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4135B1 -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135B1
KR101614135B1 KR1020140115435A KR20140115435A KR101614135B1 KR 101614135 B1 KR101614135 B1 KR 101614135B1 KR 1020140115435 A KR1020140115435 A KR 1020140115435A KR 20140115435 A KR20140115435 A KR 20140115435A KR 101614135 B1 KR101614135 B1 KR 10161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
section
elastic wave
vertical cross
t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6472A (en
Inventor
강년건
유동근
이보연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135B1/en
Publication of KR2016002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Oceanography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고,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verifying a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tching a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an acoustic wave is generated and a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elastic wave signal reflected back to a seabed layer and generating an elastic wave A first step of forming a base map by dividing a track line of a marine prob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a horizon mapping based on height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ismic wave signal, A second step of modeling a reflection plane made up of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along the track line by the horizon mapping and a second step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areas classified on the base map A horizon-tie, and a third step of verifying the horizon formed in the set horizon tie And that is characterized.

Description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Field of the Invention < RTI ID = 0.0 > [0001] < / RTI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 seismic wave signal,

본 발명은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지층에 인위적으로 발생된 음파 등의 탄성파 및 반사되는 탄성파 신호에서 부정합면의 종결형태(termination pattern)을 확인하여 지층의 퇴적과정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할 수 있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 seismic exploration signal that can verify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so as to confirm the termination pattern and accurately confirm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stratum.

일반적으로 탄성파 탐사는 해상이나 육상에서 인위적으로 음파 등의 탄성파를 발생시키고, 지층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모아 지층 내부의 환경을 추론할 수 있는 조사방법으로, 예를 들어,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를 통해 사람의 인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탄성파 탐사는 지층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 탐사방법이다.
In general, seismic surveys are research methods that generate seismic waves such as sound waves on the sea or land and collect the seismic signals reflected on the ground layer to infer the environment inside the layer. For example,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 with the ability to look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test, seismic surveys are an exploration method that allows you to look inside the strata.

탄성파 탐사자료는 해상 혹은 육상에서 취득한 뒤 자료처리의 단계를 거쳐 지질학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퇴적층이 언제 어떻게 퇴적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탄성파 탐사자료의 해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으로는, 탄성파 층서 해석(seismic stratigraphy)이 활용되고 있다.
Seismic exploration data can be acquired from marine or terrestrial data, and then processed through data processing, using geological knowledge to identify when and how sediments were deposited.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seismic data, but seismic stratigraphy is used as a commonly used method.

이러한, 탄성파 층서 해석은 석유탐사를 목적으로, 해양에서 취득된 탄성파 탐사자료로부터 반사면의 종결형태(termination pattern)로, 예를 들어, 탑랩(toplap), 온랩(onlap), 다운랩(downlap) 및 트렁케이션(truncation)을 활용하여 지층의 부정합면을 찾아내고, 부정합면을 중심으로 지층의 퇴적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These seismic stratigraphic analyzes can be used for petroleum exploration,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oplap, an onap, a downlap, or the like, from the seismic exploration data obtained from the ocean, And truncation are used to find the unconformity of the strata, and the stratification process of the strata can be confirmed centering on the unconformity.

