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7018B1 - 저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저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018B1
KR101617018B1 KR1020150027076A KR20150027076A KR101617018B1 KR 101617018 B1 KR101617018 B1 KR 101617018B1 KR 1020150027076 A KR1020150027076 A KR 1020150027076A KR 20150027076 A KR20150027076 A KR 20150027076A KR 101617018 B1 KR101617018 B1 KR 10161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d
low frequency
electrode
pad
wavel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형길
Original Assignee
곽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형길 filed Critical 곽형길
Priority to KR102015002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0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순환의 개선과 근육통증 완화 및 근육수축에 의한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저주파출력단자(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양측벽에 각각 전극패드(30)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수용부(12)가 형성된 저주파발진기(10)와, 상기 저주파출력단자(11)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나뉘어져 있는 저주파출력선(20)과, 상기 패드수용부(12)에 각각 수용되고 사용시 상기 저주파출력선(20)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극패드(30)와, 상기 전극패드(30)의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 수용공간(40) 및 그 수용공간(40)에 물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의 전극패드(30)의 일측에 설치된 캡(45)과, 상기 전극패드(30)가 상측에서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홈(51)이 2개 이상 형성된 전극패드 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0)에 수용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30)가 냉열 또는 온열 찜질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주파 치료기{LOW FREQUENCY C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혈액순환의 개선과 근육통증 완화 및 근육수축에 의한 마사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로회복 증진과 피부미용, 또는 신경마비, 결림, 통증 등의 치료를 위한 마사지 장치는 크게 진동형과 저주파형이 있다.
진동형 마사지장치는 소형 진동모터 또는 압전세라믹 진동자가 내설된 마사지 프로브에 의해 생성된 미세진동 또는 초음파가 프로부와 접촉하는 피부 부위를 초당 수십 ~ 수백만번까지 진동하여 피부 표면 및 인체 내부조직을 자극하여 피부 및 조직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저주파형 마사지장치는 인체에 접착되어 저주파 펄스 신호를 전달하는 접착패드와, 이 접착패드에 저주파 펄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리드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저주파 펄스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진다.
저주파를 이용한 전기치료는 경피적 전기신경자극, 간섭파 치료, 전기자극 치료, 신경근육 전기자극이 있다.
이러한 전기치료는 직접적으로는 근육의 생리적 활동회복과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며, 간접적으로는 조직에 열을 발생시켜 이에 따라 혈류량증진, 신진대사 증가, 통증 및 근경축 완화, 살균효과, 골치유 등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기자극이 피부에 인가되면 피부대사활동을 높여서 불필요한 노폐물이 잘 빠져나가도록 도와주고, 피하조직을 활성화시켜 세포재생과 미세혈관의 강화로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종래 저주파형 마사지장치로서 전기요법 치료기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진기와, 이 발진기에 접속된 도전자로 구성되며, 발진기에 접속된 도전자는 유연성을 갖는 케이스의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케이스 상부에 전극을 배설하고, 이 전극의 직하방 위치에 흡수성을 갖는 전극패드를 배설하며, 도전자에 흡입펌프를 관통연결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 전기요법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전극패드에 수분을 흡수시킨 상태로 환부에 도전자를 장착하고 흡입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케이스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도전자를 환부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요법 치료기는 흡입펌프로써 케이스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도전자를 환부에 밀착시키고 있으므로, 흡입펌프가 케이스 내의 공기와 함께 전극패드에 흡수된 수분까지도 흡입해 버려, 장시간 연속으로 사용하면 전극패드 내의 수분이 대량 흡입되어 전극패드가 건조해지고 통전감(痛電感)이 악화되는 동시에, 도전자와 환부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도전자가 환부에서 떨어져 버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2001-0042962호가 게시되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01-0042962호는 온수순환기를 구비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도전자의 내부로 순환시키도록 하여 전기치료는 물론 온수에 의한 온열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혹여 도전자가 환부에 긴밀히 밀착되지 않거나 떨어진 경우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사용상의 문제가 있고, 사용자 혼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좋지는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1-0042962호(2001.05.25, 전기요법 치료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패드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를 수용시킴으로써 전기치료와 함께 찜질효과를 함께 볼 수 있어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부에 흡착방식이 아닌 접촉방식으로 전기치료를 함으로써 사용자 혼자서도 스스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전기의 세기 조절은 물론 파장조절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 또는 사용자에게 불편하지 않은 주파수 및 