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1140B1 - 착용물품 - Google Patents

착용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140B1
KR101591140B1 KR1020127019242A KR20127019242A KR101591140B1 KR 101591140 B1 KR101591140 B1 KR 101591140B1 KR 1020127019242 A KR1020127019242 A KR 1020127019242A KR 20127019242 A KR20127019242 A KR 20127019242A KR 101591140 B1 KR101591140 B1 KR 10159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aist
tightening force
crotch
back wa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793A (ko
Inventor
유키 하시노
사리니 피쳇키트자왓
슌스케 마사키
?스케 마사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14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앞뒤 허리 영역에 생기는 주름을 쉽게 펼 수 있는 착용물품을 제공한다. 기저귀(10)는, 앞뒤 허리 부재(20, 30)와, 이들 앞뒤 허리 부재(20, 30)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40)를 포함한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는, 허리 단가장자리(22, 32)로부터 가랑이 영역(13)측으로 연장되고, 앞뒤 플랩(46, 47)에 겹쳐지는 제1 영역(71)과, 제1 영역(71)에 인접하는 제2 영역(72)을 포함한다. 앞뒤 허리 부재(20, 30)에는, 각 내외면 시트(24, 25 및 34, 35)의 사이에서, 제1 허리 탄성체(81) 및 제2 허리 탄성체(82)가,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2 영역(72)에는, 코어(42)에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72a)과, 비탄성 영역(72a)의 가로 방향 양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영역(7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71)의 조임력이 제2 영역(72)의 조임력보다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착용물품{DIAPER}
본 발명은 착용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 배설 트레이닝 팬츠, 요실금 브리프 등의 착용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고, 허리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허리용 탄성 부재가 배치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기저귀는, 허리 개구부에 형성된 허리 개더부와, 허리 개더부의 가랑이 영역측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 개더부와, 몸통 둘레 개더부에 그 일부가 겹쳐지는 흡액성을 갖는 흡수체를 갖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314220호 공보(JP 10-314220A)
허리 개더부 및 몸통 둘레 개더부는, 표리면 시트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부착된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개더부에서는, 표리면 시트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형성되기 쉽다. 기저귀는, 상기와 같은 주름을 펴면서 착용하지만, 허리 개구부로부터 흡수체까지의 거리가 크고, 세로 방향에 걸쳐 그 주름을 펴는 것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앞뒤 허리 영역에 생기는 주름을 쉽게 펼 수 있는 착용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그 반대측과, 앞허리 영역, 뒤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액 구조체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 허리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액 구조체는, 흡액성의 코어와, 상기 코어를 덮는 피복 시트와, 상기 코어의 앞뒤 단가장자리의 상기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복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앞뒤 플랩을 포함하는 착용물품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착용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겹쳐지는 상기 흡액 구조체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의 70∼90%이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허리 개구 단부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앞뒤 플랩의 일부에 겹쳐지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허리 탄성체에 의해 그 전역에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화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코어에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과 상기 비탄성 영역의 가로 방향 양외측에 위치하고 제2 허리 탄성체에 의해 탄성화된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보다 작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제1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의 70∼90%이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구획된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3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보다 작게 된다.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3 영역의 조임력보다 20∼50%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겹쳐지는 상기 흡액 구조체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의 70∼90%이고, 앞뒤 허리 영역이 허리 개구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제1 영역의 조임력은 제2 영역의 조임력보다 작아지는 것으로 했다. 따라서, 허리 개구를 넓히면, 제1 영역의 주름을 용이하게 펼 수 있다. 제2 영역에는 흡액성의 코어가 겹쳐져 위치하고, 코어와 겹쳐지는 부분에서 비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영역의 주름이 형성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착용물품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양태의 기저귀의 신체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조립도.
