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065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659B1
KR101640659B1 KR1020140049939A KR20140049939A KR101640659B1 KR 101640659 B1 KR101640659 B1 KR 101640659B1 KR 1020140049939 A KR1020140049939 A KR 1020140049939A KR 20140049939 A KR20140049939 A KR 20140049939A KR 101640659 B1 KR101640659 B1 KR 10164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lutch disc
solenoid driving
driving unit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018A (ko
Inventor
유충희
서영민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4004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659B1/ko
Priority to CN201580022054.0A priority patent/CN106415082B/zh
Priority to PCT/KR2015/002990 priority patent/WO2015163590A1/ko
Priority to EP15783255.1A priority patent/EP3135959A4/en
Priority to US15/305,059 priority patent/US10274083B2/en
Publication of KR2015012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6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16H63/347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6Inter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6Locking or detent means, i.e. means to keep the clutch in engaged cond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93Final output elements, i.e. the final elements to establish gear ratio, e.g. coupling sleeves or other means establishing coupling to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과 디텐트를 이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클러치 연결 구조에서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형성된 록킹부와; 기 록킹부에 접촉되는 걸림쇠와; 기 걸림쇠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상기 걸림쇠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되, 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는 상기 걸림쇠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여, 클러치의 작동시 작동 동작이 단순하게 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볼과 디텐트를 이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사륜구동 차량 및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클러치 연결 구조에서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바퀴에 연결된 등속조인트까지 전달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동력 전달 또는 동력 차단 장치이다.
최근 차량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연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의 낭비를 최대한 억제하고 기계적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 개념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 중 불필요한 토크의낭비를 막고자 동력 차단 및 연결용 디스커넥터가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국공개특허 제8,469,854호 를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수동변속기에서 흔히 쓰이는 포크-슬리브 구조와 소형 모터 및 감속기가 적용되었다.
이 소형 모터(82)에서 발생하는 동력이 변속기어를 거쳐 샤프트(84)를 회전시켜 샤프트에 존재하는 이송 나사에 의해 포크 연결 부재(86) 및 포크(78)가 이동을 함으로써이와 연결된 슬리브(74) 또한 이동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기어치를 갖고 있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일정 상대 속도차에 도달하면 연결되고 동력이 전달된다. 동력차단은 소형 모터(82)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와 역순으로 동작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소형 모터(82)가 필요한 토크 및 RPM에 도달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고 또한 다수의 연결 부품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유격,소음이 심하고 동력 전달 효율이 나빠지며 또한 내구성도 취약해지므로 특히 디스커넥터의 작동횟수가 많이 필요한 HEV/EV 차량에 적용할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8,469,85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과 진동 및 내구성 등이 개선되고 전자기파 등의 간섭 없이 정확한 신호전달이 가능하면서 작동 속도가 빠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록킹부와; 기 록킹부에 접촉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상기 걸림쇠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는 상기 걸림쇠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걸림쇠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클러치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포크슬리브의 일단에 마련된 제1스프링과 상기 록킹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걸림쇠가 상기 스프링을 최대 압축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쇠의 단부와 접촉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장되는 제1면과; 상기 돌출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서 연장되는 제2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상기 포크슬리브가 형성된 제1클러치디스크와; 상기 제1클러치디스크에 대향되는 제2클러치디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러치디스크의 회전축은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제2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 또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포지션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션 센서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로드 또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의 로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록킹부가 형성된 본체에서 상기 록킹부에 걸리는 걸림쇠를 사이에 두고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가 대향 배치됨으로써 클러치의 작동시 작동 동작이 단순하게 됨으로써 소음, 진동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걸림쇠는 본체에 설치된 클러치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포크슬리브의 일단에 마련된 제1스프링과 상기 록킹부 사이에 배치되므로, 걸림쇠가 제1스프링에 의하여 록킹부에 밀착되어 보다 확실한 고정이 가능해지는 강점이 있다.
