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46B1 -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 Google Patents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7946B1 KR101607946B1 KR1020140005160A KR20140005160A KR101607946B1 KR 101607946 B1 KR101607946 B1 KR 101607946B1 KR 1020140005160 A KR1020140005160 A KR 1020140005160A KR 20140005160 A KR20140005160 A KR 20140005160A KR 101607946 B1 KR101607946 B1 KR 101607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lure
- control means
- fishing line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질 시 백 스텝 움직임을 선행함으로써 수중 장애물의 걸림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애물 걸림 시에도 탈출이 용이하며, 바닥층의 정밀 탐색과 대상 어종의 식탐 자극에 유리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 측에는 낚싯줄이 연결될 수 있는 몸통과,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통에 결합되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무게추가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몸통이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an obstacle in an underwater obstacle by preceding a back step movement in the course of a fishery, facilitates escape even when an obstacle is caught, and is suitable for fishing L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reel having a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nd having a shape of a shrimp or a small fish and a fishing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head side and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into an annular shape toward the body, A hook, and a louder motion control means coupled to the body. Particularly,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includes a transverse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ransverse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and a ring-shaped portion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body from the transverse portion, And a weight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portion.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to the ring-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longitudinal portion and the buoyancy acting on the tensile force and the body act as a repulsive pressure against the direction of the chamber, so that the tail of the weight- The body moves forward by advancing the back step movement (backward movement)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weight, .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챔질 시 백 스텝 움직임을 선행함으로써 수중 장애물의 걸림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애물 걸림 시에도 탈출이 용이하며, 바닥층의 정밀 탐색과 대상 어종의 식탐 자극에 유리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lur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lure for fishing, which prevents occurrence of a hanging of an underwater obstacle by preceding a back step movement in the case of a hammer and is easy to escape when an obstacle is caught, To a fishing lure in which a back step movement is preceded.
낚시용 루어는 생미끼가 아닌 속임수의 가짜 미끼(lure)로 생미끼와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입수와 보관에 번거로움이 없도록 한 것이다. 루어는 털,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만든 인공미끼로서, 이를 얼마만큼 살아 있는 미끼처럼 보이게 하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루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어종별로 나뉘어 있으므로 이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Fishing lure is not a raw bait but a fake bait. It has the same effect as a raw bait, but it does not hassle to obtain and store it. Lure is an artificial bait made of fur, plastic, metal and so on, and how much it makes it look like a living bait is the key. There are several kinds of lures and they are divided into fish species.
낚시용 루어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몸체에 바늘이 형성된 낚시 루어로서 몸체 중간 부분에 고정 결합된 제1바늘이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꼬리 부분에 고정 결합된 제2바늘 및 제3바늘이 구비되어 있으며, 눈과 더듬이 및 지느러미가 구성되어 인조 미끼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루어를 물은 물고기가 제1 내지 제3바늘에 의하여 확실하게 어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낚시용 루어는 물고기가 루어를 물었을 때에 물고기의 이빨에 의하여 루어의 표피뿐만 아니라 몸체가 망실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고, 루어의 중량을 조절할 수 없어 수심에 따른 물고기의 어획이 용이하지 않으며, 실제 미끼와 같이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요인이 부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루어는 대부분 잘 썩지 않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낚시 도중에 루어를 잃어버리게 되면 수중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Prior art related to a fishing lure includes those known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a fishing lure having a needle formed on the body; a first needle fixedly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ody; A second needle and a third needle fixedly coupled to a tail portion of the eye, and a shape of artificial bait is formed by the eyes, the whiskers and the fins. In addition, this is to ensure that the fish watering the lure can be reliably harvested by the first to third needles. However, in the fishing lure of Patent Document 1, not only the epidermis of the lure but also the body are lost due to the teeth of the fish when the fish bite the lure, so that it can not be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weight of the lure can not be controlled. And it lacks factors that can attract fish like real bait. In addition, the lur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does not easily decay, and if the lure is lost during fishing, there is a serious problem such as causing pollution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한편, 특허문헌 2의 낚시용 루어는, 새우나 작은 물고기 형상으로 표면에 자개가 부착되고 목질로 이루어지며 머리부에 낚싯줄이 결합되는 연결링이 구비된 몸체와, 복수의 바늘이 환형으로 몸체를 향해 형성되고 몸체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체의 머리부 아래에 형성된 홈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싱커와, 상기 훅 종단부 가장자리에 낚싯줄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shing lur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body having a shrimp or a small fish shape and having a mother-of-pearl attached to its surface and having a connecting ring in which fishing line is joined to the head portion, A sinker detach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under the head of the body; a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ooks connected to the hook at the edge of the hook, And a fixing groove formed therein.
