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930B1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Google Patents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0930B1 KR100670930B1 KR1020060015703A KR20060015703A KR100670930B1 KR 100670930 B1 KR100670930 B1 KR 100670930B1 KR 1020060015703 A KR1020060015703 A KR 1020060015703A KR 20060015703 A KR20060015703 A KR 20060015703A KR 100670930 B1 KR100670930 B1 KR 100670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toilet
- wash
-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를 화장실 양변기의 세정수로 재활용하는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 물탱크를 수개의 개별공간으로 구획하고, 여기에 세면수와 수돗물인 세정수가 각각 별도로 수용되게 구성함으로써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한편 수돗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므로 수돗물 절약과 사용자는 변기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수 저장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toilet that recycles wash water used in a wash basin to washing water in a toilet toilet, and divides a recycling water tank into several individual spaces, and is configured to separately receive washing water and washing water as tap water. By using the tap water to recycle the wash water, thereby saving tap water, and the user relates to a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that can use the toilet more clean.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세면대에서 배출되는 세면수를 세정수 대용으로 세면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서 각 각 저장탱크 내에 부표를 이용한 차단밸브를 통하여 세면수가 단계적으로 공급 및 차단되게 하여 소정의 세정수로 세척하도록 설치된 수돗물 제어밸브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에서 세면수가 공급되는 연결관에 각각 저장실마다 결합되고, 수위에 따른 부표의 승강 및 하강으로 개폐 작동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세면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자동 급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replace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 basin; Tap water control valve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s to wash the washing water with predetermined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face water is gradually supplied and shut off through the shutoff valves using buoys in the storage tanks; The storage tank is coupled to each of the storage compartments in the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toilet water is install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by lifting and lowering the buo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
절수, 양변기, 세면대, 재활용, 세면수, 재활용수통 Water Saving, Toilet, Wash Basin, Recycling
Description
도 1은 기존 절수형 양변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water-saving toile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탱크의 설치상태도의 좌측면도3 is a left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storage tank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탱크와 보충저장탱크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tank and the supplemental storage tank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저장탱크의 각종밸브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various valves of the storage tank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부표와 패킹을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oy and pack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돗물 제어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ap water control val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돗물 제어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ap water control val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4: 유입관 4A: 오버플러워관
4B: 연결관 10: 세면수 정화부
20: 저장탱크 21, 31: 부표
22: 패킹 23: 세면수 유입구
24:오물처리밸브 30: 보충저장탱크
60: 하부저장탱크 61: 하부 부표
62:하부패킹 63: 배출관
60A: 수돗물 직수관 60B: 수돗물 제어밸브
60B-1: 시간조절밸브 60C: 수돗물 공급관
60D: 수돗물 제어 부표 60E: 수돗물 배수관
70: 용변통4:
4B: connector 10: wash water purifier
20:
22: Packing 23: Washbasin Inlet
24: soil treatment valve 30: replenishment storage tank
60: lower storage tank 61: lower buoy
62: lower packing 63: discharge pipe
60A: tap water
60B-1:
60D: Tap
70: toi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를 화장실 양변기의 세정수로 재활용하는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양변기에서 저장 탱크를 수개의 가로 또는 세로 공간으로 구획하고, 여기에 세면수가 각각 별도로 수용되게 구성함으로써 세면수를 여러번 재활용하는 한편, 소량의 수돗물을 사용하여 세척됨으로써, 수돗물절약과 사용자는 변기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수 저장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수자원의 고갈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물을 절약하여 사용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한편 이러한 결과로 수자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커지게 되었으며,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여러가지 해결책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toilet that recycles the wash water used in the wash basin to the wash water of the toilet toilet. 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tank is divided into several horizontal or vertical spaces in the toilet, and the wash water is separately It is related to a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in which toilet water is recycled many times while being accommodated, and washed with a small amount of tap wat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toilet more cleanl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depletion of water resources in society, and as a result, governments have proposed various ways to save water for citizens, and as a result, social awareness of water resources has increased and conserving water resources. Different solutions are proposed in various forms.
