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8209B1 - 가변형 파레트 - Google Patents

가변형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209B1
KR101598209B1 KR1020140153811A KR20140153811A KR101598209B1 KR 101598209 B1 KR101598209 B1 KR 101598209B1 KR 1020140153811 A KR1020140153811 A KR 1020140153811A KR 20140153811 A KR20140153811 A KR 20140153811A KR 101598209 B1 KR101598209 B1 KR 10159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allet
panel
wall
fit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강대종
Original Assignee
세화파렛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파렛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파렛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는,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설치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기둥수납홈(13)이 상기 기둥설치홀(12)과 이격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몸체(10)와;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레트몸체(10)의 기둥수납홈(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되, 일측변의 길이(a)와 높이(b)가 각각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일측변(12a) 및 타측변(12b)의 길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기둥부재(20)와; 상기 기둥설치홀(12)에 끼움 결합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의 패널삽입홈(21)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벽체, 기둥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벽체와 기둥 없이 사용하고자 할 때에 파레트의 높이 변화가 없고 표면이 균일하여 물품 적재가 용이하며, 기둥에는 벽체 형성을 위한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여 패널의 단부를 인접한 기둥의 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하여 작은 크기의 물품 운반이 용이해지고, 두 개의 파레트몸체를 상하로 적층시키면서 경첩으로 서로 연결시켜 파레트의 크기에 비해 부피가 큰 물품도 손쉽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변형 파레트{Variable Pallet}
본 발명은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기둥과 벽이 되는 부재가 장착되어 물품 보관 또는 운반시 보호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습기로부터 보관 대상이 되는 제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상하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판재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리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레트의 상면에 물품을 일정량 적재한 후 지게차를 이용하여 한 번에 다량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물류관리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다.
통상적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구조의 파레트는 이송 대상이 되는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파레트를 지게차로 들어올리는 과정이나 차량에 탑재된 채 운반되는 과정에서 충격이나 경사 등의 영향으로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 파레트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파레트에 다수의 기둥을 설치하여 운반 대상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왔다.
그런데, 이 경우 파레트만을 대량으로 운반하고자 할 때 기둥이 파레트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많은 양의 파레트를 운반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869호, 특허문헌 1)에는 파레트의 기둥을 일체로 몸체에 연결하지 않고, 몸체에 브라켓을 설치한 후 기둥을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팬스 역할을 하는 기둥을 절첩시켜 다수의 빈 파레트를 운반할 때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둥을 접은 상태에서의 상단 높이가 파레트의 물품 적재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바, 결국, 미사용시의 높이 최소화를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은 부피가 크고 기둥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재료의 운반에는 적합하나, 부피가 작은 여러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는 기둥 사이로 물품이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관련한 기술로,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4203호, 특허문헌 2)에는 기둥이 아닌 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파레트 관련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벽체가 파레트에 회전 결합하여 여러 벽체를 차곡차곡 파레트에 회전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은 벽체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보관 대상이 되는 물품이 절첩되어 표면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는 벽체 위에 적재되는 바, 물품들의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무질서한 상태가 되고 만다.
이는 특허문헌 1 역시 마찬가지인데, 기둥을 사용하지 않은 채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파레트의 크기보다 적재 대상이 되는 물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기둥을 접어야 하는데, 이 경우 기둥을 접은 상태에서 파레트 표면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아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KR 10-0987869 (2010.10.07) KR 10-0694203 (2007.03.06)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벽체, 기둥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벽체와 기둥 없이 사용하고자 할 때에 파레트의 높이 변화가 없고 표면이 균일하여 물품 적재가 용이한 가변형 파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파레트몸체 표면에 기둥을 뉘여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여 기둥 미사용시에는 기둥이 홈에 삽입되어 파레트몸체 표면 높이 변화 없이 일정해지도록 하고, 기둥 사용시에는 홈에서 꺼내어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 설치를 위한 홈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기둥 사용 전, 후 파레트 표면의 높이 변화가 없고, 표면 균일도를 최대화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기둥에는 벽체 형성을 위한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여 패널의 단부를 인접한 기둥의 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하여 작은 크기의 물품 운반이 용이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두 개의 파레트몸체를 상하로 적층시키면서 경첩으로 서로 연결시켜 파레트의 크기에 비해 부피가 큰 물품도 손쉽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는,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설치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기둥수납홈(13)이 상기 기둥설치홀(12)과 이격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몸체(10)와;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레트몸체(10)의 기둥수납홈(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되, 일측변의 길이(a)와 높이(b)가 각각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일측변(12a) 및 타측변(12b)의 길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기둥부재(20)와; 상기 기둥설치홀(12)에 끼움 결합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의 패널삽입홈(21)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레트몸체(10)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고, 일측에 패널수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수납홈(41)에 상기 벽체형성패널(30)이 뉘여져 수납되는 