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63B1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6063B1 KR101626063B1 KR1020100005487A KR20100005487A KR101626063B1 KR 101626063 B1 KR101626063 B1 KR 101626063B1 KR 1020100005487 A KR1020100005487 A KR 1020100005487A KR 20100005487 A KR20100005487 A KR 20100005487A KR 101626063 B1 KR101626063 B1 KR 101626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lenticular lens
- display panel
- sub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타이밍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부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도 6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타이밍도들이다.
230 : 광원 구동부 300 : 표시 패널
330 : 표시 구동부 400 : 렌티큘라 플레이트
500, 600 : 베리어 플레이트 530, 630 : 시분할 구동부
Claims (16)
- 표시 패널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복수의 컬럼 영역들로 나누는 복수의 렌티큘라 렌즈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렌티큘라 렌즈들은 복수의 컬러 화소들 위에 배치되어 상기 컬럼 영역에 표시된 평면 영상을 방향이 다른 복수의 입체 영상들로 변환하는 렌티큘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서,
상기 컬럼 영역들에 대응하는 컬럼 영상들을 분리하여 M(M은 자연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M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을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서브 프레임 영상에 따라서, 상기 M개의 렌티큘라 렌즈들 위에 배치된 M개의 셔터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홀수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홀수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 영상 및 짝수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짝수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셔터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홀수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1 셔터를 열고, 짝수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2 셔터를 닫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2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셔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3m-2)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2)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 영상, (3m-1)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1)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프레임 영상 및 3m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3 서브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셔터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3m-2)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1 셔터를 열고, (3m-1)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2 셔터 및 3m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3 셔터를 닫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2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및 제3 셔터들을 닫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3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3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들을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복수의 컬러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복수의 컬럼 영역들로 나누는 복수의 렌티큘라 렌즈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렌티큘라 렌즈들은 상기 컬러 화소들 위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컬럼 영역에 표시된 평면 영상을 방향이 다른 복수의 입체 영상들로 변환하는 렌티큘라 플레이트;
상기 컬럼 영역들에 대응하는 컬럼 영상들을 분리하여 M(M은 자연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로 생성하고, 상기 M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들을 상기 표시 패널에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M개의 렌티큘라 렌즈들 위에 각각 배치된 M개의 셔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된 서브 프레임 영상에 따라서 상기 M개의 셔터들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베리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각 컬러 화소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며, 상기 렌티큘라 렌즈들은 상기 컬러 화소의 단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컬러 화소의 장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들 각각은 상기 컬러 화소의 단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컬러 화소들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컬러 화소들은 서로 다른 컬러를 갖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M개의 셔터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시분할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상기 시분할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홀수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홀수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 영상 및 짝수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짝수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홀수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1 셔터를 열고, 짝수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2 셔터를 닫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2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셔터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이 제1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 영상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 주파수의 2배인 제2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3m-2)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2)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프레임 영상, (3m-1)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1)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프레임 영상 및 3m 번째 컬럼 영역에 대응하는 3m 번째 컬럼 영상을 포함하는 제3 서브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분할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3m-2)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1 셔터를 열고, (3m-1)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2 셔터 및 3m 번째 렌티큘라 렌즈 위에 배치된 제3 셔터를 닫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2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및 제3 셔터들을 닫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3 서브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3 셔터를 열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들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영상이 제1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프레임 영상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 주파수의 3배인 제2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5487A KR101626063B1 (ko) | 2010-01-21 | 2010-01-21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US12/854,027 US8531441B2 (en) | 2010-01-21 | 2010-08-10 |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5487A KR101626063B1 (ko) | 2010-01-21 | 2010-01-21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5612A KR20110085612A (ko) | 2011-07-27 |
