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5916B1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16B1
KR101615916B1 KR1020150156357A KR20150156357A KR101615916B1 KR 101615916 B1 KR101615916 B1 KR 101615916B1 KR 1020150156357 A KR1020150156357 A KR 1020150156357A KR 20150156357 A KR20150156357 A KR 20150156357A KR 101615916 B1 KR101615916 B1 KR 10161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proofing
concrete structure
organic
inorga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상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머티리얼
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머티리얼, 이영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머티리얼
Priority to KR102015015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5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53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non-oxide ceramics
    • C04B41/5054Sulfides or sele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04B41/5079Portland 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 및 성능개선 혼화제 50~9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70 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5~30 중량%, 실리카질 분말 5~20중량%, 황산 마그네슘 5~30 중량%, 규조토 0.1~20중량%, 산화티탄 0.1~10 중량%, 벤토나이트 0.01~10중량%, 알루민산 소다 0.01~10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01~10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물 옥상, 지하 주차장, 옥외주차장, 교량 등의 노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지수 지하 구조물을 방수하는 경우, 하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반사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온도, 습도 등에 의한 수축ㆍ팽창을 유도하여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거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의 차단효과와 더불어 염화물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중성화, 내수성, 내후성 및 내동결융해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Waterproof Organic-Inorganic Complex Composition For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terproof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Therewith}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 결합재 및 성능개선 혼화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성능의 결함으로 누수가 일어나면, 압축 강도, 동결융해 저항성, 화학적 침식에 대한 저항성 등이 저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미관 손상과 생활공간으로서의 거주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인 환경조건에 의한 열화 현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대적인 보수나 재시공이 불가피하며, 이는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균열이 발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는 방수성, 내구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또는 구조물의 안정성, 미관성 등을 고려하여 보수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균열이 발생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주입 공법을 적용한 침투형 방수재를 사용한다.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침투형 방수재는 알칼리계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알칼리계 실리케이트는 표면장력이 작더라도 콘크리트 주성분인 칼슘이온과 빠르게 반응하여 칼슘 실리케이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칼슘 실리케이트는 불용성이면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산화물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보호해주나, 침투력이 수 mm에 불과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회복을 시키기에는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발수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하여 발수성 물질이 콘크리트에 침투한 후 반응하여 발수력을 발생시켜 물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지수 지하 구조물에서와 같이 수압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발수력의 한계를 보여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열 및 자외선 등에 의해 분해되므로 장기적인 성능발현을 하지 못한다. 특히 기존의 침투형 발수재의 경우 콘크리트 표면이 강한 친유성층을 형성하므로 콘크리트 표면에 2차적인 코팅을 할 경우 접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내수압이 약하며,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분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화학적 성능이 떨어져 황산과 염산 등에 노출될 경우 분해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경우 침투력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화학성, 내산성, 내구성, 내염성 및 강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경우 침투력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화학성, 내산성, 내구성, 내염성 및 강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기 결합재 및 성능개선 혼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함으로서 침투력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화학성, 내산성, 내구성, 내염성 및 강도 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계 결합재 및 성능개선 혼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 및 성능개선 혼화제 50~9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70 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5~30 중량%, 실리카질 분말 5~20중량%, 황산 마그네슘 0.1~15 중량%, 규조토 0.1~15중량%, 산화티탄 0.1~10 중량%, 벤토나이트 0.01~10중량%, 알루민산 소다 0.01~10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0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40~98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1~15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0.1~15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 0.1~1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0.1~15중량%, 메타크릴아미드 0.1~10중량% 및 안료 0.1~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고성능 감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수축 저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성능개선 혼화제 50~95중량%에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를 첨가하여 30초~3분간 믹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화되어 콘크리트가 탈락된 부위를 워터젯, 그라인더, 평삭기, 연마기 등으로 치핑(Chipping)하여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와, 콘크리트가 열화된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차 도포하여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상부에 방수성, 내마모성 및 방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에 인성을 증대시켜 반사균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나이론 섬유, 유리섬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제조된 그물망 형태의 매트를 매설하는 단계를 콘크리트 구체 