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43B1 -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843B1 KR101608843B1 KR1020140153067A KR20140153067A KR101608843B1 KR 101608843 B1 KR101608843 B1 KR 101608843B1 KR 1020140153067 A KR1020140153067 A KR 1020140153067A KR 20140153067 A KR20140153067 A KR 20140153067A KR 101608843 B1 KR101608843 B1 KR 101608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histogram
- stain
- smea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08 edg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해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수학식 2에 대한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얼룩 미 후보 영역과 얼룩 후보 영역을 추정하여 구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의 얼룩 방향성을 1차적으로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이미지에서 획득한 일그러진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의 얼룩 방향성을 2차적으로 판단하는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수학식 12의 적용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을 판단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후처리부가 얼룩 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후처리부가 얼룩이 아닌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마스크가 노이즈가 아닌 얼룩에 적용되었을 때 얼룩 성분을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원본 이미지에 중간값 필터링을 적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획득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FPD 얼룩 샘플 이미지이다.
도 16은 도 15의 얼룩 이미지 샘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얼룩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룩 검출 방법과 종래의 방법의 Semu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율(Rate) | 범위(V) |
~ 1.35 이하 | 4 |
1.35 초과 ~ 1.8 이하 | 5 |
1.8 초과 ~ 2.3 이하 | 6 |
2.3 초과 ~ 4.3 이하 | 7 |
4.3 초과 ~ 23 이하 | 8 |
23 초과 ~ 105 이하 | 9 |
105 초과 ~ | 10 |
else | 0 |
얼룩 종류 | 실험 이미지 수 | 검출 이미지 수 | 검출률 |
spot | 32 | 31 | 96.87% |
region | 135 | 128 | 94.8% |
foreign substance | 14 | 14 | 100% |
complex | 19 | 18 | 90% |
총 계 | 200 | 190 | 95% |
명암 차이 | (%) | (%) | Semu | 검출 |
10 | 8.432 | 0.884 | 9.535 | 성공 |
9 | 7.208 | 0.883 | 8.155 | 성공 |
8 | 6.408 | 0.883 | 7.251 | 성공 |
7 | 5.592 | 0.881 | 6.345 | 성공 |
6 | 4.808 | 0.834 | 5.762 | 성공 |
5 | 3.976 | 0.834 | 4.766 | 성공 |
4 | 3.104 | 0.834 | 3.718 | 성공 |
3 | 3.064 | 0.851 | 3.596 | 실패 |
2 | 3.064 | 0.851 | 3.599 | 실패 |
1 | 3.064 | 0.851 | 3.598 | 실패 |
명암 차이 | (%) | (%) | Semu | 검출 |
10 | 8.32 | 0.88 | 9.3 | 성공 |
9 | 7.42 | 0.88 | 8.39 | 성공 |
8 | 6.61 | 0.88 | 7.48 | 성공 |
7 | 5.79 | 0.88 | 6.55 | 성공 |
6 | 4.78 | 0.88 | 5.39 | 성공 |
5 | 3.07 | 0.89 | 3.44 | 성공 |
4 | 0.52 | 1.22 | 0.43 | 실패 |
3 | 0.48 | 1.28 | 0.31 | 실패 |
2 | 0.37 | 1.28 | 0.29 | 실패 |
1 | 0.18 | 1.5 | 0.12 | 실패 |
120 : 촬영부 200 : 영상 처리부
210 : 그레이 레벨 변환부 300 : 영상 해석부
310 : 히스토그램 획득부 320 : 히스토그램 분석부
321 : 얼룩 영역 추정부 322 : 얼룩 방향성 판단부
323 : 얼룩 경계 지정부 324 : 범위 선택부
330 : 후처리부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대상물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이미지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얼룩 결함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영상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해석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밝기 분포율을 나타내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는 히스토그램 획득부;
상기 히스토그램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얼룩 경계를 지정하고 얼룩 범위를 지정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에서 설정된 상기 얼룩 범위에서 얼룩의 주성분이 아닌 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얼룩 미 후보 영역과 얼룩 후보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얼룩 후보 영역에 얼룩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얼룩 영역 추정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얼룩 미 후보 범위로부터 왼쪽 픽셀 성분의 총 합과 오른쪽 픽셀 성분의 총 합을 비교하여 얼룩의 밝기를 판단하는 얼룩 방향성 판단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픽셀의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얼룩 경계점으로 지정하여 그러한 얼룩 경계를 기준으로 얼룩 성분과 배경 성분을 구분하는 얼룩 경계 지정부; 및
