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5124B1 -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24B1
KR101605124B1 KR1020080134960A KR20080134960A KR101605124B1 KR 101605124 B1 KR101605124 B1 KR 101605124B1 KR 1020080134960 A KR1020080134960 A KR 1020080134960A KR 20080134960 A KR20080134960 A KR 20080134960A KR 101605124 B1 KR101605124 B1 KR 10160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ock lever
elastic member
lock
lock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791A (ko
Inventor
황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24B1/ko
Priority to US12/635,781 priority patent/US8019214B2/en
Priority to GB0921985A priority patent/GB2467206B/en
Priority to DE102009059157.5A priority patent/DE102009059157B4/de
Publication of KR2010007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연결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잠금 핀; 상기 잠금 핀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 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홀더와 결합하며,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잠금 핀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Coupling apparatus for accessories of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렌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일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란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일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를 말한다.
여기서, 일안 렌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안식(二眼式)이다. 따라서,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달라서 센서에 전달되는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서 보면서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렌즈의 광축 상에 미러(mirror)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평상시에는, 렌즈부에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에서 반사되고, 초점판에서 결상되어, 촬영자는 초점판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펜타프리즘과 뷰 파인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셔터-릴리스 신호가 입력되면,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햐여 렌즈부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가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의 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안 렌즈 반사식 카메라는, 촬영 시 광량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셔터와 동시에 빛을 내는 강한 광원인 스트로보(strobo)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순간적인 섬광을 이용한 스트로보는 크세논(Xe) 가스 등을 봉입한 방전관에 고전압의 직류전류가 순간적으로 흘러서 전기적으로 자극을 받았을 때 생기는 빛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로보와 카메라의 동조 기능에 의해 촬영이 수행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밝기와 광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소형 스트로보는 휴대성이 좋고, 어두운 곳에서도 동작이 빠른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스트로보는 크기와 용량에 따라 휴대용 소형, 중형, 스튜디오용 대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장착 방식에 따라 카메라의 핫 슈(hot shoe)에 탈착시킬 수 있는 클립 온 타입(clip on type)과 손잡이에 의해 카메라의 동조 접점과 연결시켜 사용하는 그립 타입(grip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클립 온 타입(clip on type)에서는 카메라 본체와 스트로보를 연결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에 스트로보 단자가 접촉될 수 있는 고정단자를 갖는 핫 슈(hot shoe)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카메라 본체의 상면에 스트로보의 단자조립부가 끼워져서 스트로보가 카메라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핫 슈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트로보(strobo)를 카메라 본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스크루 타입(screw type), 헬리컬 타입(herical type) 등의 체결 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체결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복잡하고 고장의 위험성이 크며, 스트로보(strobo)를 카메라 본체에 결합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체결 강도가 약하여 스트로보(strobo)가 카메라 본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결한 구조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연결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잠금 핀; 상기 잠금 핀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 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홀더와 결합하며,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잠금 핀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홀더가 접촉하고,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 인입되면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홀더가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겨서, 상기 잠금 레버는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 레버 상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 가압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탄성 부재 가압부가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잠금 핀을 가압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의 상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일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탄성 부재 가압부가 상기 홀더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고정단이고 타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잠금 핀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측에는 상기 카메라용 부속품이 안착되는 하우징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레버에는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잠금 레버의 가이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핀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핫 슈(hot shoe)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부속품은 스트로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체결 장치의 구조가 간결해지고,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 간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부속품 체 결 장치(100)는 홀더(110), 데이터 핀(121), 데이터 핀 스프링(122), 잠금 핀(131), 잠금 핀 스프링(132),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 탄성 부재(150), 잠금 레버(160), 스트로보 하우징(170) 및 체결 부재(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는 카메라 본체(200)의 체결부(210)에 결합됨으로써 핫 슈(hot shoe)와 접촉한다.
