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57656B1 -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656B1
KR100657656B1 KR1020040001855A KR20040001855A KR100657656B1 KR 100657656 B1 KR100657656 B1 KR 100657656B1 KR 1020040001855 A KR1020040001855 A KR 1020040001855A KR 20040001855 A KR20040001855 A KR 20040001855A KR 100657656 B1 KR100657656 B1 KR 10065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pile
web
support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3777A (en
Inventor
홍찬윤
정준교
Original Assignee
불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불독 (주) filed Critical 불독 (주)
Priority to KR102004000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656B1/en
Publication of KR2005007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65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지보재가 고정되는 위치에서 지보재 및/또는 배후토사의 응력에 대하여 파일의 강성을 향상시키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전후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단면형상을 갖는 슬리브부재 또는 복수개의 웨브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상기 슬리브부재 또는 상기 복수개의 웨브로 형성된 내부 공동을 통하여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파일 내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보재 고정부가 파일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용지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영구옹벽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물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e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soil backing. The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means for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pile against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 or the rear soil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fixed, a sleev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side is closed. A member or a plurality of webs is formed. In addition, the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arrange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in the pile through the inner cavity formed of the sleeve member or the plurality of web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paper because the support material fixing portion can reduce the area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ile, and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ecause it can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pour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permanent retaining wall.

엄지말뚝, 토류판, 어스앵커, 흙막이Thumb Pile, Earth Plate, Earth Anchor, Earth Block

Description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Pile stability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1 실시예로서 파일 본체에 슬리브부재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a pile main body as a first embodiment of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2 실시예로서 파일 본체에 슬리브부재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a pile main body as a second embodiment of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슬리브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슬리브부재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Figure 3 (a) to Figure 3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section of the sleeve member as a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leeve member of the pile for ground stabilit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슬리브부재 및 웨브의 결속을 보강하기 위한 한쌍의 결합부재가 부착된 파일의 절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e with a pair of engaging members attached to reinforce the binding of the sleeve member and the web.

도 5(a)는 공동지지판이 구비된 슬리브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절단면도이다.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eeve member provided with a cavity support plate, Figure 5 (b) is a cutaway view of the sleeve member.

도 6은 지보재의 두부(頭部)가 파일 본체에 정착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Fig. 6 is a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of the support is fixed to the pile main bod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양 플랜지부에 플랜지보강판이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both flange portions of the ground stability method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 및 도 9(a)는 각각의 사시도이고, 도 8(b) 및 도 9(b)는 지보재고정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8(c) 및 도 9(c)는 지보재고정부의 수직단면도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ground stabiliza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and Figure 9 (a) is a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Figures 8 (b) and 9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stock government, Figures 8 (c) and 9 (c)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stock government.

도 10(a)는 도 8에 도시한 파일의 제2 웨브 및 웨브연속부로 구성되는 공동(空洞)의 수직단면이 사각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10(b)는 상기 공동의 수직단면이 육각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a) shows the case wher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composed of the second web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of the pile shown in Fig. 8 is rectangular, and Fig. 10 (b) shows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is hexagona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it is a phase.

도 11(a)는 도 9에 도시한 파일의 제2 웨브 및 웨브연속부로 구성되는 공동(空洞)의 수직단면이 사각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b)는 상기 공동의 수직단면이 육각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a) shows the case wher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composed of the second web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of the pile shown in Fig. 9 is rectangular in shape, and Fig. 11 (b) shows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is hexagonal.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se where it is a phase.

도 12(a)는 도 8에 도시한 파일의 제2 웨브 및 웨브연속부의 수직단면이 데크플레이트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12(b)는 주름형상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a) shows the case where the vertical sections of the second web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of the pile shown in FIG. 8 are deck plate shaped, and FIG. 12 (b) shows the case where the corrugated shape is formed.

도 13은 제2 웨브 및 웨브연속부로 구성된 공동 내부에 공동지지판이 구비된 경우 지보재를 상기 공동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material is mounted in the cavity when the cavity supporting plate is provided in the cavity including the second web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8에 도시한 파일의 후면플랜지부에 형성된 제2 지보재삽입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14 (a) to 14 (c) are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ar flange portion of the pile shown in FIG.

