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8693B1 -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693B1
KR101588693B1 KR1020130119917A KR20130119917A KR101588693B1 KR 101588693 B1 KR101588693 B1 KR 101588693B1 KR 1020130119917 A KR1020130119917 A KR 1020130119917A KR 20130119917 A KR20130119917 A KR 20130119917A KR 101588693 B1 KR101588693 B1 KR 10158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sleeve member
flange
web
l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1415A (en
Inventor
홍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독
홍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독, 홍찬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독
Priority to KR102013011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693B1/en
Publication of KR2015004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6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3Including fibers made from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68Including fibers made from 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파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웨브(160)를 경유하여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웨브(160)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포함하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함으로써,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용지사용율을 극대화하며,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일의 강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지질환경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for use in a soil stabilization method, comprising: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to be installed; And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portion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a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along the height direction. By providing a file for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upport such as an anchor or a soil nail so that the rigidity of the pile can be improved so a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maximize the use rate of the paper, effectively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f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rear soil, Environment and the like in a more efficient manner.

Description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or soil stabilization method,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e for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층이나 옹벽과 같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굴토 작업을 하는 데에 있어서, 굴토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엄지말뚝용 파일을 이용한 지반안정 공법이 사용된다.Generally,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using a thumb pile file is use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excavated surface in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basement or a retaining wall of a building.

지반을 굴착하면 지반변위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반변위와 변형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반안정공법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If the ground is excavated, the ground displacement will inevitably occur.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to minimize the ground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특히, 벽면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의 크기와 분포 및 변위를 고려한 흙막이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은 굴착과 더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designing the retaining structures considering the magnitude,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of the transvers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wall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ith excavation.

일반적으로 흙막이 공법은 크게 배면부 토사의 자립을 유지하기 위한 토류벽 공법과 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버팀공법으로 구분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토류벽 공법으로는,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지하연속벽(Slurry Wall) 공법, 강널말뚝 (Sheet Pile) 공법 등이 있다. 또한 흙막이 벽체를 지보하는 방법은 크게 보 방식과 앵커 방식으로 구분되며, 보 방식에는 버팀보 공법, 역타 공법 등이 있고, 앵커 방식에는 어스앵커 공법과 소일네일링 공법 등이 있다.Generally, the retaining method is divided into a toe-wall method to maintain the self-reliance of the backside soil and a brace method to structurally reinforce it. The most widely used toe wall methods include a thumb pile method, a cast in place pile, Method, Soil Cement Wall (SCW) method, Slurry Wall method, and Sheet Pile method. In additio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is divided into a large beam method and an anchor method. The beam method includes a stratified beam method and a submarine method, and the anchor method includes an earth anchor method and a soilless nailing method.

이러한 공법들 중, 어스앵커 공법은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에 의해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고, 이를 앵커방식으로 지보하는 방법으로서, 굴착공 형성시 토류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의해 토류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Among these methods, the earth anchor method is a method of forming an earth retaining wall by a pile piling method using anchor method and preventing an earth wall from collapsing due to a main earth pressure acting in a direction of a toe wall when forming an excavation hole Is widely used.

즉, 임의의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한 다수개의 H형상 지주의 사이에 다수개의 토류판을 적층시키는 방식으로서, 토류판을 지지하여 주는 다수개의 H형강 지주를 흙벽 또는 암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어스앵커를 사용하는 것이다.That is, as a method of stacking a plurality of soil plates between a plurality of H-shaped stays fixed upright at an arbitrary interval, an earth anchor is used to fix a plurality of H-shaped stanchions supporting the soil plate to an earth wall or a rock wall.

이때, 어스앵커의 고정은 종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된 다수개의 H형강 지주에 수평보로서 H형강띠를 횡방향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H형강띠에 어스앵커를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earth anchor is performed by horizontally fixing the H-shaped steel strip to the plurality of H-shaped steel stays fix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ing the earth anchor to the H-shaped steel strip.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어스앵커 공법에서는, 필연적으로 H형강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고, 또한 그 중장비의 사용시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arth anchor method, the H-shaped steel must necessarily be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fore, a separate heavy equipment must be mobilized and the risk of accidents becomes very high when the heavy equipment is used.

또한, H형강은 고가품이므로 통상 한 쌍의 H형강띠를 H형강 지주에 임의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공사비가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shaped steel is a high-priced product, when a pair of H-shaped steel strips are installed at an arbitrary height on the H-shaped steel strut,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by using unnecessary materials.

