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9090B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090B1
KR101629090B1 KR1020140131328A KR20140131328A KR101629090B1 KR 101629090 B1 KR101629090 B1 KR 101629090B1 KR 1020140131328 A KR1020140131328 A KR 1020140131328A KR 20140131328 A KR20140131328 A KR 20140131328A KR 101629090 B1 KR101629090 B1 KR 10162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attached plate
attached
hea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572A (ko
Inventor
다카시 교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3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과제) 부착구멍이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그 곡면부의 곡률반경이 다르다 하더라도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2) 및 상기 머리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다리부(3)를 가지며, 피부착판(7)의 곡면부[7a, (7b)]에 형성된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클립(1)으로서, 머리부(2)의 이면에 형성되어 피부착판(7)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15)와, 부착구멍(8)에 삽입되어 피부착판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걸림다리부(3)에 형성된 돌기(14)에 의해 피부착판(7)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피부착판에 부착되는 클립 중, 특히 피부착판이 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곡면부에 부착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8의 (a) 및 (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배수 플러그(A, 본 발명의 클립에 대응)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플러그(A)는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1)와, 머리부(1)에 돌출형성된 다리부(2)와, 다리부(2)의 상측 주위에 돌출형성된 플랜지부(4)를 가지고 있으며, 도어 패널(B)을 구성하고 있는 이너 패널(B')의 하부에 형성된 물빼기구멍(본 발명의 부착구멍에 대응, 5)에 다리부(2)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된다. 상기 부착구조는 물빼기구멍(5)에 대한 다리부(2)의 삽입상태에서, 다리부(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편(3)과 플랜지부(4)의 사이에 물빼기구멍의 구멍 가장자리(5a)를 협지(挾持)하는 것에 의해 패널(2)에 고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공평7-3235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부착구조에서는 플랜지부(4)의 협지면(挾持面) 및 걸림편(3)의 협지면인 단차부(3a)가 모두 평탄면이며, 물빼기구멍의 구멍 가장자리(5a)를 이들 평탄면끼리의 사이에 협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부착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물빼기구멍 내지는 부착구멍이 본 발명을 적용한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피부착판(7)의 곡면부(7a)에 형성되어 있으면, 부착불능상태로 되거나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없다. 종래는, 이와 같은 물빼기구멍 내지는 부착구멍이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 곡면에 맞춘 단일의 클립, 즉 전용 클립으로서 제작하고 있어, 곡면이 다르면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부착구멍(물빼기구멍을 포함)이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 곡면부의 곡률반경이 다르다 하더라도 안정된 부착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명백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다리부를 가지며,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상기 걸림다리부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머리부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상기 걸림다리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피부착판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제 1 구성).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착판」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패널, 수조(水槽)나 기기의 하우징이나 케이싱을 구성하고 있는 벽부재 등이 포함된다. 「곡면부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서는,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부착구멍의 구멍 전체가 곡면부에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부착구멍의 일부가 곡면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의 제 2 구성∼제 6 구성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상기 머리부의 돌기와 상기 걸림다리부의 돌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은, 선단면이 상기 피부착판의 곡면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의)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제 2 구성).
(2) 상기 걸림다리부의 돌기와 상기 머리부의 돌기는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양 돌기 중 일측의 돌기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제 3 구성).
(3) 상기 머리부는, 상기 걸림다리부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이면에 맞닿는 삽입편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제 4 구성).
(4)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편부와 대향하는 측에 탄성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피부착판을 상기 삽입편부와 상기 탄성부에 의해 협지하는 구성이다(제5 구성).
이에 대해, 제 6 구성은 이상의 클립이 차량용 구성 판재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부착되는 차음재(遮音材) 내지는 밀봉재로서 이용되는 점을 특정한 것이다. 단, 본 발명의 클립의 용도는, 부착구멍을 곡면부에 형성하고 있는 설계구조라면, 차음재나 밀봉재 이외에도 매우 적합한 것은 물론이다.
제 1 구성의 발명에서는, 머리부의 이면에 형성되어 피부착판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와,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피부착판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걸림다리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피부착판을 협지한다. 상기 부착구조에서는, 부착구멍이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면적이 작은 돌기끼리의 사이에 피부착판 즉 부착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를 협지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더욱 안정된 협지 형태가 되며, 그것에 수반하여 설계대로의 고정력도 부여할 수 있다.