셋째, 록킹부는 돌출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 및 제2경사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고, 제1경사부에 연장된 제1면과 제2경사부에 연장된 제2면의 높이 차가 형성되도록 오프셋 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의 동력 연결시에 적은 힘으로도 걸림쇠가 돌출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어 응답속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클러치디스크 중 포크슬리브가 형성된 제1클러치디스크의 회전축은 스플라인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제2스프링이 마련되기 때문에, 제1클러치디스크와 제2클러치디스크의 연결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 또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포지션 센서가 마련됨으로써 클러치의 동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포지션 센서가 기계식이므로 전자기파 간섭 등의 오류가 없이 정확한 신호전달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연결된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작동하면서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에 따라 걸림쇠(310)의 단부가 록킹부(100)의 돌출부(130)에 위치되면서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서로 분리되기 시작하는 모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계속하여 작동하면서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밀어내어 걸림쇠(310)가 록킹부(100)에 형성된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간 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의 제1로드(211)에 접촉되는 모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분리된 모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작동하면서 제1로드(21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으로써 걸림쇠(310)가 록킹부(100)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접촉된 모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계속하여 작동하면서 제1로드(21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으로써 걸림쇠(310)가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가,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결합된 모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원위치로 작동된 모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습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모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연결된 모습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작동하면서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에 따라 걸림쇠(310)의 단부가 록킹부(100)의 돌출부(130)에 위치되면서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서로 분리되기 시작하는 모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계속하여 작동하면서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밀어내어 걸림쇠(310)가 록킹부(100)에 형성된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간 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의 제1로드(211)에 접촉되는 모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분리된 모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작동하면서 제1로드(21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으로써 걸림쇠(310)가 록킹부(100)에 형성된 돌출부(130)에 접촉된 모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계속하여 작동하면서 제1로드(211)가 걸림쇠(310)를 밀어냄으로써 걸림쇠(310)가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가,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결합된 모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원위치로 작동된 모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습도이다.
먼저 전체적인 구성을 언급한 뒤 상세 구성에 대하여 상술키로 한다.
록킹부(100)는 본체에 형성되며, 걸림쇠(310)는 록킹부(100)에 접촉된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는 걸림쇠(3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는 걸림쇠(3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와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는 걸림쇠(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걸림쇠(310)는 본체에 설치된 클러치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포크슬리브(300)의 일단에 마련된 제1스프링(311)과 록킹부(100) 사이에 배치된다.
록킹부(100)는 걸림쇠(310)가 제1스프링(311)을 최대 압축하는 위치에서 걸림쇠(310)의 단부와 접촉되는 돌출부(130)를 갖는다.
제1경사면(110)은 돌출부(13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1면(111)은 제1경사면(110)에서 연장된다.
제2경사면(120)은 돌출부(13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2면(121)은 제2경사면(120)에서 연장된다.
제1경사면(110)과 제2경사면(120)의 기울기는 상이하고, 제1면(111)과 제2면(121)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디스크는 포크슬리브(300)가 형성된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1클러치디스크(510)에 대향되는 제2클러치디스크(520)를 포함한다.
제1클러치디스크(510)의 회전축은 스플라인부(511)에서 스플라인 결합되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제2스프링(512)이 형성된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 또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포지션 센서(400)가 포함되며, 포지션 센서(400)는 기계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걸림쇠(310)는 제2로드(221)에 인접되면서 돌출부(130)의 우측에 위치하면서 돌출부(130)의 제2경사면(120)에 걸리게 되어, 구동부(800)의 동력이 제1경로(901)를 따라서 제2등속조인트(620) 및 제1등속조인트(610)로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포크슬리브(300)에 마련된 제1스프링(311)이 걸림쇠(310)를 록킹부(100)의 제2면(121) 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걸림쇠(310)는 록킹부(100)에서 고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포지션 센서(400)는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서로 연결됨을 감지한다.
도 3과 같이,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작동하면 제2로드(221)는 걸림쇠(310)를 좌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걸림쇠(310)는 록킹부(100)에 형성된 제2경사면(120)을 따라 미끄러져 돌출부(130)에 접촉되며, 제1스프링(311)은 최대 압축된다.
이 때,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는 서로 분리되기 시작하면서, 제1등속조인트(610)와 제2등속조인트(620)는 각각 제2경로(902)와 제3경로(903)를 통해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걸림쇠(310)가 록킹부(100)의 돌출부(130)에 접촉되는 순간 포지션 센서(400)는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지션 센서(400)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전자파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다 하겠다.
한편,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의 작동으로 인해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걸림쇠(310)가 설치된 포크슬리브(300) 역시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제1클러치디스크(510)의 회전축 단부가 제2스프링(51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포크슬리브(300)가 형성된 제1클러치디스크(510) 전체가 좌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도 4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가 계속해서 작동하여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를 좌측으로 밀어내게 되면, 걸림쇠(310)는 록킹부(100)에 형성된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가 제1경사면(110)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고 결국 제1면(111)에 위치하게 된다.
제1스프링(311)은 걸림쇠(310)를 제2면(121)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걸림쇠(310)는 다시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가지 못한 채 돌출부(130)의 제1경사면(110)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로써 도 4와 같이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완전하게 분리되며, 포지션 센서(400)는 정립위치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완전하게 분리됨을 감지한다.
도 5와 같이 제2로드(221)가 걸림쇠(310)로부터 이격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 포지션 센서(400)는 다시 정립의 위치로 회복된다.