보조몸체(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장착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장착홀(120)과 이격되어 상면에 패널거치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몸체(100)와; 상기 기둥장착홀(120)에 삽입되어 있되, 힌지(210)에 의해 일측이 상기 파레트몸체(100)와 연결되어 있어 힌지(210)를 기준으로 상향 회전하고,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재(200)와; 상기 패널거치홈(130)에 안착되어 있으며,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기둥부재(200)들이 회전한 상태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에 단부가 끼워져 벽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벽체형성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크삽입홈(110)은 파레트몸체(100)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한 쌍의 파레트몸체(100)가 경첩(400)에 의해 상하로 대칭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파레트몸체(100)에는 패널삽입홈(220)에 안착되어 있는 벽체형성패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벽체, 기둥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벽체와 기둥 없이 사용하고자 할 때에 파레트의 높이 변화가 없고 표면이 균일하여 물품 적재가 용이한 가변형 파레트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파레트몸체 표면에 기둥을 뉘여 수납하는 홈을 형성하여 기둥 미사용시에는 기둥이 홈에 삽입되어 파레트몸체 표면 높이 변화 없이 일정해지도록 하고, 기둥 사용시에는 홈에서 꺼내어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 설치를 위한 홈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기둥 사용 전, 후 파레트 표면의 높이 변화가 없고, 표면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기둥에는 벽체 형성을 위한 패널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여 패널의 단부를 인접한 기둥의 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하여 작은 크기의 물품 운반이 용이해진다.
특히, 두 개의 파레트몸체를 상하로 적층시키면서 경첩으로 서로 연결시켜 파레트의 크기에 비해 부피가 큰 물품도 손쉽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기둥부재를 기둥수납홈에서 꺼내어 기둥설치홀에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벽체형성패널을 인접한 기둥부재에 끼움 결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상하를 전환하여 물품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적재하도록 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기둥부재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벽체형성패널을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가변형 파레트가 경첩에 의해 두 개가 한 쌍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경첩을 기준으로 두 파레트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의 일 실시예가, 도 5 내지 9에는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4의 가변형 파레트는 파레트몸체(10), 기둥부재(20) 및 벽체형성패널(30)로 구성되어 있다.
파레트몸체(10)는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설치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파레트몸체(10) 상면에는 기둥수납홈(13)이 상기 기둥설치홀(12)과 이격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파레트몸체(10)는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취하는데, 기둥설치홀(12)는 모서리에 대응되어 네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수납홈(13)은 기둥설치홀(12)과 이격된 채 중앙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둥설치홀(12)은 파레트몸체(10) 상하를 관통시켜 형성되거나, 저부가 막혀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기둥수납홈(12)은 기둥부재(20) 이탈을 방지하도록 저부가 막혀 있는 구조를 갖는다.
기둥부재(20)는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두 면에만 패널삽입홈(21)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패널삽입홈(21)은 전체 면 4개소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둥부재(20)는 기둥 미사용시에는 상기 파레트몸체(10)의 기둥수납홈(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기둥부재(20)의 일측변의 길이(a)와 높이(b)는 각각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일측변(12a) 및 타측변(12b)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둥 사용시 기둥부재(20)가 기둥수납홈(13)에서 분리된 상태로 뉘여진 상태에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전환된 채 도 2와 같이 상기 기둥설치홀(12)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기둥설치홀(12) 바닥이 막혀 있는 구조인 경우 기둥부재(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개방된 경우 공지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벽체형성패널(3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설치홀(12)에 끼움 결합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의 패널삽입홈(21)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벽체형성패널(30)은 평상시에도 파레트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고 함께 취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파레트몸체(10)의 저부에 보조몸체(40)가 추가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몸체(40)는 파레트몸체(10)에 고정되어 있고, 일측에 패널수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수납홈(41)에 상기 벽체형성패널(30)이 뉘여져 수납되게 된다.
도 4는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를 상하, 반전시킨 것으로 이러한 상태는 지면이 물에 젖은 상태일 때 적재된 물품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9의 가변형 파레트는 파레트몸체(100), 기둥부재(200) 및 벽체형성패널(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레트몸체(1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장착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기둥장착홀(120)과 이격되어 상면에 패널거치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재(200)는 상기 기둥장착홀(120)에 삽입되어 있되, 힌지(210)에 의해 일측이 상기 파레트몸체(100)와 연결되어 있어 힌지(210)를 기준으로 상향 회전하고,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체형성패널(300)은 상기 패널거치홈(130)에 안착되어 있으며,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기둥부재(200)들이 회전한 상태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에 단부가 끼워져 벽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포크삽입홈(110)은 파레트몸체(100)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한 쌍의 파레트몸체(100)가 경첩(400)에 의해 상하로 대칭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레트몸체(100)에는 패널삽입홈(220)에 안착되어 있는 벽체형성패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은 버클이 구비된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는 파레트몸체(100)에 고정된 다수 개의 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는 기둥을 형성하기 전, 후, 벽체를 형성하기 전, 후 파레트 바닥면의 높이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바, 물품의 안정적인 운반, 보관이 용이해지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운반 대상이 되는 물품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의 파레트를 구비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가변형 파레트를 조작하여 여러 종류와 크기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100 : 파레트몸체
11,110 : 포크삽입홈
12 : 기둥설치홀
13 : 기둥수납홈
20, 200 : 기둥부재
21, 220 : 패널삽입홈
30, 300 : 벽체형성패널
40 : 보조몸체
41 : 패널수납홈
130 : 패널거치홈
210 : 힌지
400 : 경첩
500 : 고정수단