제 2 구성의 발명에서는, 머리부의 돌기 선단면 또는/및 걸림다리부의 돌기 선단면이 피부착판의 곡면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평탄면끼리의 사이에 협지하는 구조에 비하여 곡면부의 곡률반경을 따르기 쉬워지게 되며, 그것에 수반하여 고정력도 크게 할 수 있다.
제 3 구성의 발명에서는, 걸림다리부의 돌기와 머리부의 돌기는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도 3(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양 돌기 중 일측의 돌기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클립 및 부착구멍이 커지게 되는 것 같은 설계구조에 있어서 안정된 협지 형태를 유지하기 쉬워지게 된다.
제 4 구성의 발명에서는, 상기 머리부가, 상기 걸림다리부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형성되며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피부착판의 이면에 맞닿는 삽입편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착구멍에 대해서 걸림다리부를 삽입할 때에 삽입편부를 먼저 삽입하여 삽입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피부착판에 대한 삽입편부의 맞닿음 상태에 의해 클립 전체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력을 유지 가능하게 한다.
제 5 구성의 발명에서는, 피부착판을 돌기끼리에 의한 협지에 더불어서 피부착판을 삽입편부와 탄성부에 의해서도 협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머리부가 형태 예와 같이 비교적 크게 되는 경우라도 더욱 안정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 6 구성의 발명은 이상의 용도를 특정한 것이며, 클립으로서 상기한 각 이점을 구비할 수 있고 신뢰성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클립의 사용례를 나타내며, (a)는 피부착판의 표면측에서 본 도면, (b)는 피부착판의 부착구멍 주위를 나타내는 도면,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a)의 A-A선 확대 단면도, (b)는 도 1(a)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클립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b)는 그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상기 클립의 상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상기 클립의 측면도, (b)는 (a)의 D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4(b)의 c-c선 단면도, (b)와 (c)는 도 5(a)의 E-E선 단면도와 F-F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피부착판의 곡면부의 곡률반경을 변경한 변형례로서 상기 클립의 부착 형태를 도 2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와 (b)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클립의 구조, 그 사용례, 변형례의 순으로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발명의 시작품보다 크게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클립의 구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의 클립(1)은, 도 1에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지의 사출 형성품이며,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2)와, 머리부(2)에 돌출형성된 걸림다리부(3)와, 걸림다리부(3)의 양 측면에 형성된 탄성 걸림편(4)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착판(7)의 곡면부(7a)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타입이다.
주된 주요부는, 머리부(2)의 이면에 형성되어 피부착판(7)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15)와, 부착구멍(8)에 삽입되어 피부착판(7)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걸림다리부(3)의 탄성 걸림편(4)에 형성된 돌기(14a)에 의해 피부착판(7)을 협지하는 점, 머리부(2)는 걸림다리부(3)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형성되며 부착구멍(8)에 삽입되어 피부착판(7)의 이면에 맞닿는 삽입편부(5)를 가지고 있는 점, 머리부(2)는 삽입편부(5)와 대향하는 측에 탄성부(11)를 형성하고 있는 점, 피부착판(7)을 삽입편부(5)와 탄성부(11)에 의해 협지하는 점 등에 있다. 이하, 이들의 세부(細部)를 명백하게 한다.
머리부(2)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착판(7)의 곡면부(7a)와 같은 방향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걸림다리부(3) 및 삽입편부(5)를 돌출하고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하부 중, 삽입편부(5)와 대향하는 측을 연장 형성한 얇은 두께 형상의 탄성부(11)로 이루어진다. 탄성부 (11)는 부착구멍(8)에 대한 클립(1)의 부착상태에서 피부착판(7)의 표면에 압접된다.
본체(10)는 부착구멍(8)을 여유를 가지고 덮는 치수이며,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로 리브(13)와, 이면(10b)의 판 폭 중간에 형성되어 삽입편부(5)의 기부 (5a)와 대향하고 있는 세로 리브(10c)와,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탄성부(11)와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일단 낮아진 단차부(6)와, 단차부(6)의 판 폭 중간에 형성되어 걸림다리부(3) 내로 통하고 있는 개구(19)와, 걸림다리부(3)의 기부 양측에 위치하여 피부착판(2)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 (15)를 가지고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5(b)와 도 6(c)에 있어서, 부호“20”은 본체의 이면(10b)에 있어서 걸림다리부(3)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세로 리브, 부호 “21”은 본체의 이면(10b) 있어서 걸림다리부(3)와 삽입편부(5)의 사이에 돌출형성된 세로 리브이다.