반대로, 도 6과 같이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작동되면, 제1로드(211)가 걸림쇠(310)를 우측으로 밀어내게 되면서 걸림쇠(310)는 제1경사면(110)을 타고 돌출부(130)에 접촉되어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는 서로 결합되기 직전에 이른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는 적은 힘으로 구동가능한데 이는 제1경사면(110)이 제2경사면(120) 보다 경사가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제1클러치 디스크의 회전축 단부에 마련된 제2스프링(512)에 의해서 탄성력을 인가받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1클러치디스크(510)가 제2클러치디스크(520)로 접근되는 것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바꾸어 말해서, 제1클러치디스크(510)는 구동부(800)의 동력을 매우 신속하게 인가 받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제1클러치디스크(510)가 제2클러치디스크(520)와 접촉되는 순간 발생되는 반발력 등 충격은 제2스프링(512)에 의해 완화된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계속하여 작동되면 제1로드(211)는 걸림쇠(310)를 우측으로 더욱 밀게 되면서, 도 7과 같이 돌출부(130)에 접촉해 있던 걸림쇠(310)는 돌출부(130)를 타고 넘어가 제2경사면(120)을 타고 내려가 제2로드(221)에 접촉된다.
걸림쇠(310)가 제2로드(221)를 우측으로 밀어내면, 제2로드(221)에 연결된 포지션 센서(400)가 정립에서 벗어나면서 기울어지면서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결합되어 동력이 제1경로(901)로 전달됨을 인지할 수 있다.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가 작동을 멈추면 제1로드(211)는 도 8과 같이 걸림쇠(310)로부터 이격되면서 원위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반적인 사륜구동 차량 및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자동차(HEV)의 후륜 구동 모듈에 적용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커넥터는 그 구조가 앞서 언급된 원리와 동일하나, 제1클러치디스크(510)의 회전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동기어부(631)와, 구동기어부(631)에 치합되는 종동기어부(632)가 더 포함된다.
종동기어부(632)는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630)에 연결되어, 구동부(800)의 동력을 제4경로(904)를 통해 후륜측으로 인가하는 것이다.
본체에는 디퍼렌셜부(710)와 감속기어부(720)가 포함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록킹부
110 : 제1경사면
111 : 제1면
120 : 제2경사면
121 : 제2면
130 : 돌출부
210 :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
211 : 제1로드
220 :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
221 : 제2로드
300 : 포크슬리브
310 : 걸림쇠
311 : 제1스프링
400 : 포지션 센서
510 : 제1클러치디스크
511 : 스플라인부
512 : 제2스프링
520 : 제2클러치디스크
610 : 제1등속조인트
620 : 제2등속조인트
630 : 프로펠러 샤프트
631 : 구동기어부
632 : 종동기어부
800 : 구동부
901 : 제1경로
902 : 제2경로
903 : 제3경로
904 : 제4경로

Claims (6)

  1. 본체에 형성된 록킹부(100)와;
    상기 록킹부(100)에 접촉되는 걸림쇠(310)와;
    상기 걸림쇠(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와;
    상기 걸림쇠(3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와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는 상기 걸림쇠(31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고,
    상기 록킹부(100)는,
    상기 걸림쇠(310)가 제1스프링(311)을 최대 압축하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쇠(310)의 단부와 접촉되는 돌출부(130)와;
    상기 돌출부(13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110) 및 상기 제1경사면(110)에서 연장되는 제1면(111)과;
    상기 돌출부(13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120) 및 상기 제2경사면(120)에서 연장되는 제2면(121);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110)과 상기 제2경사면(120)의 기울기는 상이하고, 상기 제1면(111)과 상기 제2면(121)의 높이가 상이하되,
    상기 제1경사면(110)은 제1클러치디스크(510)가 연결된 제1등속조인트(610)측 방향을 마주하며,
    상기 제2경사면(120)은 제2클러치디스크(520)가 연결된 제2등속조인트(620)측 방향을 마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쇠(310)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클러치디스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포크슬리브(300)의 일단에 마련된 상기 제1스프링(311)과 상기 록킹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상기 포크슬리브(300)가 형성된 상기 제1클러치디스크(510)와;
    상기 제1클러치디스크(510)에 대향되는 상기 제2클러치디스크(5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러치디스크(510)의 회전축은 스플라인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제2스프링(5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 또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포지션 센서(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센서(400)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 구동부(210)의 로드 또는 제2솔레노이드 구동부(220)의 로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049939A 2014-04-25 2014-04-25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64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39A KR101640659B1 (ko) 2014-04-25 2014-04-25 커넥터
CN201580022054.0A CN106415082B (zh) 2014-04-25 2015-03-26 连接器
PCT/KR2015/002990 WO2015163590A1 (ko) 2014-04-25 2015-03-26 커넥터
EP15783255.1A EP3135959A4 (en) 2014-04-25 2015-03-26 Connector
US15/305,059 US10274083B2 (en) 2014-04-25 2015-03-26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39A KR101640659B1 (ko) 2014-04-25 2014-04-25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018A KR20150124018A (ko) 2015-11-05
KR101640659B1 true KR101640659B1 (ko) 2016-07-19

Family

