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668B1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6668B1 KR101636668B1 KR1020160001141A KR20160001141A KR101636668B1 KR 101636668 B1 KR101636668 B1 KR 101636668B1 KR 1020160001141 A KR1020160001141 A KR 1020160001141A KR 20160001141 A KR20160001141 A KR 20160001141A KR 101636668 B1 KR101636668 B1 KR 101636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cover
- magnet
- hole
- bottom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45C2011/00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촬영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와 핸드폰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중심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를 향하는 바닥면에 상기 제 1 통공으로부터 하측에 제 1 자석이 배치된 회전체판부, 중심에 제 2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 커버부 반대를 향하는 상부면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제 2 통공 하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제 2 통공 좌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의 우측 끝단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와 강제 결합되는 회전체몸체부,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판부가 회전되게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축부로 이루어진 회전체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회전체판부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 facilitating shooting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med fo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len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body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a cover portion covering a top portion of a mobile phone and a bottom cover portion supporting the mobile phone; A rotatable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its center and hav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lower sid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on a bottom surface thereof facing the bottom cover portion,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econ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cover of the cellular phone with the cover cover portion being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perture, and a thir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aperture, A rotatable body part arranged to be higher than a right end of the bottom cover part and being forcibly coupled to the bottom cover part, and a second lens barrel fit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A rotator including a shaft portion forcibly engaged; And a case part which is fitted to the rotatable plate part so as to be fitted to the front face of the mobile phone so as to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and is fixed forci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촬영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that facilitates shooting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med fo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lens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mobile phone.
핸드폰은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핸드폰을 오랫동안 안전하고 청결하게 사용하고자 핸드폰의 기종별로 핸드폰 보호케이스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supply of mobile phones has become more active, the use of mobile phone protection cases has become more active in order to use them safely and cleanly for a long time.
그러나, 상기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을 통해서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파손 또는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fo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lens provided in a mobile phone, and the camera lens is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to be damaged or damag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02호인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을 덮어 보호하는 플립커버를 포함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전면 상에 장홈이 형성되고 평행하는 레일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일홈부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레일홈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합되도록 배면에 레일턱부가 구비되고 레일턱부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돌부를 구비하여 결합홈에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결합돌부가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배면에는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을 상기 장홈 내에서 안내되어 제한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핸드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통공부가 형성되며 통공부가 형성된 전면 하측에는 핸드폰의 배면을 탈부착하기 위한 점착테이프가 부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플립커버를 부착하는 부착턱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478502, a protective case for a camera protection mobile phone has a flip cover for covering and protecting a mobile phone, And a rai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ail protrusion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rail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rail protrusion.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plate from the support plate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plat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so as to prevent the slide plate from being slid in a non- The camera lens provided in the Forming a tube studied for the front and the lower side tube is formed of study, the adhesive tape for removable adhesion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s composed of a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ding plate is attached to the jaw attached to the flip cover is formed integrally.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통공부를 핸드폰 기종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형상 및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모두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접착테이프로 핸드폰 후면에 부착하기 때문에 핸드폰 보호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핸드폰 배면의 외관이 흉한 문제점이 있으며, 슬라이딩 플레이트, 받침판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to form the tube into a size accommodating both the shape of the camera lens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lens according to the cellular phone model, and it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with the adhesive tape Whe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is not used, the appearance of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is disadvantageous, and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plate and the base plate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r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쉽게 촬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take a picture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of a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med for photographing with a camera lens formed on a back surface of a mobile phone.