이 중, 가로 리브(13)는 클립 부착조작시에 가지기 쉽게 하는 미끄럼 방지이다. 세로 리브(10c)는 도 1(b)의 가로 방향으로 패널 등의 피부착판(7)이 만곡했을 때에 센터에서 선 맞춤하는 것에 의해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요점은, 면 맞춤이라면 클립(1)이 떠 버리기 때문에 그것을 피하는 리브(10c)이다. 단차부(6)는 도 1 (a)와 같이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부착구멍 (8)의 대응 단측과의 사이에 물빼기용의 틈새를 형성한다. 개구(19)는 걸림다리부 (3) 내로 침입한 액을 배출하기 쉽게 한다.
양측의 돌기(15)는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돌기(15)는 적어도 선단면이 피부착판(7)의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의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전체가 반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본체(10)가 각 돌기(15)의 원호면을 통하여 피부착판(7)의 표면측에 맞닿고, 즉 선 접촉하는 것에 의해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이 달라도 안정된 맞닿음 상태를 유지한다. 각 세로 리브(20, 21)는 보강용이다.
걸림다리부(3)는 부착구멍(8)에 대응한 단면 직사각형의 폐관 통 형이다. 걸림다리부(3)의 양 측벽에는 탄성 걸림편(4)이 ㄷ형 슬릿 즉 2개의 세로 슬릿(16) 및 슬릿(16)끼리를 접속하고 있는 하측 슬릿(16a)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 걸림편(4)은 위에서 보면, 아래로 갈수록 외측으로 장출(張出)하고 있으며, 부착구멍(8)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측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걸림다리부(3)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위를 수반하여 부착구멍(8)을 통과하고, 통과와 동시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부호 “17”은 걸림다리부(3)의 하측 벽부의 상단측에 형성된 단차부, 부호 “18”은 걸림다리부(3)의 하측 벽부 외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이다.
또, 각 탄성 걸림편(4)의 자유단에는, 도 2 및 도 5의 각 (a)의 확대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피부착판(7)의 이면측에 맞닿는 돌기(14a)와, 돌기 (14a)에 대해 더욱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1쌍의 작은 돌기(14b)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4a)는 돌기(15)와 약간의 틈새를 유지하여 대향하고 있으며, 선단면이 피부착판(7)의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의 R형 내지는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걸림다리부(3)가 부착구멍(8)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 돌기(14a)의 원호면을 통하여 피부착판(7)의 이면측에 맞닿고, 즉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하는 것에 의해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이 달라도 안정된 맞닿음 상태를 유지한다. 이 점은 돌기(15)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해, 각 작은 돌기(14b)는 돌기(14a)에 비하여 더욱더 안쪽 즉 걸림다리부(3) 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걸림다리부(3)가 부착구멍(8)에 삽입된 상태에서 부착구멍(8) 내로 끼워지는 개소이다.
삽입편부(5)는 도 3과 도 6의 각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체의 이면 (10b)에 있어서 걸림다리부(3)와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여 연결된 기부(5a)와, 기부 (5a)에 연결되어 탄성부(11)보다도 연장되어 있는 선단부(5b)로 이루어진다. 기부 (5a)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호의 일단이 이면(10b)에 연결되고, 원호의 타단이 본체(10)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다. 선단부(5b)는 성형 상태에서 탄성부(11)와 거의 평행으로, 탄성부(11)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사용례)
이상의 클립(1)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부착판(7)이 곡면부 (7a)를 가지며, 그 곡면부(7a)에 형성되는 부착구멍(8)에 고정된다. 또, 도 7에 예시한 곡면부(7b)에 형성되는 부착구멍(8)에도 고정된다. 즉, 도 7은 곡면부(7b)가 곡면부(7a)의 곡률반경과 다른 변형례이며, 그 이외는 상기 실시형태예와 같다. 부착구멍(8)은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인 물빼기구멍을 겸한다. 따라서, 클립(1)은 부착구멍(8)에 부착된 상태로 소리의 침입을 억제하는 차음재, 혹은 액체의 침입을 억제하는 밀봉재로서 작용하는 예이지만, 부착구조를 제외하고는 그 이외의 용도에도 전개 가능하다. 다음에, 부착조작의 요령에 대해서 서술한다.