그런데, 헤드부에 싱커를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루어는 낚싯줄에 텐션을 주지 않고 자유 침강시키면 루어가 90도에 가까운 자세로 강하하면서 훅에 낚싯줄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붙잡고 텐션을 주어 침강 각도를 강제로 수평 상태로 만들어 침강시키는 방법에 의해 루어를 바닥까지 내려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fishing lure equipped with the sinker at the head portion is free to sink into the fishing line without tension, the fishing line is often caught in the hook while the lure descends to a position close to 90 degre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ure must be lowered to the bottom by a method in which a tension is applied to set the sinking angle to a horizontal state forcibly.
또한, 종래의 루어는 챔질시 전진만 하는 동작을 보이기 때문에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한계가 따르고, 해초 등의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현상이나 수중 바닥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탈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수심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ure shows an action of advancing only in the chamber, there is a limitation in stimulating the target fish species, and when a hook is caught in an obstacle such as seaweed or a hooking phenomenon occurs in the underwater floor It is not easy to escap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disadvantage of precision search of the water depth bottom layer.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루어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낚싯줄이 훅에 걸리는 현상과 해초 등의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밑 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훅이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탈출하기가 용이하고, 루어의 거리 이동이 짧아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하며,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성능이 우수한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ishing lur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fishing line is hooked on hooks and bottom catching phenomenon where hooks are hooked on obstacles such as seaweeds, It is easy to escape when an obstacle in the water occurs and it is advantageous for precise search of the bottom layer due to short distance travel of the lure. There is a purpose in provi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을 가지며 머리부 측에는 낚싯줄이 연결될 수 있는 몸통과,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과, 상기 몸통에 결합되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상기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상기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무게추가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몸통이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rod comprising: a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nd having a shape of a shrimp or a small fish, and a fishing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head side; and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into an annular shape toward the body, And a louder motion control means coupled to the body. Particularly,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includes a transverse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ransverse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and a ring-shaped portion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body from the transverse portion, And a weight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wherein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portion, and the ring-shap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ing-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longitudinal portion and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body and the buoyancy acting on the body act as repulsion pressure against the direction of the chamber, (Backward movement) as much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weight moves the body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at is characteriz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횡방향부가 몸통의 머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ateral direction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횡방향부를 상대로 종방향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longitudin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portion.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는 무게추 심과 이 무게추 심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중량의 보조 무게추를 무게추 심에 장착함에 따라 무게추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eight of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includes a weighting device and an auxiliary weight device attached to the weight device. When the auxiliary device is mounted on the weight device, So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can be varied.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전진을 하는 행동을 하게 됨으로써, 루어의 훅이 해초와 같은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루어의 훅이 수중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수중 바닥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훅이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챔질시 루어가 후진을 하면서 장애물 등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action of advancing after a back step movement (backward movemen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a hook of a lure is caught in an underwater obstacle such as seaweed, So tha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a hook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hook is caught in the underwater floor. Even if the hook is caught by an obstacle, the lure of the chamber can be easily retracted from the obstacle while the lure is reversed.