해상에서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층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탄성파 탐사기술로,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0660563호는 자동화 부표판을 이용한 다중채널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 및 탐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속도로 극천해를 운항하는 탐사선과 상기 탐사선의 선두에 고정 설치되며, 탐사선의 위치 및 항적을 기록하는 인공위성 위치측정장치와 상기 탐사선의 선상에 고정 설치되며, 반사신호를 디지털방식으로 기록하는 탄성파 기록장치와 상기 탐사선의 선측에 고정 설치되는 자동화 부표판 및 단일채널로 이루어진 음향측심기와 상기 탐사선의 선미에 고정 설치되며, 청음기와 무선송신기가 내장되는 수중청음기로 구성되어 고해상도 반사면을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66063 relates to a multi-channel seawater seismic expl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automated subsurface plate, in which a constant A satellite position measuring device fixedly mounted at the head of the probe and operable to record a position and a track of the probe, an elastic wave recorder fixedly installed on a line of the probe and digitally recording a reflection signal, An automatic buoy plate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robe, an acoustic echo sounder composed of a single channel, and a hydrophone installed on the stern of the probe and equipped with a sound transmitter and a wireless transmitter, Technology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단순히 해저 지반의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반사면의 종결형태 즉, 지층의 부정합면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취득하기 위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있다.
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 only the information of the seabed ground can be provided. As a technique for verifying the modeled reflection surface in order to accurately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termination type of the reflection surface, that is, Has not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저 지층에 탄성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로부터 지층의 퇴적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모델링된 반사면의 정상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is normal so as to generate seismic waves in the seabed ground layer and to confirm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ground layer from the reflected elastic signal A method for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 seismic wave signal and a system therefo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고,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verifying a reflective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acoustic wave generated by an acoustic wave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elastic wave signal A first step of forming a base map by dividing a track line of a marine probe line which matches with a sea floor and generating seismic waves toward a seafloor layer into a plurality of areas; A second step of horizon mapp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second step of modeling a reflection surf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along the track line by the horizon mapping, One of the regions is selected as the horizon-tie, and the formed horizon tie is form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step of verifying the Horizon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 단계가,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third step, the horizon tie-setting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line, in the third step. In the method of verifying the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setting a first vertical section on the reflecting surface, a step of setting a secon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section, and a thir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ection, And setting a fourth vertical cross section adjacent to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nd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 검증 단계가,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과, 상기 제 3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및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상기 반사면에 형성된 호라이즌에 대해 정상 호라이즌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of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 verification step formed in the horizon tie set in the third step is per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first vertical cross-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selecting a first horizon; selecting a secon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first horizon at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cross- Selecting a thir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econd horizon in a vertical section, selecting a fourth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hird horizon in the fourth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third vertical section And compa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ormal horizon is to be performe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is within a set value, It is determined as a horiz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상기 설정값이 시간단위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value is defined in units of time.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검증 시스템은,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부와,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반사면 모델링부와,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는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 및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호라이즌을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the seism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the elastic wave is generated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seabed layer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 base map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base map by dividing a track line of a generated ocean prob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base map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horizon map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ismic wave signal; mapping a plurality of horizon maps to horizon maps and modeling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on the horizon by the horizon mapping; A horizon tie setting unit for selecting an area and setting it as a horizon-tie, To verify the horizon to verify the horizon formed in the set by Horizon ti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검증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맵 생성부가, 해저 지층에 탄성파를 발생하는 탄성파 발생모듈과, 상기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수신하는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탄성파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탄성파의 좌표정보와 상기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lastic wav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elastic wave on the seabed ground layer; A module for match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generated by the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ed by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ing module, And a base map generation module for forming a base map by dividing the base map into reg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검증 시스템은,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호라이즌 타이가,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 tie set by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is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line A secon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section, a thir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ection and adjacent to the first vertical section, and a secon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ection, And a fourth vertical cross-s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cross-sec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검증 시스템은, 상기 호라이즌 검증부가,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며,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호라이즌 설정모듈과,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는 호라이즌 비교모듈 및 상기 호라이즌 비교모듈에 의해 비교된 높이 차에 근거하여 제 1 호라이즌 내지 제 4 호라이즌에 대한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호라이즌 검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호라이즌 검증모듈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정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the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 verification unit selects a first horizon among a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first vertical section, Selecting a secon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first horizon in a vertical section, selecting a thir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econd horizon in the third vertical section, A horizon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and a horizon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orizon and the fourth horizon, Horizon Verific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 fourth horizons are normal based on the height difference Module, wherein the horizon verific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i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의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해저 지층으로 탄성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로부터 모델링된 반사면의 정상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지층의 부정합면에 대한 종결형태를 정확히 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층의 퇴적과정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the reflection surface modeled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seismic waves from the seabed ground layer and to verify whether the reflective surface modeled from the reflected elastic wave signal is normal,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fine the termination type for the unconformity, and it is advantageous to accurately confirm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str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베이스 맵(base map)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맵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베이스 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반사면 모델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사면 모델링부를 통해 생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호라이즌이 설정된 도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호라이즌 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호라이즌 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지층의 부정합면의 종결형태(termination pattern)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의 종결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lection surface verification system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base map generation unit constituting a reflection surfac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ase map generated through a base map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constituting a reflection plan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generated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model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horizon tie set through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orizon setting.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rizon tie.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rizon verification unit constituting a reflection surface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to 10C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termination pattern of a mismatched surface of a ground layer.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verifying a reflective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prob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ermination type of a reflective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prob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베이스 맵(base map)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이며, 도 3은 베이스 맵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베이스 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lection plane verification system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base map generation unit constituting a reflection plane verification system.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base map generated through the base map generation unit. FIG.