얼룩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정도를 나타내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에 따라 얼룩 성분의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룩 방향성 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이 비대칭인 경우,
하기 수식 3 내지 수식 5를 이용하여 가 0인 경우 에서 사이에 얼룩이 있는 것으로써 어두운 얼룩, 가 1인 경우 에서 사이에 얼룩이 존재하는 것으로써 밝은 얼룩으로 판별하는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수식 3)
,
(수식 4)
(수식 5)
단, 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많은 밝기를 가진 최고 지점, 은 얼룩 미 후보 영역으로부터 왼쪽 방향 픽셀의 총 합, 은 얼룩 미 후보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 픽셀의 총 합, 는 의 보조 픽셀의 총 합, 는 의 보조 픽셀의 총 합을 나타내고, 은 얼룩 미 후보 영역으로부터 왼쪽 방향 픽셀의 총 합, 은 얼룩 미 후보 영역으로부터 오른쪽 방향 픽셀의 총 합을 나타내며, 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부성분의 방향을 나타내고, 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시작점, 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끝점을 나타낸다. - 대상물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이미지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얼룩 결함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영상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해석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밝기 분포율을 나타내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는 히스토그램 획득부;
상기 히스토그램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얼룩 경계를 지정하고 얼룩 범위를 지정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에서 설정된 상기 얼룩 범위에서 얼룩의 주성분이 아닌 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얼룩 미 후보 영역과 얼룩 후보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얼룩 후보 영역에 얼룩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얼룩 영역 추정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얼룩 미 후보 범위로부터 왼쪽 픽셀 성분의 총 합과 오른쪽 픽셀 성분의 총 합을 비교하여 얼룩의 밝기를 판단하는 얼룩 방향성 판단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픽셀의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얼룩 경계점으로 지정하여 그러한 얼룩 경계를 기준으로 얼룩 성분과 배경 성분을 구분하는 얼룩 경계 지정부; 및
얼룩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정도를 나타내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에 따라 얼룩 성분의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룩 경계 지정부는,
상기 얼룩 방향성 판단부에서 얼룩이 밝은 얼룩으로 판단된 경우, 수식 6을 이용하여 이미지 성분을 반전시킨 후 상기 얼룩 경계점을 지정하는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수식 6)
단, 은 반전된 이미지, 은 원본 이미지를 의미한다. - 대상물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이미지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얼룩 결함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영상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해석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밝기 분포율을 나타내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는 히스토그램 획득부;
상기 히스토그램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얼룩 경계를 지정하고 얼룩 범위를 지정하는 히스토그램 분석부; 및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에서 설정된 상기 얼룩 범위에서 얼룩의 주성분이 아닌 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그램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얼룩 미 후보 영역과 얼룩 후보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얼룩 후보 영역에 얼룩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얼룩 영역 추정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픽셀의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을 얼룩 경계점으로 지정하여 그러한 얼룩 경계를 기준으로 얼룩 성분과 배경 성분을 구분하는 얼룩 경계 지정부; 및
얼룩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정도를 나타내는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에 따라 얼룩 성분의 범위를 지정하는 범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범위 선택부는,
수식 8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어느 방향에 이미지가 더 집중되었는지 판단하고,
수식 9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을 결정하며,
수식 10을 이용하여 얼룩 성분의 범위를 설정하는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수식 8)
, ,
(수식 9)
(수식 10)
단, 은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중간 지점, 은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왼쪽 픽셀의 합, 은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오른쪽 픽셀의 합, 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 은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의 얼룩의 범위, 는 범위, 는 변곡점이다.