둘째, 머리부에 헤드 싱커가 구비된 종래의 루어는 낚싯줄에 텐션을 주지 않고 수중에 자유 침강(프리 폴링) 시키면 루어가 90도에 가까운 자세로 직하강하면서 훅에 낚싯줄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붙잡고 텐션을 주어 루어의 침강 각도를 강제로 수평 상태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루어는 낚싯줄과 훅이 90도 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각도를 갖기 때문에 낚싯줄이 훅에 걸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줄의 텐션을 유지하지 않고도 프리 폴링으로 수심 깊은 곳 바닥을 찍기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when a conventional lure equipped with a head sinker is free-falling down (free-poling) in water without giving tension to the fishing line, the fishing line is often caught in the hook while the lure descends to a position close to 90 degrees Therefore, hold the fishing line with your fingers and give the tension to make the sinking angle of the lure level to the level. However, since the fishing line and the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ngle that maintains the fishing line and the hoo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ishing line hooking phenomenon and to prevent the fishing line from being til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taken until the image is taken.
셋째,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으로 인해 루어의 이동 거리가 기존의 루어에 비해 짧아 수중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Third,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for precise search of the underwater floor because the travel distance of the lure i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ure due to back step movement (backward movement).
넷째, 종래의 루어는 낚싯줄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챔질과 폴링(falling)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의 루어는 낚싯줄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챔질 시 무게추가 수면 쪽으로 솟아오를 때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후 전진한 데 이어서 폴링을 하게 되므로 마치 살아있는 새우가 재빠르게 톡톡 튀어 도망치려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conventional lure is connected by a method directly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falling operation with the chamber, but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ure movement control means, As the lure moves up (backward) when the lure climbs up, it polls after advancing, so that the live shrimp tries to jump out quickly,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stimulating the target fish species.
다섯째,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의 길이를 길게 하면 무게추가 수중의 저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고기 또는 두족류가 예민하게 루어(몸통)를 취했을 때 저중심에 위치한 무게추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신(魚信, 손맛)을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since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low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added water when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is lengthened, when the fish or cephalopod takes a lure (trun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ish fish (fish fish, fish tastes) more quickly.
여섯째, 본 발명의 루어는 생산 비용에 있어서 종래의 루어에 헤드 싱커를 조립할 때 소요되는 비용에 비해 저렴하고, 루어에 장착되는 무게추는 적정 무게를 지닌 금속이나 돌 등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ixth,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st of assembling a head sinker in a conventional lure in terms of production cost, and the weight mounted on a lure can be freely used with metal or stone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enjoy fish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게 추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에 작용하는 힘과 무게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프리 폴링시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프리 폴링시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on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ement of the weight when the lancet is in the chamber.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hamber.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and the luer motion control means in the lu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lure during pre-polling in the state of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and the luer motion control means in the lu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cute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por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lure during the pre-polling in the state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게 추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몸통(10)과 훅(20) 및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t of Fig. 1, showing a
상기 몸통(10)은 나무와 같이 부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피나무를 2cm 내외의 판재로 만들어 응달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에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로 3차원 절삭으로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크기 및 중량으로 대량 생산할 수가 있으며, 몸통(10)의 표면에는 금박지나 은박지, 홀로그램테이프, 천, 자개 등을 접착할 수가 있다. 특히, 몸통(10)의 형상은 낚시 대상 어종을 유인하기 용이한 새우나 작은 물고기의 형상으로 제작이 된다.The body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like woo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same size and weight by processing the wood of the wood of about 2 cm or less, drying it in the shade to remove moisture, and then machining it by three-dimensional cutting with a CNC (Machineized Numerical Control) Gold foil, silver foil, hologram tape, cloth, mother-of-pearl, etc. Particularly, the shape of the