도면을 참조하면, 반사면 검증 시스템(1)은 베이스 맵 생성부(10), 반사면 모델링부(20),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 및 호라이즌 검증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lection plane verification system 1 may include a base map generation unit 10, a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20, a horizon tie setting unit 30, and a horizon verification unit 40.

베이스 맵 생성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저 지층에 탄성파를 발생하는 탄성파 발생모듈(110)과, 이 탄성파 발생모듈(110)로부터 발생된 탄성파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수신하는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base map generating section 10 includes an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for generating an elastic wave in the seabed ground layer, and an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for reflecting the elastic wave generated from the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110, And an elastic wave signal receiving module 120 for receiving the elastic wave signal.

또한, 베이스 맵 생성부(10)는 탄성파 발생모듈(110)에서 발생된 탄성파의 좌표정보와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120)에서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탐사선(도시하지 않음)의 이동경로로서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base map generation unit 10 match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coustic wave generated by the acoustic wave generation module 110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coustic wave signal received by the acoustic wave signal reception module 120, And a base map generation module 130 for forming a base map by dividing a track lin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s a movement path of a probe line (not show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면 검증 시스템을 이루는 반사면 모델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3차원 공간상으로 반사면을 모델링할 수 있는 반사면 모델링부(20)는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120)을 통해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도 5의 붉은색 또는 파란색 라인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 라인을 따라 다수의 호라이즌(horizon)(예를 들어, 반사면을 대변하는 가상의 선)을 포함하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반사면 모델링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which is capable of modeling a reflection plan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a block road, a height information of an elastic wave signal, and coordinate information, Horizon mapping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height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ing module 120, and as shown by the red or blue line in FIG. 5, May include a reflective surface modeling module 210 that models a reflective surface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s (e.g., hypothetical lines that represent reflective surfaces) along the lines.

각각의 호라이즌을 이루고 있는 각 점들은 좌표정보와 높이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호라이즌들은 3차원 공간상에서 경사 방향을 갖는 면으로 표현 가능하다.Since each point of each horizon has coordinate information and height information, horizons can be expressed in a plane having an oblique direction in three-dimensional space.

또한, 반사면 모델링부(20)는 다수의 호라이즌 중 서로 접하는 2개의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호라이즌 선택모듈(220)과, 호라이즌 선택모듈(220)에 의해 선택된 2개의 호라이즌 중 어느 하나를 기준 라인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대상 라인으로 설정하는 호라이즌 결정모듈(230)과, 호라이즌 결정모듈(230)에서 설정된 기준 라인에 대한 대상 라인의 경사도로서, 시계방향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서로 접하는 2개의 호라이즌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상관관계 결정모듈(240) 및 상관관계 결정모듈(240)에 의해 결정된 호라이즌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부정합면이 다운랩, 온랩, 탑랩/트렁케이션)를 생성된 베이스 맵 상의 트랙 라인에 표시하는 상관관계 표시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20 includes a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for selecting two horizons facing each other among a plurality of horizons, and one of two horizons selected by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as a reference line And a horizon decision module 230 for setting the other one as a target line and a slope of the target lin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set by the horizon decision module 230, (E.g., a mismatch occurs in the downwrap, onrap, toprap / truncation)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and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that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a correlation display module 250 for displaying on the track line on the base map.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맵 생서부(10)를 통해 생성된 베이스 맵 상에서,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트랙 라인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할 수 있다.6 to 8 illustrate examples of a horizon tie set through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30 includes a base map data base 10 A horizon-tie can be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track line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base map generated through the base map.