상태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착되기 용이하게 하는 아크릴, 아크릴-우레탄,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thyl Vinyl Acetate; EVA) 및 스티렌-부타디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하는 경우 침투력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화학성, 내산성, 내구성, 내염성 및 강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물 옥상, 지하 주차장, 옥외주차장, 교량 등의 노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지수 지하 구조물을 방수하는 경우, 사용된 PP, PE, 나이론, 유리섬유제 메쉬에 의해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증가하여 하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반사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온도, 습도 등에 의한 수축/팽창을 유도하여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거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의 차단효과와 더불어 염화물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중성화, 내수성, 내후성 및 내동결융해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및 성능개선 혼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은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 및 성능개선 혼화제 50~9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70 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5~30 중량%, 실리카질 분말 5~20중량%, 황산 마그네슘 0.1~15 중량%, 규조토 0.1~15중량%, 산화티탄 0.1~10 중량%, 벤토나이트 0.01~10중량%, 알루민산 소다 0.01~10중량% 및 리튬실리케이트 0.0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40~98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1~15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0.1~15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0.1~1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0.1~15중량%, 메타크릴아미드 0.1~10중량% 및 안료 0.1~1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고성능 감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수축 저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강도 발현, 구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함량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전체 중량에 대하여 10~70 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함량이 10 중량%미만이면 강도, 부착력 및 내구성 개선효과가 미흡하고, 그 함량이 70 중량%이상이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잠재수경성으로 장기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5~3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초기 강도 발현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장기 강도 및 내구성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실리카질 분말은 강도 및 내마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실리카질 분말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5~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카질 분말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및 내마모성이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5중량% 미만이면 외부 충격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황산 마그네슘은 난연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황산 마그네슘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1~1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황산 마그네슘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난연성은 개선되나 작업성 및 강도가 저하되고, 0.1중량% 미만이면 작업성 및 강도는 증가하나 난연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규조토는 규산(SiO2)으로 되어 있으며, 백색이나 회백색을 띤다. 미세한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고 열의 불량도체로서 재료분리 방지 및 내화성을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규조토의 함량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1~2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규조토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재료분리 방지 및 내화성 개선효과가 미흡하고, 0.1중량% 미만이면 성능개선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산화티탄은 내산(耐酸)ㆍ내알칼리 도료, 은폐력이 강한 백색 안료, 인조견, 스테이플파이버, 화학섬유 등의 광택을 없애는 데 사용되는데, 무해(無害)하므로 특히 화장품이나 그림 물감, 완구의 도료, 식품의 포장용지 등에 사용된다. 또한, 금속 제품의 연마, 유기 티탄화합물의 원료, 법랑(琺瑯)이나 도자기의 유약, 티탄콘덴서, 치과용 재료 외에, 비누, 날염, 인쇄잉크, 인조피혁 등에도 사용된다. 티탄 산화물로는 이밖에 산화티탄(Ⅱ), 산화티탄(Ⅲ), 과산화티탄 등이 알려져 있다. 산화티탄(IV)은 적외선 영역의 광반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노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상기 산화티탄의 함량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1~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티탄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온도상승 억제 및 방오성이 개선효과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하고, 0.1중량% 미만이면 성능개선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흡습제로서 속경화 시 폴리머의 수분을 흡수하여 발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01~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벤토나이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저하되고, 0.01 중량% 미만이면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민산 소다는 초기 강도 발현 및 초기 수분증발로 인한 소성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루민산 소다는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민산 소다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초기 강도 발현 및 소성균열 억제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상기 알칼리실리케이트는 알칼리 부여,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알칼리실리케이트의 함량은 상기 무기계 결합재 전체 중량에 대해 0.01~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칼리실리케이트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내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고, 0.01중량% 미만이면 개선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우레탄은 강도, 내구성, 내후성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우레탄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98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우레탄의 함량이 98 중량%를 초과하면 내후성이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내후성 개선효과가 미흡하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은 침투성이 강하여 부착력을 개선시키고 점도조절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1~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부착력은 개선되나 재료분리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부착력 개선효과가 미흡하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은 점도조절, 부착력 및 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연성이 강해져 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기 쉽고,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부착력 및 작업성이 저하된다.
