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9146B1 - 점퍼 부착시스템 - Google Patents

점퍼 부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146B1
KR101599146B1 KR1020140105798A KR20140105798A KR101599146B1 KR 101599146 B1 KR101599146 B1 KR 101599146B1 KR 1020140105798 A KR1020140105798 A KR 1020140105798A KR 20140105798 A KR20140105798 A KR 20140105798A KR 101599146 B1 KR101599146 B1 KR 10159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assembly
saber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723A (ko
Inventor
류진영
최종연
김영윤
허윤구
조승원
채동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1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14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점퍼 부착시스템이 개시된다. 점퍼 부착시스템은 내부에 신호선을 구비한 점퍼부, 점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세이버 어셈블리,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홈은 점퍼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성된 수용부, 세이버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되며, 점퍼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끼움부, 세이버 어셈블리의 타측에 홀이 형성되며, 신호선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배출부, 점퍼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1 외부 연결부, 점퍼부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2 외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수용되는 점퍼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 커넥터의 탈착을 줄여줌으로써, 커넥터의 수명을 길게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점퍼 부착시스템{Jumper attachment system}
본 발명은 점퍼 부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점퍼부를 탈 부착할 수 있는 점퍼 부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성 제작의 필수 단계인 위성의 전기, 전자적 총 조립은 전자박스의 전원공급확인 및 신호전달이 중요하다.
전장품의 실제 연결 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품의 출력이 각 전장품의 요구 규격에 맞는지를 확인하며, 전원공급 확인 완료 후, 신호선을 모든 위성에서 부착하였다가 때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하므로 커넥터 수명이 단축되고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탈부착 줄일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퍼부가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구비되어, 커넥터의 탈착을 줄여줄 수 있는 점퍼 부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박스로부터 커넥터를 자주 탈착하지 않아도 되어, 위성의 안정성에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점퍼 부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퍼 부착시스템은 내부에 신호선을 구비한 점퍼부, 점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세이버 어셈블리,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홈은 점퍼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성된 수용부, 세이버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되며, 점퍼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끼움부, 세이버 어셈블리의 타측에 홀이 형성되며, 신호선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배출부, 점퍼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1 외부 연결부, 점퍼부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2 외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수용되는 점퍼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에 제1외부 연결부가 통과되고, 수용부에 제2외부 연결부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며, 제1외부 연결부 혹은 제2외부 연결부는 브레이크 아웃박스와 연결되며, 브레이크 아웃박스는 위성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점퍼부는 신호선, 신호선과 연결 혹은 분리 되는 접점부, 신호선 혹은 접점부를 수용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끼움부는 ㄱ자, ㄴ자, ㅁ자의 형태로 형성가능하며, 점퍼부의 외면의 크기에 맞게 세이버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는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깊이 파이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 커넥터의 탈착을 줄여줌으로써, 커넥터의 수명을 길게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퍼부가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구비됨으로써, 커넥터의 탈착을 줄여줌으로써,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탈착을 줄여줌으로써, 커넥터의 수명을 길게 해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점퍼부의 사시도이다.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점퍼부가 부착된 세이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버 어셈블리에 점퍼부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버 어셈블리에 형성된 끼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선이 블랙아웃박스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점퍼부의 사시도이며,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점퍼부가 부착된 세이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버 어셈블리에 점퍼부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버 어셈블리에 형성된 끼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점퍼부(100)는 박스형상의 부재(30)와, 부재 내부에 수용되며, 측면쪽에 배치된 접점부(20) 및 접점부과 연결 혹은 분리되는 핀 형태의 신호선(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재(30) 내에는 복수개의 신호선(10)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신호선의 양 측면에는 점점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재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신호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신호선끼리 꼬이지 않도록 배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점퍼부(100)는 세이버 어셈블리(200)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이버 어셈블리(200)는 위성의 전기 및 전자적인 총 조립체일 수 있으며, 내부에, 신호선의 각각의 연결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점퍼부(100)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측에 수용부(58), 끼움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세이버 어셈블리의 측면부에는 점퍼부를 수용시키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세이버 어셈블리 내부에 ㄷ자 형상의 수용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세이버 어셈블리의 측면방향에 점퍼부가 삽입되어, 수용부에 안치되도록 구성가능하며, 점퍼부는 세이버 어셈블리에 형성된 끼움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끼움부는 ㄱ자, ㄴ자, ㅁ자 형상일 수 있으며, 점퍼부의 외면의 크기에 대응되게,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점퍼부는 수용부가 형성된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끼움부에 의하여, 하단부로 떨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는 점퍼부가 일방향으로 끼움부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끼움부는 세이버 어셈블리의 안쪽면에 돌출형성되어, 지지하도록 구성가능하다.
또한,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수용부가, 타측에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수용부를 덮도록 차단막이 배치되어, 외부 침입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가능하며, 차단막에는 신호선이 배출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는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깊이 파이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부가 배치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5는 점퍼부착 시스템의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신호선이 일렬로 배치되어, 신호선과 접점부가 연결된 점퍼부는 세이버 어셈블리 내부에 부착가능하다.
먼저, 점퍼부(100)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하나로 묶어, 커넥터와 연결하여 제1외부 연결부(80)를 구성하고, 점퍼부(100)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신호선을 하나로 묶어, 커넥터와 연결하여 제2외부 연결부(81)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외부 연결부(80) 및 제2외부 연결부(81)는 세이버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형성된 홀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일측에 배치된 홀은 수용부에 의한 홀일 수 있으며, 타측에 배치된 홀은 연결부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삭제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은 제1외부 연결부(80)가 통과되고, 타측은 제2외부 연결부(81)가 통과되어, 양측의 외부 연결부는 브레이크 아웃박스(9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부(58)에는 제1외부 연결부(80)가 통과되며, 배출부(55)에는 제2외부 연결부(81)가 통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측의 외부연결부와 연결된 브레이크 아웃박스는 신호점검 및 고장을 탐지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며, 신호취출용 중계박스일 수 있다.
한편, 세이버 어셈블리(200)는 위성의 전기 및 전자적인 총 조립체일 수 있으며, 내부에, 신호선의 각각의 연결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점퍼부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측에 수용부,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세이버 어셈블리의 측면부에는 점퍼부를 수용시키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세이버 어셈블리의 측면방향에 점퍼부가 삽입되어, 수용부에 안치되도록 구성가능하며, 점퍼부는 세이버 어셈블리에 형성된 끼움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각각의 신호선(10)을 포함한 외부 연결부는 브레이크 아웃박스(Break Out Box)와 연결하여, 신호선 시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며, 브레이크 아웃박스는 위성체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세이버 어셈블리에 부착된 점퍼부(100)는 신호선의 연결 여부를 인지할 수 있어, 브레이크 아웃박에와 연결된 제1외부 연결부 및 제2외부 연결부는 탈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이버 어셈블리부(200)는 신호선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점퍼부(100)가 부착됨으로써, 외부 연결부를 브레이크 아웃박스로부터 탈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신호선 20: 접점부
30: 부재 55: 배출부
57: 끼움부 58: 수용부
80: 제1외부 연결부 81: 제2외부 연결부
90: 브레이크 아웃박스 100: 점퍼부
200: 세이버 어셈블리