아울러, 어스앵커에 의해 지지되는 토류벽에 정식 구조물이 일체로 합벽시공되는 경우에는 수평보와 정식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의 간섭으로 인하여, 소요 벽체의 두께보다 훨씬 두꺼운 콘크리트 옹벽을 타설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콘크리트 물량이 과도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earth wall supported by the earth anchor, the concrete retaining wall which is much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quired wall must be laid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s used in the horizontal beam and the regular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xcessively charg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이 개발된 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thumb pile has been developed for an earth retaining wall which is used to construct anchor anchor or soil nail on a thumb pile itself without using an H-shaped steel strip.

그런데 이러한 엄지말뚝의 경우, 지보재를 시공하기 위해 엄지말뚝 자체에 소정 영역을 절개해야 하기 때문에 말뚝의 단면이 축소됨과 아울러, 응력이 집중되어 말뚝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thumb pile, since a predetermined area must be cut in the thumb pile itself in order to construct the sup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pile is reduced and the rigidity of the pile is lowered due to concentration of stress.

이는,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이 발생하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This results in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backing material and the backing soil, which causes the stability of the entire structure to deterior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용지사용율을 극대화하며,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일의 강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지질환경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anchor anchor or soil nail to a thumb pile itself without using an H-shaped steel stri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e for a soil stabilization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the rigidity of a file and effectively coping with various geological environments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rear soil, The purpos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파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상기 웨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e used in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omprising: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to be applied with the support material; And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wherei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re provided with flange reinforcement members (170)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along the height direction.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높이 H3가 상기 내측절개부의 높이 H1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H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의 전면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후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의 전후면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전후면에 모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s 170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respectively.

상기 파일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로 형성되는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e section formed by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of the HS type,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opened front and rea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is a closed tubular shape.

상기 내측절개부는 폭 W1, 높이 H1 및 길이 L1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L1은 상기 파일의 길이 L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into a hexahedron having a width W1, a height H1 and a length L1, and L1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L of the file.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cutout portion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t is preferable to attach to the incision surface of the web 160 to support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는 제 1플랜지 보강판(5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ttached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는 상기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측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돌출된 돌출부(2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 protrusion 210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to support the side edges of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respectively.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폭 W2, 높이 H2가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고, 길이 L2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및 상기 파일의 길이 L보다 긴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width W2 and a height H2 equal to those of the inner cutout and a length L2 longer than a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and a length L of the pile,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is attached to the cu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so that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member 160 is supported and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은 용접에 의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또는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region of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ing longitudinally from the inner cutout is weld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or the rear flange portion 140.

본 발명은 상기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를 포함하고, 폭이 W이고 길이가 L이며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에이치형 파일에서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상기 웨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내측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oppositely disposed to each other and a front flange portion (120) Preparing a file having a width W, a length L, and a transverse section HS, comprising a web 160 to be connected; An inner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s partially cut out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to be applied in the H type file to form an inner cut portion ; Installing a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ttaching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The method is presented together.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길이 L3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preferably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상기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ep of attaching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fter the step of attaching the sleeve member 200, .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측단이 상기 돌출부(210)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edges of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re supported by the protrusions 21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길이 L2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ength L2 of the sleeve member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so that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길이 L3는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돌출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ing from the inner cutout.

본 발명은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고, 용지사용율을 극대화하며,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일의 강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지질환경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paper, and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back soil, without using the H-shaped steel stri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e for a ground stabilizing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coping with various geological environments and the lik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파일의 제 1실시예로서 파일 본체에 슬리브부재를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파일의 제 2실시예로서 파일에 플랜지 보강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파일의 제 3실시예로서 파일에 슬리브부재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파일의 제 3실시예로서 파일 본체에 보강판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파일의 제 3실시예로서 파일에 플랜지 보강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파일의 제 3실시예로서 지보재의 두부가 파일에 정착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
도 9는 슬리브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절단면도.
1 shows an embodiment of a file for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a file body as a first embodiment of a file;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nge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a file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a fil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6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a file body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ange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a fil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backing material is fixed to a fil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leeve memb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웨브(160)를 경유하여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웨브(160)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포함하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and subsequent drawings, the ground stabilizing method fil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that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where the support is to be installed; And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portion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flange reinforcement members 17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along the he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절개부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내측 일부분이 폭 W1, 높이 H1의 치수를 갖는 방형으로 절개되어 각각의 절개면이 형성된다.5, the inner cutout portion includes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see FIG. 5). The inner cutout portion includes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Is cut into a square having a dimension of a width W1 and a height H1 to form respective cut surfaces.

