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8427B1 - 초절수 양변기 - Google Patents

초절수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427B1
KR101638427B1 KR1020150190311A KR20150190311A KR101638427B1 KR 101638427 B1 KR101638427 B1 KR 101638427B1 KR 1020150190311 A KR1020150190311 A KR 1020150190311A KR 20150190311 A KR20150190311 A KR 20150190311A KR 101638427 B1 KR101638427 B1 KR 10163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wl
discharge
wastewater
dir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주)여명테크
주식회사 와와
현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여명테크, 주식회사 와와, 현돈 filed Critical (주)여명테크
Priority to KR102015019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427B1/ko
Priority to CN201680081116.XA priority patent/CN108603369A/zh
Priority to PCT/KR2016/008108 priority patent/WO2017115964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유입로(1150)가 형성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이 구비되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이 구비되고,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13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0);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되며 보울(1110)로의 직수 유입시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어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분기부(1200);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0); 일측 단부가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보울(1110)로부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연통부(1410)와,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도록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와, 상부에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부(1430)로 이루어지며, 분기된 직수가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배출부(1400); 및 연결관(1120)과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오수 배출 후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오수가 오수배출부(1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초절수 양변기{ULTRA WATER SAVING CLOSET}
본 발명은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을 거치지 않고 일정량 이상 저수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오수배출부로 직수의 일부를 직접공급되도록 하여 보울 내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을 줄임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 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수구(2d)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mm 이상, 즉 통상 45~55mm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mm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수조를 설치하고 평상시 수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수조내부에 설치된 약 65mm 전후의 배수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변기는 구경 약 15mm 정도의 수도관 직수로는 아무리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도 보울 배출관 직경이 통상 45~55mm 정도라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킬 수가 없고 그대로 보울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 보울 내 오물을 세척 시킬 수 없다.
때문에 그동안 남자 소변기의 경우 수도직결을 사용함으로서 감지기 등으로 자동세척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대변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도관 직결로는 오물세척이 불가능하여 자동 대변기는 일반화 할 수 없었다.
아울러, 기존 변기는 필수적으로 수조기능을 갖추어야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한계와 수조로 인해 변기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공간적인 제약도 있다. 또한, 수조와 좌대를 일체형으로 도기를 제작(일명 "원피스형 변기)할 때 불량률이 많아 생산수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도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아울러, 수조내부에 설치된 급배수관의 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워 상하수도 비용 청구서를 보고서야 인지할 경우도 있다. 또한, 공동 화장실이나 사무빌딩 등 공공의 장소에 사용하는 일명 플래쉬 변기의 경우는 수조가 없기 때문에 직수로 사용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별도로 직경 25mm(1 in)관을 추가로 설비하여야 함으로서 막대한 설비비용이 추가되며, 레바 작동시 일명 "워터함마"라는 현상으로 심한 소음이 수반되어 일반 주거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1131810호(발명의 명칭: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기존의 급수유로와 보울 림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 직수공급 시 보울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가변 직선관이 하향되어 오물배출은 가능하지만, 수도압력이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와 보울 림 내부의 수로에서 급격히 떨어져 결과적으로 수도압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보울 내부 오물세척에 문제가 있고, 오물배출 시 가변 직선관의 하향 지연 시간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물의 역류가 가끔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 개시된 양변기 또한 수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도 직수공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조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수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수조가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길이가 길어져야만 중량에 의한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회전이 이루어져 오물배출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회전반경 또한 커지게 되며, 이를 수용하는 커버부의 공간이 커져야 하므로 결국 변기가 커지게 되고, 협소한 공간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배출을 전의 상태, 즉 대기중일 때에는 4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여 보울 내부에 저수물을 저장해야 하므로 가변 이중 직선관의 하중을 부담하기 위해 일정한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유지해야만 한다. 또한, 오물 세척시 45도 이상으로 회전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배출을 전의 상태인 원위치로 복원되기 위해서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이 더욱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중량을 갖도록 세척수를 적정량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이 강하게 되며 오물배출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 배출을 위하여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오물의 일부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가변 이중 직선관과 결합되는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브라켓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 브라켓은 도자기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브라켓은 도자기로 된 보울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도자기 특성상 나사 등에 의한 부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생산성과 안정적인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53013호(발명의 명칭: 직수형 절수양변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관(50)이 수용되는 직수유입관 수용부(101a)가 