도 7은 반사면 상에서 호라이즌 타이의 영역에 대한 단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를 통해 반사면 모델링부(20)를 통해 생성된 반사면의 일정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FIG. 7 exemplarily shows a section of a horizon tie area on the reflection surface. A certain area of the reflection surface generated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modeling unit 20 through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30 can be set.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에 의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3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310), 이 제 1 수직 단면(310)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320), 제 2 수직 단면(320)에 접하고 제 1 수직 단면(310)과 인접하게 설정되는 제 3 수직 단면(330), 그리고 제 3 수직 단면(330)에 접하고 제 2 수직 단면(320)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3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8, the horizon tie 300 set by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30 has a first vertical section 310, a second vertical section 310, and a second vertical section 313 on the reflect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line, A second vertical section 320 contacting the first vertical section 310 and a third vertical section 330 abutting the first vertical section 310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ection 320, And a fourth vertical section 340 abutting the vertical section 330 and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section 320.

도 9는 호라이즌 검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호라이즌 검증부(40)를 이루는 호라이즌 설정모듈(410)에서는 호라이즌 타이(300)의 제 1 수직 단면(310)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311)을 선택하고, 제 2 수직 단면(320)에서 제 1 호라이즌(31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321)을 선택할 수 있다.9 and 9, in the horizon setting module 410 constituting the horizon verifying unit 40,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310 of the horizon tie 300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horizon 311 among the included horizons 311 and select the second horizon 32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rst horizon 311 at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320.

또한, 제 3 수직 단면(330)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32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331)을 선택하고, 다시 제 4 수직 단면(340)에서 제 3 호라이즌(33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441)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e third vertical section 330, the third horizon 331,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econd horizon 321, is selected. Then, the fourth horizontal section 340 is again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hird horizon 331 And the fourth horizon 441,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호라이즌 비교모듈(420)은 호라이즌 설정모듈(410)을 통해 설정된 제 1 호라이즌(311)의 일단과 제 4 호라이즌(341)의 끝단의 높이 차, 예를 들어, 수신되는 탄성파 신호의 시간차를 비교한다.The horizon comparison module 420 compares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311 set through the horizon setting module 410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341, for example, the time difference of the received acoustic wave signal .

호라이즌 검증모듈(430)에서는 제 1 호라이즌(311)의 일단과 제 4 호라이즌(341)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예를 들어, 10msec 이내인 경우, 정상적인 호라이즌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the horizon verification module 430,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horizon 311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341 is within a set value, for example, within 10 msec, the normal horizon can be determined.

따라서, 호라이즌의 검증을 통해, 반사면 모델링부(20)를 통해 모델링된 반사면이 정상적으로 모델링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e verification of Horizon,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reflective surface modeled through the reflective surface modeling unit 20 has been normally modeled.

반사면 모델링부(20)에서는 호라이즌 검증부(40)를 통해 설정된 호라이즌이 정상으로 결정되면, 호라이즌 선택모듈(220)을 통해 모델링된 반사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서로 접하는 2개의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호라이즌 선택모듈(230)에서 선택된 2개의 호라이즌 중 어느 하나를 기준 라인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대상 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horizon set through the horizon verification unit 40 is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20 selects two horizon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reflection plane modeled by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 One of the two horizons selected by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30 may be set as a reference line, and the other one may be set as a target line.

이후, 상관관계 결정모듈(240)을 통해 설정된 기준 라인에 대한 대상 라인의 경사도로서, 시계방향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rotation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can be measured as the slope of the target lin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set through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층의 부정합면의 종결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 상관관계 결정모듈(240)에서는 기준 라인에 대한 대상 라인의 경사도에 따라 종결 형태를 온랩온랩(onlap), 다운랩(downlap) 및 탑랩(toplap) 또는 트렁케이션(truncation)으로 정의할 수 있다.10 (a) to (c) illustrate examples of the termination of the mismatch surface of the strat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and can be defined as onlap, downlap, toplap, or truncation.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위에서 종결하고, 또한 기준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α) 보다 대상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β)가 작은 경우, 대상 라인과 기준 라인의 접하는 부분의 종결 관계, 즉 종결 형태를 온랩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a), when the object line terminates on the reference line and the angle [beta] between the object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angle [alph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The termination relationship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line and the reference line, that is, the termination form, can be defined as the ONLAP.