내측절개부는 웨브(160)의 절개면이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면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절개면와 동일한 평면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cut surface of the web 160 into the same plane as the cu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cut surface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다시 말해서, 상기 내측절개부는 폭 W1, 높이 H1 및 길이 L1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길이 L1은 파일의 길이 L과 동일하다.In other words, the inner cutout is formed by cutting into a hexahedron having a width W1, a height H1 and a length L1, and the length L1 is equal to the length L of the file.

이러한 구조의 내측절개부는 지보재가 시공될 위치마다 형성되며, 하나의 파일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ner cut-out portion of such a structure is formed at each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to be installed, and it is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inner cut-out portions are formed in one file.

한편, 파일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로 형성되는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formed by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of the HS type.

또한, 앞서 설명한 내측절개부에 끼워맞춰지는 슬리브부재(200)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네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leeve member 200 to be fitted to the inner cut-out portion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front and rear are opened and four sides are closed.

슬리브부재(200)는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eeve member 200 is preferably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external dimensions as the inside cutout.

다시 말해서, 폭 W2, 높이 H2, 길이 L2인 관형상으로 제조되며, 이 때 길이 L2는 파일의 길이 L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In other words, it is made into a tubular shape having a width W2, a height H2, and a length L2, wherein the length L2 has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L of the file.

또한, 본 발명의 파일의 제 3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 L2가 파일의 길이 L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L2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 of the file, as shown in FIG.

이는 파일의 단면이 축소되고, 응력이 집중됨에 따라 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라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cross section of the file is reduced and the stiffness is lowered as the stress is concentrat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reinforced.

반면, 본 발명의 파일의 제 1실시예로서, 슬리브부재(200)는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슬리브부재(200)를 내측절개부에 끼워맞추면,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cutout portion, when the sleeve member 200 is fitted to the inner cutout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00 is attached to the cu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따라서, 슬리브부재(200)의 네개의 외측면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의 각각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각각을 지지하게 된다.Thus, the four oute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attached to and support the respective incision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각각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플랜지 보강부재(170)가 설치된 구조가 가장 큰 특징이다(도 1).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installed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 (Fig. 1).

즉, 내측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파일의 단면, 특히 웨브(160)의 단면이 매우 축소되게 되므로 파일의 강성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That is, since the end face of the pile, particularly the web 160, is very reduc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ner cut portion, the rigidity of the pile may be greatly reduced.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위와 같은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구조이다.The flange reinforcing member 170 is a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concerns.

다시 말해, 플랜지 보강부재(170)를 설치함에 따라, 파일의 단면이 축소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통해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providing the flange reinforcing member 170, the structural problem of reducing the cross-section of the pile and reducing the rigidity is compensat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rear soi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apparatus.

이러한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높이 H3가 내측절개부의 높이 H1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In order to maximize this effect,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H3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FIG. 2).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파일의 응력이 보다 집중되는 영역 즉, 전면플랜지부(120)의 전면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reinforcing member 170 is installed in a region where the stress of the pile is more concentrated, that is, the front 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ace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또한,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전면플랜지부(120)의 전후면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전후면에 모두 설치될 경우에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도 3).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most effective when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front and rear flange portions 140 (FIG. 3).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 플랜지 보강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n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플랜지 보강판은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는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포함한다.That is,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ttached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이는, 파일에 내측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단면계수가 감소되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라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section cut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reduc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ner cut portion in the pile, so that it can be said to be an element for reinforcing it.

이러한 보강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제 1,2플랜지 보강판(520,540)은 지보재를 통해 전달되는 지지력에 대한 지압판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reinforcing means,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also function as a supporting plate for a support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플랜지 보강판(520,540)은 전,후면 플랜지부(120,140)에 형성된 절개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그 일부만을 덮는 칫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Th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may have a size that includes both the cut area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flange portions 120 and 140, and may have a size that covers only a portion thereof.

또한,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면플랜지부(120)만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 1플랜지 보강판(520)만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may be selectively used. If necessary, only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may be used to reinforce only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it.

플랜지 보강판(520,540)은 파일에 볼트/너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접방식에 의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can be fastened to the pile by a bolt / nut fastening method and can be attached by a welding method.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모두 부착하는 경우에, 각각에는 슬리브부재(200)의 공동을 통해 지보재를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 1지보재 삽입홀 및 제 2지보재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re both attached,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are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respectively, which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It is preferable that an insertion hole is formed.