여기서, 는 가 1.35 이하이면 4, 1.35 초과 1.8 이하이면 5, 1.8 초과 2.3 이하이면 6, 2.3 초과 4.3 이하이면 7, 4.3 초과 23이하이면 8, 23 초과 105 이하이면 9, 105 초과이면 10, 그 외의 경우에는 0이다. - 영상 획득부가 대상물 상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영상 처리부가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한 상기 이미지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는 단계 및
영상 해석부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의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기 대상물의 얼룩 결함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얼룩 결함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히스토그램 획득부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된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의 밝기 분포율을 나타내는 이미지 히스토그램을 획득하는 단계,
얼룩 영역 추정부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베버의 법칙을 적용하여 얼룩 미 후보 범위와 얼룩 후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얼룩 방향성 판단부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얼룩 미 후보 범위로부터 왼쪽 픽셀 성분의 총 합과 오른쪽 픽셀 성분의 총 합을 비교하여 얼룩의 밝기를 판단하는 단계,
얼룩 경계 지정부가 상기 얼룩의 방향성 판단 결과 얼룩이 밝은 얼룩일 경우 히스토그램을 반전시키고 어두운 얼룩일 경우 그대로 유지하여 픽셀의 변화율이 가장 큰 지점인 얼룩 경계점을 지정하는 단계,
범위 선택부가 상기 이미지 히스토그램의 비율에 따라 얼룩이 차지하는 부분만큼의 범위를 설정하여 얼룩의 범위를 선택하는 단계 및
후처리부가 상기 얼룩의 범위에서 얼룩의 주성분이 아닌 성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067A KR101608843B1 (ko) | 2014-11-05 | 2014-11-05 |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067A KR101608843B1 (ko) | 2014-11-05 | 2014-11-05 |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8843B1 true KR101608843B1 (ko) | 2016-04-06 |
Family
ID=5579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3067A Active KR101608843B1 (ko) | 2014-11-05 | 2014-11-05 |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84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47170A (zh) * | 2018-05-29 | 2018-11-20 |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 显示屏产品检测方法及检测装置 |
US10643576B2 (en) | 2017-12-15 | 2020-05-05 | Samsung Displa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white spot Mura detection with improved preprocessing |
US10681344B2 (en) | 2017-12-15 | 2020-06-09 | Samsung Displa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mura detection on a display |
US11741865B2 (en) | 2020-06-22 | 2023-08-29 | Samsung Display Co., Ltd. | 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mura compensation and mura compensation method |
-
2014
- 2014-11-05 KR KR1020140153067A patent/KR101608843B1/ko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43576B2 (en) | 2017-12-15 | 2020-05-05 | Samsung Displa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white spot Mura detection with improved preprocessing |
US10681344B2 (en) | 2017-12-15 | 2020-06-09 | Samsung Display Co., Ltd. | System and method for mura detection on a display |
CN108847170A (zh) * | 2018-05-29 | 2018-11-20 |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 显示屏产品检测方法及检测装置 |
CN108847170B (zh) * | 2018-05-29 | 2021-06-25 |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 显示屏产品检测方法及检测装置 |
US11741865B2 (en) | 2020-06-22 | 2023-08-29 | Samsung Display Co., Ltd. | 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mura compensation and mura compens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5461B1 (ko) | 웨이블릿 변환에서 마스크 필터링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KR20080080998A (ko) | 화상 해석에 의해서 결함 검사를 실시하는 결함검사장치 | |
KR101608843B1 (ko) | 개선된 베버의 법칙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Iwabuchi et al. |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Gaussian filtering in distinguishing punctate synaptic signals from background noise during image analysis | |
CN109840901A (zh) | 一种分屏Mura的快速判断方法 | |
CA3132115C (en) | Method and system for defect detection in image data of a target coating | |
JP5088165B2 (ja) |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 |
KR101677070B1 (ko) | 형태학적 영상 처리와 레이블링을 이용한 얼룩 결함 자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CN101803364A (zh) | 摄像设备和方法 | |
KR101862310B1 (ko) | 얼룩결함 검사장치 및 얼룩결함 검사방법 | |
CN108022219B (zh) | 一种二维图像灰度修正方法 | |
KR101977647B1 (ko) | 표시장치의 얼룩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1966075B1 (ko) | 표시장치의 얼룩 검출 장치 및 방법 | |
JP2009036582A (ja) | 平面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検査装置及び検査プログラム | |
JP4315243B2 (ja) | 色の均一性の評価方法 | |
KR101993654B1 (ko) | 표시패널의 얼룩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
JP2000199745A (ja) | 色ムラの検査方法及び装置 | |
EP2966433B1 (en) | Device for setting region of interest for analysis | |
JP5239275B2 (ja) | 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 |
JP2001028059A (ja) | 色ムラ検査方法及び装置 | |
JP7411155B2 (ja) | 色ムラ検査装置および色ムラ検査方法 | |
KR20230014401A (ko) | 이물 검사를 위한 모아레 검출 방법 및 장치 | |
JP4036048B2 (ja) | 欠陥識別方法 | |
KR100549166B1 (ko) | 플랫패널용 광관련판요소의 선형 얼룩 검출방법 | |
Tzu et al. | Non-uniformity evaluation of flat panel display by automatic optical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