KR101626063B1 true KR101626063B1 (ko) | 2016-06-01 |
Family
ID=4427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5487A Active KR101626063B1 (ko) | 2010-01-21 | 2010-01-21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531441B2 (ko) |
KR (1) | KR1016260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8571B1 (ko) | 2010-10-29 | 2017-02-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회절 소자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
KR20140068401A (ko) * | 2012-11-28 | 2014-06-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
JP2015079173A (ja) * | 2013-10-18 | 2015-04-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
JP6748477B2 (ja) * | 2016-04-22 | 2020-09-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
JP6678504B2 (ja) * | 2016-04-22 | 2020-04-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
TWI621877B (zh) * | 2016-11-04 | 2018-04-21 |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 立體顯示裝置 |
US11126008B2 (en) * | 2019-02-27 | 2021-09-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3D image display apparatus, 3D image display method, and 3D image generating and displaying system |
JP7424786B2 (ja) * | 2019-02-27 | 2024-01-30 | 三星電子株式会社 | 立体像表示装置、立体像表示方法及び立体像生成表示システ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16444A1 (en) * | 2001-07-13 | 2003-01-23 | Brown Daniel M. |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rotated microlens and method of displaying multidimensional images, especially color images |
US20080165275A1 (en) * | 2004-06-02 | 2008-07-10 | Jones Graham R | Interlacing Apparatus, Deinterlacing Apparatus, Display, Image Compressor and Image Decompressor |
US20090309887A1 (en) * | 2006-04-19 | 2009-12-17 | Setred As | Bandwidth improvement for 3d display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03225B2 (ja) | 1996-09-02 | 2005-10-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表示装置 |
JP2004144874A (ja) | 2002-10-23 | 2004-05-20 | Pioneer Electronic Corp |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
KR100637530B1 (ko) | 2004-09-08 | 2006-10-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2d/3d 겸용 영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패널 |
KR100580216B1 (ko) | 2004-12-29 | 2006-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KR100728112B1 (ko) | 2005-03-04 | 2007-06-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JP4934974B2 (ja) | 2005-03-17 | 2012-05-23 |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 |
KR100893616B1 (ko) | 2006-04-17 | 2009-04-20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전자 영상 기기, 2d/3d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1275142B1 (ko) | 2006-08-08 | 2013-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JP2008083073A (ja) | 2006-09-25 | 2008-04-10 | Toshiba Corp | 立体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
KR100859694B1 (ko) | 2007-04-12 | 2008-09-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평면/입체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100839429B1 (ko) | 2007-04-17 | 2008-06-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방법 |
KR100963872B1 (ko) | 2007-10-24 | 2010-06-16 | 이동혁 | 광시야각 확보가 가능한 입체구현용 액정표시기 패널을가지는 평면 및 입체 영상 겸용 표시장치 |
KR100893618B1 (ko) | 2008-03-07 | 2009-04-20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전자 영상 기기 |
US8233035B2 (en) * | 2009-01-09 | 2012-07-31 | Eastman Kodak Company | Dual-view stereoscopic display using linear modulator arrays |
-
2010
- 2010-01-21 KR KR1020100005487A patent/KR101626063B1/ko active Active
- 2010-08-10 US US12/854,027 patent/US853144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16444A1 (en) * | 2001-07-13 | 2003-01-23 | Brown Daniel M. |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rotated microlens and method of displaying multidimensional images, especially color images |
US20080165275A1 (en) * | 2004-06-02 | 2008-07-10 | Jones Graham R | Interlacing Apparatus, Deinterlacing Apparatus, Display, Image Compressor and Image Decompressor |
US20090309887A1 (en) * | 2006-04-19 | 2009-12-17 | Setred As | Bandwidth improvement for 3d disp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531441B2 (en) | 2013-09-10 |
KR20110085612A (ko) | 2011-07-27 |
US20110175857A1 (en) | 2011-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6063B1 (ko)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
KR100728113B1 (ko) |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US2010017181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creation of pseudo-holographic images | |
KR101640839B1 (ko) |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 |
KR102284841B1 (ko) |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 |
JP6058388B2 (ja) | 3次元画像表示装置 | |
US20130194252A1 (en) |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extension of viewing zone width | |
CN107257937B (zh) | 显示装置以及控制显示装置的方法 | |
KR101606119B1 (ko)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JP2008541165A (ja) |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を利用した3次元映像表示装置 | |
KR100525410B1 (ko)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KR20120031400A (ko) |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20110016087A (ko) | 입체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 |
KR102233116B1 (ko)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 |
KR101911776B1 (ko) |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978790B1 (ko) |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구동 방법 | |
KR101086305B1 (ko) |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KR101276206B1 (ko) | 가변형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
KR102189009B1 (ko) | 삼차원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US9224230B2 (en) |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KR20120031401A (ko) |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101057420B1 (ko) |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140118332A1 (en) | Method of driving active barrier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KR100596240B1 (ko) | 절환 가능한 엘시디 셔터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 및 방법 | |
KR101650380B1 (ko)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