도 15는 도 8에 도시한 파일의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에 제1 및 제2 플랜지보강판을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s are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of the pile illustrated in FIG. 8.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 형성된 제1 지 보재삽입홀 및 제2 지보재삽입홀에 파이프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ipe member is attached to a first suppor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support insertion hole formed in a pile for a ground stability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 또는 토목 공사 중 건물의 지하층이나 옹벽과 같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굴토 작업을 하는 데에 있어서 굴토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엄지말뚝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파일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 등과 같은 지보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동(空洞)을 포함하는 지보재고정부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된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상기 파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or a thumb pile used in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or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pit surface in the construction of the excavation work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basement or retaining wall of th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In more detail, as a means for fixing a support material such as an earth anchor or a nail to the file itself,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ty method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le is formed with one or more of the support stock government including a cavity It is about.

정지 평형상태에 있는 지반을 굴착하면 지반변위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반변위와 변형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반안정공법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벽면에 작용하는 횡방향 토압의 크기와 분포 및 변위를 고려한 흙막이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은, 굴착과 더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규모나 내용면에서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는 오늘날의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현장의 지형 및 지질조건 등의 모든 여건들이 고려된 경제적이고 안전한 흙막이 공법의 선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Excavation of ground in static equilibrium will inevitably cause ground displacem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ground stability method to minimize the ground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In particular, the design of the masonry structure considering the size,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of the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wall is very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of today's underground structures where problems that can occur with excavation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in size and contents. Is getting.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lect an economical and safe earthing method considering all the conditions such as the topography and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site.

일반적으로 흙막이 공법은 크게 배면부 토사의 자립을 유지하기 위한 토류벽 공법과 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버팀공법으로 구분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 고 있는 토류벽 공법으로는,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지하연속벽(Slurry Wall) 공법, 강널말뚝 (Sheet Pile) 공법 등이 있다. 또한 흙막이 벽체를 지보하는 방법은 크게 보 방식과 앵커 방식으로 구분되며, 보 방식에는 버팀보 공법, 역타 공법 등이 있고, 앵커 방식에는 어스앵커 공법과 소일네일링 공법 등이 있다.In general, the earthen block method is divided into a earth wall method for maintaining the independence of the back soil sediment and a support method for structurally reinforcing it, and the most popular earth wall method is the thumb pile earth plate method, CIP (Cast In Place) Pile method, SCW (Soil Cement Wall) method, underground wall (Slurry Wall) method, sheet pile method. In additio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is largely divided into a beam method and an anchor method, and the beam method includes a reinforcement method and a reverse hammering method, and the anchor method includes an earth anchor method and a small nailing method.

특히,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은 굴착전에 H-Pile과 같은 엄지말뚝을 1 내지 2 미터 간격으로 지중에 설치하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엄지말뚝 사이에 시공하여 토사의 붕괴 및 토압을 지탱한다. 이 형식은 흙막이 벽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지반의 변형, 토류판 뒷채움 부실, 지하수 등에 대해 거의 무방비 상태이므로 지질여건상 꼭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그라우팅 공법과 병행하여 적용한다. 또한 어스앵커공법은 버팀보와 버팀지주가 필요하지 않아 넓은 작업장소가 확보되므로 굴착능률이 향상되며 흙막이 벽체의 측압을 배면측의 앵커로 지탱하므로 사면이나 모양이 일정치 않은 굴착 평면이라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소일네일링 공법은 굴착면에 유연한 지보체를 제공하거나 사면안정 등을 목적으로 개발된 공법이다. 이 공법은 기본적으로 인장응력, 전단응력 및 휨 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보강재를 프리 스트레싱 없이 비교적 촘촘한 간격으로 삽입하여 원 지반의 전체적인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발생 변위를 가능한 억제하여 굴착공사 도중이나 완료후에 예상되는 이완을 제한하는 공법이다.In particular, the thumb pile earth plate method is to install a thumb pile such as H-Pile in the ground at intervals of 1 to 2 meters before excavation, and to support the collapse and earth pressure of the soil by installing the earth plate between the thumb pile at the same time as the excavation. This type is most commonly used in earth wall, but it is almost unprotected against soil deformation, soil plate backfill, and groundwater, so it must be applied in parallel with grouting if it is necessary for geologic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earth anchor method does not require braces and braces, thus securing a wide working place, thus improving the excavation efficiency, and supporting the side pressure of the retaining wall with the anchors on the back side, so that it is easy to apply even in digging planes with irregular slope or shape. have. Soil nailing method is a metho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flexible support to the excavation surface or slope stability. This method basically inserts stiffeners that can resist tensile stress, shear stress and bending moment at relatively tight intervals without prestressing, increasing the overall shear strength of the original ground and restraining the displacements as much as possible during or after excavation work. It is a technique to limit the relaxation expected afterwards.