상기 통공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핸드폰 뒷면에 구성되는 카메라 렌즈를 비롯하여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손전등용 LED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tect a speaker for a sound output, a LED for a flashlight, a camera lens formed on a back surface of a mobile phone, and the li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와 핸드폰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중심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를 향하는 바닥면에 상기 제 1 통공으로부터 하측에 제 1 자석이 배치된 회전체판부, 중심에 제 2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 커버부 반대를 향하는 상부면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제 2 통공 하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제 2 통공 좌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의 우측 끝단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와 강제 결합되는 회전체몸체부,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판부가 회전되게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축부로 이루어진 회전체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회전체판부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lid cover portion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and a bottom cover portion supporting the mobile phone; A rotatable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its center and hav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lower sid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on a bottom surface thereof facing the bottom cover portion,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econ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cover of the cellular phone with the cover cover portion being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perture, and a thir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aperture, A rotatable body part arranged to be higher than a right end of the bottom cover part and being forcibly coupled to the bottom cover part, and a second lens barrel fit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A rotator including a shaft portion forcibly engaged; And a case part which is fitted to the rotatable plate part so as to be fixedly engaged with the front face of the mobile phone so as to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를 비롯하여 휴대폰 뒷면에 구성되는 스피커, 손전등용 LED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폰의 뒷면을 깨끗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speaker lens and the LED for the flashlight, which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camera lens, since there is no through hole in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formed for photographing with the camera len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mobile phone.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back beautifu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호케이스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레일에 걸리는 돌출부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경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예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ng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ample of photographing with a camera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of a latching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to which a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호케이스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커버부(100), 회전체부(200) 및 케이스부(300)로 이루어진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protection case includes a
더욱 상세하게, 상기 커버부(100)는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110)와 핸드폰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 커버부(1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예컨대, 스마트폰은 터치를 통해서 동작함으로 터치되는 상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덮개 커버부(110)가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 손에 올려져 핸드폰을 사용하기 용이하게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120)로 구성된다.For example, the smartphone includes a
상기 회전체부(200)는 중심에 제 1 통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120)를 향하는 바닥면에 상기 제 1 통공(211)으로부터 하측에 제 1 자석(212)이 배치된 회전체판부(210), 중심에 제 2 통공(221)이 형성되고 바닥 커버부(120) 반대를 향하는 상부면에 상기 제 1 자석(212)과 부착되는 제 2 자석(222)이 제 2 통공(221) 하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110)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212)과 부착되는 제 3 자석(223)이 제 2 통공(221) 좌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120)의 우측 끝단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120)와 강제 결합되는 회전체몸체부(220)와, 상기 제 1 통공(211)과 제 2 통공(221)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판부(210)가 회전되게 상기 바닥 커버부(120)에 강제 결합되는 축부(230)로 이루어진다.The
예컨대, 상기 회전체부(200)는 이해를 돕고자 회전체판부(210)와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부(300)를 생략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우선 도 2에 도시된 제 1 자석(212)과 제 2 자석(222)이 부착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a)와 같이 통상적으로 핸드폰 보호케이스가 핸드폰을 보호하는 상태 즉, 덮개 커버부(110)가 핸드폰 전체를 감쌀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또한,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서 케이스부(30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핸드폰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자석(212)과 제 3 자석(223)이 부착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회전하여 제 1, 3 자석(212, 223)의 부착되는 자력의 힘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제 1 자석(212)과 제 3 자석(223)이 부착된 상태에서 핸드폰은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바닥 커버부(120)의 우측 끝단 위로 올라와 자연스럽게 촬영할 수 있다.3, the mobile phone can move up to the right end of the
따라서, 본 발명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바닥 커버부(120)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촬영이 가능한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 바닥 커버부(120)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Therefore, the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a function to take a picture even though a through hole is not formed in the