이러한 해결책 중에서 화장실에 구비된 양변기와 세면대는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물을 사용함에 따라 많은 양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특히 이중에서 양변기는 대·소변과 같은 오물을 세척해야 하는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한번에 대략 7ℓ가량의 많은 물을 소비하는 실정으로, 이와 같은 물의 소비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보통의 가정에서는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벽돌 등을 집어넣어서 물을 절약하고자 하는 자구책을 강구하여 왔다.Among these solutions, the toilet and wash basin provided in the toilet cause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wasted due to the excessive use of water, and in particular, the toilet is inevitable for the purpose of cleaning the soil such as urine and urine. In order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water a little, the average household has been trying to save water by inserting bricks in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bowl.
그러나 이러한 자구책은 양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집어넣은 벽돌의 부피만큼 물탱크 안에 수용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내부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용변이 깨끗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근본적인 대책이라 할 수 없었다.However, this self-rescue measure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becaus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reduced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brick put in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the toilet is not treated cleanly as the pressure of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toilet is lowered.
본 출원인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를 양변기의 물탱크로 공급하여 세정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활용함으로써 수돗물인 세정수의 소모량을 대폭 감소시켜 수자원을 절약하는 동시에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408147호( 절수형 세면대 양변기시스템)를(특허이중출원 중) 등록된 바 있다.Applicant is a technology that saves water resources and provides economic effects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umption of washing water as tap water by supplying the wash water used in the wash basin 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recycling it to be used as washing water. Registration No. 408147 (a water-saving wash basin toilet system) has been registered (patent dual application).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기술은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세면대(1)에서 양변기(100)의 물탱크(10)로 필터가 장착된 연결관(2)을 설치한 한편 세면수가 연결관(2)을 통하여 물탱크(10) 안으로 유입되는 위치에 필터(3)를 설치한 구조로서, 세면대(1)에서 사용한 세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3)로 포집하여 어느 정도 여과된 세면수를 양변기(100)의 물탱크(10)로 공급하여 세정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shown in FIG. 1, a filter-mounted connecting
그러나 선 출원된 기술은 세면대에서 물탱크로 설치되었으나 물 저장탱크의 높이 조정을 통한 자유낙하 처리가 어렵고, 재활용수의 저장용량의 제한으로 보다 많은 재활용수의 저장 한계가 있어 실용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eviously applied technology was installed as a water tank in the sink, but it was difficult to handle free fall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racticality because there was a limit of storage of more recycled water due to the limitation of storage capacity of the recycled wate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절수형 양변기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양변기에서 저장탱크를 가로로 또는 세로로 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여기에 세면수가 각각 여러번 별도로 수용되게 구성함으로써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한편 세정수를 직수로 연결하여 재활용수의 1차적으로 용변과 함께 배출된 후 2차로 약간의 세정수를 사용하여 수돗물절약과 청결을 목적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conventional water-saving toilet, partitioning the storage tank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several spaces in the toilet,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ly accommodated multiple times By recycling the wash water, while connecting the washing water to the direct water is discharged with the stool first of the recycled water, and then using a little rinse water secondly to provide a water-saving toilet toilet system for tap water conservation and cleanliness The main purpose is to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세면대에서 사용한 세면수가 공급되는 물 탱크로서의 다수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수돗물인 세정수가 공급되는 수돗물 공급관과, 상기 수돗물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자동 단속하는 수돗물 제어밸브와, 상기 수돗물 제어밸브를 부력으로 개폐시키는 부표와, 레버의 작동으로 변기로 배수되는 세면수와 세정수를 단속하는 메인밸브와, 일정수위 이상으로 유입된 세정수가 배수되는 수돗물 배수관이 설치된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storage tanks as water tanks supplied by the wash basin, a tap water supply pipe to which washing water, which is tap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 tap water control valv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and the tap water A water-saving toilet provided with a buoy for opening and closing a control valve by buoyancy, a main valve for regulating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dr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tap water drainage pip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above a certain level is drained;
