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135B1 -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4135B1 KR101614135B1 KR1020140115435A KR20140115435A KR101614135B1 KR 101614135 B1 KR101614135 B1 KR 101614135B1 KR 1020140115435 A KR1020140115435 A KR 1020140115435A KR 20140115435 A KR20140115435 A KR 20140115435A KR 101614135 B1 KR101614135 B1 KR 101614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
- section
- elastic wave
- vertical cross
- ti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7 stra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Oceanography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베이스 맵(base map)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맵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베이스 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반사면 모델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사면 모델링부를 통해 생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호라이즌이 설정된 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호라이즌 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호라이즌 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지층의 부정합면의 종결형태(termination pattern)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의 종결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0 : 베이스 맵 생성부
20 : 반사면 모델링부
30 :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
40 : 호라이즌 검증부
410 : 호라이즌 선택모듈
420 : 호라이즌 비교모듈
430 : 호라이즌 검증모듈
Claims (9)
-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고,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 검증 단계는,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3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및
선택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상기 반사면에 형성된 호라이즌에 대해 정상 호라이즌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로부터 환산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 탄성파를 발생시킨 탐사선의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부;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반사면 모델링부;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는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 및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호라이즌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호라이즌 타이는,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호라이즌 검증부는,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며,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호라이즌 설정모듈;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는 호라이즌 비교모듈; 및
상기 호라이즌 비교모듈에 의해 비교된 높이 차에 근거하여 제 1 호라이즌 내지 제 4 호라이즌에 대한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호라이즌 검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호라이즌 검증모듈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정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맵 생성부는,
해저 지층에 탄성파를 발생하는 탄성파 발생모듈;
상기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수신하는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 및
상기 탄성파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탄성파의 좌표정보와 상기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로부터 환산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435A KR101614135B1 (ko) | 2014-09-01 | 2014-09-01 |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435A KR101614135B1 (ko) | 2014-09-01 | 2014-09-01 |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472A KR20160026472A (ko) | 2016-03-09 |
KR101614135B1 true KR101614135B1 (ko) | 2016-04-21 |
Family
ID=5553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5435A Active KR101614135B1 (ko) | 2014-09-01 | 2014-09-01 |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41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14413B (zh) * | 2021-11-11 | 2023-10-27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华北油气分公司 | 剥蚀厚度的确定方法及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3858A (en) | 1991-07-09 | 1992-10-06 | Landmark Graphics Corporation | Method for finding horizons in 3D seismic data |
US6388947B1 (en) | 1998-09-14 | 2002-05-14 | Tomoseis, Inc. | Multi-crosswell profile 3D imaging and method |
JP2011521260A (ja) | 2008-05-22 | 2011-07-21 |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 震探ホランイゾンスケルトン化 |
KR101355106B1 (ko) | 2011-06-27 | 2014-01-2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복소주파수 그룹을 기초로 하는 지하구조 영상화 방법 |
-
2014
- 2014-09-01 KR KR1020140115435A patent/KR1016141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3858A (en) | 1991-07-09 | 1992-10-06 | Landmark Graphics Corporation | Method for finding horizons in 3D seismic data |
US6388947B1 (en) | 1998-09-14 | 2002-05-14 | Tomoseis, Inc. | Multi-crosswell profile 3D imaging and method |
JP2011521260A (ja) | 2008-05-22 | 2011-07-21 |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 震探ホランイゾンスケルトン化 |
KR101355106B1 (ko) | 2011-06-27 | 2014-01-2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복소주파수 그룹을 기초로 하는 지하구조 영상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472A (ko) | 2016-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0792B2 (en) | Amplitude-versus-angle analysis for quantitative interpretation | |
AU200720121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towed marine source-array elements | |
US8705317B2 (en) | Method for imaging of targeted reflectors | |
US8717846B2 (en) | 4D seismic signal analysis | |
US947700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hallow water multiples using a hybrid multi-channel prediction method | |
US20140198605A1 (en) | Wavefield modelling and 4d-binning for seismic surveys from different acquisition datums | |
US7724608B2 (en) | Passive reflective imaging for visualizing subsurface structures in earth and water | |
US9651693B2 (en) | Target-oriented 4D binning in common reflection point | |
EP2743735A2 (en) | A 4D Repeatability Indicator Based on Shot Illumination For Seismic Acquisition | |
EP2593815B1 (en) | Method for accentuating specular and non-specular seismic events from within shallow subsurface rock formations | |
CN113189646B (zh) | 一种去除拖拽式浅剖地层异常起伏的方法 | |
JP2008014830A (ja) | ハイドレートの存在領域探査方法及び探査システム | |
KR101614135B1 (ko) |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
GB2494974A (en) |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wo detectors at the bottom of the sea | |
US20120147700A1 (en) | Determining Streamer Depth and Sea Surface Profile | |
EP2722691B1 (en) | Plural depth seismic source spread method and system | |
KR101552261B1 (ko) | 탄성파 탐사 신호에서 지층의 부정합면을 모델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CN102939548A (zh) | 确定放置于海底的探测器的位置的方法 | |
JP7404069B2 (ja) | アクティブ超軽量地震検出システムを活用して地震取得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 |
Rape et al. | Forseti-" Stealth" Imaging with 4C OBC Seismic | |
Amri et al. | Bathimetry and Recent Sediments Profiles of North Aru Islands Offshore West Papu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