상기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는 접착강도 및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에멀젼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접착강도 및 내수성이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기 쉽고,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접착강도 및 내수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는 접착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접착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되나 취성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접착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타크릴아미드는 내크리프성,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메타크릴아미드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아미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이 개선되나 재료분리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효과가 미흡하다.
상기 안료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유기 안료인 아조 화합물(AZO compound)을 사용할 수 있다. 아조 화합물은 아조기 -N=N-를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아조 화합물은 아조기의 질소가 120°에 가까운 결합각을 가지고 있어 시스형과 트랜스형의 기하이성질체가 가능한데, 대부분 안정한 트랜스형으로 존재하며, 트랜스형의 대표적인 아조 화합물로는 아조벤젠(azobenzene)이 있다. 이러한 아조 화합물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을 낼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10 중량%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적외선 반사효과가 저하되고,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가격경쟁력이 저하된다.
상기 소포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가 성능개선 혼화제에 첨가되면 공기연행 효과를 부여하여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전체 중량에 대해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로는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이 있다.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이 있다.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이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이 있다.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이 있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고 성능개선 혼화제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성능개선 혼화제에 고성능 감수제가 첨가되면 물-시멘트비가 저감된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전체 중량에 대해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르본산계, 멜라민계 또는 나프탈렌계 감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나프탈렌계와 멜라민계는 폴리카르본산계에 비하여 조성물의 강도가 떨어지고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조성물의 강도, 작업성 및 가사시간을 저하시키지 않는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수축 저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의 함량은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 전체 중량에 대해 0.01~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성능개선 혼화제 50~95중량%에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를 첨가하여 30초~3분간 믹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열화되어 콘크리트가 탈락된 부위를 워터젯, 그라인더, 평삭기, 연마기 등으로 치핑(Chipping)하여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와, 콘크리트가 열화된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차 도포하여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상부에 방수성, 내마모성 및 방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에 인성을 증대시켜 반사균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PE, PP, 나이론 섬유, 유리섬유 등으로 제조된 그물망 형태의 매트를 매설하는 단계를 콘크리트 구체 상태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착되기 용이하게 하는 아크릴, 아크릴-우레탄,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thyl Vinyl Acetate; EVA) 및 스티렌-부타디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무기계 결합재 30 중량%, 성능개선 혼화제 70 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2분간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55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15중량%, 실리카질 분말 10중량%, 황산 마그네슘 5중량%, 규조토 5중량%, 산화티탄 5 중량%, 벤토나이트 4중량%, 알루민산 소다 0.5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92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2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1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 1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1중량%, 메타크릴아미드 1중량%, 안료 1중량%, 소포제 0.2중량%, 고성능 감수제 0.3중량% 및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소포제는 알콜계 소포제나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무기계 결합재 30 중량%, 성능개선 혼화제 70 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2분간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55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15중량%, 실리카질 분말 10중량%, 황산 마그네슘 5중량%, 규조토 5중량%, 산화티탄 5 중량%, 벤토나이트 4중량%, 알루민산 소다 0.5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87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3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2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 2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2중량%, 메타크릴아미드 2중량%, 안료 1중량%, 소포제 0.2중량%, 고성능 감수제 0.3중량% 및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소포제는 알콜계 소포제나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무기계 결합재 30 중량%, 성능개선 혼화제 70 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2분간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 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55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15중량%, 실리카질 분말 10중량%, 황산 마그네슘 5중량%, 규조토 5중량%, 산화티탄 5 중량%, 벤토나이트 4중량%, 알루민산 소다 0.5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82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4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3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 3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3중량%, 메타크릴아미드 3중량%, 안료 1중량%, 소포제 0.2중량%, 고성능 감수제 0.3중량% 및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 0.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소포제는 알콜계 소포제나 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로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회 도포하고 PE 메쉬를 매설한 후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로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회 도포하고 PE 메쉬를 매설한 후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회 도포하고 PE 메쉬를 매설한 후 다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용 쉬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들을 제시한 것이다.
