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97B1 -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1297B1 KR101631297B1 KR1020140177330A KR20140177330A KR101631297B1 KR 101631297 B1 KR101631297 B1 KR 101631297B1 KR 1020140177330 A KR1020140177330 A KR 1020140177330A KR 20140177330 A KR20140177330 A KR 20140177330A KR 101631297 B1 KR101631297 B1 KR 1016312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cles
- particle size
- superabsorbent resin
- weight
- 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10—Aqueous solv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2—Apparatus for use in addition polymerization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상기 f) 단계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정상입자와 재조립체의 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도 600~850㎛ 크기의 입자 25~35 중량%, 입도 300~600㎛ 크기의 입자 25~45 중량%, 입도 150~300㎛ 크기의 입자 1~10 중량% 및 입도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 20~30 중량%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고흡수성 수지에 비하여 흡수속도 및 투수성 특성을 함께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상입자 | 재조립체 | ||||
850~600㎛ | 600~300㎛ | 300~150㎛ | 함량 | 함량 | |
비교예1 | 35 | 50 | 15 | 100% | 0% |
비교예2 | 31 | 45 | 14 | 90% | 10% |
비교예3 | 31 | 43 | 11 | 85% | 15% |
실시예1 | 31 | 39 | 7 | 77% | 23% |
실시예2 | 31 | 36 | 3 | 70% | 30% |
물성 | ||||
CRC | 0.7AUP | SFC | Vortex | |
비교예1 | 31.0 | 24.9 | 39.0 | 78.0 |
비교예2 | 31.2 | 24.6 | 37.3 | 72.0 |
비교예3 | 31.1 | 24.1 | 40.5 | 62.0 |
실시예1 | 29.7 | 24.4 | 60.2 | 34.0 |
실시예2 | 31.1 | 24.6 | 69.8 | 31.0 |
Claims (20)
- a)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열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함수겔상 중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함수겔상 중합체를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함수겔상 중합체를 분쇄하여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 단계;
d)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입도 150㎛ 미만인 입자, 입도 150㎛ 이상 300㎛ 미만인 입자, 입도 300㎛ 이상 450㎛ 미만인 입자, 입도 450㎛ 이상 600㎛ 미만인 입자, 및 입도 600㎛ 이상 850㎛ 이하인 입자로 분급하는 단계;
e) 상기 분급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 각각에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f) 상기 표면 가교제가 첨가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 중 600~850㎛, 300~600㎛ 및 150~300㎛ 크기의 입자가 혼합된 정상입자에,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를 혼합한 후,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정상입자와 재조립체의 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도 600~850㎛ 크기의 입자 25~35 중량%, 입도 300~600㎛ 크기의 입자 25~45 중량%, 입도 150~300㎛ 크기의 입자 1~10 중량% 및 입도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 20~30 중량%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재조립한 재조립체는 150~450㎛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정상입자와 재조립체의 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도 600~850㎛ 크기의 입자 28~35 중량%, 입도 300~600㎛ 크기의 입자 30~45 중량%, 입도 150~300㎛ 크기의 입자 2~8 중량% 및 입도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 2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는 분급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하나의 표면 가교 반응기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건조 단계 전에, 함수겔상 중합체를 입도가 1mm 내지 15mm로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건조 단계는 15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가교제는 다가 알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폴리아민 화합물; 할로에폭시 화합물; 할로에폭시 화합물의 축합 산물; 옥사졸린 화합물; 모노-, 디- 또는 폴리옥사졸리디논 화합물; 환상 우레아 화합물; 다가금속염; 및 알킬렌 카보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표면 가교제는 분쇄된 고흡수성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표면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온도는 6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첨가되는 표면 가교제의 온도는 5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표면 가교 반응은 1 분 내지 60 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스팀, 전기, 자외선 및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열원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조사하여 승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Vortex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한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50x10-7 cm3·s/g 이상의 식염수 흐름 전도성(a saline flow conductivity, SF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로서,
수지의 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도 600~850㎛ 크기의 입자 25~35 중량%;
입도 300~600㎛ 크기의 입자 25~45 중량%;
입도 150~300㎛ 크기의 입자 1~10 중량%; 및
입도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 20~30 중량%;
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재조립체는 150~450㎛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 청구항 16에 있어서,
수지의 전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입도 600~850㎛ 크기의 입자 28~35 중량%, 입도 300~600㎛ 크기의 입자 30~45 중량%, 입도 150~300㎛ 크기의 입자 2~8 중량% 및 입도 450㎛ 이하 크기의 입자를 사용하여 재조립한 재조립체 2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Vortex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한 흡수속도가 50초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50x10-7 cm3·s/g 이상의 식염수 흐름 전도성(a saline flow conductivity, SF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3562 | 2013-12-11 | ||
KR20130153562 | 2013-12-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321A KR20150068321A (ko) | 2015-06-19 |
KR101631297B1 true KR101631297B1 (ko) | 2016-06-16 |
Family
ID=5351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7330A Active KR101631297B1 (ko) | 2013-12-11 | 2014-12-10 |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12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2011B1 (ko) * | 2014-01-10 | 2021-08-20 | 고마쓰 마테레 가부시키가이샤 | 섬유 강화 수지 재료 및 그것을 이용한 섬유 강화 수지 성형체 |
KR101848470B1 (ko) | 2015-07-10 | 2018-04-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
WO2017078369A1 (ko) * | 2015-11-03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KR101960043B1 (ko) | 2015-11-03 | 2019-07-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KR102075733B1 (ko) | 2016-12-13 | 2020-0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452567B1 (ko) | 2019-01-07 | 2022-10-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3213A (ja) | 2005-03-25 | 2008-08-21 | 株式会社日本触媒 | 吸水性樹脂造粒物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樹脂造粒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302541B (en) * | 2003-05-09 | 2008-11-01 | Nippon Catalytic Chem Ind | Water-absorbent resin and its production process |
MXPA06003583A (es) | 2004-03-29 | 2006-06-05 | Nippon Catalytic Chem Ind | Agente particulado absorbente de agua con resina absorbente de agua como componente principal. |
KR101495779B1 (ko) * | 2010-11-30 | 2015-02-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EP2826807B1 (en) * | 2012-04-25 | 2018-02-28 | LG Chem, Ltd. | Super absorbent 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2014
- 2014-12-10 KR KR1020140177330A patent/KR10163129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33213A (ja) | 2005-03-25 | 2008-08-21 | 株式会社日本触媒 | 吸水性樹脂造粒物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樹脂造粒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321A (ko) | 2015-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298B1 (ko)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07287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 |
KR101290740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855353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미분 재조립체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 |
KR101495779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101586383B1 (ko)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064649A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 |
KR101960041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 |
KR101631297B1 (ko) |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80830B1 (ko)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50061270A (ko) |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127938A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 |
KR101967807B1 (ko) | 파쇄 저항성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25950B1 (ko) | 수용성 염을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595037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JP7184443B2 (ja) | 高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210038081A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JP7039108B2 (ja) | 高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高吸水性樹脂 | |
KR102073953B1 (ko) | 내파쇄성 고흡수성 수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용 조성물 | |
KR101910098B1 (ko) |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액으로 처리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 | |
KR101699504B1 (ko) | 고흡수성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80071933A (ko)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665374B1 (ko) |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 |
KR20250047133A (ko) |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