결국,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b)와 같이 동작된 이후에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케이스부(30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핸드폰을 다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a)와 같이 되기 위해서 제 1 자석(212)과 제 2 자석(222)이 부착되고 자력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핸드폰 보관상태가 된다.3 (b), when the photographing is completed, the user rotates the mobile phone,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특히, 상기 회전체몸체부(220)는 걸림레일(224)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판부(210)은 상기 걸림레일(224)의 양 끝단에 걸리도록 돌출부(2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a
예컨대, 상기 걸림레일(224)과 돌출부(213)는 회전체판부(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부분에 돌출부(213)가 걸리고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부분에 돌출부(213)가 걸리는 작용을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즉, 상기 회전체판부(210)는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핸드폰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자석(212)과 제 3 자석(223)이 서로 부착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지만, 사용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제 1, 3 자석(212, 223)이 탈착되어 회전하는 것까지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213)가 걸림레일(224)의 A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mobile phone clockwise to photograph the
또한, 상기 회전체판부(210)는 촬영 이후에 다시 핸드폰을 보관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핸드폰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자석(212)과 제 2 자석(222)이 서로 부착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지만 사용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제 1, 2 자석(212, 222)이 탈착되어 회전되는 것까지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213)가 걸림레일(224)의 B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user rotates the mobile phone counterclockwise to switch the mobile phone back to the storage state after the photographing, the
한편, 상기 제 1 자석(212)을 회전체몸체부(220)에 구성하고 상기 제 2, 3 자석(222, 223)을 회전체판부(210)에 구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또한, 상기 걸림레일(224)을 회전체판부(210)에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213)을 회전체몸체부(220)에 구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아울러, 상기 덮개 커버부(110)는 핸드폰의 표시창이 보이도록 확대경(11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예컨대, 상기 확대경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문자, 기호, 숫자 등이 작게 표시되어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으로 전부 오픈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될 때까지 덮개 커버부(110)에서 쉽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For example, the magnifying glass generally has a small character, symbol, number, or the like on a smartphon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it. Therefore, the magnifying glass is not completely opened, So that the
대표적으로, 사용자는 전화가 왔을 때 덮개 커버부(110)를 조금만 들어올려도 발신자 전화번호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Typically,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even if the
상기 케이스부(300)는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110)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회전체판부(210)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된다.The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300)는 상기 회전체판부(210)에 강제 결합됨에 따라 케이스부(300)에 끼워지는 핸드폰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판부(210)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작용을 한다.Accordingly, when the mobile phone inserted in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not used to limit the scope.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커버부 110 : 덮개 커버부
111 : 확대경 120 : 바닥 커버부
200 : 회전체부 210 : 회전체판부
211 : 제 1 통공 212 : 제 1 자석
213 : 돌출부 220 : 회전체몸체부
221 : 제 2 통공 222 : 제 2 자석
223 : 제 3 자석 230 : 축부
224 : 걸림레일 300 : 케이스부100: cover part 110: cover cover part
111: magnifying glass 120: bottom cover part
200: rotating body part 210: rotating body plate part
211: first through hole 212: first magnet
213: protruding portion 220: rotatable body portion
221: second through hole 222: second magnet
223: third magnet 230: shaft portion
224: latching rail 300: case portion
Claims (3)
중심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를 향하는 바닥면에 상기 제 1 통공으로부터 하측에 제 1 자석이 배치된 회전체판부, 중심에 제 2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 커버부 반대를 향하는 상부면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제 2 통공 하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제 2 통공 좌측에 위치하면서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의 우측 끝단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바닥 커버부와 강제 결합되는 회전체몸체부,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에 끼워져 상기 회전체판부가 회전되게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축부로 이루어진 회전체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회전체판부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체몸체부는 걸림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판부는 상기 걸림레일의 양 끝단에 걸리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
A cov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a cover portion for covering the top of the mobile phone and a bottom cover for supporting the mobile phone;
A rotatable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its center and having a first magnet disposed on a lower side from the first through hole on a bottom surface thereof facing the bottom cover portion,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econ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cover of the cellular phone with the cover cover portion being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perture, and a third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aperture, A rotatable body part arranged to be higher than a right end of the bottom cover part and being forcibly coupled to the bottom cover part, and a second lens barrel fit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A rotator including a shaft portion forcibly engaged; And
And a case part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rotatable plate part while the front face of the mobile phone is fitted so as to be covered by the cover part,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table body portion to engage with both ends of the engaging rail.
