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32147B1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147B1
KR101032147B1 KR1020100132676A KR20100132676A KR101032147B1 KR 101032147 B1 KR101032147 B1 KR 101032147B1 KR 1020100132676 A KR1020100132676 A KR 1020100132676A KR 20100132676 A KR20100132676 A KR 20100132676A KR 101032147 B1 KR101032147 B1 KR 10103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
container bag
sewn
wall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상
Original Assignee
유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654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3214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상 filed Critical 유인상
Priority to KR10201001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1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유연성 시트재질의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수개의 지지부재의 양끝단에 절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절곡면이 상기 내벽체부재의 절개공을 관통하여 외벽체부재에 결합 고정함으로서 상기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인 수용물을 수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팽창압력으로 인한 내, 외피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수용물의 외부 유출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컨테이너에 일렬로 수납 또는 적층 수납시 외벽체부재까지의 압력이 미치지 아니함에 따라 기존의 컨테이너 백보다 상대적으로 밀집되게 수납 가능하도록 한 경제성을 도모한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을 천공한 후 상기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의 양단 절곡면이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을 봉제처리하고 상기 절개공을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토록 하여 제조한 것과,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를 제1 내벽체부재와 제2 내벽체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양끝단을 외벽체부재의 각 모서리까지 연장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연장부와 접하는 상기 제2 내벽체부재의 모서리부에는 열접착을 이루고 상기 외벽체부재의 각 모서리부에서는 봉제처리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각 모서리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4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 양단을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내측면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과,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이 천공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양단 절곡면이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이 봉제처리토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는 수용물의 압력이 외벽체부재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하며 따라서 수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에 일렬로 수납 또는 적층 수납시 외벽체부재까지 수용물의 팽창압력이 미치지 아니함에 따라 밀집되고 질서정연하게 수납토록 함으로서 한정된 공간인 컨테이너 내부에 최대한 많은 컨테이너백을 안정적으로 수납 운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Manufacturing Method of Container Bag and Container Bag}
본 발명은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유연성 시트재질의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수개의 지지부재의 양끝단에 절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절곡면이 상기 내벽체부재의 절개공을 관통하여 외벽체부재에 결합 고정함으로서 상기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인 수용물을 수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팽창압력으로 인한 내, 외피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수용물의 외부 유출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컨테이너에 일렬로 수납 또는 적층 수납시 외벽체부재까지의 압력이 미치지 아니함에 따라 기존의 컨테이너 백보다 상대적으로 밀집되게 수납 가능하도록 한 경제성을 도모한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은 다량의 운반물을 넣어 장시간 선박 혹은 차량 수송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쌀, 보리, 조와 같은 곡물이나 해조류와 같은 수용물을 다량 넣어 운반할 때에는 통기성이 좋아야만 수용물이 상하지 않게 되고, 석유화학제품 등 액상, 입상, 분말물질 및 기타 벌크물질 등과 같은 유동성 물질의 적하물을 운반 및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밀성과 방수성이 요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컨테이너 백은 섬유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Polyetylene :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직조하여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포대 본체를 만들고, 그 상, 하단부를 포대 본체와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진 덮개부와 받침부로 봉합하며, 이 덮개부와 받침부의 중간부위에는 수용물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입구와 배출구를 부착하고 포대 본체에는 수용물을 선박이나 차량에 이동하기 쉽도록 운반걸이 즉 걸이부재를 부착하여 만들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컨테이너 백에 수용물을 넣고자 할 때에는 컨테이너 백을 이동하여 수용물을 가공 또는 운반하여 최종 배출호퍼의 바로 밑에 위치시키고 컨테이너 백의 투입구에 있는 끈을 풀어 제친 다음 호퍼로 부터 배출하는 수용물을 투입구에서 받아 넣고 일정량 만큼 투입 완료되면 끈으로 투입구를 묶은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작업을 하여 배출구에 묶여있는 끈을 풀어 수용물을 하역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컨테이너 백에 대한 종래기술은,
