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23B1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7423B1 KR101597423B1 KR1020140048078A KR20140048078A KR101597423B1 KR 101597423 B1 KR101597423 B1 KR 101597423B1 KR 1020140048078 A KR1020140048078 A KR 1020140048078A KR 20140048078 A KR20140048078 A KR 20140048078A KR 101597423 B1 KR101597423 B1 KR 101597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signal
- low
- signal
- frequency
- ra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또한, 본 발명은 저주파 전침을 이용하여 복부, 허벅지, 엉덩이 등의 국부비만을 치료할 수 있어 비만, 봉와직염(Cellulitis), 국부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y)등의 치료에 탁월하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발생 제어장치로부터 혼합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 및 저주파 신호의 타이밍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의 증감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의 증감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의 증감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다른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발생 제어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00 : 클럭 제너레이터 200 : 마이크로 컨트롤러
300 : 구동부 400 : 고주파-저주파 혼합발생부
500 : 증폭 및 신호 출력부
Claims (7)
- 클럭 제너레이터를 이용해 필요주파수 대역 상에 제 1, 2 클럭 펄스파를 생성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스위치 회로가 구동부에 의해 턴 온될 시, 상기 제 1 클럭 펄스파에 고전압 신호가 실린 고주파 신호를 고주파 대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클럭 펄스파에 저전압 신호가 실린 저주파 신호를 저주파 대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고주파-저주파 혼합발생부; 및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 및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인체의 환부에 투입되어 심부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고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상기 저주파 신호가 인체의 환부에 투입되어 심부압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저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길게 설정하며,
제어신호로 상기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의 출력 시퀀스를 타이밍 제어하여 상기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가 혼합된 출력강도를 증감 조절하되, 제어신호의 인아웃을 컨트롤하여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면서 정격 고주파 신호와 정격 저주파 신호의 출력강도를 증감 조절하며,
상기 구동부는 펄스주파수 변조방식과 펄스폭 변조방식을 혼용한 복합적 펄스변조 방식을 실시하고,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및 펄스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해 상기 고주파 신호의 일부가 저주파 대역 내에서 검출될 시 구동전압 혹은 구동전류를 이용해 상기 고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저주파 신호의 일부가 고주파 대역 내에서 검출될 시 상기 구동전압 혹은 구동전류를 이용해 상기 저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이종접합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생 제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및 신호 출력부는,
기구비된 혼합회로를 이용해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를 각각의 고유한 주파수 값을 유지한 채 하나의 신호로 혼합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혼합발생 제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환부에 접촉되며 상기 증폭 및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인체 환부에 인가하는 신호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혼합발생 제어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재는,
각각 구분된 전극을 갖는 한 쌍의 전극패드나 혹은 전극침이 적용되며,
상기 전극패드 혹은 전극침은 도전성 고무 또는 도전성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생 제어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제너레이터 대신 Direct digital synthesizer(DDS)가 대체재로 채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생 제어장치.
