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009B1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3009B1 KR101593009B1 KR1020150061683A KR20150061683A KR101593009B1 KR 101593009 B1 KR101593009 B1 KR 101593009B1 KR 1020150061683 A KR1020150061683 A KR 1020150061683A KR 20150061683 A KR20150061683 A KR 20150061683A KR 101593009 B1 KR101593009 B1 KR 101593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oilet
- storage tank
- filter
- 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면대(10)의 세면수를 저수조(20)에 저장하였다가 물탱크(30)로 공급하여 양변기(40)에 재사용 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있어서; 세면대(10)의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육면체 통상의 저수조(20)와; 세면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수단(50)과;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와; 수중펌프(70)와; 상기 저수조(20)에 세정액을 투입하는 세정액 투입수단(80) 및; 표시판넬(90)를 구비하는 제어반(90')으로 구성되어 세면대에서 발생하는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저장하였다가 재이용함으로써 수세식 양변기 사용에 따른 생활용수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질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오ㆍ폐수의 배출량도 최소화하고,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한 펌프고장이나 배관 막힘 등을 배제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소독제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재이용 물에 투입하여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이 없도록 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을 저렴화할 수 있으면서 필터링 된 물이 저수조로 유입될 때 소음이 없으면서 필터를 정면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저수조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수위센서의 감지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절수 횟수를 표시부에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water reuse apparatus for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water reuse apparatus for a toilet for toilet use, which stores toilet water of a washstand 10 in a water storage tank 20 and supplies it to a water tank 30, ; A hexahedral water storage tank 20 for filtering and storing the surface water of the wash basin 10; Filter means (50) for filtering the wash water;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detection sensors (60, 60 '); An underwater pump 70; A cleaning liquid input means (80) for inputting a cleaning liquid into the water storage tank (20); And a control panel 90 'having a display panel 90. The washing water generated from the washstand is filtered and reused, thereby minimizing the waste of domestic water due to the use of the flush toilet. In addition, ㆍ The amount of waste water discharged is minimized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ing the disinfectant is injected into the reused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while eliminating the pump failure and pipe clogging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eused material to prevent the decay of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eused material, So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front without noise when the filtered water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post-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The sensor is installed and the water level is automatically display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water-saving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counting the numb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에서 발생하는 세면 수를 흘려버리지 않고 필터링하여 저장한 후 저장된 세면수를 양변기의 물탱크로 공급하여 재이용하는 양변기용 세면 수 재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cleaning water to a flush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flush water to a flush toilet by filtering and storing the flush water generated from a wash basin, To a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숙박업소 등의 화장실에는 세면대와 수세식 양변기가 구비되어 는바, 수세식 양변기는 변기에 급수장치를 하여 오물이 물에 씻겨 내려가게 처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 위에 변기 수조(A)가 형성되고, 이 수조(A)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부레식 밸브(2)가 형성되면서, 이 밸브(2)에 상수라인(B)이 연결되어 예컨대 수도와 같은 상수가 공급되도록 된 것이다.Generally, a toilet and a flush toilet are provided in a toilet in a home or a hotel, and a flush toilet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device in the toilet to wash the flushing water down. Generally, 1, a toilet water tank A is formed and a
그에 따라 종래의 수세식 양변기는 수돗물과 같은 생활용수의 낭비가 심하고, 오ㆍ폐수의 과량배출로 수질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flush toilet is wasted of domestic water such as tap 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discharge of ozone / wastewater causes contamination of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한편, 사용자는 세면대에 구비된 수도꼭지의 물을 틀어서 손이나 얼굴을 씻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세면대의 배수구를 닫아서 물을 담수 한 후에 세면이 끝나면 배수구로 물을 흘려보내거나, 배수구를 열어 놓은 채로 물을 흘려보내면서 세면을 하게 된다.Meanwhile, the user may wash his / her face or face by turning the water of the faucet provided in the sink. At this time, the user drains the water by closing the drain hole of the sink, then drains the water to the drain hole when the water surface is finished, To the toilet.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필요 이상의 물을 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배수구를 열어 놓은 채로 세면할 경우에는 오염되지 않은 물이 그대로 하수구로 버려지기 때문에 수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used more than necessary due to the above reasons. Especially, when the water is washed while the drain hole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 water is wasted because uncontaminated water is directly discharged to the sewer.