포대 본체를 제작함에 있어 한장의 시트 형상의 포대 구성요소를 총 4장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시트 형상의 포대 구성요소를 봉제하여 상기 봉제선이 완성된 포대의 모서리로 위치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공정을 거친 후 상기 모서리부로 봉제된 복수개의 시트 형상의 포대 구성요소에 있어 상기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시트 형상의 포대구성요소 상측면에 걸리부재의 양단을 각각 봉제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 백은 그 내부로 수용물을 투입 수용시 적당량을 투입하면 그 시점 이후로는 수용된 수용물의 팽창압력이 상기 봉제처리된 모서리부로 집중되며 따라서 일정량 이상을 투입할 경우 또는 기타 수용물의 특성상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이후에 부피의 팽창이 필수적인 수용물의 경우에는 상기 봉제처리된 모서리부가 견디어야 할 압력은 매우 크고 결국 모서리부가 손상되면서 수용물이 토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 백의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재를 포대가 완성된 이후에 별도의 작업을 통해 복수개의 포대의 간격을 맞춘 후에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일단은 시트 형상의 포대 구성요소에 타단은 또 다른 시트 형사의 포대 구성요소에 봉제처리하여야 하므로 그 공정이 번거롭고 복수개의 시트 형상의 포대 구성요소에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봉제됨으로서 크레인 등의 운반기계에 상기 걸이부재를 걸고 컨테이너 백을 운반시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걸이부재가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 종래의 컨테이너 백의 경우에는 상기 포대 내측에 내피를 구비함에 있어서도 포대의 봉제선과 별도로 내피를 포대 즉, 외피와 봉제처리함으로서 결국 대략 외피와 내피의 봉제 및 접합 부분이 12곳이나 되어 수용물을 수분이나 습기 및 오염물질 등으로 부터 완전하게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 그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또한, 봉제부분이 너무 많아 방수 등이 요구되는 수용물의 경우에도 문제점이 있고,
특히, 외피와 내피가 동시에 수용물의 팽창압력을 받음에 따라 내피 및 외피의 손상으로 인한 수용물의 토출 위험을 항상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이 2008년 5월 15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45053호 발명의 명칭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구조"의 최초출원시 특허청구범위 제1항으로 기재한 내용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청구항 1.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박스형상의 외피를 구성하는 외벽체부재(10)를 다수개 재단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된 다수개 외벽체부재(10)의 길이방향 중앙에 라운딩처리되면서 절곡 형상을 유지하여 모서리부를 형성토록 하는 폼 형성단계와, 상기 폼이 형성된 다수개의 외벽체부재(10) 길이방향 양단을 서로 2중중첩봉제선을 형성 봉제함으로서 상기 2중중첩봉제선이 박스형상의 외벽체부재(10) 각 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봉제 단계와, 상기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을 이루는 각각의 외벽체부재(10) 양단 길이방향에는 또 다른 외벽체부재(10)와 2중중첩봉제선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외벽체부재(10) 상측 모서리부를 기준으로 양면에 끈형상의 걸이부재(30) 양단이 각각 봉제처리하는 걸이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봉제하여 외피의 사방 측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외피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는 덮개부재(40)을 상기 외피 상면과 상기 덮개부재(40) 사방면 끝단을 봉제처리하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하는 덮개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봉제하여 외피의 사방 측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외피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는 바닥부재(50)을 상기 외피 하면과 상기 바닥부재(50) 사방면 끝단을 봉제처리하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하는 바닥부재 봉제단계와, 상기 주입부재(401) 및 배출부재(501)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각각 마감끈을 봉제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을 그 권리로 출원하였고 또한 도 2에 도시된 내벽체부재(20)의 구성요소를 또 다른 독립항으로 상기 외벽체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된 2중중첩봉제선에 함께 봉제처리토록 함으로서 결국 상기 내벽체부재(20)의 형상을 마름모형상으로 함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물의 압력이 외벽체부재(10)까지 미치지 아니하도록 한 것이나 현재 의견제출통지서를 받고 심사중이며,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의 핵심은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를 각각 봉제처리함에 따라 우려되는 내부압력으로 부터의 외벽체부재(10) 손상 및 걸이부재(30)을 하나로 일체되는 외벽체부재(10)에 봉제처리토록 함으로서 걸이부재(30)의 손상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나,
상기 선출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용물의 수용량이 내벽체부재(20)가 외벽체부재(10)와 대각 즉, 마름모 형상을 이룸에 따라 수용되는 량이 적어서 현실적으로 경제적인 손실 및 로스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또한 과다한 수용량을 수용시 내벽체부재(20)에 가중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외벽체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된 2중중첩봉제선의 손상이 불가피하여 결국은 수용물의 압력이 온전히 내벽체부재(20)가 감당할 수 없어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노출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용물의 압력이 외벽체부재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하며 따라서 수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에 일렬로 수납 또는 적층 수납시 외벽체부재까지 수용물의 팽창압력이 미치지 아니함에 따라 밀집되고 질서정연하게 수납토록 함으로서 한정된 공간인 컨테이너 내부에 최대한 많은 컨테이너백을 안정적으로 수납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를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을 천공한 후 상기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의 양단 절곡면이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을 봉제처리하고 상기 절개공을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토록 하여 제조한 것과,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를 제1 내벽체부재와 제2 내벽체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양끝단을 외벽체부재의 각 모서리까지 연장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연장부와 접하는 상기 제2 내벽체부재의 모서리부에는 열접착을 이루고 상기 외벽체부재의 각 모서리부에서는 봉제처리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각 모서리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4개의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 양단을 상기 제1 내벽체부재의 내측면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과,