-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클럭 제너레이터를 이용해 필요주파수 대역 상에 제 1, 2 클럭 펄스파를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고주파 신호가 인체의 환부에 투입되어 심부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1 클럭 펄스파의 펄스주기를 짧게 설정하고, 저주파 신호가 인체의 환부에 투입되어 심부압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 2 클럭 펄스파의 펄스주기를 길게 설정하는 단계;
스위치 회로가 기연결된 구동부에 의해 턴 온될 시, 고주파-저주파 혼합발생부가 상기 제 1 클럭 펄스파에 고전압 신호가 실린 상기 고주파 신호를 고주파 대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클럭 펄스파에 저전압 신호가 실린 상기 저주파 신호를 저주파 대역 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단계;
증폭 및 신호 출력부가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저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제어신호로 상기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의 출력 스퀸스를 타이밍 제어하여 상기 정격 고주파 신호 및 정격 저주파 신호가 혼합된 출력강도를 증감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제어신호의 인아웃을 컨트롤하여 기설정된 시간차를 두면서 정격 고주파 신호와 정격 저주파 신호의 출력강도를 증감 조절하며,
상기 구동부는 펄스주파수 변조방식과 펄스폭 변조방식을 혼용한 복합적 펄스변조 방식을 실시하고,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및 펄스주파수 변조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해 상기 고주파 신호의 일부가 저주파 대역 내에서 검출될 시 구동전압 혹은 구동전류를 이용해 상기 고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감소시키는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저주파 신호의 일부가 고주파 대역 내에서 검출될 시 상기 구동전압 혹은 구동전류를 이용해 상기 저주파 신호의 펄스주기를 증가시키는 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이종접합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발생 제어장치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078A KR101597423B1 (ko) | 2014-04-22 | 2014-04-22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078A KR101597423B1 (ko) | 2014-04-22 | 2014-04-22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900A KR20150121900A (ko) | 2015-10-30 |
KR101597423B1 true KR101597423B1 (ko) | 2016-03-07 |
Family
ID=5443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80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7423B1 (ko) | 2014-04-22 | 2014-04-22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4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761B1 (ko) * | 2017-03-09 | 2019-09-19 | 한국과학기술원 | 신경 차단 시술을 위한 장치, 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KR102445056B1 (ko) * | 2020-05-08 | 2022-09-21 | (주)굿플 | 체외충격파 및 극초단파를 이용한 치료보조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7328A1 (en) * | 2004-08-31 | 2006-03-02 | Patrick Murphy | Multi-frequency electrical field generator and use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0102A (ko) | 2002-06-24 | 2004-01-03 | 박기권 |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
KR100571708B1 (ko) | 2003-12-16 | 2006-04-24 | 최성은 | 저주파 및 흡인도자를 이용한 비만치료기 |
KR100806318B1 (ko) | 2006-09-08 | 2008-02-27 | 이항범 | 비만 및 피부치료 장치 및 제어 방법 |
KR101057974B1 (ko) * | 2008-11-20 | 2011-08-19 | (주)아이티시 |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
KR101012818B1 (ko) * | 2008-11-20 | 2011-02-08 | (주)아이티시 |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이 부가된 체외 충격파 치료기 |
-
2014
- 2014-04-22 KR KR1020140048078A patent/KR1015974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47328A1 (en) * | 2004-08-31 | 2006-03-02 | Patrick Murphy | Multi-frequency electrical field generator and use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900A (ko) | 2015-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7974B1 (ko) |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 |
KR20180092020A (ko) | 고주파 및 저주파 복합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
CN108261607B (zh) | 一种用于运动机能调控的功能性经皮神经电刺激装置 | |
JP7169688B2 (ja) |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 |
JP5553435B2 (ja) | パルス電気刺激装置 | |
CN109125921B (zh) | 一种基于诱发脑电信号的脉冲针灸治疗仪 | |
JP7048121B2 (ja) | 電気刺激装置 | |
EP3081256A1 (en) | Electrotherapy device | |
KR101591736B1 (ko) | 중주파 복부지방 제거기 | |
CN110152189B (zh) | 能逐渐增加刺激强度的电疗装置 | |
JP7094528B2 (ja) | 電気的刺激装置 | |
KR101499567B1 (ko)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101597423B1 (ko)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JP2003135607A (ja) | 低周波治療装置 | |
JP2024142159A (ja) | 電気治療装置及び電気刺激付与方法 | |
JP6703694B2 (ja) | 深層筋刺激装置 | |
KR20090097457A (ko) | 스파크 발생을 방지한 고주파 비만치료장치 | |
KR20210069255A (ko) | 지연성 근육통의 고주파 자극 마사지를 위한 고주파 컨트롤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주파 자극 장치 | |
KR101377749B1 (ko) | 정전위 및 간섭전류 복합치료기 | |
US20250032792A1 (en) | Serialised or parallelised bi-channel high-frequency electrotherapy device | |
KR101565735B1 (ko) | 복합변조식 신호발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KR20100003943A (ko) | 핸드피스 조작이 필요 없는 자동 형 고주파 피부치료 및지방제거 장치 | |
KR20170055369A (ko) | 저주파 전기 자극 효과를 갖는 고주파 치료기 | |
KR100874099B1 (ko)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범용 주파수 발생기 및 주파수 발생방법 | |
CN118647434A (zh) | 具有串联或并联的两个通道的高频电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