핸드폰의 표시창이 보이도록 확대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magnifying glass is further provided to show a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ph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1141A KR101636668B1 (en) | 2016-01-05 | 2016-01-05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1141A KR101636668B1 (en) | 2016-01-05 | 2016-01-05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6668B1 true KR101636668B1 (en) | 2016-07-05 |
Family
ID=5650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11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6668B1 (en) | 2016-01-05 | 2016-01-05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666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4522Y1 (en) | 2017-06-12 | 2017-09-18 | 김시현 | Mobile phone case with suction plate |
KR20180001554U (en) * | 2016-11-16 | 2018-05-25 | 김재식 | Smart Phone Case Hanging Bus Handle |
KR20210008458A (en) | 2019-07-14 | 2021-01-22 | 김소진 | Case for smart phone |
KR20210016873A (en) | 2019-08-05 | 2021-02-17 | 김소진 | Case for smart ph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421B1 (en) * | 2013-05-28 | 2014-11-28 | 최태형 | Wallet type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
KR20150090973A (en) * | 2014-01-30 | 2015-08-07 | 노정호 | Mobile phone case for the use of flip model with magnifying glass |
KR101556062B1 (en) * | 2014-05-30 | 2015-09-30 | 주식회사 시스컴퍼니 | Diary type cell phone case |
KR200478502Y1 (en) | 2014-06-02 | 2015-10-14 | 강성진 | Hand phone protection case for camera protection |
-
2016
- 2016-01-05 KR KR1020160001141A patent/KR1016366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421B1 (en) * | 2013-05-28 | 2014-11-28 | 최태형 | Wallet type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
KR20150090973A (en) * | 2014-01-30 | 2015-08-07 | 노정호 | Mobile phone case for the use of flip model with magnifying glass |
KR101556062B1 (en) * | 2014-05-30 | 2015-09-30 | 주식회사 시스컴퍼니 | Diary type cell phone case |
KR200478502Y1 (en) | 2014-06-02 | 2015-10-14 | 강성진 | Hand phone protection case for camera protec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554U (en) * | 2016-11-16 | 2018-05-25 | 김재식 | Smart Phone Case Hanging Bus Handle |
KR200484522Y1 (en) | 2017-06-12 | 2017-09-18 | 김시현 | Mobile phone case with suction plate |
KR20210008458A (en) | 2019-07-14 | 2021-01-22 | 김소진 | Case for smart phone |
KR20210016873A (en) | 2019-08-05 | 2021-02-17 | 김소진 | Case for smart 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23040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camera modules | |
KR100606003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9369170B2 (en) | Mobile device case with movable camera cover | |
KR100454965B1 (en) |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 |
KR100605842B1 (en) | Camera Lens Module Rota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US7366541B2 (en) | Mobile telephone fitted with a pivotal camera | |
KR101636668B1 (en)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
US201701051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rivacy | |
KR101544093B1 (en) | Wallet Type Safe Case For Cell Phone | |
KR101878133B1 (en) | Two Mobile Phone Case | |
KR20130006851A (en) | Camer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412222B1 (en) | case of mobile phone for self photographing | |
JP6253809B2 (en) | Mobile device case | |
KR100678039B1 (en) | Camera Door Opener in Folding Cell Phone | |
JP2003289358A (en) | Mobile telephone equipment with camera | |
KR20150025536A (en) | Multi-shot camera lens that is equipped with a Cell Phone Case | |
KR101636667B1 (en) |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 |
JP3200002U (en) | Communication terminal case | |
KR200487466Y1 (en) | Wallet-type mobile phone case for easy photography | |
KR101921872B1 (en) | Sliding and rotating type case for cell phone | |
KR101556061B1 (en) | Diary type cell phone case with inner case | |
KR20040038021A (en) |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 |
JP3205528U (en) | Case for mobile terminal with telephone function | |
KR100907789B1 (en) | Mobile screen magnifier for easy storage | |
CN101267464B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