또한,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위에서 종결하고, 기준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α) 보다 대상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β)가 큰 경우, 대상 라인과 기준 라인의 접하는 부분의 종결 형태를 다운랩으로 정의할 수 있다.10 (b), when the target line terminates on the reference line and the angle beta between the target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is larger than the angle alph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The termination form of the tangent portion of the reference line can be defined as down-rap.

또한,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아래에서 종결하는 경우, 대상 라인과 기준 라인의 접하는 부분의 종결 형태를 탑랩 또는 트렁케이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10 (c), when the target line terminates below the reference line, the termination form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arget line and the reference line can be defined as a toprap or a truncation.

상관관계 표시모듈(250)에서는 상관관계 결정모듈(240)을 통해 결정된 호라이즌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부정합면이 다운랩, 온랩, 탑랩/트렁케이션인지를 베이스 맵 생성부(10)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 맵 상의 트랙 라인에 표시할 수 있다.
In the correlation display module 250,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of the horizon determined through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for example, whether the mismatch plane is a downlap, an onlap, or a toprap / truncation, On the track line on the base map.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은, 먼저, 베이스 맵 생성부(10)에서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이동경로로서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한다(S101).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verifying a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9 and 11, a method of verifying a reflected surface modeled using an acoustic wave sear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d generates a base map by dividing a track lin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s a movement path of a marine probe line that generates seismic waves toward the seafloor layer (S101).

이후, 베이스 맵 생성부(20)에서는 수신한 탄성파 신호에서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S102), 수행된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생성된 베이스 맵 상의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한다(S103).
Thereafter, the base map generation unit 20 performs horizon mapping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received elastic wave signal (S102), and outputs the track line on the base map generated by the performed horizon mapping And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on the reflection surface are modeled (S103).

다음에,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를 통해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310)을 설정하고, 제 1 수직 단면(310)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320)을 설정하며, 제 2 수직 단면(320)에 접하면서 제 1 수직 단면(310)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330)을 설정하고, 제 3 수직 단면(330)에 접하면서 제 2 수직 단면(320)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340)을 설정함으로써, 호라이즌 타이(300)를 설정한다(S104).
Next, as shown in FIG. 6 to FIG. 8,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on the base map through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30, Setting a first vertical section 310 on the reflective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etting a second vertical section 320 contacting the first vertical section 310 and contacting the second vertical section 320 while contacting the second vertical section 320, By setting the third vertical section 330 adjacent to the vertical section 310 and setting the fourth vertical section 340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section 320 while touching the third vertical section 330, (Step S104).

이후, 호라이즌 검증부(40)에서는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30)에서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에 대해 정상여부를 검증한다(S105).
Thereafter, the horizon verification unit 40 verifies whether the horizon formed in the horizon tie set in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30 is normal (S105).

이때, 호라이즌 검증부(40)를 통해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방법은, 제 1 수직 단면(310)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311)을 선택하고, 제 2 수직 단면(320)에서 제 1 호라이즌(31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321)하며, 제 3 수직 단면(330)에서 제 2 호라이즌(32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331)을 선택하고, 연속해서 제 4 수직 단면(340)에서 제 3 호라이즌(331)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341)을 선택한다.The method of verifying the horizon through the horizon verifying unit 40 may include selecting the first horizon 311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first vertical cross- A third horizon 331 with one en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 321 is selected in the third vertical section 330 and a second horizon 331 in which th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 321 is selected , And selects the fourth horizon 34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hird horizon 331 at one end in the fourth vertical section 340 in succession.

