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6569B1 -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69B1
KR101626569B1 KR1020150172525A KR20150172525A KR101626569B1 KR 101626569 B1 KR101626569 B1 KR 101626569B1 KR 1020150172525 A KR1020150172525 A KR 1020150172525A KR 20150172525 A KR20150172525 A KR 20150172525A KR 101626569 B1 KR101626569 B1 KR 10162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ace
endothelium
inner skin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학
Original Assignee
한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학 filed Critical 한상학
Priority to KR102015017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이 개시된다.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은, 저장 공간이 형성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내피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피는, 외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방수 재질의 제1 내피와, 제1 내피의 내부에서 제1 내피의 내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는 제2 내피와, 제1 내피와 제2 내피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MULTI DAMPPROOFING CONTAINER BAG}
본 발명은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류 비용의 증가에 의해 증가로 한정된 공간(예컨대,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에 많은 량의 내용물을 운반시킬 수 있도록, 내용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백의 구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종이재, 직물 또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 또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테이너 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시킬 수 있도록 외형의 변형이 쉬운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는 내용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측방향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배부름은 컨테이너 백의 측방향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배부름 폭 만큼 적재공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적재량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백의 측방향 하중에 의한 배부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도보강이 요구된다.
또한, 습기에 약한 내용물이나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강도 보강과 더불어 방수(防水)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컨테이너 백이 요구된다.
KR 등록특허 10-0678622(2007.01.29) KR 등록특허 10-0847538(2008.07.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량물을 저장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내피를 포함한다.
내피는, 외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방수 재질의 제1 내피와, 제1 내피의 내부에서 제1 내피의 내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는 제2 내피와, 제1 내피와 제2 내피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측면은 제2 내피의 제1 내벽면에 고정되고 제2 측면은 제2 내피의 제2 내벽면에 고정되며, 제1 측면의 가장자리 및 제2 측면의 가장자리는 제2 내피를 관통하여 제1 내피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측면의 가장자리와 제2 측면의 가장자리는 제1 내피의 절개된 부분을 통과하여 제2 내피에 고정되며, 제1 내피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피에는 복수개의 제1 굴곡부가 형성되고, 제2 내피에는 제1 굴곡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측면의 가장자리와 제2 측면의 가장자리의 각각이 제1 굴곡부에 삽입 고정되어 제1 내피와 제2 내피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 내피와 제2 내피 및 연결부의 고정 작용에 의해,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에 고정력을 더욱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바, 중량물이 다중 방습 컨터이너 백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량울의 하중에 의해 측방향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견인하여 소정의 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략 사각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송 과정에서 일측으로 전도되어 중량물이 유출되지 않아, 중량물의 이송 과정에서 경제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의 외피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1 내피와 제2 내피를 포함하는 내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2 내피에 연결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내피와 제2 내피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내피와 제2 내피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의 외피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1 내피와 제2 내피를 포함하는 내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100)은, 저장 공간이 형성된 외피(10)와, 외피(10의 저장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내피(20)를 포함한다.
외피(10)는 저장물이 저장된 내피(20)를 소정의 공간에 적재하거나 운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10)는, 곡물, 사료, 시멘트 또는 합성수지원료(RESIN) 등과 같은 분말과 작은 입자 상태의 분말 또는 액상의 내용물 등의 중량물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10)에는 전술한 중량물을 수용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견인 고리(11)가 돌출될 수 있다.
즉, 견인 고리(11)는 외피(10)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지게차 또는 크레인의 후크부재 등에 걸림 고정 가능하도록 외피(10)의 상부에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견인 고리(11)는 외피(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고정 수단으로 외피(10)에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10)의 저장 공간의 내부에는 내피(20)가 삽입된다.
