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5897B1 -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97B1
KR101625897B1 KR1020140107291A KR20140107291A KR101625897B1 KR 101625897 B1 KR101625897 B1 KR 101625897B1 KR 1020140107291 A KR1020140107291 A KR 1020140107291A KR 20140107291 A KR20140107291 A KR 20140107291A KR 101625897 B1 KR101625897 B1 KR 101625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wer
lifting
pinhole
lad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980A (ko
Inventor
이진형
정인오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03D13/139Assembling or erecting wind motors by using lif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면의 일 측면에 따른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는, 타워를 따라 지상에서 타워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으로 구성된 사다리부와,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대부와, 지지대부에 지지되어 지상 측으로 연장된 승강케이블과, 정역 구동되며 상기 승강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롤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지지대부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지주 상단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및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 방법{Ladder apparatus for Wind generator tower with Weight lifting function and Weight lifting methods same the using}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에서 타워 상부 또는 타워 상부에서 지상으로 중량물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석에너지 자원의 유한성과 연소시 발생되는 온실 가스의 위해성으로 인하여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대표적인 청정에너지로서 풍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기술은 중소규모 또는 대단위로 저가의 청정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에너지 생산 방법의 하나로 부상되고 있다.
풍력발전장치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를 구비한 로터 헤드가 풍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이 회전을 증속기를 통해 증속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이때 로터 헤드는, 풍차용 타워(이하, 「타워」라고 칭함) 상에 설치되어 요(yaw) 선회 가능한 나셀(nacelle)의 단부에 장착되고, 대략 수평의 회전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타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쉘을 사용한 강제 모노폴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고, 타워 쉘(tower shell)의 하단부에 마련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하부 기초에 앵커 볼트(anchor bolt)를 통해 고정하거나, 상기 하부 기초 타설 시 하부 기초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매립시킨 형태로 고정하고 있다.
타워 상부에는 나셀을 포함한 발전부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한 플랫폼이 마련되며, 지상에서 상기 플랫폼까지 작업자 또는 관리자 이동을 위해 지면에 견고하게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타워는 일반적으로, 내부를 빈 공간으로 형성하고, 빈 공간에 상기 플랫폼 쪽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부의 수리나 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타워 내부의 사다리를 이용해 타워 상부로 올라가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짊어지고 올라가거나 로프 등의 제한적인 방법으로 수리나 점검을 위한 작업공구나 부품 등의 중량물을 타워 상부로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이송 가능한 중량물의 무게가 제한적이고 안전사고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72002호(공개일 2009. 07. 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풍력발전기의 타워 상부로 작업공구나 교체 부품과 같은 중량물을 이송시킴에 있어 이송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상에 세워진 풍력발전기의 타워 상부와 지상을 연결하는 사다리 장치로서, 상기 타워 내부의 빈 공간에 타워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으로 구성된 사다리부와;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대부와; 상기 지지대부에 지지되어 지상 측으로 연장된 승강케이블과; 정역 구동되며 상기 승강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롤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주 상단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는, 일측 지주 상단의 제1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힌지 브라켓 하부의 상기 일측 지주에 마련되는 제2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떠받치는 제1 경사지지대;로 이루어진 2점 지지구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 양 측부와 받침대 상에 놓여지는 제1 지지대에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의 핀홀과 제1 지지대의 핀홀에 끼워지는 연결핀을 통해 제1 지지대와 제1 경사지지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지지대부는, 타측 지주 상단의 제3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수평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함으로써 3점 지지구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3 힌지 브라켓 하부의 상기 타측 지주에 마련되는 제4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를 떠받치는 제2 경사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4점 지지구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경사지지대의 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 양 측부와 받침대 상에 놓여지는 제2 지지대에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의 핀홀과 제2 지지대의 핀홀에 끼워지는 연결핀을 통해 제2 지지대와 제2 경사지지대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는, 상기 지상 측으로 연장된 상기 승강케이블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주를 따라 승강운동하며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승강 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지주에 승강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위한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승강 캐리어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가 부착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일 측면에 따른 착탈식 사다리 장치 상측에 지지대부를 설치하고 승강구동부에 권취된 승강케이블이 상기 지지대를 경유하여 지상 측으로 연장되도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축하는 단계; 및 지상 측에 내려진 승강케이블 단부에 운반대상 중량물을 연결하고 승강케이블을 상승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승강구동부를 작동시켜 중량물을 타워 상부로 끌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타워 상부의 목표하는 지점까지 중량물이 끌어올려지면, 지지대부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타워 상부의 플랫폼에 안전하게 놓일 수 있는 위치로 중량물을 이동시켜 내려놓는 언로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평시에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 이동을 위한 사다리로 사용하고, 타워 상부에 위치한 발전부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중량물 예컨대, 부품이나 작업공구 등을 타워 상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지지대를 설치하고 승강케이블을 연결해 크레인 형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중량물을 지상에서 타워 상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빠르게 타워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편의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시운전,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 풍력발전기의 정지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만큼 손실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제1 지지대와 제1 경사지지대의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이다, 그리도 도 3은 도 1에서 제1 지지대와 제1 경사지지대의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상에 세워진 풍력발전기의 타워(1) 상부와 지상을 연결하는 사다리 장치로서, 상기 타워(1) 내부의 빈 공간에 타워(1) 상부로 연장된 사다리부(10)를 포함한다. 사다리부(10)는 상기 타워(1)의 높이방향을 따르도록 세로로 배치된 한 쌍의 평행한 지주(12a)(12b)와 이들 지주(12a)(12b)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14)으로 구성된다.