핫 슈(hot shoe, cordless contact shoe)는 카메라의 액세서리 슈 내에 스트로보용 직결접점이 장착된 부분을 말한다. 최근에는 스트로보와 카메라 간의 동조 기능에 의한 촬영뿐 아니라, 카메라 측의 정보가 스트로보로 보내져서 스트로보의 광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스트로보 측의 충전 상태 등이 카메라 측에 보내져서 셔터의 조리개가 제어되는 등, 고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는 제품 등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스트로보(strobo)를 카메라 본체의 상기 핫 슈 부분에 결합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되었던 체결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이 복잡하고, 스트로보(strobo)를 카메라 본체에 결합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체결 강도가 약하여 스트로보(strobo)가 카메라 본체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는 카메라 본체(200)와 스트로보(미도시) 간의 간결한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먼저, 카메라 본체(200)의 상측에는 핫 슈(hot shoe)(220)가 형성되어 있다. 핫 슈(220)에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의 데이터 핀(121)이 삽입되는 데이터 핀 홀(221)과,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의 잠금 핀(131)이 삽입되는 잠금 핀 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핫 슈(220)의 양측으로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의 홀더(110)가 끼워지는 체결부(210)가 형성된다.
홀더(110)의 내부에는 데이터 핀(121)이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핀(121)은 카메라 본체(200)의 데이터 핀 홀(221)에 삽입되어서, 카메라 본체(200)와 스트로보(미도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핀(121)에는 데이터 핀 스프링(122)이 끼워진다. 상기 데이터 핀 스프링(122)은 데이터 핀(12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데이터 핀(121)이 도 2에서 보았을 때 홀더(110)의 하방, 즉 카메라 본체(200) 쪽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데이터 핀(121)은 홀더(11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가 카메라 본체(200)에 끼워질 때는 데이터 핀(121)은 상측으로 밀려올라 갔다가, 데이터 핀(121)과 데이터 핀 홀(221)의 위치가 일치하면, 데이터 핀 스프링(122)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데이터 핀(121)은 데이터 핀 홀(221)에 삽입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데이터 핀(121) 및 데이터 핀 스프링(122)이 각각 다섯 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데이터 핀(121) 및 데이터 핀 스프링(122)의 개수 및 형상은 카메라 본체(200)와 스트로보(미도시)의 제품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홀더(110)의 내부에는 또한 잠금 핀(131)이 배치된다. 상기 잠금 핀(131)은 카메라 본체(200)와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가 결합되었을 때, 카메라 본체(200)의 잠금 핀 홀(222)에 삽입되어서, 카메라 본체(200)와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잠금 핀(131)에는 잠금 핀 스프링(132)이 끼워진다. 상기 잠금 핀 스프링(132)은 잠금 핀(13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잠금 핀(131)이 도 2에서 보았을 때 홀더(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잠금 핀(131)의 상단부는 후술할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후술할 잠금 레버(160) 및 탄성 부재(150)가 상기 잠금 핀(131)의 상측을 가압하면, 상기 잠금 핀(131)이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서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홀더(11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잠금 핀 홀(222)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잠금 레버(160) 및 탄성 부재(150)가 상기 잠금 핀(131)의 가압을 중단하면, 잠금 핀 스프링(132)이 제공하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 핀(131)은 원위치하게 된다. 상기 잠금 핀(131)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상기 홀더(110)의 내부에는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가 배치된다. 상기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홀더(110)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데이터 핀(121)들 및 잠금 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홀(141)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가 홀더(110)에 결합하면서, 상기 홀(141)들에 상기 데이터 핀(121)들 및 잠금 핀(131)이 끼워지고, 상기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의해서 상기 데이터 핀(121)들 및 잠금 핀(131)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 된다.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 상에는 탄성 부재(150)가 배치된다. 탄성 부재(150)는 소정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150)의 일 단부(150a)는 고정단으로서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 상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150)의 타 단부(150b)는 자유단으로서,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150)의 상기 타 단부(150b)는 상술한 잠금 핀(131)의 상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150)의 상기 타 단부(150b)는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상기 타 단부(150b)는 잠금 핀(13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후술할 잠금 레버(160)가 회전하여 상기 타 단부(150b)를 가압하면, 상기 타 단부(150b)는 잠금 핀(131)과 접촉하면서 잠금 핀(131)을 가압하고, 따라서 잠금 핀(131)이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서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홀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잠금 핀 홀(222)에 삽입되는 것이다.