도 3은 도 2의 제2 내피에 연결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내피와 제2 내피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20)는, 외피(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방수 재질의 제1 내피(21)와, 제1 내피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내피의 내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는 제2 내피(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피(21)는 외피(10)의 내부 저장 공간에 삽입되어 중량물을 저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량물이 액상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닐 재질 등과 같은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내피(21)는 비닐 등의 방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량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내피(21)는, 후술하는 제2 내피(23)와의 연결 과정에서 사각의 단면을 유지하면서 대략적인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내피(21)의 내벽면에 설정된 복수개의 고정 위치에 제2 내피(23)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는 바, 연결부(30)와 제2 내피(23)의 고정 작용에 의해 제1 내피(21)는 외피(10)의 내부에서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면서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제2 내피(23)에서 돌출된 연결부(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봉제로 고정되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연결부(30)는 봉제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또는 다양한 씰링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30)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내피(23)는 제1 내피(21)의 내측에 연결부(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중량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내피(23)는 제1 내피(21)의 내부에서 라이너 내피의 사용으로 2차적인 방습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피(23)는 제1 내피(21)의 내표면에 접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내피(23)는 제1 내피(21)의 사각 기둥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가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중량물이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2 내피(23)는 제1 내피(21)에 연결부(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는 제2 내피(23)의 내부에서 인접한 2개의 측면의 사이 위치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사각형을 이루면서 가장자리기 부분이 제2 내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0)의 가장자리 부분은 길이 방향의 일부분이 제2 내피(23)에 고정되며, 가장자리의 돌출된 선단 부분은 제2 내피(23)를 통과하여 제1 내피(21)의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부(30)는 가장자리의 제1 측면(31)은 제2 내피(23)의 제1 내벽면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의 제2 측면(33)은 제2 내피(23)의 제1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량물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표면이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상의 각이 형성되도록 하여, 컨테이너 등의 상차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연결부(30)의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은 제2 내피(23)에 봉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연결부(30)의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은 제2 내피(23)에 봉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제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30)의 가장자리의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은 제2 내피(23)의 일부분을 통과하여 제1 내피(2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내피(23)에는 복수의 위치에 절개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절개부(23a)는 제2 내피(23)의 내부 둘레를 따라 8개가 각각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23a)는 제2 내피(23)의 하나의 내벽면에 2개로 형성되는 바, 제2 내피(23)에 8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0)는 제2 내피(23)의 서로 다른 내벽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부(23a)에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이 각각 위치되는 바,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이 제2 내피(23)의 절개부(23a)를 통과하여 제1 내피(2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0)의 돌출된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은 일부분이 제2 내피(23)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된 선단이 제1 내피(21)에 고정되는 바,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는 중량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장되도록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고 현상을 방지하여 중량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바, 작업 과정에서 중량물의 유출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중량물의 유출에 따른 인접 설비와의 간섭 또는 작업자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30)의 중앙부분에는 복수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내피(23)의 절개부(23a)와 연결부(30)의 제1 측면(31) 및 제2 측면(33)의 사이 부분에는, 제1 측면(31)과 제2 측면이 절개부(23a)에 삽입된 상태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량물은 절개부(23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중량물의 효과적인 저장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100)은, 외피(10)의 내부에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를 마련하고,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를 연결부(30)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는 외피(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중량물이 유입되는 개구부를 와이어 또는 끈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여 밀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100)은 중량물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 내피(21)와 제2 내피(23) 및 연결부(30)의 고정 작용에 의해,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100)에 고정력을 더욱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바, 중량물이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10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측방향으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견인하여 소정의 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각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송 과정에서 전도되어 중량물이 유출되지 않아 경제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내피와 제2 내피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은, 연결부(30)의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이 제2 내피(23)의 제2 굴곡부(23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아울러, 제2 굴곡부(231)는 제1 내피(21)에 형성된 제1 굴곡부(21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0)는 제1 굴곡부(211) 및 제2 굴곡부(231)에 봉제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0)의 제1 측면(31)과 제2 측면(33)은 제1 굴곡부(211) 및 제2 굴곡부(231)에 의해 제1 내피(21) 및 제2 내피(23)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내피의 일부분을 절개하지 않고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중량물을 유출 없이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외피, 11 : 견인 고리,
20 : 내피, 21 : 제1 내피,
23 : 제2 내피, 23a : 절개부,
30 : 연결부, 31 : 제1 측면,
33 : 제2 측면, 211 : 제1 굴곡부,
231 : 제2 굴곡부.