지주(12a)(12b)의 간격이나 길이, 그리고 발판(14)의 배치 간격이나 개수는 타워(1)의 높이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특정 수치나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주(12a)(12b)의 단면 형태나 발판(14)의 형상 그리고 지주(12a)(12b)와 발판(14)의 재질 선택에 있어서도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만 가진다면 형태나 재질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지주(12a)(12b) 상단에는 지지대부(20)가 구비된다. 지지대부(20)는 지상에서 타워(1) 상부로 중량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부(20)는 지주(12a)(12b) 상단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대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도면과 같이 두 개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2점 지지구조 형태로 지지대부(20)가 구성된다.
2점 지지방식의 상기 제1 실시 예의 지지대는 구체적으로, 일측 지주(12a) 상단의 제1 힌지 브라켓(21)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제1 지지대(22)와, 상기 제1 힌지 브라켓(21) 하부의 상기 일측 지주(12a)에 마련되는 제2 힌지 브라켓(23)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대(22)를 떠받치는 제1 경사지지대(24)로 구성된다.
도 3의 요부 확대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경사지지대(24)의 단부에는 볼 조인트 방식으로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하게 받침대(2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받침대(240) 양 측부와 받침대(240) 상에 놓여지는 제1 지지대(22)에 핀홀(220)(242)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240)의 핀홀(242)과 제1 지지대(22)의 핀홀(220)에 끼워지는 연결핀(29)을 통해 제1 지지대(22)와 제1 경사지지대(24)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 지주(12a)(1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지대(22)의 자유단과 최상부에 위치한 발판(14) 중앙에는 각각 도르래(40)(4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르래 중 제1 지지대(22)에 설치된 도르래(42)를 거쳐 승강케이블(30)의 일측이 지상 측으로 연장되며, 발판(14)에 설치된 도르래(40)를 거친 승강케이블(30) 타측은 승강구동부(50)에 연결된다.
승강구동부(50)는 상기 승강케이블(30)을 승강시켜 중량물(L)을 타워(1) 상부 또는 그 반대로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승강구동부(50)는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권취롤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권취롤에 승강케이블(30)이 귄취되거나 권취롤로부터 권출됨으로써 타워(1) 상부로 중량물을 끌어올리거나 지상 측으로 내릴 수 있다.
승강구동부(50)는 지상 측에 설치되거나 풍력발전기 타워(1) 상부의 플랫폼(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스위치 또는 레버 조작으로 정역 구동하면서 승강케이블(30) 통해 중량물을 타워(1) 상부로 끌어올리거나 타워(1) 상부에서 지상 측으로 이동시킨다. 중량물 이송과 관련해서는 이후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상기 중량물 이송수단을 통해 중량물을 타워 상부로 운반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량물을 타워(1) 상부로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일측 지주(12a) 상단의 제1 힌지 브라켓(21)과 제2 힌지 브라켓(23)에 제1 지지대(22)와 제1 경사지지대(24)를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승강구동부(50)에 감겨진 승강케이블(30)을 권출시켜 상기 제1 지지대(22)의 자유단 측에 설치된 도르래(42)를 경유하여 지상 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축한다.
