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8243B1 -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 Google Patents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243B1
KR100498243B1 KR10-2002-0050841A KR20020050841A KR100498243B1 KR 100498243 B1 KR100498243 B1 KR 100498243B1 KR 20020050841 A KR20020050841 A KR 20020050841A KR 100498243 B1 KR100498243 B1 KR 10049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upled
wall
bracket
b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830A (ko
Inventor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5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2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수소변기에 설치되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변시 유입구가 개방되었다가 용변 후 유입구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입구(11)가 형성된 상부부재(10), 상기 상부부재(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11)와 소통되는 개방부(22)와 하향돌출된 내벽(21)이 형성된 연결부재(20), 상기 연결부재(2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배출구(31)가 형성된 몸통부재(30), 상기 몸통부재(30)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향돌출된 외벽(41)과 고정부(42)가 형성된 하부부재(40), 상기 고정부(42)에 삽입결합되며 머리부가 상기 유입구(11) 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봉(50), 상기 하부부재(40)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60), 상기 브라켓(60)에 설치되며 작동부재(71)가 상기 차단봉(50)과 연결되고 외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70), 상기 브라켓(6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71)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deodorizing device for urinal}
본 발명은 무수소변기에 설치되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시 유입구가 개방되었다가 용변 후 유입구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저렴한 상수도 요금으로 인하여 실생활에서 물부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mm 로 세계평균 973mm 보다 1.3배 높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1인당 연 강수량은 2,755㎥ 로, 세계 1 인당 연강수량 22,096㎥ 의 12.5% 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 내리는 비의 양을 수자원총량으로 보면 연간 약 1,267억㎥ 정도인데, 이중 지하로 스며들거나 증발되는 양을 제외하고 하천으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697억㎥ 이다. 이중 467억㎥ 은 홍수시에 한꺼번에 흘러가고, 평상시 유출량은 230억㎥ 에 불과하다. 또한 수자원 이용량 301억㎥ 중 자연하천수 취수가 57% 나 되어 조금만 가물어도 하천에서의 취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수자원이 갈수록 고갈되어간다는 우려에 따라 상수도 요금도 절약하고 수자원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요즈음 대부분의 화장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세식 소변기도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중의 하나인데, 종래의 수세식 소변기는 하부의 배수로에 U자형 트랩을 설치하여 용변 후 물로 수세하면 최종적으로 U자형 트랩에 물이 고여 악취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버튼식 밸브의 조작이나 센서감지에 의해 수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때문에 수세를 위한 물사용량이 많고 버튼식 밸브구조와 인체감지센서의 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부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버튼이나 인체감지센서의 잦은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물의 낭비가 심하고 수리비용도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불쾌한 악취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와 소통되는 개방부와 하향돌출된 내벽이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몸통부재, 상기 몸통부재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향돌출된 외벽과 고정부가 형성된 하부부재, 상기 고정부에 삽입결합되며 머리부가 상기 유입구 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봉, 상기 하부부재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작동부재가 상기 차단봉과 연결되고 외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변기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방취장치는 상부부재(10), 연결부재(20), 몸통부재(30), 하부부재(40), 및 차단봉(5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부재(40) 하단에는 상기 차단봉(50)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장치(70)가 브라켓(80)을 매개로 결합된다.