도 6은 제2 실시양태의 기저귀의 신체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
(제1 실시양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착용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기저귀(10)의 허리 개구 및 다리 개구가 고리형으로 유지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저귀(10)의 신체측에서 본 전개 평면도로서, 기저귀의 각 탄성체를 그 수축력에 대항하여 신장시켜 기저귀(10)를 평면으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상 세로 중심선(P-P)보다 도면의 우측은, 각 탄성체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과, 신체측 및 그 반대측인 착의측과, 앞허리 영역(11), 뒤허리 영역(12),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3)을 포함한다. 기저귀(10)는,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 세로 중심선(P-P)과,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상 가로 중심선(Q-Q)을 가지며, 가상 세로 중심선(P-P)에 대하여 거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앞뒤 허리 부재(20, 30)와, 이들 앞뒤 허리 부재(20, 30)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40)를 포함한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는, 가로 방향(X)으로 이격되는 양측가장자리(21, 31)를 서로 접합하여 시임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시임부(14)에 의해, 허리 개구 및 한쌍의 다리 개구가 형성된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는, 허리 개구 단부를 형성하는 허리 단가장자리(22, 32)와, 가랑이 영역(13)측에 위치하며 다리 개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랑이 단가장자리(23, 33)를 포함한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는, 신체측에 위치하는 내면 시트(24, 34)와, 착의측에 위치하는 외면 시트(25, 35)를 각각 포함한다.
뒤허리 부재(30)는, 양측가장자리(21, 31)를 접합했을 때 앞허리 부재(20)에 겹쳐져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허리 피트 영역(30a)과, 허리 피트 영역(30a)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3)으로 연장되는 연장 영역(30b)을 포함한다. 허리 피트 영역(30a)과 연장 영역(30b)은 가상선(7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허리 단가장자리(32)로부터 가상선(70)까지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앞허리 부재(20)의 허리 단가장자리(22)로부터 가랑이 단가장자리(23)까지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앞허리 부재(20)의 허리 단가장자리(22)로부터 가랑이 단가장자리(23)까지를 앞허리 영역(11)으로 하고, 뒤허리 부재(30)의 허리 단가장자리(32)로부터 가상선(70)까지, 즉, 허리 피트 영역(30a)을 뒤허리 영역(12)으로 하고, 가상선(70)으로부터 앞허리 부재(20)의 가랑이 단가장자리(23)까지를 가랑이 영역(13)으로 하고 있다. 앞뒤 허리 부재(20, 30) 및 가랑이 부재(40)의 일부에 의해, 본 발명의 섀시를 형성하고 있다.
가랑이 부재(40)는, 흡액 구조체(41)와, 가스켓 커프(50)와, 샘장벽 커프(60)를 포함한다. 흡액 구조체(41)는, 흡액성의 코어(42)와, 코어(42)의 내면을 덮고 신체측에 위치하는 내장 시트(43)와, 코어(42)의 외면을 덮는 샘방지 시트(44)와, 샘방지 시트(44)의 외면이며 착의측에 위치하는 외장 시트(45)를 포함한다. 코어(42)로는, 플랩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2)는,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가 가상 가로 중심선(Q-Q)을 향하여 작아져 잘록해진 형상을 갖고 있다.
코어(42)는, 그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약 300∼400 mm, 바람직하게는 약 335∼380 mm로 하고 있다. 내장 시트(43) 및 샘방지 시트(44)는, 코어(4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보다 크고, 그 치수를 약 350∼450 mm, 바람직하게는 약 375∼430 mm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흡액 구조체(41)에는, 코어(42)의 세로 방향(Y) 외측에서, 내장 시트(43), 샘방지 시트(44) 및 외장 시트(45)만으로 형성된 앞뒤 플랩(46, 47)이 형성된다. 이들 앞뒤 플랩(46, 47)에서, 내장 시트(43), 샘방지 시트(44) 및 외장 시트(45)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코어(42)의 가로 방향(X) 외측에는, 이들 코어(42)로부터 연장된 내장 시트(43), 샘방지 시트(44) 및 외장 시트(45)에 의해 형성된 양측 플랩(48)(또는 가스켓 커프, 이하 동일)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시트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양측 플랩(48)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는, 약 170∼220 mm, 바람직하게는 약 190 mm로 되어 있다.
