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816B1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7816B1 KR101597816B1 KR1020160002565A KR20160002565A KR101597816B1 KR 101597816 B1 KR101597816 B1 KR 101597816B1 KR 1020160002565 A KR1020160002565 A KR 1020160002565A KR 20160002565 A KR20160002565 A KR 20160002565A KR 101597816 B1 KR101597816 B1 KR 101597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bar
- lens
- mirror
-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37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프리즘으로 형성되어 방향을 굴절시키는 접안부;를 포함하는 검안 보조 막대 및 검안렌즈를 탈부착하는 안경 착탈부를 포함하는 검안테; 상기 검안테의 안경 착탈부에 탈부착되는 렌즈 착탈부, 빛의 방향을 굴절시키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굴절렌즈;를 포함하는 검안 보조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시력 측정을 통하여 시력에 맞는 안경 또는 콘텍트렌즈를 맞출 수 있는 시력검사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d-shaped body;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n eyepiece part formed of a prism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or refracting the direction of the eye part, and an eyeglass attaching / detaching part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eye optics lens. And a refracting lens including a lens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eyeglass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of the eye examination frame, and a refraction portion refract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ion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fitting glasses or contact lenses suitable for visual acuity through accurate visual acuity measur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력검사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안키트에 사용되는 차폐막대 및 차폐렌즈가 눈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는 대신 굴절시켜 정확한 시력에 맞는 안경 또는 콘텍트렌즈를 맞출 수 있도록 돕는 검안 보조 막대 및 검안 보조 안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sion inspection apparatus, which uses a shielding bar and a shielding lens used in an optometric kit to refract light directed to the eye, Auxiliary bar and ophthalmic ancillary glasses.
본 발명은 시력검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visual inspection.
시력검사를 하는 방법은 크게 기계로 이루어진 검안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검안차트 및 차폐막대로 이루어진 검안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The method of visual inspection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method of automatically measuring using an optometric apparatus made of a machine, an optometric chart, and a measurement using a optometric kit including a shielding film.
기계로 측정하는 검안장비의 경우 빠른 측정이 가능하지만 정확도와 신뢰도가 낮으므로, 안경을 맞추거나 굴절수술을 위한 검안을 위해서는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검안키트가 요구된다.In the case of ophthalmic instruments which are measured by a machine, it is possible to measure quickly, but since accuracy and reliability are low, an optometric kit with a higher accuracy is required for eyeglasses alignment or refractive surgery.
검안키트는, 검사자가 검안차트로부터 일정 거리 유지하고 한쪽 눈을 차폐막대로 가린 상태에서, 글씨 또는 그림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리지 않은 쪽 눈의 시력을 측정한다.The optometric kit measures the visual acuity of the unaffected eye by inspecting the text or figure while the examiner keeps a distance from the optometric chart and covers one eye with the shielding film.