상부부재(10)는 중앙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부재(10)의 윗면은 유입구(11)로 소변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11)를 중심으로 하향된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부부재(10)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는 상하 원주면에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그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하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0)의 개방부(22)는 윗쪽이 넓고 아랫쪽이 좁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연결부재(20)의 밑면에는 상기 개방부(22)와 이어지는 원통형의 내벽(21)이 하향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0)를 매개로 상기 상부부재(10)와 결합되는 몸통부재(30)는 상하 소통이 원활하도록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다른 부재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하 내주면에 나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외주면 일측에는 내부와 소통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재(30)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부재(40)는 밑면이 밀폐된 원형의 외벽(41)이 상향돌출되어 있으며, 상하관통된 고정부(42)가 상기 외벽(41) 안쪽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벽(41)의 반지름은 상기 내벽(21)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42)에는 머리부(51)가 원추형으로 형성된 차단봉(50)이 연결부재(20) 위로부터 삽입결합되어 하부부재(40) 밑면까지 관통된다. 상기 차단봉(50)의 머리부(51)는 상기 상부부재(10)의 유입구(11)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부부재(40)의 하단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장치(70)는 브라켓(60)을 매개로 상기 하부부재(40)에 고정결합되며, 솔레노이드장치(70)의 작동부재(71)는 차단봉(50)과 핀(8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봉(50)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70)가 작동될 때 상기 작동부재(71)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솔레노이드장치(70)가 설치되는 상기 브라켓(6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부 절곡부에는 상기 차단봉(50)이 소통할 수 있도록 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곡부에는 스프링(80)이 고정설치되는 돌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62)에 설치되는 스프링(80)은 솔레노이드장치(70)의 작동부재(71)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장치(70)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가 탈화되었을 때 상기 작동부재(71)를 윗쪽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방취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소변기에 설치되며, 몸통부재(30)에 형성된 배출구(31)는 하수배관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장치(70)는 소변기에 설치되는 인체감지센서와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평상시 내벽(21)과 외벽(41)에는 이전에 유입된 오수(90)가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으며 솔레노이드장치(70)의 작동부재(71)는 브라켓(60)의 하부 절곡부에 설치된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윗쪽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71)와 연결된 차단봉(50)은 상기 작동부재(71)와 함께 연동되므로 상기 작동부재(71)와 마찬가지로 위쪽으로 이동되어 상부부재(10)에 형성된 유입구(11)를 밀폐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단봉(50)에 의해 외부와 소통되는 유입구(11)가 밀폐되므로 상기 내벽(21)과 외벽(41)에 잔류된 오수의 악취는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10)의 윗면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구(11)로 오수가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유입구(11)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상향 경사져 있으며, 상기 차단봉(50)의 머리부(51)도 원추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봉(50)의 머리부(51)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고정부(42)와 차단봉(50)이 결합된 틈새로 새지 않도록 넓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2)는 최대한 위쪽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소변기에 다가와 용변을 보게 되면 소변기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고 솔레노이드장치(70)를 동작시켜 작동부재(71)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작동부재(71)와 연결된 차단봉(50)도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유입구(11)가 개방된다.
소변기를 통해 유입된 오수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연결부재(20)의 개방부(22)로 흘러내려 내벽(21)과 외벽(41)에 의해 형성된 이동로를 거쳐 몸통부재(30)의 배출구(31)로 배출되고, 사용이 끝나게 되면 다시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42)에 결합된 상기 차단봉(50)이 상향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를 밀폐시키고 있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오수(90)가 채워진 내벽(21)에 오수(90)보다 비중이 작고 악취가 나지 않는 유체(95)가 채워진다. 상기 유체(95)는 오수(90)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오수(90)와 분리되어 오수(90) 보다 윗쪽인 연결부재(20)의 개방부(22)에 위치되며, 오수(90)에서 풍기는 악취를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95)는 차단봉(5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유입구(11)를 통해 혹 방출되는 오수(90)의 악취를 차단하고 솔레노이드장치(70)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유입구(11)가 부적절한 시기에 개방되었을 경우에도 오수(90)의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체(95)는 무색무취의 액체를 이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함을 주기위해 소변과 구별되는 색깔과 좋은 향기의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단봉(50)이 아래로 이동하여 유입구(11)가 개방되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오수(90)가 유입된다. 내벽(21)에 저장된 유체(95)는 처음에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수(90)와 함께 아래로 이동되나 시간이 흐르면서 오수(90)와 분리되어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차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전에 잔류했던 오수(90)는 새로 유입된 오수(90)에 의해 외벽(41) 밖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몸통부재(30)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나, 오수(90)보다 가벼운 유체(95)는 내벽(21)에서 상하로 이동될 뿐 줄지 않는다. 따라서, 유입구(11)를 통해 오수(90)가 유입되어도 외벽(41)에 잔류된 오수(90)의 교체만 이루어져 항상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벽(21) 위쪽의 개방부(22)는 위로가면서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오수(90)가 유입구(11)를 통해 급속하게 유입되어도 상기 개방부(22)의 넓은 공간으로 유체(95)가 온수의 밀려 이동되므로 오수(90)와 함께 하수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를 널리 이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보다 쾌적한 화장실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부재 11 : 유입구