Claims (4)

  1. 저장 공간이 형성된 외피와, 상기 외피의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저장물이 저장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방수 재질의 제1 내피;
    상기 제1 내피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내피의 내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삽입 고정되는 제2 내피; 및
    상기 제1 내피와 상기 제2 내피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제1 측면이 상기 제2 내피의 제1 내벽면에 고정되고, 제2 측면이 상기 제2 내피의 제2 내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측면의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측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내피에 함께 고정되고,
    상기 제1 내피에는 복수개의 제1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내피에는 상기 제1 굴곡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의 가장자리의 각각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내피와 상기 제2 내피에 연결되는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면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내피의 절개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내피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내피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4. 삭제
KR1020150172525A 2015-12-04 2015-12-04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Expired - Fee Related KR10162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525A KR101626569B1 (ko) 2015-12-04 2015-12-04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525A KR101626569B1 (ko) 2015-12-04 2015-12-04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569B1 true KR101626569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6569B1 (ko) 2015-12-04 2015-12-04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5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KR20220150755A (ko) * 2021-05-04 2022-11-11 박혜진 횡방향 절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230150422A (ko) *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675A (ko) * 1993-12-27 1995-07-20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인 중간크기의 컨테이너
KR200346357Y1 (ko) * 2004-01-15 2004-03-30 주식회사 한국프레콘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1032147B1 (ko) *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675A (ko) * 1993-12-27 1995-07-20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인 중간크기의 컨테이너
KR200346357Y1 (ko) * 2004-01-15 2004-03-30 주식회사 한국프레콘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KR100678622B1 (ko) 2006-03-24 2007-02-06 제일산업 주식회사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KR100847538B1 (ko) 2007-05-10 2008-07-21 감보 머터리얼 핸들링 베베 인양부재를 가진 컨테이너백
KR101032147B1 (ko) * 2010-12-22 2011-05-03 유인상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085B1 (ko) *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WO2018008887A1 (ko) * 2016-07-04 2018-01-11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KR20220150755A (ko) * 2021-05-04 2022-11-11 박혜진 횡방향 절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591080B1 (ko) * 2021-05-04 2023-10-19 박혜진 횡방향 절개부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230150422A (ko) * 2022-04-21 2023-10-31 주식회사 진우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KR102784037B1 (ko) * 2022-04-21 2025-03-24 주식회사 진우 단일 레이어 방수 베플 백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569B1 (ko)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EP3623305A1 (en)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CN102612474B (zh) 用于安装于意在用于运输并处理液体物质的袋子上的排放阀的保护装置
US20120318692A1 (en) Large cargo carrier
KR200422738Y1 (ko) 콘테이너 백
KR10198229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KR101865130B1 (ko) 포장용 상자
KR20040027586A (ko) 콘테이너 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테이너 백
US20210155402A1 (en) Flexible container
JP2015129017A (ja) 積載物拘束具及び梱包方法
JP2016216059A (ja) パレット
KR102126862B1 (ko) 포장용기
JP6284817B2 (ja) パレットサポート
CA3183949A1 (en) Tote with locking divider features
JP5793763B1 (ja) バルク包装箱
JP5155289B2 (ja) バルクバッグ
FI4046950T3 (fi) Kaapelin pakkauskokoonpano sähkökaapelin varastoimiseksi ja auki kelaamiseksi
JP2008074453A (ja) 多目的容器
KR20210077289A (ko) 적재물 포장커버
JP6446632B2 (ja) カバー支持具、荷物防水構造物及び荷物運搬方法
KR102707095B1 (ko) 보강날개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 백
JP6212896B2 (ja) 収納物固定部材
JP3198103U (ja) コンテナ
KR102702155B1 (ko) 컨테이너백
JP6375118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