내장 시트(43)로서, 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내장 시트(43)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25 g/㎡인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포인트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샘방지 시트(44)로서, 투습성이며 불투액성인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고, 적어도 이 시트(44)로 흡액 구조체(41) 전체를 덮어, 뇨 등의 체액이 기저귀(10)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고 있다.
외장 시트(45)는, 투습성이며 불투액성인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장 시트(45)는, 예컨대, 단위면적당 질량이 약 10∼25 g/㎡인 스펀본드ㆍ멜트블로운ㆍ스펀본드(SMS) 섬유 부직포, 포인트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가스켓 커프(50)는, 양측 플랩(48)에 위치하는 내장 시트(43)와, 외장 시트(45)와, 외장 시트(45)로 형성된 슬리브 내에 부착된 가스켓 탄성체(51)를 포함한다. 가스켓 탄성체(51)는 복수의 탄성사로 구성되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고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샘장벽 커프(60)는, 가스켓 커프(50)로부터 연장된 외장 시트(45)가 흡액 구조체(41) 상에서 거의 Z자형으로 접혀서 포개짐으로써 형성된다. 접혀서 포개진 외장 시트(45)의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사로 구성되는 장벽 탄성체(61)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고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샘장벽 커프(60)는, 세로 방향(Y)의 앞뒤 단부만이 가스켓 커프(50)측에 접합되고, 그 밖의 영역에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장벽 탄성체(61)의 수축력에 의해, 가스켓 커프(50)로부터 기립하도록 이격된다.
가스켓 커프(50) 및 샘장벽 커프(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10)의 착용시에는, 샘장벽 커프(60)가 내장 시트(43)로부터 이격되도록 기립하여 착용자의 사타구니 근방에 밀착되고, 가스켓 커프(50)도 가스켓 탄성체(51)에 의해 세로 방향(Y)으로 탄성화되어 착용자측으로 만곡되도록 하여 이것을 착용자의 허벅지 주위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샘장벽 커프(60)와 가스켓 커프(50)에 의해 이중 커프를 형성하여, 다리 둘레에 뇨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랑이 부재(40)의 앞뒤 단가장자리(40a, 40b)에서의 외장 시트(45)는, 앞뒤 허리 부재(20, 30)의 내면 시트(24, 34)에 접합되어, 앞뒤 허리 부재(20, 30)와 가랑이 부재(40)가 연결된다. 가랑이 부재(40)의 흡액 구조체(41)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겹쳐서 부착된다.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겹쳐진 흡액 구조체(4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의 약 70∼90%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부재(40)의 앞뒤 단가장자리(40a, 40b)는, 가상 가로 중심선(Q-Q)측을 향하여 가랑이 부재(40)의 상면에 접혀 포개진 내외면 시트(24, 25 및 34, 35)에 의해 덮여 있다. 앞뒤 단가장자리(40a, 40b)가 이들 시트로 덮이는 것에 의해, 코어(42)의 구성 재료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앞뒤 단가장자리(40a, 40b)가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는, 허리 단가장자리(22, 32)로부터 가랑이 영역(13)측으로 연장되고, 앞뒤 플랩(46, 47)에 겹쳐지는 제1 영역(71)과, 제1 영역(71)에 인접하는 제2 영역(72)을 포함한다. 제1 영역(71)과 제2 영역(72)은 가상선(7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은,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걸쳐 고리형으로 형성된 영역이다.
이 실시양태에서, 허리 단가장자리(22, 32)로부터 앞뒤 플랩(46, 47)까지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0 mm, 앞뒤 플랩(46, 47)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0 mm로 되어 있다. 제1 영역(7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3 mm, 제2 영역(7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67 mm로 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영역(71, 72)의 길이 치수의 합이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길이 치수이며, 약 90 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영역(7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약 26%이다.