<비교예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0 중량% 및 아크릴-우레탄 70중량%를 강제식 믹서에 2분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로 제조된 조성물을 1회 도포하고, PE 메쉬를 매설한 후 다시 상기 비교예 1로 제조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쉬트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험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이 실험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강도시험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조성물 및 쉬트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KS F 3211(건설용 도막 방수재)에 의한 인장강도, 신장률 및 인장접착강도 시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f/㎠) 38 42 51 95 110 119 28 85
신장률 (%) 440 479 510 711 749 800 410 671
인장접착강도
(㎏f/㎠)
20℃ 18 19 21 19 21 23 15 16
60℃ 14 16 18 15 17 19 10 13
-20℃ 13 15 16 15 16 17 9 11
온·냉반복후(10cycle) 11 12 13 11 13 14 6 10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를 이용한 실시예1 내지 6이 비교예 1 및 2보다 매우 높은 인장강도, 신장률 및 인장접착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열화처리 후 인장성능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쉬트의 열화처리 후의 인장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KS F 3211에 의하여 열화처리 후의 인장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비
(%)
가열처리 110 104 99 111 102 95 127 120
촉진노출처리 103 95 85 109 93 85 115 111
알칼리처리 100 95 84 110 97 87 113 110
산처리 104 94 83 112 97 89 123 111
파단시
신장률 (%)
가열처리 480 570 660 570 670 760 440 500
촉진노출처리 475 560 648 565 661 758 458 532
알칼리처리 480 500 652 560 681 732 459 535
산처리 471 502 655 552 671 725 450 52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내지 6이 비교예1 및 2보다 우수한 열처리후 인장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온도의존성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쉬트의 온도의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KS F 3211에 의하여 온도의존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비
(%)
온도 -20℃ 188 192 208 201 218 248 146 175
온도 60℃ 89 104 119 99 111 140 84 93
파단시물림부사이의 신장률 (%) 온도 -20℃ 298 306 339 341 360 401 285 331
온도 20℃ 318 345 369 378 409 429 300 341
온도 60℃ 250 280 310 270 300 331 226 25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내지 6이 비교예1 및 2보다 매우 높은 온도 의존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신장시 열화성상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쉬트의 신장시 열화성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KS F 3211에 의하여 신장시 열화성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신장시
열화성상
가열처리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촉진노출처리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오존처리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내지 6 및 비교예 1 및 2에서 갈라짐, 잔금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았다.
<시험예 5> 흘러내림저항성능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쉬트와 비교예의 조성물 및 쉬트의 흘러내림저항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KS F 3211에 의하여 흘러내림저항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흘러내림
저항성능
흘러내림길이(mm) 0.9 0.7 0.6 0.45 0.4 0.3 - 1.0
주름 발생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기 표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내지 6이 비교예1 및 2보다 흘러내림길이가 적었으며, 주름은 어느 시험체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9)

  1. 콘크리트 구조물을 방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 및 유기계 성능개선 혼화제 50~9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계 결합재는 분말도가 4000~5500cm2/g인 미분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70 중량%, 분말도가 4500~6000cm2/g 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5~30 중량%, 실리카질 분말 5~20중량%, 황산 마그네슘 0.1~15 중량%, 규조토 0.1~15중량%, 산화티탄 0.1~10 중량%, 벤토나이트 0.01~10중량%, 알루민산 소다 0.01~10중량% 및 알칼리실리케이트 0.01~1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아크릴-우레탄 40~98 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1~15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0.1~15중량%, 초산비닐-부틸아크릴레이트 0.1~1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0.1~15중량%, 메타크릴아미드 0.1~10중량% 및 안료 0.1~10중량%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수축 저감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알킬렌글라이콜(alkylene glycol)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polyalkylene glyc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성능개선 혼화제 내의 기포를 제거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소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는 물-시멘트비를 감소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고성능 감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 50~95중량%에 상기 무기계 결합재 5~50중량%를 첨가하여 30초~3분간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중 콘크리트가 열화된 부위를 청소하는 청소 단계;