지상 측에 내려진 승강케이블(30) 단부에 운반대상 중량물(L)을 연결하고 승강케이블(3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승강구동부(50)를 작동시켜 중량물(L)을 타워(1) 상부로 끌어올린다.
타워(1) 상부의 목표하는 지점까지 중량물(L)이 끌어올려지면, 지지대부(2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타워(1) 상부의 플랫폼(2)에 안전하게 놓일 수 있는 위치로 중량물(L)을 이동시킨 후 내려놓으면 된다.
이와 같은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평시에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 이동을 위한 사다리로 사용하고, 타워 상부에 위치한 발전부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중량물 예컨대, 부품이나 작업공구 등을 타워 상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지지대를 설치하고 승강케이블을 연결해 크레인 형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중량물을 지상에서 타워 상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빠르게 타워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편의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시운전, 유지보수 등의 업무 수행 시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 풍력발전기의 정지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만큼 손실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로서, 3개의 지지대를 이용해 3점 지지방식으로 지지대부(20)를 구성한 실시 예이다. 즉 지지대부(20)를 3점 지지방식으로 구성한 점 외에는 제1 실시 예와 구성상 차이가 없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생략은 생략하고 지지대부의 구성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의 타워용 사다리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지지대부(20)에 지지대를 하나 더 추가해 중량물 이송에 있어 지지대부(20)가 아래로 처지거나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케이블(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정성을 강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제1 힌지 브라켓(21)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타측 지주(12b) 상단에 제3 힌지 브라켓(25)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힌지 브라켓(25)에 제2 지지대(26)의 일단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제1 지지대(22)의 자유단 측에 연결됨으로써 제1 지지대(22)의 수평방향 회동을 억제한다.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6)의 연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지지대(22)의 단부와 제2 지지대(26)의 단부에 핀홀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을 일치시킨 뒤 연결핀을 끼워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지지대(22)와 제2 지지대(26)의 단부를 상호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1)용 사다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의 제3 실시 예는 4개의 지지대를 이용해 4점 지지방식으로 지지대부(20)를 구성한 실시 예로서, 전술한 제2 실시 예의 지지대부(20)에 지지대를 하나 더 추가해 중량물 이송에 있어 지지대부(20)가 아래로 처지거나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케이블(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을 통해 도시된 제3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제2 실시 예의 제3 힌지 브라켓(25) 하부의 상기 타측 지주(12a)(12b)에 제4 힌지 브라켓(27)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4 힌지 브라켓(27)에 제2 경사지지대(28) 일단이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지지대(26)에 연결되고 제2 지지대(26)를 아래에서 떠 받친다.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경사지지대(28)의 단부에는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한 받침대(280)가 볼 조인트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280) 양 측부와 받침대(280) 상에 놓여지는 제2 지지대(26)에 핀홀(260)(282)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280)의 핀홀(282)과 제2 지지대(26)의 핀홀(260)에 끼워지는 연결핀(29)을 통해 제2 지지대(26)와 제2 경사지지대(28)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지상 측으로 연장된 승강케이블(30) 단부에 연결되는 승강 캐리어(60)를 더 포함한다. 승강 캐리어(60)는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면을 제공하며, 타워(1)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한 한 쌍의 지주(12a)(12b)를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적재면에 적재된 중량물을 타워(1) 상부로 운반하거나 타워(1) 상부에서 지상으로 이동시킨다.