잠금 레버(160)는 홀더(11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잠금 레버(16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잠금 레버(160)의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탄성 부재(150)를 가압하고, 탄성 부재(150)는 잠금 핀(131)을 가압하여,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잠금 핀 홀(222)에 삽입됨으로써,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와 카메라 본체(200)가 체결된다. 한편, 잠금 레버(160)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잠금 레버(160)의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탄성 부재(150)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탄성 부재(150)가 잠금 핀(131)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홀더(110) 내로 인입 됨으로써,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와 카메라 본체(200) 간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 및 각 구성 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잠금 레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스트로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더(11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 하부에 형성되어 카메라 본체(도 2의 200 참조)의 체결부(도 2의 210 참조)에 끼워지는 핫 슈 체결부(112)를 포함한다.
원통 형상의 본체(111)의 내부에는 중공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1)의 상부 면의 일부에는 함몰부(111b)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몰부(111b)의 일 측부에는 경사부(11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111b)에는 후술할 잠금 레버(도 4의 160 참조)의 탄성 부재 가압부(도 4의 162 참조)의 홈(도 4의 162b 참조)이 끼워진다. 따라서, 잠금 레버(160)가 회전할 때, 상기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은 상기 홀더(110)의 함몰부(111b) 및 경사부(111c)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이 상기 홀더(110)의 경사부(111c)를 타고 슬라이딩하면, 상기 잠금 레버(160)가 상기 홀더(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핫 슈 체결부(112)에는 상술한 데이터 핀(도 2의 121 참조)들 및 잠금 핀(도 2의 131 참조)이 끼워질 수 있는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핀(도 2의 121 참조)들 및 잠금 핀(도 2의 131 참조)은 이 홀들을 통하여 홀더(110)로부터 인출되거나, 홀더(110) 내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레버(160)는 베이스(161)와, 탄성 부재 가압부(162)와, 가이드부(163)와, 손잡이(164)를 포함한다.
베이스(161)는 대략 고리 형상 즉, 환형(環形)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잠금 레버(160)가 홀더(110)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잠금 레버(160)의 내경은 홀더(1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61)의 일 측에는 사용자가 잠금 레버(1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6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161) 상에는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 가압부(162)는 대략 ∩ 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161) 상에서 돌출부(162a)가 돌출형성되며, 돌출부(162a)의 일 단부가 대략 직각으로 두 번 절곡되어서 가압부(162c)를 형성하며, 돌출부(162a)와 가압부(162c) 사이에는 홈(16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162c)는 탄성 부재(150)를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잠금 레버(160)가 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162c)가 탄성 부재(150)를 눌러준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홈(162b)은 홀더(도 3의 110 참조)의 함몰부(도 3 의 111b 참조)에 끼워진다. 따라서, 잠금 레버(160)가 회전할 때, 상기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은 상기 홀더(110)의 함몰부(111b) 및 경사부(111c)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이 상기 홀더(110)의 경사부(111c)를 타고 슬라이딩하면, 상기 잠금 레버(160)가 상기 홀더(110)에 대하여 위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레버(160)가 상기 홀더(110)에 대하여 위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압부(162c)가 탄성 부재(150)를 가압하거나, 또는 탄성 부재(150)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161) 상에는 가이드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63)는 베이스(161) 상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가이드부(163)의 일 측부에는 경사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부(163a)는 후술할 스트로보 하우징(도 5의 170 참조)의 경사부(도 5의 171b 참조)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 레버(160)가 회전할 때, 상기 잠금 레버(160)의 경사부(163a)는 상기 스트로보 하우징(도 5의 170 참조)의 경사부(도 5의 171b 참조)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레버(160)의 경사부(163a)가 상기 스트로보 하우징(도 5의 170 참조)의 경사부(171b)를 타고 슬라이딩하면, 상기 잠금 레버(160)가 상기 스트로보 하우징(도 5의 170 참조)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로보 하우징(170)은 스트로보(미도시)가 안착되는 본체(171)를 포함한다. 