눈이 초점을 맞출 때에는 양쪽 눈과 사물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초점을 맞추게 된다. 그런데 한쪽 눈을 차폐막대로 가린 상태에서 초점을 맞추게 되면 가리지 않은 쪽의 눈만이 검안차트와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가려진 쪽의 눈 또한 차폐막대와 초점을 맞추게 되고 이로 인해 가리지 않은 눈의 조절에 영향을 미치게 돼서 가리지 않은 눈의 초점을 맞추는 거리를 변화시키게 된다. 즉, 검사자가 검안차트를 바라보고 섰을 때에 한쪽 눈은 차폐막대로 가리는데, 이때 검사자의 가려지지 않은 눈의 초점은 검안차트와 검사자 사이의 거리에 맞게 초점이 맞춰져야 되지만 가려진 눈으로 인하여 가려지지 않은 눈의 초점은 검안차트에 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검안차트보다 검사자와 더 가까운 곳에 초점이 맞춰진다. 따라서, 본래 눈이 가진 시력보다 낮은 시력으로 측정되고, 이로 인하여 검사자는 필요 이상으로 높은 도수를 갖는 안경을 맞추게 된다. When the eye focuses, it focuses on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and the object. However, when focusing on one eye with shielding, only the eyes of the unseen side focus on the optometry chart, but the eyes of the obscured side also focus on the shielding bar, thereby affecting the control of the unobstructed eye. And changes the distance of focusing the unobserved eye. In other words, when the examinee looks at the optometry chart, one eye is covered with the shield, and the focus of the obscured eye of the examinee should be focu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optometry chart and the inspector, Is not focused on the chart, but is focused closer to the examiner than the chart. Thus, it is measured at a visual acuity lower than the visual acuity of the original eye, which causes the examiner to match the glasses with a higher power than necessary.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67875호의 '시력 측정용 눈가리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눈 가리개에 있어서 양쪽 눈을 커버시트를 이용하여 차폐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으나, 눈을 가리는데 있어서 초점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차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7875, "Blindfold for Visual Measurement", both eyes are covered with a cover sheet in the blindfold, but the focal distance is considered when the eyes are cover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hiel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시력 측정이 가능한 검안 보조 막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hthalmic auxiliary bar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visual acu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시력에 맞는 안경 또는 콘텍트렌즈를 맞출 수 있도록 검안 보조 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auxiliary eyeglass so that the eyeglasses or the contact lenses can be matched with an accurate visual acuit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보조막대는, 막대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키는 접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부는 상이 맺히는 곳에 그림 또는 문자열의 인쇄물이 위치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ometric auxiliary bar comprises: a rod-shaped body;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n eyepiece part having a slope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o refract the proceeding direction of the light, wherein the eyepiece part may be provided with a printed matter of a picture or a string.
또한, 상기 검안보조막대는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검안보조막대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의 빗면이 상기 접안부에 부착되어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될 수 있다.The optometric auxiliary bar may further include a square triangular prism optic assist bar prism, and the oblique surface of the optometric assist bar prism may be attached to the eyepiece part to refract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또한, 상기 검안보조막대는, 상기 막대거울부와 막대반사부 및 막대입사부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삼각기둥 형태의 막대반사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막대거울부는 상기 막대반사프레임의 내부 빗면에 위치하며, 상기 막대입사부는 상기 막대거울부와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빛이 막대반사프레임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막대반사부는 상기 막대입사부와 직각방향으로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상기 막대입사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막대거울부에서 반사되어 막대반사부를 통해 막대반사프레임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으며, 상기 막대반사프레임은 상기 막대거울부의 바깥면이 상기 접안부(112)에 부착될 수 있다.
Further, the optometric auxiliary bar may further include a rod-shaped reflective frame in the form of a triangular prism with an inner space including the rod mirror portion, the rod reflection portion, and the rod incident portion, Wherein the rod incidence portion is located on a quadrangular surface adjacent to the rod mirror portion and has a hole through which light can enter into the rod reflection frame, and the rod reflection portion is located at a right angle to the rod incidence portion Wherein the rod reflection part is located on a neighboring square surface and the light incident from the rod incidence part is reflected by the rod mirror part and penetrates through the rod reflection part to the outside of the rod reflection frame,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may be attached to th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시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검안 보조 막대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ometrist auxiliary rod which helps to measure an accurate visual acu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시력에 맞는 안경 또는 콘텍트렌즈를 맞출 수 있도록 검안 보조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tacles supplementary eyeglass that can match glasses or contact lenses that meet the exact visual acui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검안 보조 막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을 이용한 검안 보조 막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 