세면대에서 세면수 정화부을 통하여 세면수가 공급되고, 용변통을 중심으로 상부 또는 일측면에 다수의 별도 저장 탱크가 구획되며, 세면수가 저장탱크의 유입관을 통해 공급되어 배출관을 통하여 하부저장탱크에 공급되고, 2차로 하부저장탱크 수위에 따라 승강 개폐 작동하는 수돗물 제어밸브를 통해 수돗물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돗물 공급관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was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sh basin through the wash water purif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separate storage tanks are partition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toilet, and the wash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pipe of the storage tank and supplied to the lower storage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it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tap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tap water washing water through the tap water control valve for lifting and ope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lower storage tank lev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표시한 도 2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8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반적인 주요 구성은 세면대(1)에서 사용한 세면수가 배수밸브를 통하여 세면수 정화부(10)로 유입되고, 상기 세면수 정화부(10)에서 세면수에 혼합된 부유물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하수구로 배출되고, 부유물과 이물질이 제거된 세면수는 유입관(4)을 통하여 저장탱크(20)로 공급되며, 여기서 저장탱크(20)는 세면수를 변기로 배수하는 용변통(70)을 중심으로 상부 및 일측에 하부저장탱크(60)보다 높은 복수개의 저장탱크(20)와 보충저장탱크(30)가 형성되어 각각별도 공간이 독립되고, 수돗물인 세정수가 수용되는 하부저장탱크(60)에 시간조절밸브(60B-1)가 설치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main configuration is the wash water used in the wash basin (1) is introduced into the wash
상기에서 세면수 정화부(10)는 세면대(1)에서 사용한 세면수가 유입되어 부유물과 이물질이 제거되는 기능으로서 세면대(1)의 저면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한 선출원한 예이며, 세면대(1)에 장착된 배수밸브를 통하여 세면수 하부의 세면수 정화부(10)에 세면수가 일정수위가 되면, 저장탱크(20)로 세면수가 유입된다.
상기 세면수 정화부(10)는, 일반적으로 널리 실시되고 있는 오수 정화용 필터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 크기를 갖는 원형 통 내측에 소정 크기를 갖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내측으로 상기 유입관(4)의 끝단이 연통되게 구성하며, 상기 원형 통 외측에는 상기 오버플러워관(4A)의 일측단을 연통시킨다. 이렇게 실시되는 상기 세면수 정화부(10)는, 세면대(1)를 통해 세면수 배출되어 상기 원형 통에 저장되고, 상기 필터 내측으로 유입되는 세면수는 자연히 이물질 및 부유물이 제거된다. 한편, 내측으로 연통되는 상기 유입관(4)을 통해 정화된 세면수가 상기 저장탱크(20)로 흐르게 되고, 상기 원형 통 외측에 저장된 세면수는 부유물과 함께 일정 량이 상기 오버플러워관(4A)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기 세면수 정화부(10)는, 일 실시 예로서 특정 구조 및 형상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정화시스템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2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 과 같이, 원통형상이나 또는 다각 형상으로 도자기, 프라스틱 등으로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 세면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세면수 유입구(23)와 배출관(63)이 형성된다.The wash water purifying
The wash water purifying
The wash water purifying
In addition, the
삭제delete
한편, 상기 저장탱크(20)는 정화통(10)에서 세면수 유입구(23)를 통하고 부표(21) 상측의 패킹(22)이 수압에 의해 부표(21)가 열리고 상기 저장탱크(20)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20)에서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관(63)을 통하여 하부저장탱크(60)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성의 세면수 정화부(10)는, 세면대(1)에서 배출되는 세면수가 상기 세면수 정화부(10)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관(4)과 오버플로워관(4A)을 통해 동시에 배출 및 유입되도록 구성된다.The wash
또한, 유입관(4)을 통하여 상기 저장 탱크(20)에 저장된 후 용변통(70)의 필요에 따라 하부저장탱크(60)로 유입된다. 외부에 구비되는 배출밸브를 사용자가 누름 작동하여 용변통(70)으로 1차 재활용수(60)가 유입되고, 마지막에는 수돗물을 통해 일정한 세척수돗물이 배출된 후 시간조절밸브(60B-1)를 통해 자동조절 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fter being stored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서 수돗물 제어부표(60D)의 조절에 따라 수돗물 직수관(60A)에서 수돗물이 공급되어 수돗물 제어밸브(60B)가 상승 작동한 후, 일정량의 수돗물이 수돗물 배수관(60E)과 수돗물 공급관(60C)으로 동시에 토출 되도록 하는 것은 선행기술이며, 본 발명에서는 수돗물 배수관(60E)을 막아 주어 수돗물 공급관(60C)으로만 공급하여 수돗물의 제어하여 수돗물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ap water control table (60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ap water is supplied from the tap water direct pipe (60A) and the tap water control valve (60B) is operated up, a certain amount of tap water is connected to the tap water drain pipe (60E) and Simultaneously discharging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60C) is a prior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blocking the tap water drain pipe (60E) can be supplied only to the tap water supply pipe (60C) to control the tap water can significantly save tap water.