한편, 제 1플랜지 보강판(520)에는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522)이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브라켓(522)을 제1 플랜지보강판(52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may be provided with two irregularly-fitting brackets 522 for fixing the hea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f necessary, the brackets 522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may be integrally formed.

브라켓(522)에는 지보재의 두부를 고정할 지보재헤드(524)가 배치되어, 지보재를 시공한 후에 그 두부를 고정하게 된다.A bracket 522 is provided with a bracket head 524 for fixing the head portion of the bracket to fix the head portion after the bracket is installed.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 2실시예를 도 4의 확대도에 도시하였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le for the soil stabilization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즉,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측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돌출부(21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도 4).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 1,2플랜지 보강판(520,540)과 슬리브부재(200)의 상호 결합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210 is protruded so as to support the side ends of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eeve member 200 ).
With this structure,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and the sleeve member 200 can secure a more stable structure.

삭제delete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 3실시예는, 슬리브부재(200)의 길이 L2가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및 파일의 길이 L보다 길게 형성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도 5).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L2 of the sleeve member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 portion and the length L of the file (FIG. 5).

즉,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를 지지함과 아울러, 슬리브부재(200)가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도 ,67).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cut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to define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160), and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Fig. 67).

이와 같은 구조는, 파일의 단면을 소정 영역 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함에 따라, 절개 영역에 응력이 집중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리브부재(200)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여 응력을 부담하는 단면이 보다 확대되도록 한 것이다.In such a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incision area and the rigidity is lowered by forming the inner incision part by cutting the section of the file into a predetermined area, the sleeve member 200 is projec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enlarge the cross-section that is to be borne.

슬리브부재(200)가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은 용접에 의해 전면플랜지부(120) 또는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gion where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or the rear flange portion 140 by welding.

한편, 도 6에는 위의 파일의 제 3실시예에서, 슬리브부재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 네일 등의 지보재(400)를 시공한 상태를 도시하였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400 such as earth anchor or soil nail is installed on the sleeve memb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bove file.

따라서, 종래에는 H형강띠를 사용하여 정착하던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엄지말뚝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에 형성된 공동(空洞) 내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head portion of the backing material,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fixed using the H-shaped steel strip, inside a cavity formed in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as a thumb pile.

또한, 이와 같이 지보재(400)의 두부(頭部)를 고정한 후 슬리브부재(200)의 공동(空洞) 내부를 충진재를 사용하여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al the inside of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using a filler afte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ember 400.

이 경우,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영역을 덮도록 제 1플랜지 보강판(520)을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함에 따라, 상기 공동을 밀폐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In this case, as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is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so as to cover the cut region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it is easier to seal the cavity.

지보재의 두부를 밀폐하기 위한 충진재로는,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filling material for sealing the head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plastic or concrete.

즉, 에폭시,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몰탈 등을 충진함으로써, 지보재 두부가 장착된 슬리브부재(200)의 공동을 방수 또는 방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waterproof or treat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equipped with the support material head by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epoxy, urethane, or filling a concrete mortar or the like.

아울러,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면 공동이 외부응력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reinforced plastic such as fiber reinforced plastic may be used to prevent the cavity from being deformed due to external stress.

또한, 지보재(400)의 두부정착부가 파일 자체에 형성된 공동에 배치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head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0 is disposed in the cavity formed in the pile itself, the area protruding outward is reduced.

따라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한 후 영구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옹벽설치에 필요한 콘크리트의 물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permanent retaining wall after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retaining wall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아울러, 종래에는 H형강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지보재의 두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이 필연적으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을 사용하여 파일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지보재 두부(400)를 장착하게 되면 그만큼 용지의 사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shaped steel strip is used in the past, the area of the support of the support material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has necessarily occupied a considerable area. However, when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advantage of this is that you can increase the usage rate of the paper.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이에 부가하여 제결되는 제 1,2플랜지보강판(520,540), 슬리브부재(200 등은 구조설계시 요구되는 강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채용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and the sleeve member 200 to be joined together with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ny material having rigidity required for designing the structure.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스틸재질을 갖는 H형강(H-Pile)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하벽 또는 옹벽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pile for the soil stab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H-Pile having a steel material, but it can be made of plastic as long as it satisfie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wall or a retaining wall .

특히,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나,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을 플라스틱에 복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ecd Plastics) 등과 같은 강화플라스틱(Reinforced Plastics)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engineering plastics or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in which carbon fibers or glass fibers are combined with plastic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with plastic (Reinforced Plastics).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좋으므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영구옹벽의 시공에 보다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When it is made of plastic, it is advantageous in construction of permanent retaining wall consider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cause it is good in corrosion resistance.