본체(171)는 대략 내부에 홀(171a)이 형성되어 있는 삼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경사부(171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부(171b)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 레버(160) 의 경사부(163a)와 맞닿도록 형성되어서, 잠금 레버(160)가 회전할 때 잠금 레버(160)의 경사부(163a)가 스트로보 하우징(170)의 경사부(171b)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따라서 잠금 레버(160)가 스트로보 하우징(17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와 카메라 본체의 핫 슈 사이의 체결 및 해제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잠금 레버, 잠금 핀, 핀 가이드 플레이트 및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는 홀더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잠금 레버(160)와 핀 가이드 플레이트(140) 사이에 홀더가 더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와 카메라 본체의 핫 슈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와 카메라 본체의 핫 슈 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9에서는 스트로보 하우징(170)의 외주면 일부가 절단되어 스트로보 하우징(170)의 경사부(171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와 카메라 본체(200)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잠금 레버(160)의 탄성 부재 가압부(162)와 탄성 부재(150)가 서로 접하지 아니하고 있다. 또한, 잠금 레버(160)의 본체(161)는 스트로보 하우징(170)의 본체(171)와 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잠금 레버(160)의 손잡이(164)를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60)의 경사부(163a)는 스트로보 하우징(170)의 경사부(171b)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따라서 잠금 레버(160)가 스트로보 하우징(170)에 대하여 도 9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레버(16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화살표 C 방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잠금 레버(160)의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점진적으로 탄성 부재(150)의 타 단부(150b)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탄성 부재(150)의 타 단부(150b)와 접촉하고 있는 잠금 핀(131)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홀더(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카메라 본체의 잠금 핀 홀(도 2의 222 참조)에 삽입되어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와 카메라 본체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 레버(160)가 도 9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내려와서 홀더(110)를 눌러주고, 따라서 홀더(110)가 카메라 본체(200)를 눌러주기 때문에, 홀더(110)와 카메라 본체(200) 간 결합이 강화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 레버(160)의 손잡이(164)를 도 6의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도 6의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은 홀더(110)의 함몰부(111b) 및 경사부(111c)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잠금 레버(160)의 홈(162b)이 홀더(110)의 경사부(111c)를 타 고 슬라이딩하면, 잠금 레버(160)가 홀더(110)에 대하여, 도 7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레버(160)가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잠금 레버(160)의 탄성 부재 가압부(162)가 점진적으로 탄성 부재(150)의 타 단부(150b)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탄성 부재(150)의 타 단부(150b)와 접촉하고 있는 잠금 핀(131)이 위쪽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잠금 핀(131)의 하단부가 홀더(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카메라 본체의 잠금 핀 홀(도 2의 222 참조)로부터 분리되어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100)와 카메라 본체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체결 장치의 구조가 간결해지고,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 간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잠금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스트로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의 잠금 레버, 잠금 핀, 핀 가이드 플레이트 및 탄성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와 카메라 본체의 핫 슈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와 카메라 본체의 핫 슈 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110: 홀더
121: 데이터 핀 121: 데이터 핀 스프링
131: 잠금 핀 132: 잠금 핀 스프링
140: 핀 가이드 플레이트 150: 탄성 부재
160: 잠금 레버 170: 스트로보 하우징
180: 체결 부재 200: 카메라 본체

Claims (15)

  1.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용 부속품을 연결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잠금 핀;
    상기 잠금 핀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 핀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홀더와 결합하며, 상기 탄성 부재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잠금 핀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는 잠금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측에는 상기 카메라용 부속품이 안착되는 하우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 레버에는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홀더가 접촉하고,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 인입되면 상기 잠금 레버와 상기 홀더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는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 레버 상에는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탄성 부재 가압부가 상기 탄성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잠금 핀을 가압하여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 측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 레버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잠금 레버의 상기 탄성 부재 가압부가 상기 홀더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고정단이고 타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잠금 