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510B1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0510B1 KR101600510B1 KR1020140123853A KR20140123853A KR101600510B1 KR 101600510 B1 KR101600510 B1 KR 101600510B1 KR 1020140123853 A KR1020140123853 A KR 1020140123853A KR 20140123853 A KR20140123853 A KR 20140123853A KR 101600510 B1 KR101600510 B1 KR 101600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contact
- inlet portion
- metal layer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포켓형 전기접촉단자를 적용한 전자파 제거장치를 보여준다.
도 4는 전자파 제거장치가 결합되기 전을 보여준다.
도 5는 전자파 제거장치가 결합된 후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1의 포켓형 전기접촉단자의 변형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켓형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켓형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110, 210, 310: 코어
111, 211: 입구부
112, 212, 312: 픽업 면
113, 213, 313: 솔더링부
115, 215, 315: 수납공간
120, 220, 320: 폴리머 필름
130: 접착층
140: 금속층
Claims (10)
-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기전도성 접촉 핀이 끼워지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접촉 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탄성 내열고무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내면이 상기 코어에 접착되고, 외면에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상면은 진공픽업이 가능한 픽업 면을 이루고,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코어의 하면은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경계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은 서로 접촉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경계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접촉 핀과 가압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은 상기 코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인접하여 상기 코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된 완충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연통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탄성 내열고무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내면이 상기 코어에 접착되고, 외면에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상면은 진공픽업이 가능한 픽업 면을 이루고,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코어의 하면은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입구부의 양 측벽에서 돌출된 탄성 접촉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양 측벽은 상기 솔더링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의 양단은 서로 닿거나 미세 간격으로 이격되며,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삭제
- 삭제
-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 위에 돌출된 접촉 핀으로 구성된 전기전도성 부재; 및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 핀이 끼워지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접촉 핀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탄성 내열고무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내면이 상기 코어에 접착되고, 외면에 솔더링이 가능한 금속층이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으로 구성된 전기접촉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상면은 진공픽업이 가능한 픽업 면을 이루고, 상기 입구부의 양측에서 상기 코어의 하면은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경계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은 서로 접촉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경계 부분에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접촉 핀과 가압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접촉단자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솔더링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패턴 사이에서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접촉 핀이 상기 수납공간에 끼워져 상기 전기접촉단자와 상기 접촉 핀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514555.2A CN105390850B (zh) | 2014-08-22 | 2015-08-20 | 能够实现借助于回流焊的表面贴装的囊型电接触端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9946 | 2014-08-22 | ||
KR20140109946 | 2014-08-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513A KR20160023513A (ko) | 2016-03-03 |
KR101600510B1 true KR101600510B1 (ko) | 2016-03-07 |
Family
ID=5553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3853A Active KR101600510B1 (ko) | 2014-08-22 | 2014-09-17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05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500A (ko) * | 2019-03-22 | 2020-10-05 | 조인셋 주식회사 |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6798B1 (ko) * | 2019-05-21 | 2021-04-06 | 조인셋 주식회사 | 탄성 전기접속단자 어셈블리 |
KR102258846B1 (ko) * | 2020-01-15 | 2021-06-01 | 조인셋 주식회사 | 압접형 전기 커넥터 |
KR102733624B1 (ko) * | 2023-01-18 | 2024-11-25 | 조인셋 주식회사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8207A (ja) | 2008-03-07 | 2009-09-24 | Joinset Co Ltd |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
KR101084282B1 (ko) * | 2011-06-15 | 2011-11-17 | 김선기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KR101201410B1 (ko) * | 2011-05-31 | 2012-11-14 | 주식회사 이엔씨테크 | 회로기판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1354B1 (ko) * | 2008-07-01 | 2010-12-14 | 조인셋 주식회사 |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2014
- 2014-09-17 KR KR1020140123853A patent/KR10160051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18207A (ja) | 2008-03-07 | 2009-09-24 | Joinset Co Ltd |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
KR101201410B1 (ko) * | 2011-05-31 | 2012-11-14 | 주식회사 이엔씨테크 | 회로기판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
KR101084282B1 (ko) * | 2011-06-15 | 2011-11-17 | 김선기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2500A (ko) * | 2019-03-22 | 2020-10-05 | 조인셋 주식회사 |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KR102212350B1 (ko) | 2019-03-22 | 2021-02-05 | 조인셋 주식회사 |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3513A (ko) | 2016-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69055B2 (ja) | 表面実装型電気接続端子及びそれを具備する電子モジュールユニット,回路基板 | |
EP2493280A1 (en) | Shield case for emi shielding | |
KR20150056032A (ko) |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 |
KR101600510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포켓형 전기접촉단자 | |
KR20200142453A (ko) | 부착 강도가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개스킷 | |
WO2016136496A1 (ja) | 弾性コネクタ | |
KR20190088842A (ko) |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562938B1 (ko) | 전기접촉단자 | |
KR101591658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101711013B1 (ko) | 작은 사이즈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1662253B1 (ko) |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100941929B1 (ko) |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US20230299526A1 (en) | Electrical contact terminal having elasticit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 |
KR100920469B1 (ko) | 도전성 탄성블럭 | |
US918452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40335705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2212350B1 (ko) | 저 압축력의 표면 실장에 의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 | |
KR102651162B1 (ko) |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 |
KR102594639B1 (ko) |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 |
KR20170108772A (ko) | 탄성 전기접촉단자 | |
CN105390850A (zh) | 能够实现借助于回流焊的表面贴装的囊型电接触端子 | |
KR101634238B1 (ko) |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
KR102638220B1 (ko) |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 및 그 실장 구조 | |
KR102208675B1 (ko) |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어셈블리 | |
KR101740282B1 (ko) | 전기접촉단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