다음에, 선택된 제 1 호라이즌(311)의 일단과 제 4 호라이즌(341)의 끝단의 높이 차로서, 예를 들어, 수신되는 탄성파 신호의 시간차이를 비교하여, 높이 차가 설정값(예를 들어, 10msec 이내) 이내인 경우, 정상적인 호라이즌으로 결정된다.
Next,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selected first horizon 311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341 is compared with the time difference of the received acoustic wave signal, for example, 10msec), it is determined to be a normal horizon.

호라이즌 검증부(40)를 통해 정상적인 호라이즌으로 결정되면, 반사면 모델링부(20)에서는 반사면에 대한 종결형태를 결정한다(S106).If the normal horizon is determined through the horizon verification unit 40, the reflection plane modeling unit 20 determines the termination type for the reflection plane (S106).

반사면 모델링부(20)를 통한 종결형태의 결정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델링된 반사면에 대해서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지층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을 수행하고, 트랙 라인을 따라 다수의 호라이즌을 포함하는 반사면을 모델링한다(S104).
As shown in Fig. 12, the determination of the termination type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modeling unit 20 is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received elastic wave signal (height information of the layer)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modeled reflecting surface And models a reflective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s along a track line (S104).

다음에, 호라이즌 선택모듈(220)을 통해 다수의 호라이즌 중 일단 혹은 끝단이 서로 접하는 2개의 호라이즌을 선택한다(S201). 호라이즌 선택모듈(220)에서는 예를 들어,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호라이즌을 통해 서로 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Next, through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two horizons with one end or end of the plurality of horizons touching each other are selected (S201).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can confirm whether the horizon selection module 22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for example, a horizon including height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이후, 호라이즌 결정모듈(230)에서는 선택된 2개의 호라이즌 중 어느 하나를 기준 라인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대상 라인으로 설정하며(S202), 상관관계 결정모듈(240)은 기준 라인에 대한 대상 라인의 경사도를 측정하여(S203),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위에서 종결하고, 또한 기준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α) 보다 대상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β)가 작은 경우 온랩으로,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위에서 종결하고, 기준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α) 보다 대상 라인과 수평면 사이의 각도(β)가 큰 경우 다운랩으로, 그리고, 대상 라인이 기준 라인 아래에서 종결하는 경우 탑랩 또는 트렁케이션으로, 접하는 2개의 호라이즌에 대한 상관관계를 결정한다(S204).
Thereafter, the horizon determination module 230 sets one of the selected two horizons as a reference line and sets the other as a target line (S202), and the correlation determination module 240 determines whether the inclination of the target lin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S203). When the target line terminates on the reference line and the angle [beta] between the target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angle [alph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And if the angle between the target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is larger than the angle alph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horizontal plane by a down wrap and if the target line terminates below the reference line, The correlation for the two horizons is determined (S204).

그리고, 상관관계 표시모듈(250)에서는 호라이즌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반사면에서의 부정합면이 다운랩, 온랩, 탑랩/트렁케이션인지를 베이스 맵 상의 트랙 라인에 표시한다(S205).
Then, in the correlation display module 250,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of the horizon, for example, whether the mismatch surface on the reflection surface is down wrap, warm wrap or top wrap / truncation, is displayed on the track line on the base map (S20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파 신호로부터 반사면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지층의 퇴적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plane is modeled from the acoustic wave signal and the modeled reflection plane is verifi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firm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layer more accurately.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반사면 검증 시스템
10 : 베이스 맵 생성부
20 : 반사면 모델링부
30 :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
40 : 호라이즌 검증부
410 : 호라이즌 선택모듈
420 : 호라이즌 비교모듈
430 : 호라이즌 검증모듈
1: Reflection surface verification system
10: base map generation unit
20: Reflecting Surface Modeling Unit
30: Horizon tie setting section
40: Horizon Verification Department
410: Horizon selection module
420: Horizon comparison module
430: Horizon Verification Module

Claims (9)