또한, 수세식 양변기의 경우에는 소변 또는 대변을 마친 후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로 처리하게 되는데, 한 번 처리할 때마다 물탱크 안의 물이 소모되며 새로운 물을 상수관으로부터 공급받아 물탱크를 채우게 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flush toilet,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consumed every time the urine or feces is processed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new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to fill the water tank, This is a waste of time.
때문에 가정에서는 물탱크 내부에 벽돌 등을 넣어서 벽돌 부피만큼의 물을 절약하고 있으나, 줄어든 물만큼 수세식 양변기의 용변이 깨끗하게 처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at home, bricks are placed inside the water tank to save water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brick,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oilet of the flush toilet is not cleaned as much as the reduced water.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물의 낭비를 막기 위해 세면대에서 버려지는 세면수를 양변기로 공급하여 세척수로 활용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supply the toilet water from the wash basin to the toilet to prevent the waste of wat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21호의 "수세식 변기의 물공급장치(특허문헌 1 참조)"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기(C) 등에서 발생된 생활오수가 배출되는 하수라인(P)을 필터(D)를 거쳐 유량게이지(e)와 워터펌프(F)가 설치된 집수조(E)에 연결하여 오수를 집수조(E)에 저장하였다가 워터펌프(F)로 리미트 스위치(H)가 설치된 변기 수조(G)에 공급함과 더불어 변기 수조(G)내 수위에 따라 콘트롤러(I)의 제어로 오수의 자동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생활오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water supply device for flush toilet of th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75921" includes a sewage line (for example, P is connected to a water collecting tank E provided with a flow rate gauge e and a water pump F via a filter D to store waste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E. The water pump F is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H, And automatically replenishes wastewater 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I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G so that the wastewater can be more easily recycled.
그러나 상기한 "수세식 변기의 물공급장치"는 파이프상 하수라인 하단에 넓은 평면상의 필터(D)가 연결되어 필터(D)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없는 결점뿐만 아니라 필터(D)의 필터링 효율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device for flush toilet" means that the filter 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ipe at the bottom of the pipe so that the filter D can not be easily exchan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lowe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20724호인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특허문헌 2 참조)'를 살펴보면,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가 배수관과 연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탱크와, 물탱크에서 세면수를 여과하는 필터와, 물탱크로 수돗물인 세정수가 공급되는 급수관과,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급수밸브를 부력으로 개폐하는 플로우트와, 레버의 작동으로 변기로 배수되는 세정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와, 일정수위 이상으로 유입된 세정수가 배수되는 배수관이 설치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세면수와 세정수를 변기로 배수하는 배수밸브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제1격벽과 제2격벽을 형성시켜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세면수와 세정수를 각각 별도로 저장수용하는 물탱크와, 세정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2격벽에 설치되어 레버의 작동으로 개폐되는 보조배수밸브와, 세면 수가 유입되는 필터에 연결 설치되고 소정높이에 배출공이 형성된 배수관과, 세면 수의 수면위로 부유되는 부유물을 모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집수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임을 알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20724 discloses a toilet water purification type water-saving toilet bowl (see Patent Document 2). The toilet water used in the wash bowl is supplied through a drain pipe and a connection pipe, A float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by buoyancy, and a washing water draining to the toile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wherein the water discharge valve discharging the toilet water and the washing water to the toilet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A water tank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by forming a partition and separately stor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in the second partition wall An auxiliary drain valve which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lter into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collecting chamber for collecting the floating matters suspended over the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through the drain pipe Which is a water-repellent type water-saving toilet bowl.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세면수를 세정수로 활용하여 물의 낭비를 막는데는 효과가 있다 하겠으나, 기존의 물탱크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물탱크가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됨은 물론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저장된 세면수가 용변처리를 위해서 다 소모되기 때문에 잦은 용변시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waste of water by using the washing water as the washing water, it is impossible to apply it to the existing water tank, so a separate water tank must be manufactur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ored washing water is consumed for the use of the toilet, so that it is not effective in frequent u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 제0925487호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가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As a conventional technique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atent No. 0925487 entitled " a toilet bowl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see Patent Document 3).