Claims (6)

  1. 내부에 신호선을 구비한 점퍼부;
    상기 점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세이버 어셈블리;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점퍼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성된 수용부;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점퍼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끼움부;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의 타측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신호선이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배출부;
    상기 점퍼부의 일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1 외부 연결부;
    상기 점퍼부의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신호선을 묶어 커넥터와 연결한 제2 외부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점퍼부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제1외부 연결부가 통과되고, 상기 배출부에 상기 제2외부 연결부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부 연결부 혹은 상기 제2외부 연결부는 브레이크 아웃박스와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아웃박스는 위성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부는
    상기 신호선;
    상기 신호선과 연결 혹은 분리 되는 접점부;
    상기 신호선 혹은 상기 접점부를 수용하는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ㄱ자, ㄴ자, ㅁ자 중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점퍼부의 외면의 크기에 맞게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의 내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의 일측으로부터, 일정깊이 파이도록 형성되며, 상기 세이버 어셈블리의 타측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부착시스템.
KR1020140105798A 2014-08-14 2014-08-14 점퍼 부착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59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98A KR101599146B1 (ko) 2014-08-14 2014-08-14 점퍼 부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798A KR101599146B1 (ko) 2014-08-14 2014-08-14 점퍼 부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23A KR20160020723A (ko) 2016-02-24
KR101599146B1 true KR101599146B1 (ko) 2016-03-02

Family

ID=5544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7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9146B1 (ko) 2014-08-14 2014-08-14 점퍼 부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602Y1 (ko) 2000-04-28 2000-10-02 신종철 양쪽에서 가변접속이 가능한 모듈러 카풀러의 조합
KR101108938B1 (ko) 2003-04-24 2012-01-31 레그랑 프랑스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508B1 (ko) * 2008-06-25 2010-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점퍼회로기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602Y1 (ko) 2000-04-28 2000-10-02 신종철 양쪽에서 가변접속이 가능한 모듈러 카풀러의 조합
KR101108938B1 (ko) 2003-04-24 2012-01-31 레그랑 프랑스 케이블링 집중기, 그것을 포함하는 신호 분배 유닛 및 그유닛을 포함하는 캐비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23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4305B2 (en) Electric connector
US9865958B2 (en) Plug
US8851905B2 (en) Field-replaceable printed circuit board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US20180191109A1 (en) Equipment cabinet enabling quick connection/disconnection of adapter socket
WO2016128338A3 (en) Automatically deducing the electrical cabling between electrical devices
KR101599146B1 (ko) 점퍼 부착시스템
MX343759B (es) Acopladores de cable de mineria.
KR101543741B1 (ko) 전원분배용 터미널 블럭
JP2009093958A (ja) コネクタ抜け防止装置
US9356403B1 (en) SATA hard disk drive connector
KR20130002470A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카메라 고정장치
JP5154259B2 (ja) 電気機器のアダプタ
US20090098444A1 (en) Level Monitoring System
US20160164219A1 (en) Two-part subsea bulkhead connector and method for rapid replacement or re-purposing of subsea bulkhead connector
JP5848377B2 (ja) 地中線機器用端末変換アダプタ
JP7196065B2 (ja) 電圧インジケータ表示モジュール
CN206364214U (zh) 一种印制板制作的连接器附件
CN202205988U (zh) 用于电连接器的导光组件
KR20180084211A (ko) 옥외용 광커넥터
NL2013500B1 (en) Illumination System; Offshore platform.
JP5280574B2 (ja) 光電子機器
CN204377293U (zh) 电气控制箱和工程机械
JP5976707B2 (ja) 電圧測定装置
CN104010239A (zh) 一种微型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90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22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