보조 막대의 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을 이용한 검안 보조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검안보조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이 부착된 굴절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이 부착된 굴절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보조안경의 실시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mirror-based examination support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ometric bar using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llustration of an optometric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ometrist auxiliary eyeglass using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irror-based eye-observation auxiliary eye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refracting lens with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refracting lens with a mirr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pectacles auxiliary eye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시력검사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isu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검안 보조 막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mirror-based examination support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을 이용한 검안 보조 막대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ometric bar using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 보조 막대의 실시도이다.3 is an illustration of an optometric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 보조 막대는 몸체(111), 손잡이(113), 접안부(1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optometric auxiliary r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111)는 막대형태로 되어 사용자가 시력을 측정하는데 있어 편안한 위치에 손을 위치할 수 있게 한다.The
상기 손잡이(113)는 상기 몸체(111)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시력 측정시에 잡을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접안부(112)는 상기 몸체(111)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시력 측정시 눈을 대어 검안차트를 보지 않도록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킨다.The
상기 접안부(112)에는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의 빗면이 상기 접안부(112)에 부착되어 빛의 진행방향이 굴절될 수 있다.A diagonal
즉,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직각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의 빗면과 상기 접안부(112)가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의 직각면에 입사된 광선은 굴절되어 다른 직각면의 외부로 향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검안의 대상이 되는 안구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가 정면이 아닌 곳을 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안의 대상이 되는 안구의 초점거리와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의 초점거리를 비슷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의 초점거리가 매우 짧아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at is, the optometric
또한, 상기 검안보조막대는 막대거울부(115)와 막대반사부(116) 및 막대입사부(117)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삼각기둥 형태의 막대반사프레임(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막대거울부(115)는 상기 막대반사프레임(114)의 내부 빗면에 위치하며, 상기 막대입사부(117)는 상기 막대거울부(115)와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빛이 막대반사프레임(114)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막대반사부(116)는 상기 막대입사부(117)와 직각방향으로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상기 막대입사부(117)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막대거울부(115)에서 반사되어 막대반사부(116)를 통해 막대반사프레임(114)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으며, 상기 막대반사프레임(114)은 상기 막대거울부(115)의 바깥면이 상기 접안부(112)에 부착될 수 있다. The optometric auxiliary bar further includes a
즉, 상기 막대입사부(117)를 통해 막대반사프레임(114)으로 입사된 빛은, 상기 막대거울부(115)에서 반사되어 상기 막대 반사부(116)를 통해 사용자의 눈으로 향하게 된다. That is, the light incident on th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검안의 대상이 되는 안구의 초점거리와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의 초점거리를 비슷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의 초점거리가 매우 짧아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ocal distance of the eyeball, which is the object of the eye examination, is similar to the focal distance of the eyeball which is not the subject of the eyeball examination, .
상기 접안부(112)를 통해서 상이 보이는 곳에는 그림 또는 문자열의 인쇄물(130)이 위치한다. 이는, 눈이 아무 무늬가 없는 벽을 바라볼 때 초점을 제대로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A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을 이용한 검안 보조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ometrist auxiliary eyeglass using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을 이용한 검안 보조 안경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irror-based eye-observation auxiliary eye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이 부착된 굴절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refracting lens with a pr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이 부착된 굴절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refracting lens with a mirr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 보조 안경의 실시도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pectacles auxiliary eye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안 보조안경(120)은, 검안렌즈를 탈부착하는 안경 착탈부(125)를 포함하는 검안테(121); 및 상기 안경 착탈부(125)에 탈부착 가능한 렌즈 착탈부(124)와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키는 굴절부(123)를 포함하는 굴절렌즈(122); 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4 to 8, th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미리 렌즈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시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검안테를 이용한 검안을 용이하게 도와준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lens in advance, and by providing a similar environment when worn, it facilitates the eye examination using the eye examination frame.