이러한 몸통(10)의 앞부분인 머리부(11)는 낚싯줄을 연결할 수 있는 부위이며, 뒷부분인 꼬리부(12)에는 훅(hook, 낚시바늘 : 20)이 하나 이상 결합되어 있다. 훅(20)은 갈고리 모양의 바늘들이 몸통(10)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컨대 두족류가 입으로 루어를 물었을 때에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One or more hooks (hooks) 20 are coupled to the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은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 및 무게추(3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루어(구체적으로는 몸통(1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는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강선이나 플라스틱 또는 철선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는 전체적으로 'ㄱ'형을 이루게 된다.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30 comprises a
상기 횡방향부(31)는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몸통(10)의 머리부(11)에 횡방향으로 결합이 된다. 특히, 횡방향부(31)는 몸통(10)의 머리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데, 예를 들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이 된다. 따라서, 사용하던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손상되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에 의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공구를 이용하여 횡방향부(31)를 몸통(10)의 머리부(11)로부터 제거한 다음 새로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횡방향부(31)를 몸통(10)의 머리부(11)에 억지끼움식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횡방향부(31)는 몸통(10)의 머리부(11) 안으로 완전히 매입이 되어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링형부(32)는 횡방향부(31)로부터 몸통(10)의 머리부(11)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말린 형태로 형성이 되며, 이 링형부(32)에 낚싯줄(L)이 연결된다.The ring-
그리고, 종방향부(33)는 링형부(32)로부터 종방향 아래로 연장이 된 부분인데, 횡방향부(31)에 대하여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를 이룸으로써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으로 구성된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전체적으로 'ㄱ'형을 이루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횡방향부(31)와 링형부(32) 및 종방향부(33)은 강선과 같은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횡방향부(31)를 상대로 종방향부(33)의 각도를 직각 또는 예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무게추(34)는 종방향부(33)의 하단에 결합이 되며, 금속이나 돌과 같이 몸통(10)의 부력보다 무거운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무게추(34)의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게추(34)를 하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무게추 심(34a)과 이 무게추 심(34a)의 단턱 위에 장착되는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복수 개의 보조 무게추(34b)로 구성하였다. 이와 아울러, 무게추 심(34a)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34b)들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 심(34a)의 상측에는 고무링(34c)이 장착된다. 이 고무링(34c)은 어두운 조건에서도 무게추(34)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고무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34)는 서로 다른 중량의 보조 무게추(34b)를 무게추 심(34a)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추(34)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The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에 작용하는 힘과 무게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낚싯줄(L)이 루어의 링형부(32)와 연결된 상태에서 루어가 수중에 투척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낚시를 하는 사용자가 챔질을 하여 낚시줄(L)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33)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무게추(34)가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 하게 된다. 이때 낚시줄(L)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수중에서 종방향부(33)에는 휨모멘트와 장력(tension)이 작용하고, 루어의 몸통(10)의 꼬리부(12)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부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무게추(34)와 몸통(10)은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는 데에 대응하는 반발 압력을 받게 되고,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에 의해 그림 ⓐ상태에 있던 무게추(34)는 그림 ⓒ상태와 같이 전진하려다가 그림 ⓑ상태와 같이 후진을 하게 된다(사실상 무게추(34)와 몸통(10)은 챔질에 의해 그림 ⓐ상태로부터 그림 ⓒ상태의 방향으로 미세하게 전진하지만 미미한 움직임에 불과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일체가 되어 있는 루어의 몸통(10) 역시 무게추(34)의 후진한 거리만큼 자연스럽게 후진(즉, 백 스텝 움직임)을 하게 된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on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vement of the weight when the fishing lure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도 4는 챔질 시 본 발명의 루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위의 설명을 보충하면 다음과 같다. 즉, 그림 ①의 상태와 같이 수중에 투척되어 있는 루어에 연결된 낚싯줄(L)을 이용하여 챔질을 하면, 챔질 방향 즉 낚싯줄(L)의 방향으로 루어가 당겨져 전진하면서 수면 쪽으로 솟아오르려 하게 된다. 그러나,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몸통(10)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그림 ②의 상태와 같이 무게추(34)가 몸통(10)의 꼬리부(12)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몸통(10)이 무게추(34)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보이게 된다. 참고로, 그림 ②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종방향부(33)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에 의해 종방향부(33)가 휘어진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위와 같이 몸통(10)과 무게추(34)를 포함한 본 발명의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다음에는 그림 ③과 같이 일반적인 루어와 동일하게 전진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33)와 무게추(34) 및 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과 결합되어 있는 몸통(10)에 작용하는 힘들에 의해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프리 폴링하면서 전진하는 움직임을 나타내게 된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hammer; That is, when the fishing line L connected to the lure thrown in the water is used as shown in FIG. 1 (a), the lur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fishing line (L) However, since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위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루어는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에 전진을 하는 행동을 하게 됨으로써, 루어의 훅(20)이 해초와 같은 수중의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무게추(34)와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에 의해 루어의 훅(20)은 수중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수중 바닥의 해초와 같은 장애물에 훅이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으며, 훅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챔질시 루어가 후진을 하면서 