앞뒤 허리 부재(20, 30)에는, 각 내외면 시트(24, 25 및 34, 35)의 사이에서, 제1 허리 탄성체(81) 및 제2 허리 탄성체(82)가, 제1 영역(71) 및 제2 영역(72)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1 허리 탄성체(81)는, 한쪽 측가장자리(21, 31)로부터 다른쪽 측가장자리(21, 31)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470 dtex의 4개의 탄성사를, 약 5.5 mm의 피치로 세로 방향(Y)으로 이격시켜 부착하고 있다. 제1 허리 탄성체(81)를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제1 영역(71)을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하고 있다.
제2 영역(72)에는, 코어(42)에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72a)과, 비탄성 영역(72a)의 가로 방향 양외측에 위치하는 탄성 영역(72b)이 형성되고, 탄성 영역(72b)에 제2 허리 탄성체(82)가 부착되어 있다. 제2 허리 탄성체(82)는, 내측 단부(82a)가 코어(42)에 겹쳐져 위치하고, 외측 단부(82b)가 측가장자리(21, 31)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제2 허리 탄성체(82)로서 약 470∼620 dtex의 11개의 탄성사를 이용하여, 약 5.5 mm의 피치로 세로 방향(Y)으로 이격시켜 부착하고 있다. 제2 허리 탄성체(82)를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제2 영역(72)의 탄성 영역(72b)을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하고 있다. 비탄성 영역(72a)에는 제2 허리 탄성체(82)를 부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탄성화되지 않는다.
뒤허리 부재(30)의 연장 영역(30b)에는 연장 탄성체(37)가 부착되어 있다. 연장 탄성체(37)는, 내측 단부(37a)가 코어(42)에 겹쳐져 위치하고, 외측 단부(37b)가 측가장자리(21, 31)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연장 탄성체(37)로서 약 470 dtex의 2개의 탄성사를 이용하여, 약 25 mm의 피치로 세로 방향(Y)으로 이격시켜 부착하고 있다. 연장 탄성체(37)를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연장 영역(30b)을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하고 있다. 연장 영역(30b)에서도 제2 영역(72)과 마찬가지로, 한쪽 내측 단부(37a)로부터 다른쪽 내측 단부(37a)에 있어서는, 탄성체가 배치되지 않아 탄성화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앞뒤 허리 영역(11, 12)에서는, 제1 영역(71)의 조임력이 제2 영역(72)의 조임력보다 작아지도록 하였다.
조임력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기저귀(10)는, 양측가장자리(21, 31)가 서로 접합된 상태로 제1 및 제2 영역(71, 72)을 각각 절취하여 샘플로서 이용했다. 각 영역을 절취할 때, 흡액 구조체(41)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흡액 구조체(41)도 동시에 절취하여 샘플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각 샘플에서, 탄성체에 의해 수축된 상태의 한쪽 시임부(14)의 내측 단부로부터 다른쪽 시임부(14)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SW로 하고, 각 탄성체의 신장력에 대항하여 가로 방향(X)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한쪽 시임부(14)의 내측 단부로부터 다른쪽의 시임부(14)의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PW로 규정하였다. 각 영역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L로 하였다.
샘플을 오토그래프(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의 척 사이를 SW로 설정한 것에 고정하고, 척 속도 100 mm/min로 0.85×PW의 거리까지 신장시키고, 그 점으로부터 이동 방향을 역회전시켜 동일한 속도로 복귀시킨다. 척 사이의 거리가 0.65×PW가 된 시점의 수축력을 전체의 조임력 Fa(N)으로 한다. 전체의 조임력 Fa(N)/L×10에 의해 단위면적당 조임력(F)을 구했다. 전체의 조임력 Fa를 0.65×PW로 한 것은, PW의 65%가 기저귀 착용자의 평균적인 허리 사이즈라는 것에서 규정했다.