본 발명의 실시에서 세면수가 연결관(4)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상기 저장탱크(20)는, 도면에서 도 2 와 같이 세면수가 변기로 배수되는 급수되는 유입관(4)를 통해 세면수 유입구(23)로 유입된 후, 부표(21)를 열어 상부 저장 탱크(20)로 유입되는 것과, 도 4 도시와 같이 유입관(4)을 통하여 부표(31)를 열어 별도 저장탱크인 보충저장탱크(30)로 유입 후, 연결관(4B)을 통하여 상기 저장탱크(20)로 보내지고, 부표(61)를 통하여 하부저장탱크(60)로 보내지며 1차로 세면수가 배출되고 2차로 소량의 수돗물이 세척 처리 되도록 구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보충저장탱크(30)과 저장탱크(20)사이에 연결관(4B)은 자유롭게 유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보충저장탱크(30)와 상기 저장탱크(20) 바닥 하부에는 탈부착용 오물처리밸브(24)가 각각 설치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ipe (4B) between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는 세면대(1)에서 사용한 세면수와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여 정화된 세면수를 저장탱크(20)와 보조저장탱크(30) 내부에 공급하고, 하부저장탱크(60)를 통해 용변통(70)으로 용변과 함께 배출된 후 용변통(70)에 수돗물 제어밸브(60B)가 작동하여 소정의 수돗물을 토출하여 수돗물을 대폭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돗물 제어밸브(60B)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 도시 및 도 8도시와 같이 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이 직접 유입되는 수돗물 직수관(60A)을 하부저장탱크(60) 내측에 구비하며, 상기 수돗물 직수관(60A) 상단에 위치되어 측면 수돗물 제어 부표(60D)를 통해 개폐되는 수돗물 제어밸브(60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돗물 제어밸브(60B)와 연동되어 용변통(70)으로 소량의 수돗물을 공급하여 세척하는 수돗물 공급관(60C)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돗물 제어밸브(60B)는, 시간조절밸브(60B-1)를 구비한 것으로, 이는 상기 하부저장탱크(60) 내측의 세면수와 수돗물이 상기 용변통(70)으로 배출된 후, 세면수가 재차 빠르게 공급되어 상기 수돗물 제어 부표(60D)를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수돗물 직수관(60A)을 통한 수돗물 배출을 차단하여야 하는 것이나, 세면수가 상기 저장탱크(20)를 거쳐 공급되는 시간 또는 세면수의 양이 부족하여 상기 하부저장탱크(60)로의 공급이 지연될 경우, 상기 시간조절밸브(60B-1)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수돗물 직수관(60A)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시간조절밸브(60B-1)는, 일정 시간 후 재차 원위치 되는 타이머 등을 통해 상기 수돗물 제어밸브(60B)를 자동 차단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되어도 무관하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mixed with the wash water used in the wash basin (1) to supply the purified wash water to the
When the tap
In addition, the tap water
On the other hand, the tap water control valve (60B) is provided with a time control valve (60B-1), which is after the wash water and tap water inside the lower storage tank (60) is discharged to the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do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chang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양변기에서 물탱크로써 저장탱크를 수개의 각각 별도 공간으로 구획하고, 여기에 세면수와 수돗물인 세정수 제어밸브가 각각 별도로 수용되게 구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한편 세면수에 혼합된 부유물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세면수를 저장탱크에 공급하므로 변기를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로 배수되는 수돗물인 세정수의 용량을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수돗물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is divided into several separate spaces as water tanks in the toilet, and the washing water control valves, which are wash water and tap water, are separately accommodated, so that a large amount Recycling the wash water while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wash water supplies the purified wash water to the storage tank, so that the toilet can be used more cleanly and the capacity of washing water, which is tap water drained to the toilet, is controlled. It is to provide the effect that can greatly save tap water by using.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703A KR100670930B1 (en) | 2006-02-17 | 2006-02-17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703A KR100670930B1 (en) | 2006-02-17 | 2006-02-17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2727A KR20060022727A (en) | 2006-03-10 |
KR100670930B1 true KR100670930B1 (en) | 2007-01-17 |
Family