ID=5433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9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0659B1 (ko) 2014-04-25 2014-04-2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4083B2 (ko)
EP (1) EP3135959A4 (ko)
KR (1) KR101640659B1 (ko)
CN (1) CN106415082B (ko)
WO (1) WO20151635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1116A (zh) * 2011-11-11 2012-04-0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省略选档过程的快速换档机构及其使用方法
JP2013040672A (ja) * 2011-08-19 2013-02-28 Okimoto Tamada ベアリングギア変速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3065A (en) * 1948-02-25 1952-01-22 New Britain Machine Co Clutch operating mechanism
US4114465A (en) * 1976-12-06 1978-09-19 Vapor Corporation Modulating failsafe valve actuator using differential gearing
US4179944A (en) * 1977-06-27 1979-12-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ail safe redundant actuator
DE4404093C2 (de) 1994-02-09 1996-08-14 Porsche Ag 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Getriebes über eine Synchronisiereinrichtung
US5460060A (en) 1994-07-27 1995-10-24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with spring loaded ball screw
DE19834544A1 (de) * 1998-07-31 2000-0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ynchronisierein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JP4449476B2 (ja) * 2003-03-31 2010-04-1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変速機の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WO2006114444A1 (de) * 2005-04-28 2006-11-02 Deere & Company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getriebeschaltstelle
JP2007002959A (ja) 2005-06-27 2007-01-11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磁クラッチ及び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08261434A (ja) 2007-04-12 2008-10-30 Gkn ドライブライン トル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装置
WO2009098312A1 (en) 2008-02-06 2009-08-13 Capis Sprl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murmur frequency band
US9022192B2 (en) * 2010-02-12 2015-05-05 Magna Powertrain Ag & Co Kg Coupling assembly
DE102010010402A1 (de) 2010-03-05 2011-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altkupplung
EP2649339A4 (en) * 2010-12-10 2018-03-14 Means Industries, Inc.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coupling and control assembly
US9414899B2 (en) * 2011-07-28 2016-08-16 Jennifer Rebecca Altounian System and method for saliva replenishment and control
US8469854B1 (en) * 2012-05-15 2013-06-25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isconnectable driveline for all-wheel drive vehicle
DE102013217470A1 (de) * 2012-09-25 2014-03-2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US9518623B2 (en) * 2015-03-10 2016-12-13 Borgwarner Inc. Powertrain axle rotational disconnec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672A (ja) * 2011-08-19 2013-02-28 Okimoto Tamada ベアリングギア変速機
CN102401116A (zh) * 2011-11-11 2012-04-0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省略选档过程的快速换档机构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15082A (zh) 2017-02-15
WO2015163590A1 (ko) 2015-10-29
KR20150124018A (ko) 2015-11-05
US10274083B2 (en) 2019-04-30
CN106415082B (zh) 2019-03-29
US20170175887A1 (en) 2017-06-22
EP3135959A4 (en) 2018-01-10
EP3135959A1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620B2 (en)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JP5941136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530485B1 (ko) 4륜 구동차량의 트랜스퍼 케이스의 동력 절환장치
CN104006157A (zh) 一种汽车变速器驻车机构
EP3176067A1 (en) Overrunning transmission device convenient for switching
KR20150143744A (ko) 동력 전달 유닛용 시프트 칼라 조립체
KR10192619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디스커넥터 장치
CN109642654A (zh) 用于机动车辆的差速器
CN201721329U (zh) 电动汽车传动装置
KR20130084185A (ko)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EP1174633A3 (de) Mehrfach-Kupplungseinrichtung, ggf. in Kombination mit einer Torsionsschwingungsdämpferanordnung oder/und einer Elektromaschine
KR101640659B1 (ko) 커넥터
KR20160034617A (ko) 차량용 감속장치
CN111623112B (zh) 换挡接合组件及装置
CN105313594A (zh) 传动轴组件
KR101838290B1 (ko) 전기차용 구동모터의 구동 축이음
KR102600301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349572B1 (ko) 차량의 조향장치용 토크센싱장치
US12000468B2 (en) Limited slip differenti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14537507B (zh) 一种解耦或耦合装置、转向系统及车辆
KR102025952B1 (ko) 차량용 파트타임 4륜구동 장치
KR101645334B1 (ko) 시프트 포크의 정확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킨 디스커넥팅 장치
KR10156382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KR20150044132A (ko) 변속기 출력축과 프로펠러 샤프트의 연결장치
KR101496565B1 (ko)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용 동력연결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