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7946B1 -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 Google Patents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46B1
KR101607946B1 KR1020140005160A KR20140005160A KR101607946B1 KR 101607946 B1 KR101607946 B1 KR 101607946B1 KR 1020140005160 A KR1020140005160 A KR 1020140005160A KR 20140005160 A KR20140005160 A KR 20140005160A KR 101607946 B1 KR101607946 B1 KR 10160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ure
control means
fishing line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365A (ko
Inventor
이오선
Original Assignee
이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선 filed Critical 이오선
Priority to KR102014000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질 시 백 스텝 움직임을 선행함으로써 수중 장애물의 걸림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애물 걸림 시에도 탈출이 용이하며, 바닥층의 정밀 탐색과 대상 어종의 식탐 자극에 유리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 측에는 낚싯줄이 연결될 수 있는 몸통과,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통에 결합되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무게추가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몸통이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챔질 시 백 스텝 움직임을 선행함으로써 수중 장애물의 걸림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애물 걸림 시에도 탈출이 용이하며, 바닥층의 정밀 탐색과 대상 어종의 식탐 자극에 유리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루어는 생미끼가 아닌 속임수의 가짜 미끼(lure)로 생미끼와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입수와 보관에 번거로움이 없도록 한 것이다. 루어는 털,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만든 인공미끼로서, 이를 얼마만큼 살아 있는 미끼처럼 보이게 하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루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어종별로 나뉘어 있으므로 이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낚시용 루어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몸체에 바늘이 형성된 낚시 루어로서 몸체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된 제1바늘이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꼬리 부분에 고정 결합된 제2바늘 및 제3바늘이 구비되어 있으며, 눈과 더듬이 및 지느러미가 구성되어 인조 미끼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루어를 물은 물고기가 제1 내지 제3바늘에 의하여 확실하게 어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낚시용 루어는 물고기가 루어를 물었을 때에 물고기의 이빨에 의하여 루어의 표피뿐만 아니라 몸체가 망실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고, 루어의 중량을 조절할 수 없어 수심에 따른 물고기의 어획이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 미끼와 같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루어는 대부분 잘 썩지 않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낚시 도중에 루어를 잃어버리게 되면 수중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낚시용 루어는, 새우나 작은 물고기 형상으로 표면에 자개가 부착되고 목질로 이루어지며 머리부에 낚싯줄이 결합되는 연결링이 구비된 몸체와, 복수의 바늘이 환형으로 몸체를 향해 형성되고 몸체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체의 머리부 아래에 형성된 홈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싱커와, 상기 훅 종단부 가장자리에 낚싯줄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헤드부에 싱커를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루어는 낚싯줄에 텐션을 주지 않고 자유 침강시키면 루어가 90도에 가까운 자세로 강하하면서 훅에 낚싯줄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붙잡고 텐션을 주어 침강 각도를 강제로 수평 상태로 만들어 침강시키는 방법에 의해 루어를 바닥까지 내려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루어는 챔질시 전진만 하는 동작을 보이기 때문에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한계가 따르고, 해초 등의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현상이나 수중 바닥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탈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수심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909(명칭 : 몸체에 바늘이 형성된 낚시 루어, 출원인 : 이경숙)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414호(명칭 : 낚시용 루어, 특허권자 : 이오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루어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낚싯줄이 훅에 걸리는 현상과 해초 등의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밑 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훅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탈출하기가 용이하고, 루어의 거리 이동이 짧아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하며,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성능이 우수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 측에는 낚싯줄이 연결될 수 있는 몸통과,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통에 결합되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상기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상기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무게추가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몸통이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횡방향부가 몸통의 머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횡방향부를 상대로 종방향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는 무게추 심과 이 무게추 심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중량의 보조 무게추를 무게추 심에 장착함에 따라 무게추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전진을 하는 행동을 하게 됨으로써, 루어의 훅이 해초와 같은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루어의 훅이 수중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수중 바닥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훅이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챔질시 루어가 후진을 하면서 장애물 등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머리부에 헤드 싱커가 구비된 종래의 루어는 낚싯줄에 텐션을 주지 않고 수중에 자유 침강(프리 폴링) 시키면 루어가 90도에 가까운 자세로 직하강하면서 훅에 낚싯줄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붙잡고 텐션을 주어 루어의 침강 각도를 강제로 수평 상태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루어는 낚싯줄과 훅이 90도 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각도를 갖기 때문에 낚싯줄이 훅에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줄의 텐션을 유지하지 않고도 프리 폴링으로 수심 깊은 곳 바닥을 찍기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으로 인해 루어의 이동 거리가 기존의 루어에 비해 짧아 수중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넷째, 종래의 루어는 낚싯줄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챔질과 폴링(falling)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루어는 낚싯줄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챔질 시 무게추가 수면 쪽으로 솟아오를 때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후 전진한 데 이어서 폴링을 하게 되므로 마치 살아있는 새우가 재빠르게 톡톡 튀어 도망치려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의 길이를 길게 하면 무게추가 수중의 저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고기 또는 두족류가 예민하게 루어(몸통)를 취했을 때 저중심에 위치한 무게추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신(魚信, 손맛)을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루어는 생산 비용에 있어서 종래의 루어에 헤드 싱커를 조립할 때 소요되는 비용에 비해 저렴하고, 루어에 장착되는 무게추는 적정 무게를 지닌 금속이나 돌 등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게 추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에 작용하는 힘과 무게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프리 폴링시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프리 폴링시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게 추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몸통(10)과 훅(20) 및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몸통(10)은 나무와 같이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피나무를 2cm 내외의 판재로 만들어 응달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에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로 3차원 절삭으로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크기 및 중량으로 대량 생산할 수가 있으며, 몸통(10)의 표면에는 금박지나 은박지, 홀로그램테이프, 천, 자개 등을 접착할 수가 있다. 특히, 몸통(10)의 형상은 낚시 대상 어종을 유인하기 용이한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으로 제작이 된다.