상기 굴절렌즈의 렌즈 착탈부(124)는 검안테(121)의 안경 착탈부(125)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검안테(121)를 착용했을 경우 손으로 잡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lens
또한, 상기 검안보조안경(120)은,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의 빗면을 제외한 어느 한 사각면이 상기 렌즈 착탈부(124)에 부착되어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킬 수 있다.The optometric
여기서, 검안 대상이 아닌 안구는, 검안 대상인 안구가 향하는 곳이 아닌 곳에서 출발한 굴절된 빛을 보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은 옆에서 바라볼 때 직각삼각형의 모양을 하고 빗면 및 측면은 외부로부터 가려져 있어 빛이 외부로부터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의 빗면 및 측면을 통하여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의 내부로 입사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을 통하여 검안 대상이 아닌 안구에 도달하는 빛은 상기 검안보조안경 프리즘(131)의 빗면을 제외한 어느 한 사각면을 통과하는 빛으로 한정된다.Here, the eyes that are not subject to the optometry should see the refracted light starting from the place where the eyeball is not facing. Further, the optometric
또한 상기 검안보조안경(120)은, 렌즈거울부(127)와 렌즈반사부(128) 및 렌즈입사부(129)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삼각기둥 형상의 렌즈반사프레임(1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거울부(127)는 상기 렌즈반사프레임(126)의 빗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입사부(129)는 상기 렌즈거울부(127)와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빛이 상기 렌즈반사프레임(126)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렌즈반사부(128)는, 상기 렌즈입사부(129)와 직각방향으로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상기 렌즈입사부(129)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렌즈거울부(127)에서 반사되어 상기 렌즈반사부(128)를 통해 상기 렌즈반사프레임(126)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으며, 상기 렌즈반사프레임(126)은 상기 렌즈반사부(128)의 바깥면이 상기 렌즈 착탈부(124)에 부착될 수 있다. The optometrist
여기서, 상기 굴절렌즈(122)에 부착되는 상기 렌즈거울부(127)는 수평면에서 45°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검안의 대상자가 정면을 응시하며 검안을 실시하는 상태에서,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는 천장에서 출발하는 빛을 보도록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Here, the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전의 상기 차폐막대를 이용하는 경우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의 초점거리가 매우 짧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8에 제시된 표시부(130)와 검안의 대상이 아닌 안구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검안의 대상이 되는 안구의 초점거리와 유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ocal distance of the eyeball, which is not an object of the eye examination, becomes very short when the conventional shielding bar is used.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한편, 상기 굴절렌즈(122)를 통해서 상이 맺히는 곳에는 그림 또는 문자열의 인쇄물(1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눈이 아무 무늬가 없는 벽을 바라볼 때 초점을 제대로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a prin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0 : 검안 보조 막대 111 : 몸체
112 : 접안부 113 : 손잡이
114 : 막대반사프레임 115 : 막대거울부
116 : 막대반사부 117 : 막대입사부
118 : 검안보조막대 프리즘 120 : 검안 보조 안경
121 : 검안테 122 : 굴절렌즈
123 : 굴절부 124 : 렌즈 착탈부
125 : 안경 착탈부 126 : 렌즈반사프레임
127 : 렌즈거울부 128 : 렌즈반사부
129 : 렌즈입사부 130 : 표시부
131 : 검안보조안경 프리즘 140 : 시력판110: Optometrist auxiliary rod 111: Body
112: eyepiece 113: handle
114: bar reflection frame 115: bar mirror part
116: bar reflecting portion 117: bar incident portion
118: Optometry supplementary bar prism 120: Optometry aid glasses
121: optometrist 122: refractive lens
123: refracting portion 124: lens attaching / detaching portion
125: eyeglasses detachable part 126: lens reflection frame
127: lens mirror part 128: lens reflection part
129: Lens incidence part 130: Display part
131: Ophthalmic eyeglass prism 140: vision plate
Claims (3)
상기 몸체(111)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13); 및
상기 몸체(111)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키는 접안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부(112)는 상이 맺히는 곳에 그림 또는 문자열의 인쇄물(13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보조막대.
A rod-shaped body 111;
A handle 113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1; And
And an eyepiece part (112) formed to have a slope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1) to refract the proceeding direction of light,
Wherein the eyepiece portion (112)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a printed or textual print (130) is placed.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안보조막대 프리즘(118)의 빗면이 상기 접안부(112)에 부착되어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보조막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tometric auxiliary bar prism (118) having a right triangular prism shape,
Wherein an oblique surface of the optometric head bar prism (118) is attached to the eyepiece portion (112) to refract the proceeding direction of light.