핀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잠금 레버의 회전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핀이 상기 홀더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핀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핀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핫 슈(hot shoe)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용 부속품은 스트로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KR1020080134960A 2008-12-26 2008-12-26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Active KR10160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60A KR101605124B1 (ko) 2008-12-26 2008-12-26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US12/635,781 US8019214B2 (en) 2008-12-26 2009-12-11 Camera accessory coupling apparatus
GB0921985A GB2467206B (en) 2008-12-26 2009-12-16 Camera accessory coupling apparatus
DE102009059157.5A DE102009059157B4 (de) 2008-12-26 2009-12-16 Kamerazubehörkopplung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60A KR101605124B1 (ko) 2008-12-26 2008-12-26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91A KR20100076791A (ko) 2010-07-06
KR101605124B1 true KR101605124B1 (ko) 2016-03-21

Family

ID=4171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960A Active KR101605124B1 (ko) 2008-12-26 2008-12-26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9214B2 (ko)
KR (1) KR101605124B1 (ko)
DE (1) DE102009059157B4 (ko)
GB (1) GB2467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022B1 (ko) * 2011-01-25 201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플래시용 어댑터
TWI468840B (zh) * 2012-02-28 2015-01-11 Canon Kk 可裝卸地安裝到相機側配件插座的相機配件裝置
KR20140096691A (ko) * 2013-01-29 201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JP7362263B2 (ja) * 2019-02-19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接続装置、アクセサリ、アクセサリシュー装置及び電子機器
HU5183U (hu) * 2019-08-23 2020-09-28 Hobby Japan Co Ltd Hüvelykujj támasz fényképezõgéphez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871A (ja) * 1999-07-26 2001-02-09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付属品着脱装置
JP2001264861A (ja) 2000-03-23 2001-09-26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付属品着脱装置
JP2008180914A (ja) 2007-01-25 2008-08-07 Panasonic Photo & Lighting Co Ltd ストロ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216Y2 (ja) 1977-10-31 1983-02-19 川添 道雄 カメラ取付用ブラケットの保持装置
JPS5943544Y2 (ja) 1979-01-22 1984-12-25 道雄 川添 カメラ取付用ブラケツトの保持装置
JPH06102565A (ja) * 1992-09-22 1994-04-15 Kyocera Corp カメラと付属品のインターフェース
JP3607957B2 (ja) * 1995-07-26 2005-01-0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用付属品の装着固定装置
JP5173397B2 (ja) * 2007-12-26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871A (ja) * 1999-07-26 2001-02-09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付属品着脱装置
JP2001264861A (ja) 2000-03-23 2001-09-26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付属品着脱装置
JP2008180914A (ja) 2007-01-25 2008-08-07 Panasonic Photo & Lighting Co Ltd ストロ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59157A1 (de) 2010-07-08
GB0921985D0 (en) 2010-02-03
DE102009059157B4 (de) 2022-03-31
US20100166418A1 (en) 2010-07-01
GB2467206A (en) 2010-07-28
US8019214B2 (en) 2011-09-13
GB2467206B (en) 2011-11-09
KR20100076791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9772B (zh) 摄像设备和安装适配器
US8836853B2 (en) Body structure of imaging apparatus
KR101156680B1 (ko)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US5940642A (en) Electronic still photographic adaptor mountable single-lens reflex camera
US7426339B2 (en) Waterproof housing
KR101605124B1 (ko) 카메라용 부속품 체결 장치
JP2011175191A (ja) カメラ本体およびレンズ鏡筒
JP3887242B2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GB2127164A (en) Thin flat camera with handle
JP2003315649A (ja) レンズ鏡胴
US4165933A (en) Single lens reflex camera removable view finder
JP2004138954A (ja) 携帯電子機器
US20030202118A1 (en) Portable apparatus
JPH11305293A (ja) カメラ
JPH07191388A (ja) フィルム内装形カメラのワインディング装置
JP41108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81718A (ja) カメラグリップ及びカメラ
JP2004287257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4606804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3513820B2 (ja) レンズ位置調整方法
JP4181368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4947885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191395A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6064881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200170644Y1 (ko) 휴대용 사진 투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