외벽체부재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이 천공된 내벽체부재와, 상기 내벽체부재와 상기 외벽체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양단 절곡면이 상기 절개공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이 봉제처리토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는 수용물의 압력이 외벽체부재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토록 하며 따라서 수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컨테이너에 일렬로 수납 또는 적층 수납시 외벽체부재까지 수용물의 팽창압력이 미치지 아니함에 따라 밀집되고 질서정연하게 수납토록 함으로서 한정된 공간인 컨테이너 내부에 최대한 많은 컨테이너백을 안정적으로 수납 운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내벽체부재의 절개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부재중 절개공과 접지된 부위를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외벽체부재와 제1 내벽체부재 및 제2 내벽체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도 7에서 일부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관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내벽체부재의 절개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부재중 절개공과 접지된 부위를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외벽체부재와 제1 내벽체부재 및 제2 내벽체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도 7에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공지된 내용을 살펴보면,
섬유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Polyetylene :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재질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재단하여 외벽체부재(10)를 다수개 정확하게는 총 4개를 제조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재단된 4개의 외벽체부재(1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박스형상의 내피를 구성하는 내벽체부재(20)를 다수개 재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총 4장의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공지된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지된 공정에 더불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체부재(20)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200)을 천공한 후 상기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600)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60)의 양단 절곡면(600)이 상기 절개공(200)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600)이 봉제처리하고 상기 절개공(200)을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토록 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외벽체부재(10), 내벽체부재(20) 및 지지부재(6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5인 것이다.
기타 걸이부재(30), 덮개부재(40), 바닥부재(50) 등등의 제조 및 결합방법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내벽체부재(20)에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길게 절개공(200)을 형성하며 상기 절개공(200)의 길이나 기타 절개공(200)의 간격 등등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리라 보며,
또한, 상기 내벽체부재(20)와 외벽체부재(10)간의 길이차이 등 또는 간격 차이 등은 당연히 변형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내벽체부재(20)가 외벽체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이고 수용물을 수납하는 공간이므로 외벽체부재(10)가 상대적으로 높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은 내벽체부재(20)에 수용물을 수용시 팽창압력이 사익 지지부재(60)에 의해 일단 차단되고 더불어 내벽체부재(20)에 의해 2중 차단됨으로서 외벽체부재(10)에 수용물의 팽창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외관상 변형이 발생하거나 기타 외벽체부재(10)의 손상으로 인하여 수용물의 유출과 같은 문제점은 발생치 아니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컨테이너 백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외벽체부재(10)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에서
상기 내벽체부재(20)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200)이 천공되어 있으며, 다음 상기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600)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60)와,
상기 양단 절곡면(600)이 상기 절개공(200)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600)이 봉제처리토록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상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내용과 다른 실시예로서 이하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 또한 상기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그 전제 조건인 섬유재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폴리에틸렌(Polyetylene : P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재질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재단하여 외벽체부재(10)를 다수개 정확하게는 총 4개를 제조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재단된 4개의 외벽체부재(1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사각형의 시트형상으로 박스형상의 내피를 구성하는 내벽체부재(20)를 다수개 재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총 4장의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공지된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체부재(20)를 제1 내벽체부재(210)와 제2 내벽체부재(220)로 형성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양끝단을 외벽체부재(10)의 각 모서리까지 연장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연장부와 접하는 상기 제2 내벽체부재(220)의 모서리부에는 열접착을 이루고 상기 외벽체부재(10)의 각 모서리부에서는 봉제처리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각 모서리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4개의 지지부재(60)를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60) 양단을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내측면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0)를 제1 내벽체부재(210)에 봉제처리하고 내벽체부재(20)를 제1 및 제2 내벽체부재(210, 220)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수용물의 팽창압력을 상기 각각의 제1 내벽체부재(210) 양끝단에 연장부를 형성하여 이를 길게 인출하여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까지 연장토록 하여 봉제처리함으로서 상기 수용물의 팽창압력을 지지부재(60) 및 제1, 2내벽체부재(210, 220)로 견고하게 지탱 가능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내벽체부재(220)를 방수재질로 하여 액상의 수용물을 수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지지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위 이하에 다수개의 타공(601)이 천공되도록 하여 수용물이 내벽체부재(20)의 모서리까지 유입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이나 그 구조에 있어 보는 이에 따라 변형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시함에 따른 효과는 지대한 것이다.
10 : 외벽체부재 20 : 내벽체부재
30 : 걸이부재 40 : 덮개부재
50 : 바닥부재 60 : 지지부재
200 : 절개공 210 : 제1 내벽체부재
220 : 제2 내벽체부재 400 : 주입공
401 : 주입부재 500 : 배출공
501 : 배출부재 600 : 절곡면
601 : 타공