파장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치료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는 물론, 소형화를 통해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패드 받침대가 구비됨으로써 등 또는 허리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은 부위는 전극패드를 삽입 안착시켜 놓은 채 누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전기치료를 할 수 있는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저주파출력단자(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양측벽에 각각 전극패드(30)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수용부(12)가 형성된 저주파발진기(10)와, 상기 저주파출력단자(11)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나뉘어져 있는 저주파출력선(20)과, 상기 패드수용부(12)에 각각 수용되고 사용시 상기 저주파출력선(20)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극패드(30)와, 상기 전극패드(30)의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 수용공간(40) 및 그 수용공간(40)에 물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의 전극패드(30)의 일측에 설치된 캡(45)과, 상기 전극패드(30)가 상측에서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홈(51)이 2개 이상 형성된 전극패드 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0)에 수용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30)가 냉열 또는 온열 찜질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스위치(13)가 설치되고, 공급전원의 전기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조절부(14)가 설치되며,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조절을 위한 파장조절부(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조절부(14)는 사전에 설정된 강약 두가지의 세기로 출력전기의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강약선택버튼(14a)과, 상기 강약선택버튼(14a)의 강약 중 어느 하나의 전기세기에서 사전에 설정된 수치간격으로 세밀한 전기세기 조절을 위한 다이얼버튼(14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장조절부(15)는, 일측이 상기 저주파발진기(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구비되고 파장조절을 위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파장조절핀(15a)과, 그 파장조절핀(15a)의 타측에 전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파장조절핀(15a)의 회전에 따라 파장조절핀의 타측단부에 접촉 또는 이격된 채로 떨림동작하여 저주파발생부(10b)와 그 떨림간격마다 접촉되면서 전하를 이동시키는 연결전극(15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 시간간격과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점멸되는 파장확인램프(15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수용부(12)의 내표면이나 바닥면에는 전극패드(30)의 수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재(1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패드(30)는, 내부에 수용공간(40)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 통체로 된 도전체(31)와, 상기 도전체(31)의 일면에 씌워져 결합수단(33)으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한 채로 환부에 밀착되는 흡습부재(32)와, 상기 흡습부재(32)가 씌워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34a)가 다수 형성된 절연재질의 패드커버(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단자(16)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패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40)의 내부로 인입되어 내부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도록 발열체(60)가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60)는 상기 전원출력단자(16)에 전원선(17)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에 형성된 안착홈(51)은 2의 배수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의 상면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과 연통되게 일정 깊이로 잭삽입홈(52)이 형성되고, 그 잭삽입홈(52)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에 삽입 안착되는 전극패드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잭(53)이 삽입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잭(53)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 중 양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양극선에만 연결되고, 음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음극선에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저주파 치료기에 따르면, 전기치료에 따른 혈액순환의 개선과 근육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근육수축에 의한 마사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전기치료와 함께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한 찜질(냉,온)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혼자 스스로도 손쉽게 취급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수용부에 전극패드가 수용된 상태의 저주파발진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발진기의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저주파치료기에서 파장조절부를 보인 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의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받침대에 안착되는 전극패드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가 안착된 전극패드 받침대의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버튼 근방에 부착되는 안내표지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발진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을 보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선에 연결되는 발열체를 보인 전극패드의 단면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수용부에 