장애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루어의 백 스텝 움직임(후진)으로 인해 루어의 이동 거리가 기존의 루어에 비해 짧아 수중 바닥층의 정밀 탐색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 기존의 루어는 낚싯줄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챔질과 폴링(falling)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지만, 낚싯줄(L)이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과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의 루어는 챔질 시 무게추(34)가 수면 쪽으로 솟아오를 때 루어가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한 후 전진한 데 이어서 폴링을 하게 되므로 마치 살아있는 새우가 재빠르게 톡톡 튀어 도망치려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상 어종의 식탐을 자극하는 데에 보다 유리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orward movement after preceding the back step movement (backward movemen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the hook 20 of the lure is caught by an obstacle in the water such as seaweed, The hook 20 of the lure is separated from the floor of the underwater by the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종방향부(33)를 횡방향부(31) 또는 몸통(10)에 대하여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로 조절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데, 이렇게 종방향부(33)와 몸통(10)의 각도가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사용하면, 프리 폴링(free falling) 시 도 6의 모습과 같이 몸통(10)이 종방향부(33)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려고 상하/좌우로 부르르 떨리면서 수중으로 침강하는 액션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대상 어종을 보다 리얼하게 꾀어서 낚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7은 본 발명의 루어에서 몸통과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종방향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예컨대, 68.52°)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데, 이때는 프리 폴링 시 도 8과 같이 조류방향으로 상기 각도를 유지한 채 전진함으로써 폴링 시 넓은 지역을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ou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한편, 본 발명의 루어는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의 종방향부(33)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백 스텝 움직임(후진)이 커지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종방향부(33)를 가진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30)이 구비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 종방향부(33)의 길이를 길게 하면 무게추(34)가 수중의 저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고기 또는 두족류가 예민하게 루어(몸통)를 취했을 때 저중심에 위치한 무게추(34)의 움직임으로 인해 어신(魚信, 손맛)을 보다 빨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루어는 종방향부(33)의 하단에 장착되는 무게추(34)의 무게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으므로, 낚시 대상 어종과 수심에 따라 적절한 중량의 무게추(34)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As the length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is is possible.
10 : 몸통 11 : 머리부
12 : 꼬리부 20 : 훅
30 :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 31 : 횡방향부
32 : 링형부 33 : 종방향부
34 : 무게추 34a : 무게추 심
34b : 보조 무게추 34c : 고무링
L : 낚싯줄10: torso 11: head
12: tail 20: hook
30: luer motion control means 31:
32: ring-shaped portion 33: longitudinal portion
34:
34b:
L: fishing line
Claims (4)
복수 개의 바늘이 상기 몸통을 향해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의 꼬리부에 하나 이상 결합되는 훅;
좌우방향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횡방향부와, 이 횡방향부로부터 상기 몸통의 머리부 반대쪽 말단에 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연결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와, 이 종방향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구비한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상기 횡방향부를 상대로 상기 종방향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링형부에 낚싯줄을 연결한 상태에서 챔질을 하면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가 챔질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면으로 솟아오르려다가 상기 종방향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와 장력 및 상기 몸통에 작용하는 부력이 챔질 방향에 대해 반발 압력으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무게추가 상기 몸통의 꼬리부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몸통이 상기 무게추의 움직인 거리만큼 백 스텝 움직임(후진)을 선행한 후 전진하게 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It is made of material with buoyancy and has the shape of a shrimp or small fish, and the head can b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 hook having a plurality of needle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ward the body and coupled to the tail of the body;
A ring-shaped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at an end opposite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from the transverse portion, the ring-shaped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the transverse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in a transverse direction; A louver motion control means having a longitudinal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ing-shaped portion and a weight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longitudinal portion,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is a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longitudin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ateral portion,
A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longitudinal portion and a buoyancy acting on the body, which are appli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uver movement control means, The back step movement in which the body moves forward (backward)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weight by the movement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tail of the body, The preceding fishing lure.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은 상기 횡방향부가 상기 몸통의 머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er motion control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so that the lateral direction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body.