측정의 결과, 제1 영역(71)의 조임력(F)은 약 0.22이고, 제2 영역(72)의 조임력(F)은 약 0.30이었다. 제1 영역(71)의 조임력(F)은 약 0.20∼0.32, 제2 영역(72)의 조임력(F)은 약 0.28∼0.36이며, 제1 영역(71)의 조임력은 제2 영역(72)의 조임력의 약 70∼90%, 바람직하게는 약 74∼76%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영역(71)의 조임력을 제2 영역(72)의 조임력보다 작게 했기 때문에, 앞뒤 허리 부재(20, 30)를 넓혀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입히려고 한 경우에는, 제1 영역(71)을 넓히기 쉽다. 따라서, 특히 허리 개구를 크게 넓힐 수 있어, 기저귀(10)를 입히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저귀(10)는, 자고 있는 상태의 유아 등의 착용자에게는 입히기 쉽다. 자고 있는 상태의 착용자에게 입히는 경우에, 앞뒤 허리 영역(11, 12)에 주름이 있으면, 그 주름이 착용자를 문질러서 자극이 되므로, 가능한 한 주름을 펴서 착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제1 영역(71)은,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약 26%로, 그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작게 했기 때문에, 허리 개구를 협지하여 넓히면, 제1 영역(71) 전체를 가로 방향(X)으로 넓힐 수 있어, 용이하게 제1 영역(71)의 주름을 펼 수 있다. 제1 영역(7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뒤 허리 영역(11, 12)의 20∼30%로 설정함으로써, 주름을 펴기 쉽고 또한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기저귀(10)의 착용 상태에서, 제1 영역(71)에서는 내외면 시트에 발생한 주름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만, 이 조임력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하여 유연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71)에 발생한 주름에 의해, 피부에 주름의 자국이 깊게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역(71)에서, 흡액 구조체(41)의 앞뒤 플랩(46, 47)에 제1 허리 탄성체(81)가 적어도 하나 겹쳐져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앞뒤 플랩(46, 47)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밀착하여, 앞뒤 단가장자리(40a, 40b)에서 뇨 등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영역(72)에서는, 제1 영역(71)보다 조임력을 크게 함으로써, 앞뒤 허리 부재(20, 30)를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임력을 크게 하더라도, 제2 허리 탄성체(82)가 부착된 내외면 시트(24, 25 및 34, 35)의 내측에는 흡액 구조체(4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흡액 구조체(41)와 겹쳐지는 위치에서는, 시트에 발생한 주름이 직접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는 않고, 피부에 주름의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여, 주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2 영역(72)에는 비탄성 영역(72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비탄성 영역(72a)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저귀(1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가 작은, 특히 유아에게 최적인 기저귀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기저귀(1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작게 한 경우라 하더라도, 뇨 등의 흡수량이 적어지지 않도록, 흡액 구조체(41)는 작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기저귀(10)에 대한 흡액 구조체(41)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고, 특히, 앞뒤 허리 영역(11, 12)에서는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의 약 70∼90%를 흡액 구조체(41)가 차지하게 된다. 흡액 구조체(41)는 그 강성이 일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흡액 구조체(41)가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 기저귀(10)를 가로 방향(X)으로 넓히기 어려워, 착용자에게 입히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 실시양태에서는, 허리 개구에 가까운 제1 영역(71)의 조임력을 작게 함으로써, 가로 방향(X)으로 넓히기 쉽고, 특히 자고 있는 유아에게 입히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서, 제1 영역(7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약 23 mm로 하고 있지만,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 15∼35 mm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7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를 약 55∼120 mm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귀(1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400∼520 m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10∼450 mm, 이 실시양태에서는 415 mm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가랑이 부재(4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350∼450 mm, 바람직하게는 약 370∼380 mm,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375 mm로 하고 있다. 앞허리 영역(11)을 형성하는 앞허리 부재(2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80∼130 mm, 바람직하게는 약 85∼125 mm,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90 mm이다. 뒤허리 영역(12)을 형성하는 뒤허리 부재(30)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150∼190 mm, 바람직하게는 약 155∼185 mm,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155 mm이다.