형성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01)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01)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0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3)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02)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0);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0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2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주 배출 유로를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오수 일부를 설정된 양으로 저장 후 보조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주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400); 및 상기 연결관(11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면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10)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오수유동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연결관(110)의 외측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각각 제 1걸침홀(511a)이 형성된 돌출부(511)가 구비된 한 쌍의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보조 배출관(420)을 구비하되, 상기 주 배출관(410)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오수 배출관(400)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보울(101)에 저장된 오수가 연결관(110) 및 주름관(200)을 통해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되게 되며,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되는 오수는 상기 주 배출관(410)을 둘러싼 상기 보조 배출관(420)과 접하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양단부위에 위치한 상기 주 배출관(410)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411)을 통해 주 배출관(410)의 하단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저장된다.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일정의 오수가 저장되면, 이의 중량에 의해 전체 오수 배출관(400)은, 도 4에서와 같이, 수평(90도 이상)을 이루도록 회전되고, 보조 배출관(420)에 저장된 오수는 보조 배출관(420)의 후단, 즉 오수배출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되게 된다.
상기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보울(101)에 저장된 오수가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420)에 일정량의 오수가 저장되어야만 오수 배출관(400)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작동지연시간을 갖게 된다.
또한, 보울(101)의 세척을 위하여 보울(101)에 인위적으로 물을 투입하는 경우에도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420)에 일정량의 오수가 저장되게 되므로 오수 배출관(400)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보울(101)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게 되는 오작동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작동시에는 보울(101)에 물이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직수를 보울(101)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을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울(101)의 오물세척을 위하여 보울(101)에 직수를 계속 투입하는 경우에도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420)에 일정량의 오수가 저장되게 되므로 오수 배출관(400)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보울(101)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게 되는 오작동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작동시에는 보울(101)에 물이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직수를 보울(101)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작동을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보울(101) 내의 오수를 세척하기 위해서 버튼 또는 레버를 작동하여 보울(101) 내로 직수를 투입하게 되는데, 보울(101) 내로 투입된 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어야만 주 배출관(410)에서 배출홀(411)을 통해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게 되며 보조 배출관(420)에 저장된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어야만 자중에 의해 오수배출관(400)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보울(101) 내의 오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주 배출관(410)에서 보조 배출관(420)으로 배출되게 될 때 오수가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일정량 저장되기 전까지 지연시간을 갖게 된다.
이렇게 보울(101) 내의 오수가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되어 일정량 저장되기 전까지의 지연시간 때문에, 보울(101) 내의 오수가 투입된 물과 함께 점점 차오르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울(101) 내의 오수가 투입된 물과 함께 점점 차오르게 될 때에는, 오물이 보울(101) 내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에서 비산되게 된다. 이 비산되는 오물은 세균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세균은 보울(101)을 세척하더라도 보울(101)의 상부 부위에 남게 되고 특히 세면대 등에 비치된 칫솔 등에 부착하게 된다. 잦은 사용에 따라 이러한 세균이 축적되게 되면 보울(101) 및 화장실의 청결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연시간에 의해 보울(101) 내의 오수가 투입된 물과 함께 점점 차오르게 될 때, 보울(101) 내로 투입되어 차오르는 물은 주 배출관(410)에서 배출홀(411)을 통해 보조 배출관(420)으로 배출되어 저장되게 되는데, 보조 배출관(420)으로 배출되어 저장되는 양에 비해 보울(101) 내로 투입되어 차오르는 물의 양이 훨씬 많아야만 한다. 이때, 보울(101) 내로 투입되어 차오르는 물은 세척에 크게 관여하지 않게 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420)으로 배출되어 저장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울(101) 내로 투입되어 차오르는 물은 세척에 크게 관여하지 않게 되고 오히려 보울 내에 오물이 증가하는 역할이 되어 세척수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을 거치지 않고 일정량 이상 저수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오수배출부로 직수의 일부를 직접공급되도록 하여 보울 내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을 줄임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 내의 오수와 함께 점점 차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줄이고 오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초절수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 배출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특히 오수 배출구의 토출구가 짧아 결과적으로 양변기의 크기(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디자인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초절수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로(1150)가 형성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13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0);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분기부(1200); 상기 연결관(1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0); 상기 커버부(1130) 내에 위치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상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연통부(1410)와, 상기 연통부(1410)의 하부에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와, 상부에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부(1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된 직수가 상기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통부(1410) 및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배출부(1400); 및 상기 연결관(1120)과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오수 배출 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보울(1110) 