20 : 연결부재 21 : 내벽
30 : 몸통부재 31 : 배출구
40 : 하부부재 41 : 외벽
42 : 고정부 50 : 차단봉
60 : 브라켓 70 : 솔레노이드장치
71 : 작동부재 80 : 스프링

Claims (2)

  1. 유입구(11)가 형성된 상부부재(10), 상기 상부부재(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11)와 소통되는 개방부(22)와 하향돌출된 내벽(21)이 형성된 연결부재(20), 상기 연결부재(2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배출구(31)가 형성된 몸통부재(30), 상기 몸통부재(30)에 결합되며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향돌출된 외벽(41)과 고정부(42)가 형성된 하부부재(40), 상기 고정부(42)에 삽입결합되며 머리부가 상기 유입구(11) 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봉(50), 상기 하부부재(40)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60), 상기 브라켓(60)에 설치되며 작동부재(71)가 상기 차단봉(50)과 연결되고 외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70), 상기 브라켓(60)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부재(71) 하단에 결합되는 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21) 내부에 비중이 오수보다 작은 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2002-0050841A 2002-08-27 2002-08-27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049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41A KR100498243B1 (ko) 2002-08-27 2002-08-27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41A KR100498243B1 (ko) 2002-08-27 2002-08-27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30A KR20040018830A (ko) 2004-03-04
KR100498243B1 true KR100498243B1 (ko) 2005-07-01

Family

ID=3732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41A KR100498243B1 (ko) 2002-08-27 2002-08-27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2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03B1 (ko) * 2008-07-31 2009-01-07 (주)워터프리비즈 무수 소변기용 커버기 및 카트리지
KR100951928B1 (ko) 2009-07-21 2010-04-09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WO2011010808A2 (ko) * 2009-07-21 2011-01-27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및 원터치 강제 개방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KR101172865B1 (ko) * 2010-03-29 2012-08-10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원터치 강제 개방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321B1 (ko) * 2015-06-29 2016-02-24 주식회사 에코웨이 악취 및 역류 방지용 배수 안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75B1 (ko) * 1995-06-29 1998-05-15 에이치.클라우스 레이챠르드트 무수 소변기
KR19980020522U (ko) * 1996-10-15 1998-07-15 이승희 소변기
US6053197A (en) * 1998-09-14 2000-04-25 Gorges; Ditmar L. Horizontal-flow oil-sealant-preserving drain odor trap
US6425411B1 (en) * 1995-10-25 2002-07-30 Ditmar L. Gorges Oil sealant-preserving drain odor tra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75B1 (ko) * 1995-06-29 1998-05-15 에이치.클라우스 레이챠르드트 무수 소변기
US6425411B1 (en) * 1995-10-25 2002-07-30 Ditmar L. Gorges Oil sealant-preserving drain odor trap
KR19980020522U (ko) * 1996-10-15 1998-07-15 이승희 소변기
US6053197A (en) * 1998-09-14 2000-04-25 Gorges; Ditmar L. Horizontal-flow oil-sealant-preserving drain odor trap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03B1 (ko) * 2008-07-31 2009-01-07 (주)워터프리비즈 무수 소변기용 커버기 및 카트리지
KR100951928B1 (ko) 2009-07-21 2010-04-09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WO2011010808A2 (ko) * 2009-07-21 2011-01-27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및 원터치 강제 개방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WO2011010808A3 (ko) * 2009-07-21 2011-04-21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및 원터치 강제 개방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KR101172865B1 (ko) * 2010-03-29 2012-08-10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원터치 강제 개방 가능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절수형 소변기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30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312B1 (en) Automatic cleaning assembly for a toilet bowl
US20080066220A1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WO2013170527A1 (zh) 节水座便器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20100112452A (ko)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100458200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KR20029384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KR940002090Y1 (ko) 야외용 화장실의 인분배출장치
KR200169243Y1 (ko) 양변기의 절수구
KR20050102736A (ko) 변기 어셈블리의 오물 배출장치
RU2141240C1 (ru) Биде-комби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KR200216292Y1 (ko) 초 절수 개량형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06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