    상기 청소 단계에서 청소된 상기 콘크리트가 열화된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의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차 도포하여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2차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이 도포된 부위의 상부에 방수성, 내마모성 및 방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의 상부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1차 도포하기 전에,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위에 인성을 증대시켜 반사균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나이론 섬유, 유리섬유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섬유로 제조된 그물망 형태의 매트를 매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착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아크릴, 아크릴-우레탄,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thyl Vinyl Acetate; EVA), 스티렌-부타디엔, 및 상기 성능개선 혼화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150156357A 2015-11-09 2015-11-09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Active KR10161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57A KR101615916B1 (ko) 2015-11-09 2015-11-09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57A KR101615916B1 (ko) 2015-11-09 2015-11-09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16B1 true KR101615916B1 (ko) 2016-04-27

Family

ID=5591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357A Active KR101615916B1 (ko) 2015-11-09 2015-11-09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6414A (zh) * 2016-06-23 2016-11-16 李庆良 一种耐磨防水纳米改性公路桥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698218A (zh) * 2017-11-13 2018-02-16 蒋艳玲 一种保温隔热防漏材料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KR102070677B1 (ko) 2019-07-05 2020-01-30 이용교 우수한 침투성, 계면 접착성 및 고방수 성능을 갖는 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130477B1 (ko) 2019-08-30 2020-07-06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296298B1 (ko) * 2021-04-27 2021-09-02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CN116023812A (zh) * 2023-02-08 2023-04-28 漳州海耀绿阑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无机粉末涂料的制备方法
KR102799998B1 (ko) * 2025-02-17 2025-04-29 주식회사 에이지시멘트 고강도 및 고유동성을 갖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용 그라우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024A (ja) * 2001-08-09 2003-02-26 Denki Kagaku Kogyo Kk セメント組成物
JP2005008790A (ja) * 2003-06-20 2005-01-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セメント用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組成物
KR101447124B1 (ko) * 2014-05-19 2014-10-06 임펙트디엔씨 주식회사 내염해성, 내동결융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20150075466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5024A (ja) * 2001-08-09 2003-02-26 Denki Kagaku Kogyo Kk セメント組成物
JP2005008790A (ja) * 2003-06-20 2005-01-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セメント用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組成物
KR20150075466A (ko) * 2013-12-26 2015-07-06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1447124B1 (ko) * 2014-05-19 2014-10-06 임펙트디엔씨 주식회사 내염해성, 내동결융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6414A (zh) * 2016-06-23 2016-11-16 李庆良 一种耐磨防水纳米改性公路桥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698218A (zh) * 2017-11-13 2018-02-16 蒋艳玲 一种保温隔热防漏材料
KR101914735B1 (ko) 2018-04-18 2018-11-02 (주)경룡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균열 억제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유지 보수 방법
KR102070677B1 (ko) 2019-07-05 2020-01-30 이용교 우수한 침투성, 계면 접착성 및 고방수 성능을 갖는 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130477B1 (ko) 2019-08-30 2020-07-06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296298B1 (ko) * 2021-04-27 2021-09-02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CN116023812A (zh) * 2023-02-08 2023-04-28 漳州海耀绿阑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性能无机粉末涂料的制备方法
KR102799998B1 (ko) * 2025-02-17 2025-04-29 주식회사 에이지시멘트 고강도 및 고유동성을 갖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용 그라우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9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3117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8016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353907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내자외선성,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도장 공법
KR101789517B1 (ko) 구조물 표면 보호용 기능성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62495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631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4551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0020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18317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63026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1447124B1 (ko) 내염해성, 내동결융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5478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872266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을 가지는 친환경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마감 방법
KR1019526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1460498B1 (ko) 자기 보수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169244B1 (ko) 통기성 및 불연성을 가지며, 습윤시공이 가능한 속경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폴리머 시멘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 시공공법
KR102232477B1 (ko) 습윤면 시공성이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