상기 특허 제0925487호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형으로 형성되며 세면수가 집수되는 덮개(1200를 구비한 집수조(110) 및 덮개가 구비된 본체(100); 세면대(X)와 입수관(210)으로 연결되어 세면수가 상기 집수조(110)로 입수되도록 하는 입수부(200); 상기 집수조(110)에 집수된 세면수를 하수구와 연결된 배수구(310)를 통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하수구로 배수하는 배수부(300); 상기 집수조(110)에 구비되는 공급펌프(410) 및 공급관(420)을 통하여 세면수를 양변기의 물탱크(U)로 공급하는 세면수공급부(400); 및 상기 세면수공급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고; 상기 입수부(200)는 상기 입수관(210)에 구비되는 절환밸브와 연결된 직접배수관이 갖추어져, 상기 절환밸브의 동작에 따라 세면수가 집수조(110)로 입수 또는 하수구로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배수구(310)를 개폐하는 배수캡(320)이 갖추어지되, 상기 배수캡(320)은 상기 집수조(110)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도록 부구(33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배수 레버(34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공급펌프(410)가 상기 집수조(110)에 집수된 세면수의 수위에 따라 동작이 단속되도록 하는 수위조절센서(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면수 공급부(400)는 상기 공급관(420)에서 공급되는 세면수와 상수도관(u)에서 공급되는 정수가 동시에 양변기(V)의 물탱크(U)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공급밸브(u')를 구비하는 연결구(430)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430)는 상기 물탱크(U)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공급밸브에 결합되고, 세면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세면수 토출공(441)이 구비된 상부몸체(440)와, 상기 물탱크(U)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몸체(440)와 결합하며, 상기 공급관(420)이 연결되는 세면수 투입공(451)이 구비된 하부몸체(450)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몸체(440) 및 하부몸체(450)에는 중앙에 상수도관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세면수 투입공(451)으로 투입된 세면수가 상기 세면수 토출공(441)으로 이동하는 유로가 구비되며, 세면수의 오염도에 따라서 절환레버(221)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절환밸브(220)의 방향을 바꾸어주어 세면수를 집수조(110)에 저장하거나 직접배수관(230)을 통해 하수구(W)로 배수하고, 유로(470)는 상기 관통구(460)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상수도관(u)의 외주에 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seat" of Patent No. 0925487 includes a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0925487호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는 세면수가 여과되지 않은 채로 집수조(110)에 저장됨으로써 집수조(110)에 저장된 재이용 물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공급펌프(410)의 고장 등을 일으키고, 공급관(420)이나 연결구(430)의 막힘 현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집수조(110)의 저장 기간이 오래되면, 집수조(110)에 저장된 재이용 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일으키는 문제점 들이 있었다.However, in the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of Patent No. 0925487, since the toilet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본 발명은 종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면대에서 발생하는 세면수를 저장하였다가 재이용함으로써 수세식 양변기 사용에 따른 생활용수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질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오ㆍ폐수의 배출량도 최소화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various drawbacks and problems caused by the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the toilet bowl of the prior art, And minimizes the amount of waste water and wastewater discharged to cause pollution of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재이용 물로서 저장함으로써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한 펌프고장이나 배관 막힘 등을 배제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소독제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재이용 물에 투입하여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오염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leaning a washing water containing a disinfection agent into a reused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while eliminating a pump failure or pipe clogging due to a foreign substance contained in the reused material by filtering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washstand,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decay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water, so that odor due to decay of contaminants does not occu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을 저렴화할 수 있으면서 필터링 된 물이 저수조로 유입될 때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정면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편리한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simple structure, which can reduce the price of the product, so that when the filtered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there is no noise and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front, And to provide a water reus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이용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수위센서의 감지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절 수 횟수를 표시부에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세면수 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level sensor that automatically displays a water level sensor in a water tank for storing reusable water and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level sensor detection so that the number of water level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o provide a toilet water reuse apparatus capable of promoting the use of the toilet wa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는 세면대(10)의 세면수를 저수조(20)에 저장하였다가 물탱크(30)로 공급하여 양변기(40)에 재사용 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있어서, 세면대(10)의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육면체 통상의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우측 상부에 설치되어 세면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수단(50)과;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전면 상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와;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을 물탱크(3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바닥면 좌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70)와; 상기 저수조(20)의 뚜껑(21) 코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20)에 세정액을 투입하는 세정액 투입수단(80) 및; 표시판넬(90)를 구비하는 제어반(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can be constructed by storing wash water of a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발생하는 세면수를 저장하였다가 재이용함으로써 수세식 양변기 사용에 따른 생활용수의 낭비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질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오ㆍ폐수의 배출량도 최소화하고,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재이용 물로서 저장함으로써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에 의한 펌프고장이나 배관 막힘 등을 배제하면서 일정한 주기로 소독제를 포함하는 세정액을 재이용 물에 투입하여 재이용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오염물의 부패에 따른 악취의 발생이 없도록 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가격을 저렴화할 수 있으면서 필터링 된 물이 저수조로 유입될 때 소음이 없으면서 필터를 정면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재이용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수위센서의 감지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절수 횟수를 표시부에 자동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waste of domestic water due to the use of a flush toilet bowl by storing and reusing the wash water generated from the wash basin, minimizes the discharge of wastewater that causes water pollution, The cleaning liquid containing the disinfectant is injected into the reused material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decay of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eused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decay of the contaminants So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front without noise when the filtered water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so that the post-maintenance is convenient A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for storing the reused material With the value also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water level there is a particular advantage that can be achieved in use convenience of a user to automatically display the number of water saving in the display by counting the detected number of times of the water level sensor.