내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부(1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5도 내지 3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수 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 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연통부(1410)의 내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를 폐쇄시키며 오수 배출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막(14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1420)의 하단 배출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력 상승을 위하여 배출측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걸림부(14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연통부(1410)는 원형관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를 감싸는 사각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삽입결합되며,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의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직수유입로(1150) 바닥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1200)의 하부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상기 직수유입로(1150)를 통해 직수가 유동되는 경우 개방되고, 직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부터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1200)용 악취방지부(미도시됨)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는, 수조(500); 상기 수조(5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500)로부터 급수유입로(1160)를 통해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13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0);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급수시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분기부(1200); 상기 연결관(1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0); 상기 커버부(1130) 내에 위치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상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연통부(1410)와, 상기 연통부(1410)의 하부에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와, 상부에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부(1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된 물이 상기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통부(1410) 및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배출부(1400); 및 상기 연결관(1120)과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오수 배출 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보울(1110) 내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부(1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5도 내지 3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연통부(1410)의 내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를 폐쇄시키며 오수 배출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막(14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1420)의 하단 배출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력 상승을 위하여 배출측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걸림부(14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연통부(1410)는 원형관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를 감싸는 사각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수직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가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입로(1160)의 바닥면 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1200)의 하부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상기 급수유입로(1160)를 통해 물이 유동되는 경우 개방되고, 물이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0)로부터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용 악취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을 거치지 않고 일정량 이상 저수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오수배출부로 직수의 일부를 직접공급되도록 하여 즉시 오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을 위해 보울 내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보울을 거치지 않고 오수배출부로 직수의 일부를 직접공급하므로 세척 지연시간을 줄임에 따라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세척수의 대부분이 세척에 관여하게 되므로 세척수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수배출부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 내의 오수와 함께 점점 차오르는 것이 방지되므로 오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물의 비산이 방지되므로 보울 및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수나 수조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지 않을 시에는 오물 배출부가 동작할 수 없으므로 요부 청결을 위해 다량의 물을 인위적으로 요부에 투입하거나 사용자가 레바 등을 계속 누르고 있을시에도 오물 배출부가 오동작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오물 배출부의 토출길이가 짧아 양변기의 크기(길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화장실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배출부와 탄성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는 직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직수용 양변기와, 수조에서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수조용 양변기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로서 직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직수용 양변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 양변기의 오수배출부와 탄성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100)와, 분기부(1200)와, 주름관(1300)과, 오수배출부(1400)와, 탄성부(1500)로 구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0)와, 주름관(1300) 및 탄성부(150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53013호(발명의 명칭: 직수형 절수양변기)가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양변기 몸체부(1100)는 화장실의 바닥 또는 벽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는 수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기의 중량이 가볍고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길이가 짧아도 되므로 변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장실의 벽체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0)는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과, 상기 보울(1110)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 및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는 커버부(1130)로 구성된다.
상기 보울(1110)은,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로(1150)가 형성되고, 상기 직수유입로(1150)을 통해 유입된 직수가 일정량 저장된다. 상기 보울(1110)은 일반적인 좌변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직수용 좌변기일 경우 일반적인 좌변기에서는 수조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급수유로가 통상 60mm이상의 직경을 가지나 본 발명의 직수용 좌변기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가 20mm정도이며, 보울의 개구된 외주연에 형성된 통상의 좌변기의 직수유입로는 통상 30mm 이상의 직경이나, 본 발명의 직수용 좌변기는 보울(1110)의 개구된 외주연에 형성된 직수유입로(1150)는 15mm 정도가 되어야 직수압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서로가 다르다.