상기의 공법들 중에서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에 의해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고 이를 앵커방식으로 지보하는 방법으로서, 토목, 건축 공사의 땅파기 작업에 따른 굴착공 형성시 토류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주동토압(active earth pressure)에 의해 토류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평보를 이용한 어스앵커공법이 널리 이용되었다. 즉, 임의의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한 다수개의 H형강지주의 사이에 다수개의 토류판을 적층시키는 방식으로서, 토류판을 지지하여 주는 다수개의 H형강지주를 흙벽 또는 암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어스앵커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어스앵커의 고정은 종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된 다수개의 H형강지주에 수평보로서 H형강띠를 횡방향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H형강띠에 어스앵커를 고정하게 된다.Among the above methods, as a method of forming the earth wall by the pile pile earth plate method and supporting it by the anchor method, the active earth pressure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earth wall when the excavation hole is form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work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 Earth-anchor method using a horizontal beam has been widely us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earth wall from collapsing. That is, as a method of stacking a plurality of earth plate between a plurality of H-shaped steel column fixed at an arbitrary interval, the earth anchor is used to fix a plurality of H-shaped steel column supporting the earth plate to the earth wall or rock wall. 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earth anchor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beam as a horizontal beam to a plurality of H-shaped steel column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H-shaped steel band anchor ancho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앵커공법에서는, 필연적으로 H형강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고, 또한 그 중장비의 사용시 H형강을 들어올릴 때와 회전할 때에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게 된다. 또한 H형강은 고가품이므로 통상 한쌍의 H형강띠를 H형강지주에 임의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에 필요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공사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아울러, 어스앵커에 의해 지지되는 토류벽에 정식 구조물이 일체로 합벽시공되는 경우에는 수평보와 정식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의 간섭으로 인하여, 소요 벽체의 두께보다 훨씬 두꺼운 콘크리트 옹벽을 타설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콘크리트 물량이 과도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nchoring method, H-steels are inevitab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so that additional heavy equipment must be mobilized, and when using the heavy equipment, H-steels can be lifted and rotated. The risk is very high. In addition, since H-shaped steel is an expensive product, when a pair of H-steel strips are installed at an arbitrary height on the H-shaped steel column,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by using more materials than necessary. In addition, when the formal structure is integrally constructed on the earth wall supported by the earth anchor, the concrete retaining wall much thicker than the required wall thickness needs to be cast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horizontal beam and the reinforcing steel used in the formal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excessive inpu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H형강띠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 며, 따라서 중장비를 사용하여 긴 파일을 들어올리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복잡한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를 고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H형강띠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이상의 자재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절감하고, 또한 띠장으로 인한 용지의 사용면적을 줄임으로써 용지사용율을 극대화하고자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umb pile for the wall of the mud wall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thumb pile itself, such as an earth anchor or a soil nail, without using the H-shaped steel strip as in the prior art.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use of H-beams, thus eliminating complex work processes such as lifting and rotating long piles using heavy equipment. In addition, by using a pair of H-shaped steel strips to fix the anchors, the construction cost of more than necessary materials will be reduced, and the paper usage ratio will be maximized by reducing the paper use area.