도 1은 종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3은 종래 수세식변기의 물공급장치의 부분 구조도,
도 4는 종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종래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의 세면수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저수조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필터수단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필터수단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저수조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뚜껑 개방 저수조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lush toilet,
Fig. 2 is an overall structural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of a conventional flush toilet,
3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of a conventional flush toile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ilet water supply unit of a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in the prior ar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filter means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piping state of the filter means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the lid-open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tate of use of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저수조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필터수단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필터수단의 배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저수조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따른 뚜껑 개방 저수조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는 세면대(10)의 세면수를 저수조(20)에 저장하였다가 물탱크(30)로 공급하여 양변기(40)에 재사용 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에 있어서, 세면대(10)의 세면수를 필터링하여 저장하는 육면체 통상의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우측 상부에 설치되어 세면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수단(50)과;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전면 상부에 상하로 설치되는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와;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을 물탱크(3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바닥면 좌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수중펌프(70)와; 상기 저수조(20)의 뚜껑(21) 코너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조(20)에 세정액을 투입하는 세정액 투입수단(80) 및; 표시판넬(90)를 구비하는 제어반(90')으로 구성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composition state of the filter means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apparatus for a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lid-opening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water storage tank for lid- The toilet water recycling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rface of the
미설명부호 C는 전선 삽입구멍, P는 저수조(20)와 물탱크(30) 연결배관의 삽입구멍을 각각 나타낸다.C denotes a wire insertion hole, and P denotes an insertion hole of a connection pipe of the
상기 저수조(20)의 뚜껑(21) 중앙부에는 장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21a)의 중앙부에는 세면대(10)의 배수관을 삽입할 수 있도록 원형구멍(21b)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21a)의 좌우측에는 장공(2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바깥측으로 수평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홈(22)에 세면대(10)의 하면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
상기 필터수단(50)은 윗면이 개방된 사각 통상의 필터 하우징(51)과; 상기 필터 하우징(51)의 내부 후방에 설치되는 칸막이(52)와; 상기 칸막이(52)와 필터 하우징(51)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구멍이 형성된 원통상 필터 지지구(53);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관(12)이 연결되는 연결구(54)와; 상기 연결구 전면에 형성된 필터 삽입돌기(55)와; 상기 저수조(20)의 전면 우측 상부에 형성된 필터삽입구(23)에 나사 체결되는 필터 체결링(56); 상기 필터 지지구(53)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상 필터(57) 및; 상기 필터 체결링(56)에 나사 결합되는 필터 마개(58)로 구성되어 있다.The filter means (50) comprises a rectangular normal filter housing (51)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
여기서 상기 필터 하우징(51)은 상기 저수조(20)의 우측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필터 하우징(51)의 우측면과 바닥면 코너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구멍(51a)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상 필터(57)를 통해 필터링 된 물이 관통구멍(51a)을 통해 저수조(20)의 우측 내면을 따라 흘러 저수조(20) 내에 저장됨으로써 배수 소음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칸막이(52)는 그 높이를 필터 하우징(51)의 높이 보다 낮게 하여 칸막이(52) 위로 넘치는 물이 배수관(59)을 통해 배수되어 저수조(20) 내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세정액 투입수단(80)은 세정액이 저장된 세정액 저장통(81)과; 상기 세정액 저장통(81)의 세정액을 저수조(20)에 투입할 수 있도록 뚜껑(21)의 일측 코너부에 뚜껑(21)과 일체로 형성된 하향 관통관(82)와; 상기 관통관(82)의 상하에 형성된 상부 솔레노이드밸브(83) 및 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로 구성되어 있다.The cleaning liquid injecting means 80 includes a cleaning