이러한 몸통(10)의 앞부분인 머리부(11)는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부위이며, 뒷부분인 꼬리부(12)에는 훅(hook, 낚시바늘 : 20)이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다. 훅(20)은 갈고리 모양의 바늘들이 몸통(10)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컨대 두족류가 입으로 루어를 물었을 때에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은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 및 무게추(3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루어(구체적으로는 몸통(1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는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강선이나 플라스틱 또는 철선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는 전체적으로 'ㄱ'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횡방향부(31)는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몸통(10)의 머리부(11)에 횡방향으로 결합이 된다. 특히, 횡방향부(31)는 몸통(10)의 머리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데, 예를 들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이 된다. 따라서, 사용하던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손상되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에 의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구를 이용하여 횡방향부(31)를 몸통(10)의 머리부(11)로부터 제거한 다음 새로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횡방향부(31)를 몸통(10)의 머리부(11)에 억지끼움식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횡방향부(31)는 몸통(10)의 머리부(11) 안으로 완전히 매입이 되어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링형부(32)는 횡방향부(31)로부터 몸통(10)의 머리부(11)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말린 형태로 형성이 되며, 이 링형부(32)에 낚싯줄(L)이 연결된다.
그리고, 종방향부(33)는 링형부(32)로부터 종방향 아래로 연장이 된 부분인데, 횡방향부(31)에 대하여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으로 구성된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전체적으로 'ㄱ'형을 이루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은 강선과 같은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횡방향부(31)를 상대로 종방향부(33)의 각도를 직각 또는 예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게추(34)는 종방향부(33)의 하단에 결합이 되며, 금속이나 돌과 같이 몸통(10)의 부력보다 무거운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무게추(34)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34)를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무게추 심(34a)과 이 무게추 심(34a)의 단턱 위에 장착되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복수 개의 보조 무게추(34b)로 구성하였다. 이와 아울러, 무게추 심(34a)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34b)들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 심(34a)의 상측에는 고무링(34c)이 장착된다. 이 고무링(34c)은 어두운 조건에서도 무게추(34)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고무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34)는 서로 다른 중량의 보조 무게추(34b)를 무게추 심(34a)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추(34)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에 작용하는 힘과 무게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낚싯줄(L)이 루어의 링형부(32)와 연결된 상태에서 루어가 수중에 투척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낚시를 하는 사용자가 챔질을 하여 낚시줄(L)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33)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무게추(34)가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 하게 된다. 이때 낚시줄(L)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수중에서 종방향부(33)에는 휨모멘트와 장력(tension)이 작용하고, 루어의 몸통(10)의 꼬리부(12)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부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무게추(34)와 몸통(10)은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는 데에 대응하는 반발 압력을 받게 되고,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에 의해 그림 ⓐ상태에 있던 무게추(34)는 그림 ⓒ상태와 같이 전진하려다가 그림 ⓑ상태와 같이 후진을 하게 된다(사실상 무게추(34)와 몸통(10)은 챔질에 의해 그림 ⓐ상태로부터 그림 ⓒ상태의 방향으로 미세하게 전진하지만 미미한 움직임에 불과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일체가 되어 있는 루어의 몸통(10) 역시 무게추(34)의 후진한 거리만큼 자연스럽게 후진(즉, 백 스텝 움직임)을 하게 된다.
도 4는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위의 설명을 보충하면 다음과 같다. 즉, 그림 ①의 상태와 같이 수중에 투척되어 있는 루어에 연결된 낚싯줄(L)을 이용하여 챔질을 하면, 챔질 방향 즉 낚싯줄(L)의 방향으로 루어가 당겨져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 하게 된다. 그러나,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몸통(10)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그림 ②의 상태와 같이 무게추(34)가 몸통(10)의 꼬리부(1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몸통(10)이 무게추(34)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보이게 된다. 참고로, 그림 ②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에 의해 종방향부(33)가 휘어진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위와 같이 몸통(10)과 무게추(34)를 포함한 본 발명의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다음에는 그림 ③과 같이 일반적인 루어와 동일하게 전진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33)와 무게추(34) 및 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결합되어 있는 몸통(10)에 작용하는 힘들에 의해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프리 폴링하면서 전진하는 움직임을 나타내게 된다.