상기 루어 움직임 제어수단의 무게추는 무게추 심과 이 무게추 심에 장착되는 보조 무게추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중량의 상기 보조 무게추를 상기 무게추 심에 장착함에 따라 무게추의 중량을 가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스텝 움직임이 선행되는 낚시용 루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of the louver motion control means comprises a weight chest and an auxiliary weight mounted on the weight chest, and when the auxiliary weight is attached to the weight chest of different weights, Wherein the fishing line is a fishing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5160A KR101607946B1 (en) | 2014-01-15 | 2014-01-15 |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5160A KR101607946B1 (en) | 2014-01-15 | 2014-01-15 |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5365A KR20150085365A (en) | 2015-07-23 |
KR101607946B1 true KR101607946B1 (en) | 2016-03-31 |
Family
ID=5387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516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7946B1 (en) | 2014-01-15 | 2014-01-15 |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79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7640A (en) | 2022-10-05 | 2024-04-12 | 권봉엽 | Fishing rigs for cephalopod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279B1 (en) * | 2006-06-22 | 2008-01-30 | 오정용 | A boulder |
JP2010220613A (en) * | 2009-03-20 | 2010-10-07 | Rapala Vmc Corp | Lure device |
-
2014
- 2014-01-15 KR KR1020140005160A patent/KR1016079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279B1 (en) * | 2006-06-22 | 2008-01-30 | 오정용 | A boulder |
JP2010220613A (en) * | 2009-03-20 | 2010-10-07 | Rapala Vmc Corp | Lur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7640A (en) | 2022-10-05 | 2024-04-12 | 권봉엽 | Fishing rigs for cephalopo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5365A (en) | 2015-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3907A (en) | Upright jig | |
US8857100B2 (en) | Weedless fishing lure device and related method | |
US20150282464A1 (en) |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 |
US3497987A (en) | Artificial fishing lure | |
KR101889401B1 (en) | Fishing gear for capturing the cephalopod | |
US9185892B2 (en) |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 |
US20040098902A1 (en) | Weighted shank fish hooks | |
US5042189A (en) | Selectively convertible fish lure | |
KR102486227B1 (en) | all-floor levelling baby luer | |
US3006103A (en) | Fishermen's sinkers capable of being used as lures or spinners | |
US20160330945A1 (en) | Lure weigh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KR101607946B1 (en) | Fishing lure preceding back step motion | |
US2100289A (en) | Casting bait | |
KR102175432B1 (en) | Fishing tackle | |
US3363359A (en) | Artificial fish lure | |
US20110214333A1 (en) | Fishing Lure | |
KR20200129987A (en) | A jig head having a bate keeper | |
JP6899058B1 (en) | Lure | |
KR20130104335A (en) | A lure for fishing | |
KR200490888Y1 (en) | Lure fishing gear equipped air tube | |
US1510923A (en) | Artificial bait | |
CN210538327U (en) | Improved fishing gear | |
JP6340490B1 (en) | Fishing device and fishing method | |
JP3208006U (en) | Lure | |
WO2019089871A1 (en) | Fishing l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