(가) 클립(1)의 부착조작에서는, 우선, 부착구멍(8)에 대해서 삽입편부(5)의 선단을 끼워 넣는다. 그때는, 삽입편부(5)를 부착구멍(8)에 조금 삽입하면, 탄성부 (11)가 피부착판(7)의 표면측에 닿으므로, 피부착판(7)을 삽입편부(5)와 탄성부 (11)에 의해 끼워 넣은 상태가 된다. 그 상태로부터, 머리부(2)를 탄성부(11)를 따르는 전방 방향으로 눌러서 클립(1)의 전체를 조금 이동하면, 걸림다리부(3)도 부착구멍(8)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나) 최후는, 머리부(2) 중, 걸림다리부(3)의 바로 위 부근을 부착구멍(8)의 방향으로 누르면, 양측의 탄성 걸림편(4)이 탄성 축경(縮徑)하면서 부착구멍(8)을 통과하고, 통과와 동시에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클립(1)은 본체 이면(10b)측의 돌기(15)와 탄성 걸림편(4)측의 돌기(14a) 사이에 피부착판(7) 즉 부착구멍(8)의 구멍 가장자리를 협지함과 아울러, 피부착판(7)을 삽입편부(5)와 탄성부(11)로 협지한다. 전자의 협지력은 머리부(2) 중 걸림다리부(3) 주위를 특히 규제하고, 후자의 협지력은 머리부(2) 중 긴 방향인 걸림다리부(3)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특히 규제한다. 기술적으로는, 걸림다리부[3, 즉, 돌기(15)와 돌기(14a)에 의한 협지력]로 발거력(拔去力)을 내고 있으며, 그것과, 삽입편부(5)와 탄성부(11)에 의한 협지의 위치 관계에 의해 피부착판(7)의 R 즉 곡면부(7a나 7b)에 대한 클립 (1)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다.
(다) 덧붙여 말하면, 전자의 협지력은 돌기(15) 및 돌기(14a)가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을 따르기 쉬운 것으로부터, 부착구멍(8)이 곡면부(7a나 7b)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비교적 작은 돌기(14a, 15)끼리의 사이에 피부착판(7)을 협지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더욱 안정된 협지 형태가 되며, 그것에 수반하여 설계대로의 고정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조에서는 머리부(2)측의 돌기(15)의 선단면 또는/및 걸림다리부(3)에 형성되는 탄성 걸림편(4)측의 돌기(14a)의 선단면 내지는 맞닿음면이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단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평탄면끼리의 사이에 협지하는 구조에 비하여 곡면부의 곡률반경을 따르기 쉬워지게 되며, 그것에 수반하여 고정력도 향상할 수 있다.
(라) 후자의 협지력은 삽입편부(5)가 걸림다리부(2)와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며, 부착구멍(8)에 삽입되어 피부착판(7)의 이면에 맞닿기 때문에, 부착구멍(8)에 걸림다리부(3)를 삽입할 때에 삽입편부(5)를 삽입 가이드용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피부착판(7)에 대한 삽입편부(5)의 맞닿음 상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클립 전체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더욱 안정된 고정력을 유지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서, 피부착판(7)을 전자의 돌기(15, 14a)끼리에서의 협지에 더불어서 피부착판(7)을 삽입편부(5)와 탄성부(11)에 의해서도 협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머리부(2)가 실시형태예와 같이 비교적 커지게 되는 경우라도 더욱 안정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변형례)
이상의 클립(1)은 필요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변형 가능하다.
1번째로, 돌기(15)로서는 도 3(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다리부(3)의 돌기(14b)와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돌기(15)에 대신하여 돌기(14a)를 2개 이상 형성하거나, 돌기(15) 및 돌기(14a)의 양쪽을 모두 2개 이상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들은, 예를 들면, 클립(1) 및 부착구멍(8)이 커지게 되는 것 같은 설계구조에 있어서 안정된 협지 형태를 유지하기 쉽게 된다. 또, 2개 이상의 돌기(15)나 돌기(14a)를 형성할 경우는, 곡면부(7a나 7b)의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각 돌기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2번째로, 돌기(15) 및 돌기(14a)의 형상은, 원리적으로는 상기한 단면 대략 원호 형상이 아니더라도, 삼각 등의 형상이라도 좋다.
3번째로, 머리부(2)에는, 단차부(6)와 부착구멍(8)의 대응 단측 사이에 형성되는 물빼기용의 틈새를 바로 위에서 물빼기 가능하게 덮는 미도시의 차폐부나 덮개 등을 필요에 따라 추가하는 것이다.