앞뒤 허리 부재(20, 30)를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탄성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시트나 띠모양의 탄성체 등의 여러가지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켓 탄성체(51) 및 장벽 탄성체(61)도 여러가지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코어(42)로서, 중간부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가, 앞뒤부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보다 작은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가 모두 동일한 치수인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양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2 영역(72)의 가랑이 영역측에 또한 제3 영역(74)이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이외의 구성요소는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앞뒤 허리 영역(11, 12)은, 제1 영역(71), 제2 영역(72) 및 제3 영역(74)으로 구획되고, 제2 영역(72)과 제3 영역(74)은 가상선(7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2 영역(7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44 mm, 제3 영역(74)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7.5 mm로 되어 있다. 단, 각 치수는 이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영역(72)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7∼50 mm, 제3 영역(74)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약 25∼36 mm의 사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71)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는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하다.
제1 및 제2 영역(71, 72)의 조임력은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하다. 제3 영역(74)의 조임력(F)은 약 0.16∼0.28,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0.18로 되어 있다. 조임력의 측정 방법은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하다. 제2 영역(72)의 조임력은 제3 영역(74)의 조임력보다 약 20∼50%, 이 실시양태에서는 약 40% 크게 되어 있다.
제2 영역의 가랑이 영역(13)측에서 제3 영역(74)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영역(74)은 착용자의 사타구니 부분에 접촉하지만, 이 사타구니 부분에서의 조임력을 크게 하면, 특히 앞허리 부재(20)의 내외면 시트(24, 25)가 사타구니 부분에 파고들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3 영역(74)을 형성함으로써 이 파고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2 영역(72)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트성이나 샘방지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는다. 제2 영역(72)의 조임력은 제3 영역(74)의 조임력보다 약 20∼50% 크게 되어 있고, 이 범위로 함으로써, 제2 영역(72)에서는 신체에 밀착시키고, 제3 영역(74)에서는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두가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양태 및 제2 실시양태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조임력은, 앞허리 부재(20)와 뒤허리 부재(30)에서 똑같게 되어 있지만, 앞뒤 허리 부재(20, 30)에서 상이해도 좋다. 예컨대, 제1 영역의 조임력을, 앞허리 부재(20)보다 뒤허리 부재(30)쪽이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뒤허리 영역(12)을 가로 방향(X)으로 한층 더 넓히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위를 향해 누워서 자고 있는 착용자에게 착용시키시 쉽다. 허리 단가장자리(22, 32)로부터 코어(42)의 앞뒤 단가장자리(42a, 42b)까지의 이격 거리를 똑같아지게 했지만, 이것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10 : 기저귀(착용물품) 11 : 앞허리 영역
12 : 뒤허리 영역 13 : 가랑이 영역
41 : 흡액 구조체 42 : 코어
42a : 앞 단가장자리 42b : 뒤 단가장자리
43 : 내장 시트(피복 시트) 45 : 외장 시트(피복 시트)
46 : 앞 플랩 47 : 뒤 플랩
71 : 제1 영역 72 : 제2 영역
72a : 비탄성 영역 72b : 탄성 영역
74 : 제3 영역 81 : 제1 허리 탄성체
82 : 제2 허리 탄성체 X : 가로 방향
Y : 세로 방향

Claims (5)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그 반대측과, 앞허리 영역, 뒤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액 구조체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 허리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액 구조체는, 흡액성의 코어와, 상기 코어를 덮는 피복 시트와, 상기 코어의 앞뒤 단가장자리의 상기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피복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앞뒤 플랩을 포함하는 착용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겹쳐지는 상기 흡액 구조체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 길이 치수의 70∼90%이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허리 개구 단부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앞뒤 플랩의 일부에 겹쳐지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허리 탄성체에 의해 그 전역에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탄성화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코어에 겹쳐지는 비탄성 영역과 상기 비탄성 영역의 가로 방향 양외측에 위치하고 제2 허리 탄성체에 의해 탄성화된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보다 작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의 70∼90%인 착용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구획되는 착용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가랑이 영역측에 인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3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보다 작게 된 착용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조임력은 상기 제3 영역의 조임력보다 20∼50% 크게 된 착용물품.