전극패드가 수용된 상태의 저주파발진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발진기의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저주파치료기에서 파장조절부를 보인 발췌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받침대에 안착되는 전극패드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가 안착된 전극패드 받침대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버튼 근방에 부착되는 안내표지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발진기와 전극패드의 연결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선에 연결되는 발열체를 보인 전극패드의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저주파발진기(10)와,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 저주파출력선(20)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의 전극패드(30)와, 냉수 또는 온수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40) 및 캡(45)과, 전극패드를 받쳐주기 위한 전극패드 받침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주파발진기(10)는 환부를 치료하기 위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전원공급수단(10a)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저주파발생부(10b)와 출력제어부(10c)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성이 회로연결되어 발생된 저주파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0a)은 배터리나 플러그로 구성하여 배터리의 전원이나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여 저주파발진기에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저주파발진기(10)의 일측에는 저주파의 출력을 위해 저주파출력단자(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상기 전극패드(30)를 보관하기 위해 전극패드가 수용되는 패드수용부(12)가 양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스위치(13)가 설치되고, 공급전원의 전기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조절부(14)가 설치되며,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간격 조절을 위한 파장조절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조절부(14)는 출력되는 전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자신에 맞는 전기 세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전기 세기조절은 기본적으로 강약선택을 통해 두 가지의 세기로 조절할 수 있고, 강약 선택 후 다이얼버튼을 통해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조절부(14)는 사전에 설정된 강약 두가지의 세기로 출력전기의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강약선택버튼(14a)과, 상기 강약선택버튼(14a)의 강약 중 어느 하나의 전기세기에서 세밀한 전기세기 조절을 위한 다이얼버튼(1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약선택버튼과 다이얼버튼을 통한 전기세기를 조절하는 경우, 조절되는 전기값은 사전에 이미 설정되어 있다.
예로서, 강약선택버튼을 통한 강에 해당되는 전기세기는 7~8V이고, 약에 해당되는 전기세기는 5~6V이다. 이때 전기세기가 높음에 따라 주파수도 높아짐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버튼의 세기는 예로서, 0.1V 간격으로 10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이얼버튼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부위마다 각각 다른 세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표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환부 부위마다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여 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장조절부(15)는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파장 간격조절을 굳이 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파장조절부를 통해 주파수의 파장 간격을 줄여주거나 늘려주어 사용자가 원하는 파장간격으로 저주파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장조절부(15)는 일측이 상기 저주파발진기(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구비되고 파장 간격조절을 위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파장조절핀(15a)과, 그 파장조절핀(15a)의 타측에 전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근접되게 설치되는 연결전극(15b)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장조절핀은 회전을 통해 연결전극과의 사이거리를 조절하여 연결전극의 떨림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떨림간격 조정을 통해 연결전극이 저주파발생부와에 접촉되는 간격을 조절하여 저주파의 파장간격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전극은 상기 파장조절핀(15a)의 회전에 따라 파장조절핀의 타측단부에 접촉되거나 이격된 채로 떨림동작하게 되는 것이고, 저주파발생부(10b)와 그 떨림간격마다 접촉되면서 전하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장조절부(15)에 의해 출력되는 파장간격이 상이하게 됨으로써 근육이나 혈행의 마사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파장간격으로 하여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연결전극이 떨림동작하면서 저주파발생부(10b)에 부딪히는 경우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저주파발생부(10b)와 연결전극의 접촉부위는 차폐부재로 덮어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 시간간격과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점멸되는 파장확인램프(15c)가 설치된다. 상기 파장확인램프는 엘이디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파장조절부(15)를 통한 저주파의 파장을 조절하는 경우에 그 파장 시간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나 주위사람이 현재 출력되는 주파수의 파장 시간간격을 육안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타이머(18)가 설치되어 저주파발진기의 동작시간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면에는 저주파발진기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수용부(12)의 내표면이나 바닥면에는 전극패드(30)를 수용시키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소음을 줄이도록 충격흡수재(12a)가 설치된다.