승강 캐리어(60)는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형성한 구성이면 그 형태나 구조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승강 캐리어(60)의 원활한 승강을 위해 한 쌍의 지주(12a)(12b)에는 승강 캐리어(60)의 승강 이동을 위한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캐리어(60)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62)가 부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타워 2 : 플랫폼
10 : 사다리부 20 : 지지대부
21 : 제1 힌지 브라켓 22 : 제1 지지대
23 : 제2 힌지 브라켓 24 : 제1 경사지지대
25 : 제3 힌지 브라켓 26 : 제2 지지대
27 : 제4 힌지 브라켓 28 : 제2 경사지지대
30 : 승강케이블 40, 42 : 도르래
50 : 승강구동부
60 : 승강 캐리어

Claims (10)

  1. 지상에 세워진 풍력발전기의 타워 상부와 지상을 연결하는 사다리 장치로서,
    상기 타워 내부의 빈 공간에서 타워 상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으로 구성된 사다리부와;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대로 구성된 지지대부와;
    상기 지지대부에 지지되어 지상 측으로 연장된 승강케이블과;
    정역 구동되며 상기 승강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롤을 구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주 상단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일측 지주 상단의 제1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힌지 브라켓 하부의 제2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떠받치는 제1 경사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지지대의 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 양 측부와 받침대 상에 놓여지는 제1 지지대에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의 핀홀과 제1 지지대의 핀홀에 끼워지는 연결핀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와 제1 경사지지대가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타측 지주 상단의 제3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수평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제2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 브라켓 하부의 상기 타측 지주에 마련되는 제4 힌지 브라켓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를 떠받치는 제2 경사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지지대의 단부에 수평방향 회전 및 굴절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 양 측부와 받침대 상에 놓여지는 제2 지지대에 핀홀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일치된 받침대의 핀홀과 제2 지지대의 핀홀에 끼워지는 연결핀을 통해 제2 지지대와 제2 경사지지대가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측으로 연장된 상기 승강케이블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주를 따라 승강 운동하는 승강 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주에 승강 캐리어의 승강 이동을 위한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캐리어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07291A 2014-08-18 2014-08-18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Active KR101625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291A KR101625897B1 (ko) 2014-08-18 2014-08-18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291A KR101625897B1 (ko) 2014-08-18 2014-08-18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80A KR20160021980A (ko) 2016-02-29
KR101625897B1 true KR101625897B1 (ko) 2016-06-01

Family

ID=5544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291A Active KR101625897B1 (ko) 2014-08-18 2014-08-18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7785B (zh) * 2016-09-29 2019-01-25 中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风轮内葫芦辅助拆装工具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9689A1 (en) * 2000-08-31 2003-01-30 Dorsett Dannie L. Electric lifting apparatus for use with a ladder
US8689937B2 (en) 2011-09-20 2014-04-08 Gilberto M. Grado Cargo lifting device for a lad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57B1 (ko) 2007-12-28 2010-07-15 주식회사 효성 안전사고 방지 장치를 갖춘 풍력 발전기
KR101373549B1 (ko) * 2012-02-21 2014-03-17 박길수 줄걸이용 안전버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9689A1 (en) * 2000-08-31 2003-01-30 Dorsett Dannie L. Electric lifting apparatus for use with a ladder
US8689937B2 (en) 2011-09-20 2014-04-08 Gilberto M. Grado Cargo lifting device for a lad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80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2198B2 (ja) 塔及び柱の自動化された建設
US10865078B1 (en) Lifting assembly for elevating components to a wind turbine and a method for using the lifting assembly
CN103620213B (zh) 用于设立、维护和拆卸风能设备的方法
CN104136773B (zh) 风力涡轮机塔架设系统
EP3077666B1 (en) An internal tower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KR101496962B1 (ko) 풍력발전기 유지보수용 플랫폼
US8117799B2 (en) Method of erecting a tower
CN102701083B (zh) 一种利用专用设备更换风力发电机部件的方法
US20170183872A1 (en) Cables lift system for vertical pre-stresing
JP6928008B2 (ja) 供給足場、風力発電設備用タワーおよび風力発電設備
US11773825B2 (en) Assembly method and assembly system for a vibration damper of a wind power plant tower
JP2008232071A (ja) 風力発電用タワーのナセル上架方法および装置
KR20220033153A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101625897B1 (ko) 착탈식 중량물 이송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타워용 사다리 장치
TWI764495B (zh) 用於調整風力機系統之裝置和方法以及風力機系統之塔柱
CN207110618U (zh) 一种塔杆架设起吊装置
CN102615407A (zh) 一种双翼行走升降平台
CN215710942U (zh) 一种电力电网输电设施钢结构塔架
JP3142819B2 (ja) 屋根架構の構築方法
EP3326959B1 (en) Lifting arrangement for a mast, a mast divided into elements, and methods for assembling, dismantling and servicing of a mast
KR101317384B1 (ko) 풍력발전기 타워자체를 이용한 인양식 발전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ES2438620B1 (es) Grupo de elementos y procedimiento para la elevación de la góndola y/o el rotor del aerogenerador
US20250003388A1 (en) System for the automated lifting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followed
KR0148135B1 (ko)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JP7213515B2 (ja) 塔上可動足場用構造、塔上可動足場および塔上作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