탄성파가 발생된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고,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설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 검증 단계는,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상기 제 3 수직 단면과 접하는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공정; 및
선택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정상 호라이즌의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상기 반사면에 형성된 호라이즌에 대해 정상 호라이즌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A track line of an oceanic probe line that generates seismic waves toward the seabed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a base map is generated by dividing a track line of an oceanic probe lin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by match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the elastic waves are generated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a first step of forming a base map;
A second step of performing horizon mapping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and modeling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along the track line by the horizon mapping; And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on the base map to set a horizon-tie and verifying a horizon formed in the horizon tie,
In the third step, the horizon tie-
Setting a first vertical section on the reflect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 lev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line;
Setting a second vertical cross-section adjacent to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Setting a third vertical cross-s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cross-section and adjacent to the first vertical cross-section; And
And setting a fourth vertical cross section adjacent to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nd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In the horizon verification step formed in the horizon tie set in the third step,
Selecting a first horizon among a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first vertical section;
Selecting a secon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first horizon in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Selecting a thir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econd horizon in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Selecting a fourth horizon whose one end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third horizon at the fourth vertical cross sec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nd
Compa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selected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to determine whether the normal horizon is presen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ormal horizon is performed,
Wherein the normal horizon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 formed on the reflection surface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is within a set value, How to verif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로부터 환산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을 검증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 value is a time difference calculated from a height differe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a tip end of the fourth horizon, and verifying the modeled reflection surface using the seismic wave signal.
탄성파를 발생시킨 탐사선의 좌표정보와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해저 지층을 향해 탄성파를 발생하는 해상의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부;
상기 탄성파 신호의 높이정보 및 좌표정보에 근거하여 호라이즌 맵핑(horizon mapping)을 수행하고, 상기 호라이즌 맵핑에 의해 상기 트랙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호라이즌(horizon)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을 모델링하는 반사면 모델링부;
상기 베이스 맵 상에 구분된 복수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호라이즌 타이(horizon-tie)로 설정하는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 및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호라이즌 타이 내에 형성된 호라이즌을 검증하는 호라이즌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라이즌 타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호라이즌 타이는,
상기 트랙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해수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제 1 수직 단면,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접하는 제 2 수직 단면,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3 수직 단면 및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과 인접한 제 4 수직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호라이즌 검증부는,
상기 제 1 수직 단면에 포함된 복수의 호라이즌 중 제 1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2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2 호라이즌을 선택하며, 상기 제 3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2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3 호라이즌을 선택하고, 상기 제 4 수직 단면에서 상기 제 3 호라이즌의 끝단과 일단이 접하는 제 4 호라이즌을 선택하는 호라이즌 설정모듈;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를 비교하는 호라이즌 비교모듈; 및
상기 호라이즌 비교모듈에 의해 비교된 높이 차에 근거하여 제 1 호라이즌 내지 제 4 호라이즌에 대한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호라이즌 검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호라이즌 검증모듈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가 설정값 이내인 경우, 정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robe line that generated the elastic wave is matched with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reflected back to the seabed layer and the track line of the oceanic probe line that generates the elastic wave toward the seafloor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 base map generation unit for forming a base map;
A horizon mapping based on height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and modeling a reflection surfa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s formed along the track line by the horizon mapping, ;
A horizon tie-setting unit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regions divided on the base map and setting the region as a horizon-tie; And
And a horizon verification unit for verifying a horizon formed in the horizon tie set by the horizon tie setting unit,
The horizon tie set by the horizon tie-
A first vertical section on the reflective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line, a secon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section, a second vertical s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section, And a fourth vertical cross section adjacent to the third vertical cross section and adjacent to the second vertical cross section,
The horizon verifying unit,
Selecting a first horizon among a plurality of horizons included in the first vertical section and selecting a second horizon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first horizon in the second vertical section, A horizon setting module for selecting a third horizon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 and a fourth horizon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hird horizon in the fourth vertical section;
A horizon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a tip end of the fourth horizon; And
And a horizon verif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 fourth horizons are normal based on the height difference compared by the horizon comparison module,
Wherein the horizon verification module determines normal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is within a set valu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맵 생성부는,
해저 지층에 탄성파를 발생하는 탄성파 발생모듈;
상기 해저 지층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탄성파 신호를 수신하는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 및
상기 탄성파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탄성파의 좌표정보와 상기 탄성파 신호 수신모듈에서 수신한 탄성파 신호의 좌표정보를 매칭하고, 탐사선의 트랙 라인(track line)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베이스 맵(base map)을 형성하는 베이스 맵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e map generator comprises:
An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n elastic wave in the seabed layer;
An elastic wave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elastic wave signal reflected on and reflected from the seabed layer;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generated by the elastic wave generating module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ed by the elastic wave signal receiving modul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track line of the probe lin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a base map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 acoustic wave based on the acoustic wave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제 1 호라이즌의 일단과 상기 제 4 호라이즌의 끝단의 높이 차로부터 환산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파 탐사 신호를 이용하여 모델링된 반사면 검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t value is a time difference calculated from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one end of the first horizon and the end of the fourth horizon, wherein the set value is modeled using an elastic wave search signal.
KR1020140115435A 2014-09-01 2014-09-01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Active KR101614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35A KR101614135B1 (en) 2014-09-01 2014-09-01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35A KR101614135B1 (en) 2014-09-01 2014-09-01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72A KR20160026472A (en) 2016-03-09
KR101614135B1 true KR101614135B1 (en) 2016-04-21