상기 연결관(1120)은 상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상기 커버부(113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울(1110)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130)는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1300)은 상기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1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주름관(130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1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주름관(1300)의 일단은 연결관(112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관(1300)은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외력에 의해 휨이 가능하다.
상기 주름관(1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1600)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1600)는 상기 주름관(1300)에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된다.
상기 악취 방지부(1600)도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53013호(발명의 명칭: 직수형 절수양변기)가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악취 방지부(1600)는 상기 주름관(13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얇은 고무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161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는 중공을 이루고 유연성을 갖는 비닐이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1300)의 오수유입측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의 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1300)의 오수배출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의 타단은 주름관(1300)의 내부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가 연결관(1120)을 통해, 주름관(1300)으로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악취 방지 부재(16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악취 방지 부재(1610)의 둘레는 주름관(1300)의 내주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13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16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도록 외형이 가변된다.
즉,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 악취 방지 부재(16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악취 방지 부재(1610)의 타단은 어느 정도 폐쇄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오수가 배출되는 측으로부터의 악취는 보울(111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분기부(120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는 상기 커버부(1130) 내에 위치하며, 연통부(1410)와 배출부(1420) 및 저장부(1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통부(14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상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의 하부에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저장부(1430)는 상부에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된 직수가 상기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통부(1410) 및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1500)는, 도 6, 도 8 및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1120)과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주름관(13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보울(1110) 내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오수배출관(131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탄성부(150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53013호(발명의 명칭: 직수형 절수양변기)에 기재된 탄성부와 동일하다.
상기 탄성부(1500)는, 도 6, 도 8 및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112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120)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1120)의 오수유동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연결관(1120)의 외측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각각 제 1걸침홀(1511a)이 형성된 돌출부(1511)가 구비된 한 쌍의 제 1걸침 부재(1510)와,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 2걸침홀(1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15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15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의 제 1걸침홀(1511a)은,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의 돌출부(1511)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는, 상기 연결관(1120)에 볼트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1120)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양변기가 대부분 도기(陶器)로 제작되므로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 고정시에 볼트체결방식의 경우에는 양변기의 연결관(1120)이 손상될 수 있어 끼움고정식이 유리하다.
끼움고정식의 경우에는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에 상기 연결관(1120)이 끼워져 상기 연결관(1120)에 고정되는 연결관 결합부(15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 결합부(1512)는 링형태의 파이프로 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 2걸침홀(1521)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걸침 부재(1510)의 제 1걸침홀(1511a)과 상기 제 2걸침 부재(1520)의 제 2걸침홀(1521)이 다수로 설치되는 것은 탄성 부재(1530)의 탄성력 조정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 부재(1530)의 탄성력 조정은 저장부(1430)로의 직수의 유입량에 따른 오수배출부(1400)의 자중에 의한 회동과 연관된다. 상기 탄성 부재(1530)의 탄성력을 크게 하면 저장부(1430)에서의 직수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 오수배출부(1400)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오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1530)의 탄성력을 적게 하면 저장부(1430)에서의 직수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도 오수배출부(1400)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오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오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상기 탄성 부재(1530)의 탄성력이 적당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는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2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가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2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직립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가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20)의 상부와 멀리 구비되면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상부로 회전되지 않고 하부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오수 배출후 보울(1110) 내에 직수를 공급하여도 오수배출관(1310)을 통해 전부 배출되게 되므로 보울(1110) 내에는 오수가 저장되지 않게 되는 오작동이 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1520)가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2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오수배출관(13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직립회전이 곧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의 구성을 참조하면, 직수유입로(1150)로 직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오수배출부(1400)는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가 되면 상기 연결관(1120)은 주름관(1300) 및 오수배출관(1310)과 직각인 상태가 되어 보울(1110)에 수용된 물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보울(1110)의 세척을 위하여 직수유입로(1150)로 직수가 유입되면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된 분기부(1200)로 일부의 직수가 분기되며, 분기된 직수의 일부는 분기부(1200)를 통해 낙하되어 저장부(1430)로 저장되게 된다. 