Claims (5)

  1. 파레트에 있어서,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설치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기둥수납홈(13)이 상기 기둥설치홀(12)과 이격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몸체(10)와;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레트몸체(10)의 기둥수납홈(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되, 일측변의 길이(a)와 높이(b)가 각각 상기 기둥설치홀(12)의 일측변(12a) 및 타측변(12b)의 길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된 채 상기 기둥설치홀(12)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기둥부재(20)와;
    상기 기둥설치홀(12)에 끼움 결합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의 패널삽입홈(21)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형 파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몸체(10)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고, 일측에 패널수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수납홈(41)에 상기 벽체형성패널(30)이 뉘여져 수납되는 보조몸체(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파레트.
  3. 파레트에 있어서,
    측벽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모서리에는 단부로부터 중앙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기둥장착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장착홀(120)과 이격되어 상면에 패널거치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파레트몸체(100)와;
    상기 기둥장착홀(120)에 삽입되어 있되, 힌지(210)에 의해 일측이 상기 파레트몸체(100)와 연결되어 있어 힌지(210)를 기준으로 상향 회전하고,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패널삽입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부재(200)와;
    상기 패널거치홈(130)에 안착되어 있으며,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기둥부재(200)들이 회전한 상태로 인접한 두 기둥부재(200)의 패널삽입홈(220)에 단부가 끼워져 벽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벽체형성패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가변형 파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삽입홈(110)은 파레트몸체(100)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한 쌍의 파레트몸체(100)가 경첩(400)에 의해 상하로 대칭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파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몸체(100)에는 패널삽입홈(220)에 안착되어 있는 벽체형성패널(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파레트.
KR1020140153811A 2014-11-06 2014-11-06 가변형 파레트 Active KR10159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11A KR101598209B1 (ko) 2014-11-06 2014-11-06 가변형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11A KR101598209B1 (ko) 2014-11-06 2014-11-06 가변형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209B1 true KR101598209B1 (ko) 2016-03-02

Family

ID=5558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11A Active KR101598209B1 (ko) 2014-11-06 2014-11-06 가변형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77B1 (ko) * 2017-12-29 2018-12-12 구현철 합판 이송장치
KR101946815B1 (ko) * 2018-03-16 2019-02-12 유태윤 포장용 조립식 상자
CN110054125A (zh) * 2019-05-17 2019-07-26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03B1 (ko) 2005-01-21 2007-03-14 임용석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
KR100987869B1 (ko)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03B1 (ko) 2005-01-21 2007-03-14 임용석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
KR100987869B1 (ko) 2010-03-11 2010-10-13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77B1 (ko) * 2017-12-29 2018-12-12 구현철 합판 이송장치
KR101946815B1 (ko) * 2018-03-16 2019-02-12 유태윤 포장용 조립식 상자
CN110054125A (zh) * 2019-05-17 2019-07-26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CN110054125B (zh) * 2019-05-17 2024-02-13 广西派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厚度可变的叉齿托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0531B2 (en) Bulk bag carrier with pallet
US20080023470A1 (en) Container Having Dunnage With Integral Stabilizing Members
KR20110069867A (ko) 물품 운송
KR101598209B1 (ko) 가변형 파레트
JP4361871B2 (ja) 載置用レッジ
EP2868592B1 (en) Container with a lid and a means for securing the lid to the base of the container
US8910786B2 (en) Packaging for motors
CN209009104U (zh) 可折叠箱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US20070059119A1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use of the same
JP6106422B2 (ja) 輸送用コンテナ
KR101815280B1 (ko) 물품 포장박스
US10435195B2 (en) Reinforced gaylord container
JP3896346B2 (ja) コンテナ
US12103733B2 (en) Two-piece vibration dampening pallet assembly
JP2005313913A (ja) 運搬用容器
JP4116313B2 (ja) 運搬容器
EP3000741B1 (en) Pallet with upper fixing surface
JP2002096834A (ja) 移送用トレイ
KR20180109008A (ko) 프레임을 이용한 포장 상자
JP2011121713A (ja) パレットラック、パレットラックユニット及びパレットラックを備えたコンテナ
JP2005126076A (ja) 通箱
JP3200355U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KR200367545Y1 (ko) 소형 물품용 종이 박스
KR102274266B1 (ko) 접이식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