그리고, 상기 제어반(90') 제어프로그램 및 세정액 투입 프로그램이 저장된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표시판넬(90)이 구비되고, 표시판넬(90)에는 주전원 온/오프 스위치, 제어프로그램 및 세정액 투입 프로그램 설정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가 구비되며, 저수조에 저장된 수위표시, 절수 횟수 표시 및 수중펌프(70)와 상부 솔레노이드밸브(83) 및 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도록 이루어져 있다.A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oilet water reuse device for a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가 세면대(10)에서 세면을 한 후 세면을 한 물은 세면대(10)의 배수관(12)을 통해 배수되어 필터수단(50)의 원통상 필터(57) 내부로 흘러들어가 원통상 필터(57)의 외주연 방사상으로 배출됨으로써 물이 필터링 된다. 필터링 되는 물이 적을 때는 필터링 된 물이 관통구멍(51a)을 통해 배수되어 저수조(20)의 우측 내면을 따라 흘러 저수조(20) 내에 저장되고, 필터링 되는 물이 많을 때는 관통구멍(51a)을 통한 배수와 함께 칸막이(52)를 넘쳐 배수관(59)을 통해 배수되어 저수조(20) 내에 저장된다.The water that has been washed by the user after making a wash in the
이와 같이 세면대(10)에서 세면할 때마다 세면을 한 물이 원통상 필터(57)를 통해 필터링 되어 저수조(20)에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water that has been washed each time the water is washed in the
그에 따라 저수조(20) 내의 수위가 높아져 제 2 수위 감지센서(60')가 수위를 감지한 후 수위가 계속 높아져 제 1 수위 감지센서(60')가 수위를 감지하면, 감지 신호가 제어반(90')이 저수조(20)의 배수구(24) 하단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저수조(20) 내의 물을 배수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in the
이와 같은 제어는 제어반(90')의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 모두가 수위를 감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주고,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수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다아 주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어 저수조(20) 내의 수위는 제 1, 2 수위 감지센서(60, 60') 사이게 잇게 된다.This control opens the solenoid valve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사용자가 양변기(40)를 사용하여 물탱크(30) 내의 물이 없어지면, 수중펌프(70)가 작동하여 저수조(20) 내의 물을 물탱크(30) 내로 공급하게 되고, 원통상 필터(57)의 교환시에는 필터 마개(58)를 회전시켜 열고 원통상 필터(57)를 삽입한 다음 필터 마개(58)를 회전시켜 닫아주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uses the
또한, 세정액 투입수단(80)의 저수조(20) 내로의 세정수 투입은 제어반(90')의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램으로 설정한 주기마다 투입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하루에 한번 투입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of the washing water into the
저수조(20) 내에 세정수를 투입할 시간이 되면, 제어반(90')의 제어로 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를 열어주게 됨으로써 상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 83') 사이의 관통관(82)에 채워져 있는 량만큼의 세정수가 저수조(20) 내에 투입되고, 투입이 완료되면, 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를 닫고, 상부 솔레노이드밸브(83)를 열어주어 상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 83') 사이의 관통관(82)에 세정수를 채우고 다시 상부 솔레노이드밸브(83)를 닫아 세정수 투입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lower solenoid valve 83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90' so that the flow of the cleaning water into the
그리고, 제어반(90')의 표시판넬(90)에는 저수조에 저장된 수위표시가 표시되고, 저수조(20) 내의 물이 물탱크(30)로 공급된 횟수 즉, 절수 횟수가 표시됨과 더불어 수중펌프(70)와 상부 솔레노이드밸브(83) 및 하부 솔레노이드밸브(83')의 작동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세면수를 재이용하여 양변기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세면대 12 : 배수관
20 : 저수조 21 : 뚜껑
21a : 장공 21b : 원형구멍
22 : 수평홈 23 : 필터삽입구
30 : 물탱크 40 : 양변기
50 : 필터수단 51 : 필터 하우징
51a : 관통구멍 52 : 칸막이
53 : 필터 지지구 54 : 연결구
55 : 필터 삽입돌기 56 : 필터 체결링
57 : 원통상 필터 58 : 필터 마개
59 : 배수관 60, 60' : 제 1, 2 수위 감지센서
70 : 수중펌프 80 : 세정액 투입수단
81 : 세정액 저장통 82 : 하향 관통관
83 : 상부 솔레노이드밸브 83' : 하부 솔레노이드밸브
90 : 표시판넬 90' : 제어반
C : 전선 삽입구멍 P : 연결배관의 삽입구멍10: Wash basin 12: Water pipe
20: water tank 21: lid
21a:
22: horizontal groove 23: filter insertion port
30: water tank 40: toilet bowl
50: filter means 51: filter housing
51a: through hole 52: partition
53: filter holder 54: connector
55: filter insertion protrusion 56: filter tightening ring
57: Cylinder filter 58: Filter plug
59:
70: Submersible pump 80: Cleaning liquid input means
81: Cleaning liquid reservoir 82: Downward pipe
83: upper solenoid valve 83 ': lower solenoid valve
90: Display panel 90 ': Control panel
C: Wire insertion hole P: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on pipe
Claims (6)