저장부(1430)로 저장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오수배출부(1400)는 하방으로 회동되게 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하방으로 회동되게 되면 상기 연결관(1120)은 상기 주름관(1300) 및 오수배출관(1310)과 수평인 상태가 되게 되며 보울(1110)에 수용된 오물은 상기 주름관(1300) 및 오수배출관(1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는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보울(1110) 내의 오수배출시에 상기 저장부(143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가 저장부(14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31)를 통해 상기 저장부(143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직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게 되면, 상기 탄성부(1500)의 탄성력에 의해 오수배출부(140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보울(1110) 세척후 보울(1110) 내에 수용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로부터 외부로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가 상기 배출구(1431)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오수배출부(1400)는 탄성부(1500)의 탄성력에 의해 직립되는 상태인 원 위치로 복귀되어 도 6의 상태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는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을 통해 오수배출부로 저수되어 지연시간이 발생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보울(1110)을 거치지 않고 분기부(1200)를 통해 직수의 일부를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오수배출부(1400)로 직접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저수되어 회동되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보울(1110)을 거치지 않고 오수배출부(1400)로 직수의 일부를 직접공급하므로 오수배출부(1400)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의 줄임에 따라,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세척수의 대부분이 세척에 관여하게 되므로, 세척수의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수배출부에 저수되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세척을 위한 직수가 양변기에 투입될 때 보울 내의 오수와 함께 점점 차오르는 것이 방지되므로 오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물의 비산이 방지되므로 보울 및 화장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기부(1200)를 통해 낙하된 직수는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저장부(1430)로 저장되어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하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보울(1110) 내의 오수를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는 배출구(1431)를 통해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가 저장부(1430)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직수가 배출되어 상기 저장부(1430)에 저장된 직수의 자중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오수배출부(1400)는 원래의 상태로 직립회동되게 되어 보울(1110)에 수용된 물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10도 전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가 이루는 기울기가 너무 작으면,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저장부(1430)에 저장되지 않고 저장부(1430)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저장부(1430)에 저장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가 이루는 기울기가 너무 크면,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되나, 저장부(1430)의 저장공간확보를 위해 오수배출부(1400)의 높이가 높게 되어 소형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가 이루는 기울기는 적당한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크게 되면,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연통부(1410)는 주름관(1300)과 동일한 원형관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를 감싸는 사각관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유입되는 직수가 일부 분기되어 낙하되게 되는데, 보울(1110) 내로 세척을 위한 직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직수유입로(1150)의 수위가 높게 되면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직수를 낙하되도록 한다.
하지만, 보울(1110) 세척후에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직수를 차단하게 되는 보울(1110)의 세척 끝무렵에는 직수유입로(1150)의 수위가 점점 낮아지게 되는데, 직수유입로(1150)의 수위가 낮아지는 보울(1110) 세척 끝무렵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직수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야만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직수유입로(1150)에 남아 있는 직수가 보울(1110) 내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울(1110)의 세척 끝무렵시에 직수유입로(1150)의 수위가 낮아져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직수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기부(1200)의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에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의 바닥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수직되게 삽입결합되게 되므로, 상기 단차부(121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분기되어 낙하되는 일부의 직수를 상기 분기부(1200)로 용이하게 분기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통부(1410)의 내측 단부부위 즉, 상기 배출부(1420)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측 단부에는 상기 연통부(1410)를 폐쇄시키며 오수 배출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막(1440)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막(1440)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되며,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상태에서 분기된 직수에 의해 회동되게 되면 상기 연통부(1410)를 통한 오수배출시에 오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회동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판막(1440)은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상태인 경우에는 악취가 커버부(1130) 내부에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 상기 연통부(1410)를 거쳐 보울(1110)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1200)의 하부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상기 직수유입로(1150)를 통해 직수가 유동되는 경우 개방되고, 직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0)로부터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용 악취방지부(미도시됨)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420)의 하단 배출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력 상승을 위하여 배출측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걸림부(1421)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된 직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게 되면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에서 