상기 저주파출력선(20)은 일단은 하나의 잭으로 구성되고, 타단이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저주파출력단자(11)에 일단이 끼워지는 것이고, 타단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전극패드(30)가 연결된다.
양극선과 음극선에 하나씩 연결한 이유는 인체의 환부에 접촉시키는 경우, 인체를 통해 전기가 흐르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극패드(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원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극패드(30)는 내부에 수용공간(40)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 통체로 된 도전체(31)와, 상기 도전체(31)의 일면에 씌워져 결합수단(33)으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한 채로 환부에 밀착되는 흡습부재(32)와, 상기 흡습부재(32)가 씌워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34a)가 다수 형성된 절연재질의 패드커버(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습부재(32)는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재질로, 안쪽에서부터 솜, 부직포 또는 천을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습부재(32)는 도전체의 일면에 씌워짐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33)은 흡습부재의 가장자리를 도전체에 결속하기 위한 고무밴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드커버(34)는 절연을 위해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전극패드를 들어 이동시키거나 든 채로 환부에 밀착시키는 경우 손에서 쉽게 미끌리지 않도록 상기 걸림돌기(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40)은 상기 전극패드(30), 정확하게는 도전체의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 공간이고, 상기 캡(45)은 수용공간(40)에 물을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키기 위해 각각의 전극패드(30)의 일측 정확하게는 도전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캡은 용이한 결합을 위해 도전체의 일측에 나선결합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30)가 냉열 또는 온열 찜질기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저주파 치료효과는 물론, 찜질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전극패드를 들어 사용하지 못하는 환부에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전극패드(30)가 상측에서 삽입 안착되도록 상면에 안착홈(51)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딱딱하지 않은 실리콘재질이나 고무재질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51)은 2개만 형성되거나 그 이상 2의 배수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2의 배수로 4개 이상 형성된 경우,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의 상면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과 연통되게 일정 깊이로 잭삽입홈(52)이 형성되고, 그 잭삽입홈(52)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에 삽입 안착되는 전극패드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잭(53)이 삽입되게 마련된다.
실시예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이 4개 형성된 경우에는 일측에 형성된 2개의 안착홈에는 저주파출력선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직접연결되는 전극패드가 각각 하나씩 삽입되고, 타측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안착홈에 삽입된 전극패드는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연결된 전극패드에 연결잭(53)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연결잭(53)은 잭삽입홈(52)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의 전극패드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잭(53)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양극선과 음극선이 함께 연결되지 않도록 양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양극선에만 연결되고, 음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음극선에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인체를 통해 전기가 통하도록 하여 전기치료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단자(16)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패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40)의 내부로 인입되게 설치되어 전원출력단자에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도록 발열체(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60)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최초 수용공간에 온수를 수용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온수의 온도가 내려가 찜질효과가 낮아지게 되므로, 찜질효과를 높이기 위해 온수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여주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주파 치료기는 사용전에는 저주파발진기(10)의 패드수용부(12)에 전극패드(30)가 수용되어 있고, 저주파출력선(20)도 저주파출력단자(11)에서 뽑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하게 되면, 먼저 전극패드(30)를 패드수용부에서 인출시킨 후 캡을 개방하여 수용공간에 온수 또는 냉수를 수용시킨 다음 캡을 폐쇄하고, 저주파출력선의 일단을 저주파출력단자에 끼워 연결하고 타단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전극패드(30)를 하나씩 연결한다.
이 후, 전극패드의 흡습부재(32)에 수분을 뿌리거나 묻혀 환부 또는 환부 근방에 밀착시키고, 전원스위치를 온동작시켜 저주파의 발생과 함께 저주파를 출력하여 전극패드를 통해 환부에 전달되게 하여 전기치료를 한다.