상기 필터수단(50)은 윗면이 개방된 사각 통상의 필터 하우징(51)과; 상기 필터 하우징(51)의 내부 후방에 설치되는 칸막이(52)와; 상기 칸막이(52)와 필터 하우징(51)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구멍이 형성된 원통상 필터 지지구(53); 상기 세면대(10)의 배수관(12)이 연결되는 연결구(54)와; 상기 연결구 전면에 형성된 필터 삽입돌기(55)와; 상기 저수조(20)의 전면 우측 상부에 형성된 필터삽입구(23)에 나사 체결되는 필터 체결링(56); 상기 필터 지지구(53)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상 필터(57) 및; 상기 필터 체결링(56)에 나사 결합되는 필터 마개(5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세면수 재이용 장치.A sink 10; A hexahedral water storage tank 20 for filtering and storing the surface water of the wash basin 10; A filter means (50) provided on an upper right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for filtering the wash water;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ors 60 and 60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An underwater pump 7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eft bottom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0 to the water tank 30; A cleaning liquid input means 80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id 21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for inputt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water storage tank 20; And a control panel 90 'having a display panel 90.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10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0 and supplied to the water tank 30 to be reused in the toilet toilet 40, In the water reuse apparatus,
The filter means (50) comprises a rectangular normal filter housing (51)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A partition 52 installed inside the filter housing 51; A cylindrical filter holder 53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5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51 and having a cutti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connection port 54 to which the drain pipe 12 of the washstand 10 is connected; A filter insertion protrusion 55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or; A filter fastening ring 56 screwed to the filter insertion port 23 form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 A cylindrical filter (57) mounted inside the filter support (53); And a filter cap (58) screwed to the filter fastening ring (5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683A KR101593009B1 (en) | 2015-04-30 | 2015-04-30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CN201510552771.6A CN106088259A (en) | 2015-04-30 | 2015-09-01 | Toilet seat washing water recyc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683A KR101593009B1 (en) | 2015-04-30 | 2015-04-30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3009B1 true KR101593009B1 (en) | 2016-02-12 |
Family
ID=5535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16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3009B1 (en) | 2015-04-30 | 2015-04-30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300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6000B1 (en) * | 2017-09-12 | 2018-04-05 | 김의탁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CN108708439A (en) * | 2018-08-14 | 2018-10-26 | 广东环境保护工程职业学院 | Water-saving system between water saving fixture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sanitary between environmentally-friendly sanitary |
CN110820872A (en) * | 2019-11-21 | 2020-02-21 | 龙勇 | Domestic wastewater collection and treatment device |
KR20210144079A (en) | 2020-05-21 | 2021-11-30 | 김수영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KR102738868B1 (en) * | 2023-08-30 | 2024-12-04 | 김의탁 | Washing water recycling water saving device that displays the amount of water saved and the number of times save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5921A (en) | 2000-01-21 | 2001-08-11 | 방경석 | Water suppling apparatus for a stool |
KR20060020724A (en) | 2006-02-17 | 2006-03-06 | (주)물사랑 | Toilet water purifying water-saving toilet |
KR100925487B1 (en) | 2007-10-19 | 2009-11-09 | 박흥복 | Toilet washers for toilet bowls |
KR20100008651U (en) * | 2009-02-23 | 2010-09-01 | 정석종 | Compound Hygiene Water Closet |
JP2011514944A (en) * | 2008-03-05 | 2011-05-12 | フレックネル,フランツ−ヨゼフ | Water usage equipment |
KR200454984Y1 (en) * | 2009-07-02 | 2011-08-16 | 임윤관 | Toilet water recycling device for toilet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1683A patent/KR1015930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5921A (en) | 2000-01-21 | 2001-08-11 | 방경석 | Water suppling apparatus for a stool |
KR20060020724A (en) | 2006-02-17 | 2006-03-06 | (주)물사랑 | Toilet water purifying water-saving toilet |
KR100925487B1 (en) | 2007-10-19 | 2009-11-09 | 박흥복 | Toilet washers for toilet bowls |
JP2011514944A (en) * | 2008-03-05 | 2011-05-12 | フレックネル,フランツ−ヨゼフ | Water usage equipment |
KR20100008651U (en) * | 2009-02-23 | 2010-09-01 | 정석종 | Compound Hygiene Water Closet |
KR200454984Y1 (en) * | 2009-07-02 | 2011-08-16 | 임윤관 | Toilet water recycling device for toilet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6000B1 (en) * | 2017-09-12 | 2018-04-05 | 김의탁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WO2019054525A1 (en) * | 2017-09-12 | 2019-03-21 | 김의탁 | Water-saving device capable of recycling washing water as toilet bowl cleaning water |