아울러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부산물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se of recycled plastic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can sav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reduce plastic byproducts and the like.

또한 철근을 배근한 콘크리트 재질의 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pile can also be us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부재(200)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leeve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슬리브부재(200)의 네개의 단면(222, 224, 226 및 228)들이 서로 만나는 네개의 모서리를 곡면처리한 경우를 도시한다.Fig. 3 (a) shows a case where four edges 222, 224, 226 and 228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curved at four corners where they meet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의 슬리브부재(200)를 통하여 웨브(160)를 통해 전달되는 응력이 모서리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ress transmitted through the web 160 through the sleeve member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prevented from concentrating on the edge.

도 3(b)는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 안쪽에 데크플레이트 (232)가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3(c)는 주름형상의 지지판(234)을 부착한 경우이다.3 (b) shows a case where the deck plate 232 is attached to fou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FIG. 3 (c) shows a case where a corrugated support plate 234 is attached.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슬리브부재(200)의 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rigidity of the sleeve member 200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222, 224, 226, 및 228) 자체를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our sides 222, 224, 226, and 228 of the sleeve member 200 as a deck plate or a corrugated support plate.

특히,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로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네측면을 갖는 슬리브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지보재 또는 배후토사로 인한 응력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by arranging a deck plate or a corrugated support plate, or by arranging a deck plate or a sleeve member having four sides of corrugated shape on its ow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stress caused by the support material or the rear soil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따라서 파일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e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pile for a soil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와,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를 포함하고, 폭이 W이고 길이가 L이며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having a width W A step of preparing a file whose length is L and the cross section is HS type is performed.

그리고 에이치형 파일에서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웨브(160)를 경유하여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내측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The step of partially cutting the inner portion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hrough the web 160 in a predetermined shape is performed to form the inner cut portion for each portion of the H- .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높이 방향을 따라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를 설치한 후,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웨브(160)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한다.A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installed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so as to be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n supported on the inner cutout portion to support the web 160 A tubular sleeve member 200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is attached.

즉, 플랜지 보강부재(170)를 설치함으로써, 내측절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면이 감소된 파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at is, by providing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reduced-section pile to form the inner cut-out portion.

여기서,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길이 L3는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이다.Here, it is structurally more stable that the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또한,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하는 단계 이후에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설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ttaching the sleeve member 200, a step of installing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performed .

이 단계를 통해, 파일에 내측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감소된 단면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며, 제 1,2플랜지 보강판(520,540)은 지보재를 통해 전달되는 지지력에 대한 지압판으로서도 기능하게 되므로 파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can reinforce the reduced section modulu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more effectively by forming the inner cut portion in the file through this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e from being deformed.

또한,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모서리가 이 돌출부(210)에 의해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re fixed to the sleeve member 200 by the protrusions 210. The protrusions 210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

한편, 슬리브부재(200)의 길이 L2가 내측절개부의 길이 L1보다 길게 형성되어, 슬리브부재(200)가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형성되도록 시공함에 따라, 파일의 내측절개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변형을 초래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ength L2 of 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and causing the deformation.