Claims (3)

  1. 외벽체부재(10)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20)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200)을 천공한 후 상기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600)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60)의 양단 절곡면(600)이 상기 절개공(200)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600)이 봉제처리하고 상기 절개공(200)을 열접착으로 고정 접착토록 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2. 외벽체부재(10)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통상의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부재(20)를 제1 내벽체부재(210)와 제2 내벽체부재(220)로 형성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양끝단을 외벽체부재(10)의 각 모서리까지 연장하되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연장부와 접하는 상기 제2 내벽체부재(220)의 모서리부에는 열접착을 이루고 상기 외벽체부재(10)의 각 모서리부에서는 봉제처리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각 모서리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4개의 지지부재(60)를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60) 양단을 상기 제1 내벽체부재(210)의 내측면에 봉제처리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3. 외벽체부재(10)와 그 내부에 구비된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모서리부위 상측에 구비되는 걸이부재(3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상면에는 중앙에 주입공(4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주입공(400) 외주면에 별도의 주입부재(401)를 봉제처리한 덮개부재(40)와 상기 외벽체부재(10) 하면에는 중앙에 배출공(50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500) 외주면에 별도의 배출부재(501)를 봉제처리한 바닥부재(5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공(200)이 천공된 내벽체부재(20)와,
    상기 내벽체부재(20)와 상기 외벽체부재(1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 양단이 절곡되어 절곡면(600)을 형성한 시트형상의 4개의 지지부재(60)와,
    상기 양단 절곡면(600)이 상기 절개공(200)을 관통하여 상기 외벽체부재(10)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면(600)이 봉제처리토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구조.