KR1020127019242A 2009-12-28 2010-12-16 착용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591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8787 2009-12-28
JP2009298787A JP5346276B2 (ja) 2009-12-28 2009-12-28 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793A KR20120102793A (ko) 2012-09-18
KR101591140B1 true KR101591140B1 (ko) 2016-02-02

Family

ID=4422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2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1140B1 (ko) 2009-12-28 2010-12-16 착용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023007B2 (ko)
EP (1) EP2520259B1 (ko)
JP (1) JP5346276B2 (ko)
KR (1) KR101591140B1 (ko)
CN (1) CN102686194B (ko)
AU (1) AU2010337643B2 (ko)
BR (1) BR112012015790B1 (ko)
EA (1) EA022153B1 (ko)
MY (1) MY162378A (ko)
NZ (1) NZ600769A (ko)
PL (1) PL2520259T3 (ko)
TW (1) TWI507180B (ko)
WO (1) WO2011081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9957B2 (en) 2011-04-29 201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gasketing cuff
WO2012177402A1 (en) 2011-06-21 2012-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and leg cuff having gathers
CN106038076B (zh) 2011-06-21 2020-02-28 宝洁公司 包括具有收缩性的腰带的吸收制品
JP5814063B2 (ja) * 2011-09-30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65778B2 (ja) * 2011-09-30 2016-0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3987349B (zh) 2011-11-30 2016-06-29 宝洁公司 小尺寸一次性套穿尿布
JP6001847B2 (ja) * 2011-12-13 2016-10-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88620B2 (ja) 2012-03-06 2016-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303689B1 (ja) 2012-03-29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6033129B2 (ja) * 2012-03-29 2016-1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CN104284645B (zh) 2012-05-15 2016-10-19 宝洁公司 制备用于吸收制品的层合体的方法
CN106974771A (zh) 2012-05-15 2017-07-25 宝洁公司 具有有利的拉伸和可制造性特征结构的一次性吸收裤
EP2965734B1 (en) * 2013-03-08 2019-10-16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underwear-style diaper
US9610203B2 (en) * 2013-03-22 2017-04-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EP3065681B1 (en) 2013-11-05 2019-08-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WO2015069705A1 (en) 2013-11-05 2015-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JP6400699B2 (ja) 2013-11-05 2018-10-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ウエストバンド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5766855B1 (ja) * 2014-08-05 2015-08-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着用物品
JP6421108B2 (ja) * 2015-11-10 2018-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364346B2 (ja) * 2014-12-25 2018-07-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6103982A1 (ja) * 2014-12-25 2016-06-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EP3236905B1 (en) 2014-12-25 2019-07-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JP6373242B2 (ja) 2015-11-10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6101197A1 (en) * 2014-12-25 2016-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EP3270847B1 (en) 2015-03-18 2019-04-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US10583049B2 (en) 2015-03-18 2020-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CN107427403B (zh) 2015-03-18 2020-10-20 宝洁公司 具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US10524963B2 (en) 2015-03-18 2020-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WO2016149589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MX2017011923A (es) 2015-03-18 2017-12-15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dobleces para piernas.