상기 배출부(1420)로 배출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면적보다 상기 배출부(1420)의 배출면적이 더 크게 되므로 오수의 유속이 늦어져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1420)의 배출압력을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1421)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배출부(1420)의 배출압력을 높여 줄수 있게 되며, 상기 배출부(1420)에서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21)은 오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부(1200)용 악취방지부(미도시됨)는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부터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커버부(1130)내부로 부터 직수유입로(1150)를 통해 보울(1110) 내부로 유동되어 화장실로 확산될 수 있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기부(1200)용 악취방지부(미도시됨)의 구조는 전술한 악취 방지부(1600)의 구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상기 직수분기관(12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전단에 직수의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한 지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밸브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공지된 것을 사용한다. 기계식의 일예로는 누름스위치에 의해 개폐작동을 하는 볼이 눌리면 개방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시간이 지나면 볼이 폐쇄되는 상태로 복원되도록 작동되는 체크밸브형태가 있다. 전자식의 일예로는 누름스위치에 의해 시간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형태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밸브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직수유입로(1150) 상에 상기 지수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절수효과를 볼 수 있고, 상기 보울(1110)내에는 오수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보울(1110)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로서 수조에서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수조용 양변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는 크게 수조(500)와, 양변기 몸체부(1100)와, 분기부(1200)와, 주름관(1300)과, 오수배출부(1400)와, 탄성부(15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조(500)는 보울(1110)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성품이다.
나머지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0)와, 주름관(1300)과, 오수배출부(1400) 및 탄성부(15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만 간추려 설명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0)의 보울(1110)은 상기 수조(500)로부터 급수유입로(1160)를 통해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일반적인 수조식 양변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급수시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기부(1200)는,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직결사용이 가능한 초절수 양변기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수직되게 삽입결합되게 되며,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수직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가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입로(1160)의 바닥면 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다.
나머지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직결사용이 가능한 초절수 양변기와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0 : 수조 1100 : 양변기 몸체부
1110 : 보울 1120 : 연결관
1130 : 커버부 1140 : 바닥관
1150 : 직수유입로 1300 : 주름관
1400 : 오수배출부 1500 : 탄성부
1510 : 제 1걸침 부재 1511 : 돌출부
1511a: 제 1걸침홀 1520 : 제 2걸침 부재
1521 : 제 2걸침홀 1530 : 탄성 부재
1600 : 악취 방지부 1610 : 악취 방지 부재

Claims (16)

  1. 삭제
  2.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로(1150)가 형성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13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0);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직수 유입시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분기부(1200);
    상기 연결관(1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0);
    상기 커버부(1130) 내에 위치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상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연통부(1410)와,
    상기 연통부(1410)의 하부에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와,
    상부에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부(1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된 직수가 상기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통부(1410) 및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배출부(1400); 및
    상기 연결관(1120)과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오수 배출 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보울(1110) 내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부(1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5도 내지 3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연통부(1410)의 내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를 폐쇄시키며 오수 배출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막(14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420)의 하단 배출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력 상승을 위하여 배출측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걸림부(14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연통부(1410)는 원형관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를 감싸는 사각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로 삽입결합되며, 상기 직수유입로(115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는 상기 직수유입로(1150)의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직수유입로(1150) 바닥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1200)의 하부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상기 직수유입로(1150)를 통해 직수가 유동되는 경우 개방되고, 직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0)로부터 상기 직수유입로(115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용 악취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9. 삭제
  10. 수조(500);
    상기 수조(5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500)로부터 급수유입로(1160)를 통해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0)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0)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2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140)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130)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0);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설치되며 상기 보울(1110)로의 급수시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커버부(1130)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분기부(1200);
    상기 연결관(112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0);