Family

ID=5553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435A Active KR101614135B1 (en) 2014-09-01 2014-09-01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1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4413B (en) * 2021-11-11 2023-10-2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华北油气分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blation thickn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858A (en) 1991-07-09 1992-10-06 Landmark Graphics Corporation Method for finding horizons in 3D seismic data
US6388947B1 (en) 1998-09-14 2002-05-14 Tomoseis, Inc. Multi-crosswell profile 3D imaging and method
JP2011521260A (en) 2008-05-22 2011-07-21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Seismic survey horan izon skeletonization
KR101355106B1 (en) 2011-06-27 2014-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eismic imaging method based on complex frequency grou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858A (en) 1991-07-09 1992-10-06 Landmark Graphics Corporation Method for finding horizons in 3D seismic data
US6388947B1 (en) 1998-09-14 2002-05-14 Tomoseis, Inc. Multi-crosswell profile 3D imaging and method
JP2011521260A (en) 2008-05-22 2011-07-21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Seismic survey horan izon skeletonization
KR101355106B1 (en) 2011-06-27 2014-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eismic imaging method based on complex frequency gro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72A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0792B2 (en) Amplitude-versus-angle analysis for quantitative interpretation
AU2007201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towed marine source-array elements
US8705317B2 (en) Method for imaging of targeted reflectors
US8717846B2 (en) 4D seismic signal analysis
US9477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hallow water multiples using a hybrid multi-channel prediction method
US20140198605A1 (en) Wavefield modelling and 4d-binning for seismic surveys from different acquisition datums
US7724608B2 (en) Passive reflective imaging for visualizing subsurface structures in earth and water
US9651693B2 (en) Target-oriented 4D binning in common reflection point
EP2743735A2 (en) A 4D Repeatability Indicator Based on Shot Illumination For Seismic Acquisition
EP2593815B1 (en) Method for accentuating specular and non-specular seismic events from within shallow subsurface rock formations
CN113189646B (en) Method for removing dragging type shallow-section stratum abnormal fluctuation
JP2008014830A (en) Hydrate existing region exploration method and exploration system
KR101614135B1 (en) Method for verifying modelled reflecting interface using elastic wave and system therof
GB2494974A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wo detectors at the bottom of the sea
US20120147700A1 (en) Determining Streamer Depth and Sea Surface Profile
EP2722691B1 (en) Plural depth seismic source spread method and system
KR101552261B1 (en) Method and systme for modeling unconformity surface of strata in elastic wave prospecting signal
CN102939548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robe placed on the seabed
JP7404069B2 (en) Methods to improve seismic acquisition by leveraging active ultralight earthquake detection systems
Rape et al. Forseti-" Stealth" Imaging with 4C OBC Seismic
Amri et al. Bathimetry and Recent Sediments Profiles of North Aru Islands Offshore West Papu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