여기서,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길이 L3는 위의 슬리브부재(200)가 내측절개부로부터 돌출된 길이와 동일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Here, the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can be made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d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이를 통해,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이 플랜지 보강부재(170) 및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에 각각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provides an effect that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can be stab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and the sleeve member 200, respectively .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 전면플랜지부 140 : 후면플랜지부
160 : 웨브 170 : 플랜지 보강부재
200 : 슬리브부재 210 : 돌출부
520 : 제 1플랜지 보강판 540 : 제 2플랜지 보강판
120: front flange portion 140: rear flange portion
160: web 170: flange reinforcement member
200: sleeve member 210:
520: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Claims (17)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파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상기 웨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는 제 1플랜지 보강판(5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는
높이 H3가 상기 내측절개부의 높이 H1 보다 높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의 전면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후면에 설치 또는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의 전후면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전후면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는 상기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측단이 각각 지지되도록 돌출된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폭 W2, 높이 H2가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고,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길이 L2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및 상기 파일의 길이 L보다 긴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은 용접에 의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또는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As a file used in the soil stabilization method,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to be applied with the support material; And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hollow therein;
A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ttached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Flange reinforcement members 17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The height H3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The front flange 120 and the rear flange 140 ar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120 and the rear flange 140 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120 and the front and rear flanges 140,
Protrusions 210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eeve member 200 so as to support the side ends of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The width W2 and the height H2 of the sleeve member 200 have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cutout,
The length L2 of the sleeve member 200 is formed into a tubular shap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nd the length L of the pile,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cut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to define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140) and the web (160), the sleeve member (200) projects from the inner cut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 region of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ing from the inner cut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weld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or the rear flange portion (1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로 형성되는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e
Wherein the cross-section formed by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of the HS type,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side surface is closed and the side surface is clo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개부는
폭 W1, 높이 H1 및 길이 L1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L1은 상기 파일의 길이 L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ut-
A width W1, a height H1 and a length L1, and L1 is equal to the length L of the fi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상기 후면플랜지부(140) 및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eeve member (200)
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cut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를 포함하고, 폭이 W이고 길이가 L이며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에이치형 파일에서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120)로부터 상기 웨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내측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절개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플랜지 보강부재(17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전후면 측단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 보강판(520) 및 제 2플랜지 보강판(540)의 측단이 상기 돌출부(210)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e for a ground stabiliz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web 160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Preparing a file whose length is L and whose cross-section is HS type;
An inner sid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via the web 160 is partially cut out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ach por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to be applied in the H type file to form an inner cut portion ;
Installing a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utout portion along a height direction;
Attaching a tubular sleeve member (200) disposed on the inner cutout and supporting the web (160) and having a cavity therein;
Installing a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a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he side edges of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are supported by the protrusions 21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 L3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길이 L2는 상기 내측절개부의 길이 L1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ength L2 of the sleeve member 200 is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inner cutout so that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utout.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보강부재(170)의 전후방향에 따른 길이 L3는 상기 슬리브부재(200)가 상기 내측절개부로부터 돌출된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 length L3 of the flange reinforcement member 17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qual to a length of the sleeve member 200 protruding from the inner cutout portion.
KR1020130119917A 2013-10-08 2013-10-08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tive KR101588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17A KR101588693B1 (en) 2013-10-08 2013-10-08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917A KR101588693B1 (en) 2013-10-08 2013-10-08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15A KR20150041415A (en) 2015-04-16
KR101588693B1 true KR101588693B1 (en) 2016-01-27

Family

ID=5303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917A Active KR101588693B1 (en) 2013-10-08 2013-10-08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6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315B (en) * 2017-11-24 2019-05-14 绍兴文理学院 A kind of recycling method of the fashioned iron component for pattern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CN116623837A (en) * 2023-07-07 2023-08-22 中建八局轨道交通建设有限公司 A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Opening Holes of I-Steel Flange Plates at the Bottom of Steel Plate Wal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56B1 (en) * 2004-01-10 2006-12-14 불독 (주)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3014956A (en) * 2011-07-05 2013-01-24 Takenaka Komuten Co Ltd Steel perforated beam reinforc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56B1 (en) * 2004-01-10 2006-12-14 불독 (주)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3014956A (en) * 2011-07-05 2013-01-24 Takenaka Komuten Co Ltd Steel perforated beam reinforc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15A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07410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tructure of rectangular cross section
KR200452946Y1 (en) Welded H type steel sheet pile and integrated composite order wall
KR101077949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88693B1 (en)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8561B1 (en) Connector with insertion groove for wale and strut of earth retaining wall
KR101521556B1 (en)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wall members
KR102560550B1 (en) Steel Assembly Pile
KR101015610B1 (en) Tunnel structure with inclined plate anchor member protruding from the wall
KR100657656B1 (en)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50073776A (en) Assembly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KR20200132791A (en) Support Structure fo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6162772B2 (en) Shield excavation wall
KR200361098Y1 (en) Retaining wall for reinforcing road slope
KR100657654B1 (en) H-type pile with a plurality of anchor insertion holes
JP5846863B2 (en) Shield excavation wall
KR20200137297A (en) Construction method of sheathing temporary facility
KR200231108Y1 (en) Tunnel Construction Structure for using Wave Profile Type Steel Plate
JP4460558B2 (en) Joint structure of underground structure
KR102451553B1 (en) Panel for Soil Retaining Wall
KR101520771B1 (en) H-pile composited with v-shape steel plate and reinforced concrete for open cut construction
KR100614847B1 (en) Pile for pile stability and pile for reinforcement
KR102493993B1 (en) Earth wall for retaining safety construction through soil inflow preven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earth wall
KR102623877B1 (en) Protector box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lurry wall using the same
KR102698434B1 (en)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KR101474371B1 (en)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3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