이때, 파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장조절부(15)를 조절하고, 전기세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조절부(14)를 조절하여 원하는 세기로 출력되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전극패드는 전기를 인체에 전달하는 기능과 찜질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전기치료효과와 찜질효과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전기치료를 마친 후에는 저주파발진기에서 저주파출력선을 분리하고 전극패드를 저주파출력선에서 분리하여 패드수용부(12)에 수용하여 보관하면 된다.
10: 저주파발진기 10a: 전원공급수단
10b: 저주파발생부 10c: 출력제어부
11: 저주파출력단자 12: 패드수용부
12a: 충격흡수재 13: 전원스위치
14: 전기조절부 14a: 강약선택버튼
14b: 다이얼버튼 15: 파장조절부
15a: 파장조절핀 15b: 연결전극
15c: 파장확인램프 16: 전원출력단자
17: 전원선 18: 타이머
19: 손잡이 20: 저주파출력선
30: 전극패드 31: 도전체
32: 흡습부재 33: 결합수단
34: 패드커버 34a: 걸림돌기
40: 수용공간 45: 캡
50: 전극패드 받침대 51: 안착홈
52: 잭삽입홈 53: 연결잭
60: 발열체

Claims (9)

  1. 저주파출력단자(11)가 일측에 구비되고 양측벽에 각각 전극패드(30)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수용부(12)가 형성된 저주파발진기(10)와,
    상기 저주파출력단자(11)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양극선과 음극선으로 나뉘어져 있는 저주파출력선(20)과,
    상기 패드수용부(12)에 각각 수용되고 사용시 상기 저주파출력선(20)의 양극선과 음극선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극패드(30)와,
    상기 전극패드(30)의 내부에 냉수 또는 온수의 수용을 위해 형성된 수용공간(40) 및 그 수용공간(40)에 물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의 전극패드(30)의 일측에 설치된 캡(45)과,
    상기 전극패드(30)가 상측에서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홈(51)이 2개 이상 형성된 전극패드 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40)에 수용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상기 전극패드(30)가 냉열 또는 온열 찜질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위한 전원스위치(13)가 설치되고, 공급전원의 전기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조절부(14)가 설치되며,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조절을 위한 파장조절부(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조절부(14)는 사전에 설정된 강약 두 가지의 세기로 출력전기의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강약선택버튼(14a)과, 상기 강약선택버튼(14a)의 강약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세기에서 사전에 설정된 수치간격으로 세밀한 전기의 세기조절을 위한 다이얼버튼(14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조절부(15)는, 일측이 상기 저주파발진기(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잡이가 구비되고 파장 간격조절을 위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파장조절핀(15a)과, 그 파장조절핀(15a)의 타측에 전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근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파장조절핀(15a)의 회전에 따라 파장조절핀의 타측단부에 접촉 또는 이격된 채로 떨림동작하여 그 떨림간격마다 저주파발생부(10b)에 접촉되면서 전하를 이동시키는 연결전극(15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출력되는 저주파의 파장 시간간격과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점멸되는 파장확인램프(15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수용부(12)의 내표면이나 바닥면에는 전극패드(30)의 수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흡수재(1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30)는, 내부에 수용공간(40)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 통체로 된 도전체(31)와, 상기 도전체(31)의 일면에 씌워져 결합수단(33)으로 결합되고 수분을 흡수한 채로 환부에 밀착되는 흡습부재(32)와, 상기 흡습부재(32)가 씌워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34a)가 다수 형성된 절연재질의 패드커버(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진기(10)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단자(16)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패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40)의 내부로 인입되어 내부에 수용된 온수를 가열하도록 발열체(60)가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60)는 상기 전원출력단자(16)에 전원선(17)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에 형성된 안착홈(51)은 2의 배수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전극패드 받침대(50)의 상면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과 연통되게 일정 깊이로 잭삽입홈(52)이 형성되고, 그 잭삽입홈(52)에는 인접되는 안착홈(51)에 삽입 안착되는 전극패드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잭(53)이 삽입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잭(53)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 중 양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양극선에만 연결되고, 음극선에 연결되는 전극패드는 음극선에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치료기.
