en) | 2008-09-19 | 2011-02-25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to prevent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
KR101257782B1 (en) | 2009-12-30 | 2013-05-23 | 주식회사 은성 | Device for preventing breakaway of an elevator door |
KR20130006343U (en) * | 2012-04-25 | 2013-11-0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
KR101545996B1 (en) | 2015-03-18 | 2015-08-21 | 박상필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
2015
- 2015-08-31 KR KR1020150122668A patent/KR1016440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076A (en) | 1999-09-10 | 2001-04-06 | 장병우 | Door shoe and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door |
JP4031926B2 (en) * | 2001-10-26 | 2008-01-0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Elevator landing door equipment |
KR20080086071A (en) | 2007-03-21 | 2008-09-25 | 한국승강기 주식회사 | Safety hatch door safety device of elevator |
KR100873165B1 (en) | 2007-04-02 | 2008-12-09 | 최경돈 | Elevation prevention device for elevator landing door, guide rail with locking member and elevator landing door with locking member |
KR100952038B1 (en) | 2007-09-21 | 2010-04-07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090110445A (en) | 2008-04-18 | 2009-10-22 |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
KR101016261B1 (en) | 2008-09-19 | 2011-02-25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to prevent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
KR101257782B1 (en) | 2009-12-30 | 2013-05-23 | 주식회사 은성 | Device for preventing breakaway of an elevator door |
KR20130006343U (en) * | 2012-04-25 | 2013-11-0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door |
KR101545996B1 (en) | 2015-03-18 | 2015-08-21 | 박상필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8987A (en) | 2022-05-13 | 2023-11-21 | 주식회사 신대이엔지 | Apparatus for preventing derailment of elevator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52970B2 (en) | Sliding door closer set | |
CN101517183B (en) | Thermal pin assembly | |
JP6721565B2 (en) | Slide rail assembly | |
CN101150972B (en) | Telescopic guide for a furniture part that can be displaced in the body of a piece of furniture | |
US9861196B2 (en) | Slide rail assembly with interlock device | |
RU2677392C2 (en) | Hood stop assembly for mounting hood on vehicle hood bearing frame (versions) and method of mounting hood | |
US9326603B2 (en) | Slide rail and equipment mounting rack | |
EP3417740B1 (en) | Telescopic rail with locking mechanism | |
EP2980343B1 (en) |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 |
JP5694790B2 (en) | Suspension door with retractor equipped with anti-lifting device | |
TWI733625B (en) | Slide rail assembly | |
US20160227666A1 (en) | Slide rail assembly | |
US20160273254A1 (en) | Sliding door | |
KR101644030B1 (en)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
US9951532B2 (en) | Installation adjustment device for an auto-return arrangement | |
KR101806017B1 (en) | Anti-separating device of an elevator door | |
KR101550404B1 (en) | Apparatus for locking Door in 3 Sliding Door | |
JP2011099270A (en) | Sheet guide for sheet shutter | |
KR101823574B1 (en)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
KR101964133B1 (en) | An escape prevention device of an elevator door including an emergency guide function | |
KR101444618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 | |
KR101756115B1 (en) | Plate spring for preventing window separation | |
JP4624180B2 (en) | Sliding door locking device | |
KR101545996B1 (en) |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door | |
KR101722331B1 (en) | Preventing structure for pushing of elevator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