KR1020100132676A 2010-12-22 2010-12-22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Active KR10103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76A KR101032147B1 (ko) 2010-12-22 2010-12-22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76A KR101032147B1 (ko) 2010-12-22 2010-12-22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147B1 true KR101032147B1 (ko) 2011-05-03

Family

ID=4436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676A Active KR101032147B1 (ko) 2010-12-22 2010-12-22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14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8406A (zh) * 2014-02-11 2015-08-12 王彩霞 集装袋的内袋
KR101626569B1 (ko) * 2015-12-04 2016-06-01 한상학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KR101700085B1 (ko)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FR3039140A1 (fr) * 2015-07-24 2017-01-27 Roquette Freres Dispositif de stockage, souple, pour le conditionnement de matieres solides particulaires ou de liquide
KR101911881B1 (ko) 2018-03-31 2018-10-25 민인순 구조 개선형 포대
KR101935729B1 (ko) * 2018-06-28 2019-01-04 최광수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1935728B1 (ko) * 2018-06-28 2019-01-04 최광수 관통 밴드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WO2019168305A1 (ko) * 2018-03-02 2019-09-06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190104918A (ko) 2019-07-01 2019-09-11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190140562A (ko) 2018-06-12 2019-12-20 최방림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2296082B1 (ko) * 2021-03-09 2021-09-02 주식회사 진우 베플 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4287U (ko) * 1989-10-19 1991-06-24
WO1992014660A1 (en) * 1991-02-22 1992-09-0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Block-shaped container for bulk material
JPH0834485A (ja) * 1994-02-08 1996-02-06 Mulox Ibc Ltd 袋容器の製法
KR100232019B1 (ko) 1993-12-27 1999-12-01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의 중간크기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4287U (ko) * 1989-10-19 1991-06-24
WO1992014660A1 (en) * 1991-02-22 1992-09-03 Koninklijke Emballage Industrie Van Leer B.V. Block-shaped container for bulk material
KR100232019B1 (ko) 1993-12-27 1999-12-01 필립 맥라렌 케네디 가요성의 중간크기 용기
JPH0834485A (ja) * 1994-02-08 1996-02-06 Mulox Ibc Ltd 袋容器の製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8406A (zh) * 2014-02-11 2015-08-12 王彩霞 集装袋的内袋
FR3039140A1 (fr) * 2015-07-24 2017-01-27 Roquette Freres Dispositif de stockage, souple, pour le conditionnement de matieres solides particulaires ou de liquide
WO2017017361A3 (fr) * 2015-07-24 2017-03-30 Roquette Freres Dispositif de stockage, souple, pour le conditionnement de matieres solides particulaires ou de liquid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nditionnement utilisant un tel dispositif
CN107922110A (zh) * 2015-07-24 2018-04-17 罗盖特公司 用于包装颗粒状固体物质或液体的柔性存储装置,用于制造该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装置的包装方法
US11208259B2 (en) 2015-07-24 2021-12-28 Roquette Freres Flexible storage device for packaging particulate solid substances or liquids,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device and packaging method using this device
KR101626569B1 (ko) * 2015-12-04 2016-06-01 한상학 다중 방습 컨테이너 백
KR101700085B1 (ko) 2016-07-04 2017-01-26 (주)성림산업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KR20190104689A (ko) 2018-03-02 2019-09-11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WO2019168305A1 (ko) * 2018-03-02 2019-09-06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052041B1 (ko) * 2018-03-02 2019-12-04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1911881B1 (ko) 2018-03-31 2018-10-25 민인순 구조 개선형 포대
KR20190140562A (ko) 2018-06-12 2019-12-20 최방림 페어 유니트를 갖는 컨테이너백
KR101935728B1 (ko) * 2018-06-28 2019-01-04 최광수 관통 밴드가 구비된 컨테이너 백
CN110194329A (zh) * 2018-06-28 2019-09-03 青岛信光彩塑料有限公司 一种多层内隔舱集装袋
KR101935729B1 (ko) * 2018-06-28 2019-01-04 최광수 모서리에 다중 격벽이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20190104918A (ko) 2019-07-01 2019-09-11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115118B1 (ko) 2019-07-01 2020-05-25 최방림 모서리 공간부를 포함하는 유니트들로 구비된 컨테이너 백
KR102296082B1 (ko) * 2021-03-09 2021-09-02 주식회사 진우 베플 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47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700085B1 (ko)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US6196719B1 (en)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KR101011503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47563B1 (ko)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40178A1 (en)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bag, packaged article, and packaging method
KR101228235B1 (ko)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KR102006704B1 (ko)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KR101095116B1 (ko) 컨테이너 백 구조
KR20220110952A (ko) 컨테이너 백
JP2015151194A (ja) 排出口が二重に構成されたコンテナバッグ用の内皮及びそれを含むコンテナバッグ
KR101803470B1 (ko) 오버랩 구조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1459115B1 (ko) 컨테이너백
JP6361954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収納方法
KR101900312B1 (ko) 운반용 포대
KR102005061B1 (ko) 염색약 보관 이중 파우치
JP7421672B2 (ja) 包装体
KR102263563B1 (ko) 친환경 아이스팩 및 그 제조방법
JP5579317B1 (ja) 発熱体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容器
EP3728069B1 (en) Expandable secondary package for a container
KR101482413B1 (ko) 농수산물 운반용 컨테이너 백
KR20150101218A (ko) 음료수 포장용기
JP6894711B2 (ja) ガゼット袋
KR101794815B1 (ko) 에어 튜브 타입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23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1042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230825

Appeal identifier: 2023100002863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286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825

Effective date: 202407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2407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230825

Decision date: 20240731

Appeal identifier: 2023100002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