4번째로, 클립(1)의 용도는, 형태 이외의 예로서 예를 들면, 머리부(2)에 선재 등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형성하여 유지도구용으로서 구성하거나, 작은 물품을 거는 훅 등의 걸어둠부를 형성하여 걸어둠 도구용으로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클립은, 각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세부는 이 형태 및 변형례를 참고로 하여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1: 클립
2: 머리부(10은 본체, 11은 탄성부)
3: 걸림다리부
4: 탄성 걸림편
5: 삽입편부(5a는 기부, 5b는 선단부)
6: 단차부
7: 피부착판(7a와 7b는 곡면부)
8: 부착구멍
14a: 돌기
15: 돌기

Claims (9)

  1. 플랜지 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다리부를 가지며, 피부착판의 곡면부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상기 걸림다리부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머리부의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표면측에 맞닿는 돌기와,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이면측에 맞닿도록 상기 걸림다리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피부착판을 협지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걸림다리부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피부착판의 이면에 맞닿는 삽입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돌기와 상기 걸림다리부의 돌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은, 선단면이 상기 피부착판의 곡면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다리부의 돌기와 상기 머리부의 돌기는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양 돌기 중, 일측의 돌기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다리부의 돌기와 상기 머리부의 돌기는 서로 대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양 돌기 중, 일측의 돌기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삽입편부와 대향하는 측에 탄성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피부착판을 상기 삽입편부와 상기 탄성부에 의해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용 구성 판재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부착되는 차음재 내지는 밀봉재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삭제
  9. 삭제
KR1020140131328A 2013-10-02 2014-09-30 클립 Active KR10162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7670A JP6282075B2 (ja) 2013-10-02 2013-10-02 クリップ
JPJP-P-2013-207670 2013-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572A KR20150039572A (ko) 2015-04-10
KR101629090B1 true KR101629090B1 (ko) 2016-06-09

Family

ID=5301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328A Active KR101629090B1 (ko) 2013-10-02 2014-09-30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82075B2 (ko)
KR (1) KR1016290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691A (ja) 2006-11-16 2008-06-05 Honda Motor Co Ltd 水抜きプラグ
JP2011079482A (ja) 2009-10-09 2011-04-21 Piolax Inc 排水プラ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53Y2 (ja) * 1989-01-19 1995-07-2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排水プラグ
JPH0732353A (ja) 1993-07-15 1995-02-03 Masahisa Nakajo 載置台
JP4933965B2 (ja) * 2007-06-29 2012-05-1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リッド開閉操作装置
JP5107283B2 (ja) * 2009-03-02 2012-12-26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JP5044807B2 (ja) * 2011-01-17 2012-10-10 コクヨ株式会社 取付部材及び収納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691A (ja) 2006-11-16 2008-06-05 Honda Motor Co Ltd 水抜きプラグ
JP2011079482A (ja) 2009-10-09 2011-04-21 Piolax Inc 排水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72043A (ja) 2015-04-16
KR20150039572A (ko) 2015-04-10
JP6282075B2 (ja)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708B2 (ja) 取付具
JP6122336B2 (ja) ホールプラグ
JP4885638B2 (ja) プロテクタ
US10434960B2 (en) Member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clip
EP3127751A1 (en) Layered composite component
JP2019075235A (ja) グロメット
US9550441B2 (en) Clip for mounting component, and component-mounting structure
KR200488349Y1 (ko) 버스바조립체
US10003154B2 (en) Dust cap having a housing with a cantilever beam secured to a shell of a receptacle by a coupling member
CN205178116U (zh) 一种车辆用连接器连接部件
JP2008305601A (ja)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6002327B2 (ja) 樹脂クリップ用補強板ばね
JPWO2017134811A1 (ja) バックル
JP5246086B2 (ja) コネクタ
KR101629090B1 (ko) 클립
JP6537386B2 (ja) 挿入部材の取付構造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JP5911023B2 (ja) 樹脂部材取付構造
US10153578B2 (en) Connector structure
JP2013059139A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組立部品
JP5109785B2 (ja) 基板用コネクタの取付け構造
JP2014180915A (ja) モールのクリップ締結構造
WO2017033716A1 (ja) 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付電線
JP2017079859A (ja) バックル
JP2014204530A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