위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전진을 하는 행동을 하게 됨으로써, 루어의 훅(20)이 해초와 같은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무게추(34)와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에 의해 루어의 훅(20)은 수중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수중 바닥의 해초와 같은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훅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챔질시 루어가 후진을 하면서 장애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루어의 백 스텝 움직임(후진)으로 인해 루어의 이동 거리가 기존의 루어에 비해 짧아 수중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 기존의 루어는 낚싯줄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챔질과 폴링(falling)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낚싯줄(L)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과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루어는 챔질 시 무게추(34)가 수면 쪽으로 솟아오를 때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후 전진한 데 이어서 폴링을 하게 되므로 마치 살아있는 새우가 재빠르게 톡톡 튀어 도망치려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보다 유리하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종방향부(33)를 횡방향부(31) 또는 몸통(10)에 대하여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로 조절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데, 이렇게 종방향부(33)와 몸통(10)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사용하면, 프리 폴링(free falling) 시 도 6의 모습과 같이 몸통(10)이 종방향부(33)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려고 상하/좌우로 부르르 떨리면서 수중으로 침강하는 액션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대상 어종을 보다 리얼하게 꾀어서 낚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7은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예컨대, 68.52°)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데, 이때는 프리 폴링 시 도 8과 같이 조류방향으로 상기 각도를 유지한 채 전진함으로써 폴링 시 넓은 지역을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종방향부(33)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백 스텝 움직임(후진)이 커지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종방향부(33)를 가진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구비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 종방향부(33)의 길이를 길게 하면 무게추(34)가 수중의 저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고기 또는 두족류가 예민하게 루어(몸통)를 취했을 때 저중심에 위치한 무게추(34)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신(魚信, 손맛)을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루어는 종방향부(33)의 하단에 장착되는 무게추(34)의 무게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으므로, 낚시 대상 어종과 수심에 따라 적절한 중량의 무게추(34)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몸통 11 : 머리부
12 : 꼬리부 20 : 훅
30 :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 31 : 횡방향부
32 : 링형부 33 : 종방향부
34 : 무게추 34a : 무게추 심
34b : 보조 무게추 34c : 고무링
L : 낚싯줄

Claims (4)

  1.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 측에는 낚싯줄이 연결될 수 있는 몸통;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상기 횡방향부를 상대로 상기 종방향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상기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상기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무게추가 상기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몸통이 상기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상기 횡방향부가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는 무게추 심과 이 무게추 심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중량의 상기 보조 무게추를 상기 무게추 심에 장착함에 따라 무게추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KR1020140005160A 2014-01-15 2014-01-15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60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0A KR101607946B1 (ko) 2014-01-15 2014-01-15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0A KR101607946B1 (ko) 2014-01-15 2014-01-15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65A KR20150085365A (ko) 2015-07-23
KR101607946B1 true KR101607946B1 (ko) 2016-03-31

Family

ID=538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7946B1 (ko) 2014-01-15 2014-01-15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40A (ko) 2022-10-05 2024-04-12 권봉엽 두족류용 낚시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9B1 (ko) * 2006-06-22 2008-01-30 오정용 봉돌
JP2010220613A (ja) * 2009-03-20 2010-10-07 Rapala Vmc Corp ルア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9B1 (ko) * 2006-06-22 2008-01-30 오정용 봉돌
JP2010220613A (ja) * 2009-03-20 2010-10-07 Rapala Vmc Corp ルア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40A (ko) 2022-10-05 2024-04-12 권봉엽 두족류용 낚시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65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907A (en) Upright jig
US8857100B2 (en)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and related method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US3497987A (en) Artificial fishing lure
KR101889401B1 (ko) 두족류 낚시용 어구
US9185892B2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US20040098902A1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5042189A (en)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KR102486227B1 (ko) 전 층 수평이 가능한 낚시용 애기 루어
US3006103A (en) Fishermen's sinkers capable of being used as lures or spinners
US20160330945A1 (en)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607946B1 (ko)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US2100289A (en) Casting bait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US3363359A (en) Artificial fish lure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KR20200129987A (ko) 지그헤드
JP6899058B1 (ja) ルアー
KR20130104335A (ko) 낚시용 인조미끼
KR200490888Y1 (ko) 공기 주머니가 구비되는 루어낚시 채비
US1510923A (en) Artificial bait
CN210538327U (zh) 一种改进型渔具
JP6340490B1 (ja) 釣り用仕掛け及び釣り方法
JP3208006U (ja) ルアー
WO2019089871A1 (en)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