US10716716B2 (en) 2015-03-18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55B1 (en) 2015-03-18 2020-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52B1 (en) 2015-03-18 2019-08-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CN107405226B (zh) 2015-03-18 2021-02-05 宝洁公司 具有腿箍的吸收制品
JP6067062B2 (ja) * 2015-06-16 2017-0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着用物品
WO2017003740A1 (en)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assis design for absorbent article
JP2018524087A (ja) 2015-06-30 2018-08-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伸縮性領域を備える吸収性物品
EP3316840B1 (en) 2015-06-30 2019-03-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waist region
US10561542B2 (en) 2015-06-30 2020-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ized region
US20170079849A1 (en) * 2015-09-18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ped absorbent article having a belt portion
JP6449135B2 (ja) 2015-11-20 2019-0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3458006B1 (en) 2016-05-20 2020-1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EP3458005B1 (en) 2016-05-20 2021-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JP6232471B1 (ja) * 2016-06-06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298273B2 (en) * 2017-02-03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CN116137884A (zh) 2020-08-03 2023-05-19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WO2022030311A1 (ja) 2020-08-04 2022-02-1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JP7625357B2 (ja) 2020-08-24 2025-02-0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144A1 (ja) 2007-06-15 2008-12-18 Daio Paper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WO2009119195A1 (ja) 2008-03-27 2009-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09122803A1 (ja) 2008-03-31 2009-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40695A (ja) 2008-03-31 2009-10-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220A (ja) 1997-05-16 1998-12-02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US7569039B2 (en) * 2003-11-19 2009-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JP5129444B2 (ja) * 2005-09-07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TR201806848T4 (tr) * 2006-12-28 2018-06-21 Daio Seishi Kk Tek kullanımlık bebek bezi.
WO2008108270A1 (ja) * 2007-02-28 2008-09-12 Daio Paper Corporation 紙おむつ
JP5306689B2 (ja) * 2008-03-31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40690A (ja) * 2008-03-31 2009-10-2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光照射装置および光照射方法
JP5253064B2 (ja) * 2008-09-18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823325B2 (ja) * 2009-02-25 2011-11-2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紙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144A1 (ja) 2007-06-15 2008-12-18 Daio Paper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WO2009119195A1 (ja) 2008-03-27 2009-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09122803A1 (ja) 2008-03-31 2009-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9240695A (ja) 2008-03-31 2009-10-2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5790B1 (pt) 2020-07-07
TWI507180B (zh) 2015-11-11
WO2011081027A1 (ja) 2011-07-07
US9023007B2 (en) 2015-05-05
CN102686194A (zh) 2012-09-19
EP2520259A1 (en) 2012-11-07
AU2010337643B2 (en) 2015-07-09
PL2520259T3 (pl) 2016-09-30
EP2520259A4 (en) 2013-10-30
CN102686194B (zh) 2014-08-06
BR112012015790A2 (pt) 2016-06-07
EP2520259B1 (en) 2016-03-30
NZ600769A (en) 2013-05-31
JP2011136082A (ja) 2011-07-14
KR20120102793A (ko) 2012-09-18
EA022153B1 (ru) 2015-11-30
US20120289921A1 (en) 2012-11-15
EA201290333A1 (ru) 2013-01-30
JP5346276B2 (ja) 2013-11-20
MY162378A (en) 2017-06-15
AU2010337643A1 (en) 2012-07-12
TW201138740A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140B1 (ko) 착용물품
KR10200854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66543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225637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52270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64213B2 (ja) 吸収性物品
JP5483682B2 (ja) 着用物品
JP5945446B2 (ja) 吸収性物品
WO2013132982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22818B2 (ja) 吸収性物品
JP5947610B2 (ja) 吸収性物品
KR10160065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275241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03265511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KR20120092610A (ko) 착용 물품
CN111031984B (zh) 吸收性物品
WO2014122979A1 (ja) パンツ型おむつ
JP3153853U (ja) 着用物品
JP5919082B2 (ja) 吸収性物品
JP6255203B2 (ja) 吸収性物品
JP2011177427A (ja) おむつ
JP5149105B2 (ja) 吸収性物品
JP3153770U (ja) 着用物品
WO20192209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013805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吸収パッド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