KR1020150027076A 2015-02-26 2015-02-26 저주파 치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1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76A KR101617018B1 (ko) 2015-02-26 2015-02-26 저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76A KR101617018B1 (ko) 2015-02-26 2015-02-26 저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018B1 true KR101617018B1 (ko) 2016-04-29

Family

ID=5591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7018B1 (ko) 2015-02-26 2015-02-26 저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0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71B1 (ko) 2017-08-29 2018-07-27 조인바이 주식회사 근육 자극 장치
KR20190009065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메디렉스 Ict스펀지 및 ict스펀지의 제조방법
CN111202677A (zh) * 2020-03-12 2020-05-29 王玉 电位铜灸仪
KR20220003872A (ko) 2020-07-02 2022-01-11 (주)쥬비스다이어트 저주파 헤드를 이용한 자극 운동의 방문 컨설팅 시스템
KR20250011343A (ko) 2023-07-14 2025-01-21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목걸이형 저주파 자극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173A (ja) * 1993-03-31 1994-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周波治療器用収納具
KR200199086Y1 (ko) * 2000-04-27 2000-10-02 조재희 저주파 발생용 찜질 패드
KR20020011940A (ko) * 2000-08-03 2002-02-09 정우협 치료주파수 및 치료파형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도자
KR20020024195A (ko) 2001-07-16 2002-03-29 조 원 장 이동형 에어백 시스템
KR200290060Y1 (ko) * 2002-05-24 2002-09-26 이택홍 물 마사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173A (ja) * 1993-03-31 1994-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周波治療器用収納具
KR200199086Y1 (ko) * 2000-04-27 2000-10-02 조재희 저주파 발생용 찜질 패드
KR20020011940A (ko) * 2000-08-03 2002-02-09 정우협 치료주파수 및 치료파형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도자
KR20020024195A (ko) 2001-07-16 2002-03-29 조 원 장 이동형 에어백 시스템
KR200290060Y1 (ko) * 2002-05-24 2002-09-26 이택홍 물 마사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65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메디렉스 Ict스펀지 및 ict스펀지의 제조방법
KR101882471B1 (ko) 2017-08-29 2018-07-27 조인바이 주식회사 근육 자극 장치
CN111202677A (zh) * 2020-03-12 2020-05-29 王玉 电位铜灸仪
KR20220003872A (ko) 2020-07-02 2022-01-11 (주)쥬비스다이어트 저주파 헤드를 이용한 자극 운동의 방문 컨설팅 시스템
KR20250011343A (ko) 2023-07-14 2025-01-21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목걸이형 저주파 자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0804733B1 (ko) 에어 마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920239B1 (ko) 공압을 이용한 마사지용 벨트
US20160129273A1 (en) Pulsed electromagnetic therapy device with combined energy delivery
US8041430B2 (en) TENS application devices
KR101034029B1 (ko) 의료용 복합 비만치료 장치 및 그 전극패드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US72004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acupuncture
US2023017327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itching
KR101890481B1 (ko) 저주파 및 초음파 치료기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KR100412569B1 (ko) 휴대용 원적외선 턱관절증 치료기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20200043554A (ko) Ems를 이용한 led 온열치료기
KR20180085948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자극기
KR102055791B1 (ko)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부항장치
JP5780432B2 (ja) 脳疲労及び/又はうつ治療装置の作動方法
KR20090017130A (ko) 저주파 치료기용 패드
KR20160073101A (ko)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
KR200303193Y1 (ko) 다기능 매트
KR101038512B1 (ko) 기능성 신발
TWM552811U (zh) 循經感傳穴位電療裝置
KR20230027567A (ko) 헬스밴드
KR102117365B1 (ko) 휴대용 전기 자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