    상기 커버부(1130) 내에 위치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주름관(1300)과 연결되어 연통되며 상기 보울(1110)로부터 상기 주름관(1300)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연통부(1410)와,
    상기 연통부(1410)의 하부에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상기 연통부(141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와 함께 U자형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부(1420)와,
    상부에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저장부(14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된 물이 상기 저장부(1430)에 유입저장되어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통부(1410) 및 상기 배출부(1420)를 통해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수배출부(1400); 및
    상기 연결관(1120)과 상기 오수배출부(14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오수 배출 후 상기 오수배출부(1400)가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보울(1110) 내의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부(14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저장부(1430)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어 낙하된 직수가 상기 보울(1110)의 후방방향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도록 5도 내지 30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배출부(1420)의 배출단면적은 상기 연통부(1410)의 배출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상기 연통부(1410)의 내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를 폐쇄시키며 오수 배출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연통부(141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막(14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420)의 하단 배출측 단부부위에는 상기 연통부(1410)에 의해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력 상승을 위하여 배출측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걸림부(14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배출부(1400)의 연통부(1410)는 원형관 형상으로 되고, 상기 배출부(1420)는 상기 연통부(1410)를 감싸는 사각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1200)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로 수직되게 삽입결합되며, 상기 급수유입로(1160) 내부에 위치한 단부부위는 상기 급수유입로(1160)가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부터 물의 일부가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분기되는 것을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유입로(1160)의 바닥면 보다 높게 단차부(1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1200)의 하부에는,
    상기 분기부(1200)에 의해 상기 급수유입로(1160)를 통해 물이 유동되는 경우 개방되고, 물이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0)로부터 상기 급수유입로(1160)로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기부용 악취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KR1020150190311A 2015-12-30 2015-12-30 초절수 양변기 Active KR101638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11A KR101638427B1 (ko) 2015-12-30 2015-12-30 초절수 양변기
CN201680081116.XA CN108603369A (zh) 2015-12-30 2016-07-25 节水坐便器
PCT/KR2016/008108 WO2017115964A1 (ko) 2015-12-30 2016-07-25 초절수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11A KR101638427B1 (ko) 2015-12-30 2015-12-30 초절수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427B1 true KR101638427B1 (ko) 2016-07-12

Family

ID=5650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11A Active KR101638427B1 (ko) 2015-12-30 2015-12-30 초절수 양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38427B1 (ko)
CN (1) CN108603369A (ko)
WO (1) WO201711596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1860833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2162939B1 (ko) * 2020-02-20 2020-10-07 주식회사 와와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WO2020231212A1 (ko) * 2019-05-15 2020-11-19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0530B2 (ja) * 2020-04-16 2024-09-13 株式会社Lixil 移動式トイ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575A (ko) * 2009-06-08 2010-12-16 이종인 자연 배출식 양변기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071B2 (ja) * 2002-09-27 2006-06-14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KR20100006594U (ko) * 2008-12-19 2010-06-29 이재모 절수형 급속배수수단을 갖는 양변기
KR101111624B1 (ko) * 2009-11-10 2012-02-14 대림비앤코주식회사 절수형 양변기
KR101131810B1 (ko) * 2010-12-14 2012-03-30 이종인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101453013B1 (ko) * 2014-07-21 2014-11-26 (주)여명테크 직수형 절수양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575A (ko) * 2009-06-08 2010-12-16 이종인 자연 배출식 양변기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34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1860833B1 (ko)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WO2018236044A1 (ko)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WO2018236043A1 (ko)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CN110914504A (zh) * 2017-06-20 2020-03-24 株式会社Wawa 可变式节水坐便器的污水排出装置
JP2020524235A (ja) * 2017-06-20 2020-08-13 ワ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awa Co., Ltd.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JP7012753B2 (ja) 2017-06-20 2022-01-28 ワ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WO2020231212A1 (ko) * 2019-05-15 2020-11-19 (주)여명테크 초절수 양변기
KR102162939B1 (ko) * 2020-02-20 2020-10-07 주식회사 와와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3369A (zh) 2018-09-28
WO2017115964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427B1 (ko) 초절수 양변기
KR101860834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2251074B1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KR101442624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KR101453013B1 (ko) 직수형 절수양변기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377544B1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KR20210009948A (ko) 하우징이 구비된 양변기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2162939B1 (ko)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KR200449978Y1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1860833B1 (ko)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30035462A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KR20120034869A (ko) 친환경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KR20220005373A (ko) 초절수 양변기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20140075235A (ko) 직수 공급식 절수형 양변기
KR100648068B1 (ko) 절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