CN108708439A (en) * | 2018-08-14 | 2018-10-26 | 广东环境保护工程职业学院 | Water-saving system between water saving fixture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sanitary between environmentally-friendly sanitary |
CN108708439B (en) * | 2018-08-14 | 2024-04-05 | 广东环境保护工程职业学院 | Environment-friendly toilet water saving device and environment-friendly toilet water saving system |
CN110820872A (en) * | 2019-11-21 | 2020-02-21 | 龙勇 | Domestic wastewater collection and treatment device |
KR20210144079A (en) | 2020-05-21 | 2021-11-30 | 김수영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KR102738868B1 (en) * | 2023-08-30 | 2024-12-04 | 김의탁 | Washing water recycling water saving device that displays the amount of water saved and the number of times sav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3009B1 (en)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
US5251346A (en) | Water recycling device for flush toilet use | |
KR100925487B1 (en) | Toilet washers for toilet bowls | |
KR200454984Y1 (en) | Toilet water recycling device for toilet | |
CN102438715A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2002160B1 (en) | Living sewage recycling device for toilet bowl | |
KR100820226B1 (en) | Sewage device with sealing device which can open and close | |
JPH0819773A (en) | Waste water reutilizing apparatus | |
KR101671511B1 (en) | Water Saving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 |
JP2002035763A (en) | Reuse method of sewage septic tank and reuse equipment for domestic wastewater | |
KR20150002057U (en)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valve sewage | |
KR101907308B1 (en) | A toilet bowl for recycling of water | |
KR101943594B1 (en)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
KR100329838B1 (en) | Life water recycling apparatus | |
KR100670930B1 (en)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
KR20120034869A (en) | Toilet stool system using drainaged water | |
KR101002645B1 (en) | Washbasin Recycling Toilet System with Cleaning System | |
KR20050035530A (en) | Cleaning liquid of low specificgravity using the toilet bowl | |
KR100274537B1 (en) | A nightstool flush water supplying apparatus with gray water | |
KR20080097548A (en) | Wash basin recycling basin structure | |
KR100744762B1 (en) | Used water recycling washstand structure | |
KR200405419Y1 (en) | Water Saving Toilet System | |
KR102090427B1 (en) | Dewatering facilities including multiple water tanks | |
KR200247255Y1 (en) | A Chamber Pot Using Recycled Water of Wash Bowl | |
JP4971959B2 (en) | 厨 芥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tank used in th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303 Appeal identifier: 2016100000541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54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303 Effective date: 20161031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60303 Decision date: 20161031 Appeal identifier: 2016100000541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8971; INVALIDATION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6200008971 Request date: 20161202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897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202 Effective date: 20170217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61202 Decision date: 20170217 Appeal identifier: 201620000897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61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24 Effective date: 20180614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806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70524 Decision date: 20180614 Appeal identifier: 20171000016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13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016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17 Effective date: 20191128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191230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80717 Decision date: 20191128 Appeal identifier: 201820000016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
|
PJ2201 |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
Patent event code: PJ22012S01I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200130 Request date: 2020013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30000034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300000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130 Effective date: 20200406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2004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130 Decision date: 20200406 Appeal identifier: 2020130000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