막대거울부(115)와 막대반사부(116) 및 막대입사부(117)를 포함하는 내부가 비어있는 삼각기둥 형태의 막대반사프레임(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막대거울부(115)는 상기 막대반사프레임(114)의 내부 빗면에 위치하며,
상기 막대입사부(117)는 상기 막대거울부(115)와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빛이 막대반사프레임(114) 내부로 입사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막대반사부(116)는 상기 막대입사부(117)와 직각방향으로 이웃한 사각면에 위치하되, 상기 막대입사부(117)로부터 입사된 빛이 상기 막대거울부(115)에서 반사되어 막대반사부(116)를 통해 막대반사프레임(114)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있으며,
상기 막대반사프레임(114)은 상기 막대거울부(115)의 바깥면이 상기 접안부(11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보조막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low reflective triangular rod-shaped bar reflecting frame (114) including a bar mirror portion (115), a bar reflecting portion (116) and a bar incident portion (117)
The bar mirror 115 is located on the inner oblique surface of the bar reflecting frame 114,
The rod incidence portion 117 is located on a quadrangular surface adjacent to the rod mirror portion 115 and has a hole for allowing light to enter into the rod reflection frame 114,
The rod reflection part 116 is located on a quadrangular surface adjacent to the rod incidence part 117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d incidence part 117. Light incident from the rod incidence part 117 is reflected by the rod mirror part 115, A hole is drilled through the reflection portion 116 so as to advance outside the bar reflection frame 114,
Wherein the bar reflecting frame (114) is attached to the eyepiece portion (112)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bar mirror portion (1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565A KR101597816B1 (en) | 2016-01-08 | 2016-01-08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565A KR101597816B1 (en) | 2016-01-08 | 2016-01-08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2287A Division KR101597815B1 (en) | 2014-12-03 | 2014-12-03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7816B1 true KR101597816B1 (en) | 2016-02-26 |
Family
ID=5544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565A Active KR101597816B1 (en) | 2016-01-08 | 2016-01-08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81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6873A (en) * | 1999-08-05 | 2001-03-05 | 한영강 | refracting glasses using prism |
-
2016
- 2016-01-08 KR KR1020160002565A patent/KR1015978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6873A (en) * | 1999-08-05 | 2001-03-05 | 한영강 | refracting glasses using pris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74535T3 (en) | DEVICE AND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OPTICAL PARAMETERS OF A US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9335567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inocular loupe | |
CN108209855B (en) | Subjective optometry device | |
CN104427924A (en) |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objective ocular refraction characteristic of a patient for a plurality of visual ranges | |
JP5311601B1 (en) | How to make a binocular loupe | |
US7976160B2 (en) | Automatic pupillometer with visual verification | |
JP6407576B2 (en) | Model eye module, intraocular lens inspection apparatus and intraocular lens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13616152A (en) | Ophthalmological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optical quality of an eye | |
KR20160144981A (en) | Method for adjusting a display device | |
KR101597815B1 (en)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
US2014011176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pth of Focus of an Eye Optical System | |
KR101597816B1 (en) | Apparatus for vision inspection | |
JP6798287B2 (en) | Awareness optometry device | |
JP2010268900A (en) | Method for measuring pupil diameter and pupil imaging apparatus | |
JPH09253049A (en) | Ophthalmometer | |
KR102142097B1 (en) | Apparatus of eyesight test | |
JP2736741B2 (en) | Refractometer | |
JPH11347016A (en) | Imaging device | |
KR20070091432A (en) | Ophthalmic Ophthalmoscope | |
KR101712004B1 (en) | Binocular Accommodation Response Measurement Device | |
KR102765950B1 (en) | Device measuring the defocus curve of a multifocal intraocular lens | |
CN113331782B (en) | Computer optometry instrument | |
JPH0533735B2 (en) | ||
KR101751701B1 (en) | Portable Binocular Accommodation Response Measurement Device | |
JPH07194545A (en) | Subjective optome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120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17228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