ID=3712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7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0930B1 (en) | 2006-02-17 | 2006-02-17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09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61471B (en) * | 2012-01-20 | 2013-12-25 | 马前 | High-efficiency water saving device |
CN106703115B (en) * | 2017-01-20 | 2019-02-15 | 山东聊建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use in toilet Sewage treatment utilizes emptier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5965B1 (en) | 1997-08-30 | 1999-10-15 | 박실상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KR100223419B1 (en) | 1997-05-28 | 1999-10-15 | 박실조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KR200196994Y1 (en) | 1999-08-21 | 2000-09-15 | 한상관 | Water closet |
KR100280662B1 (en) | 1998-05-19 | 2001-02-01 | 박실상 |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
KR200265940Y1 (en) | 2001-11-24 | 2002-02-25 | 이우석 | A water-saving toilet stool using waste water |
KR20030087901A (en) * | 2002-09-27 | 2003-11-15 | 전우곤 | Water collecting box for reusing wastewater from washbowl |
KR200369232Y1 (en) | 2004-09-14 | 2004-12-04 | 임상호 | Water saving device a toilet stool |
KR200372183Y1 (en) | 2004-08-28 | 2005-01-10 | 임상호 | Energy saving toilet |
-
2006
- 2006-02-17 KR KR1020060015703A patent/KR1006709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3419B1 (en) | 1997-05-28 | 1999-10-15 | 박실조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KR100225965B1 (en) | 1997-08-30 | 1999-10-15 | 박실상 | Flushing toilet using domestic wastewater |
KR100280662B1 (en) | 1998-05-19 | 2001-02-01 | 박실상 | Recycled water storage tank for flush toilet |
KR200196994Y1 (en) | 1999-08-21 | 2000-09-15 | 한상관 | Water closet |
KR200265940Y1 (en) | 2001-11-24 | 2002-02-25 | 이우석 | A water-saving toilet stool using waste water |
KR20030087901A (en) * | 2002-09-27 | 2003-11-15 | 전우곤 | Water collecting box for reusing wastewater from washbowl |
KR200372183Y1 (en) | 2004-08-28 | 2005-01-10 | 임상호 | Energy saving toilet |
KR200369232Y1 (en) | 2004-09-14 | 2004-12-04 | 임상호 | Water saving device a toilet s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2727A (en) | 200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5487B1 (en) | Toilet washers for toilet bowls | |
KR200454984Y1 (en) | Toilet water recycling device for toilet | |
KR101593009B1 (en) | Device for recycling a domestic sewage | |
KR100670930B1 (en) | Recycled Water Storage Toilet System | |
KR100673818B1 (en) | Toilet water purifying water-saving toilet | |
KR100670933B1 (en) | Toilet with self-adjusting fill valve | |
KR200389635Y1 (en) | Water closet | |
KR100843616B1 (en) | Water saving and recycling sanitary wash basin | |
KR100329838B1 (en) | Life water recycling apparatus | |
KR100730911B1 (en) | Water-saving wash basin | |
KR200372183Y1 (en) | Energy saving toilet | |
KR200408147Y1 (en) | Water-saving wash basin toilet system | |
KR20120034869A (en) | Toilet stool system using drainaged water | |
CN201915457U (en) | Water-saving basin | |
KR101002645B1 (en) | Washbasin Recycling Toilet System with Cleaning System | |
KR200405419Y1 (en) | Water Saving Toilet System | |
KR101756906B1 (en) | A water saving toilet | |
KR100711611B1 (en) | Toilet seat system using toilet | |
KR100274537B1 (en) | A nightstool flush water supplying apparatus with gray water | |
KR100744762B1 (en) | Used water recycling washstand structure | |
KR20080097548A (en) | Wash basin recycling basin structure | |
KR200265940Y1 (en) | A water-saving toilet stool using waste water | |
KR20080037914A (en) | Water-saving wash basin | |
KR200369232Y1 (en) | Water saving device a toilet stool | |
KR200247255Y1 (en) | A Chamber Pot Using Recycled Water of Wash Bow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