나아가, 본 발명은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지보재가 고정되는 위치에서 지보재 또는 배후토사의 응력에 대하여 파일의 강성을 향상시키 위한 지지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들은 파일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므로 이를 통해 지보재 고정부를 파일 내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보재 고정부가 파일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용지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e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rearing soil.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for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pile against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or the soil behin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fixed.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ans forms a cavity inside the pil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support holding part inside the pile. Therefore, since the support holder fixing portion can reduce the area projecting out of the fil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pap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보재가 시공되는 위치에 공동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현장에서 즉시 제작할 수 파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공현장에서 보다 단시간에 강성이 뛰어난 파일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지질환경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l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including a tubular sleeve member having a cavity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constructed in the field. This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geologic environments more efficiently by manufacturing piles with superior rigidity in a short time at the construction site.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구성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tability method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llustrat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just one embodiment of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se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웨브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부재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Ground stabiliza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A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to the rear flange portion through a web for each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to be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a tubular sleeve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incision to support the web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In addition, the slee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front and back) is open and the side is closed tubular.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고 지보재가 시공될 위치마다 상기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단면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웨브; 상호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 삽입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그 좌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웨브; 및 상기 제1 웨브 및 제2 웨브와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웨브와 함께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flange portion and a rear flange portion,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hav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material; A first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are not formed, the first web being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 second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the second web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n area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a pair of web continuous part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web and the second web and forming a cavity together with the second web.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으로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를 포함하고, 높이가 H이고 너비가 W이며 횡단면이 에이 치형인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에이치형 파일에서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웨브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이르는 내측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Furthermo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ront flange portion and a rear flange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web 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the height is H Preparing a file having a width W and a cross section H; Forming an inner incision by partially cutting an inner portion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to the rear flange portion through a web for each portion of the H-shaped pile to be constructed; And attaching a tubular sleeve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incision to support the web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지보재고정부(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100)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일(100)은 길이가 긴 파일로 제조되며,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는 너비가 W이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형상이고, 웨브(160)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각각의 중앙 부위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는 높이가 H이고 너비가 W인 에치형 파일로 제조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stock 110 of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tabilization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Web 160 interconnecting 140. The pile 100 is made of a long pile,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has a width of W and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web 160 is the front flange portion (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formed in succession at each central portion. That is,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made of an etched pile having a height of H and a width of W.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미도시)를 시공할 부위마다 전면플랜지부(120)의 내측에서 웨브(160)를 경유하여 후면플랜지부(140)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 성된 내측절개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내측 일부분이 가로 L1 및 세로 L2의 치수를 갖는 방형으로 절개되어, 각각 절개면(122) 및 절개면(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절개부는 웨브(160)의 절개면(162)이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면(122)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절개면(142)과 동일한 평면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측절개부는 가로길이 L1, 세로길이 L2 및 높이 H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내측절개부는 지보재가 시공될 위치마다 형성되며 따라서 하나의 파일(10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ck flange portion via the web 160 on the insid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for each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not shown), such as earth anchors or soil nails A portion up to 140 includes a medial incision formed by partial incision into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inner portion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cut in a rectangle having the dimensions of the horizontal L1 and vertical L2, the incision surface 122 and the incision surface, respectively 142 may be formed. 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cut surface 162 of the web 160 in the same plane as the cut surface 122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cut surface 142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n other words, the inner incision is formed by cutting in a cube shape having a horizontal length L1, a vertical length L2, and a height H. The inner cutout of such a shape is formed for each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to be constructed, and thus, a plurality of inner cuts may be formed in one pile 100.

한편, 본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상의 내측절개부에 끼워맞춰지는 슬리브부재(200)는 상하(上下) 또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네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으로 제조되어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플랜지부(120)를 향하는 방향을 전(前)방향이라 하고, 후면플랜지부(140)를 향하는 방향을 후(後)방향이라 할 때, 상기 슬리브부재(200)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네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슬리브부재(200)는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가로길이 L1, 세로길이 L2 및 높이 H1인 관형상으로 제조되며, 이때 높이 H1은 상기 파일(100)의 높이 H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슬리브부재(200)를 상기 파일(100)의 내측절개부에 끼워맞추면, 상기 슬리브부재의 네 측면(220)은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면(122), 후면플랜지부(140)의 절개면(142) 및 웨브(160)의 절개면(162)에 각각 인접하게 된 다. 이들 각각의 절개면(122, 142, 및 162)과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220)을 용접체결함으로써 상기 파일(100)에 슬리브부재(200)를 부착하게 된다. 그리하여 슬리브부재(200)의 네개의 외측면(220)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의 각각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각각을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eeve member 200 to be fitted to the inner incision of the same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opened and the four sides are closed. A cavity is formed. When the direction toward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is referred to as a fron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referred to as a rear direction, the sleeve member 200 has a front and rear opening. It can be said that the four sides are closed tubular shape. Sleeve member 200 is preferably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incision. In other words, it is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L1, a length L2, and a height H1, where the height H1 has the same size as the height H of the pile 100. When the sleeve member 2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fitted to the inner cutout of the pile 100, the four side surfaces 220 of the sleeve member have a cut surface 122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djacent to the incision face 142 of the incision) and the incision face 162 of the web 160, respectively. The sleeve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pile 100 by welding the cut surfaces 122, 142, and 162 to the four sides 220 of the sleeve member 200. Thus, the four outer surfaces 220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attached to respective cut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to support eac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파일(100)의 기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파일과 유사하다. 그러나,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내측절개부 형상은 도 1과는 다소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절개되는 영역은 가로 L1 및 세로 L2의 칫수를 갖는 방형으로 절개되지만, 웨브(160)가 절개되는 영역은 세로길이 L4 및 높이 D의 크기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D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내측거리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100)의 내측절개부의 형상을 보건대, 웨브(160)의 세로방향 절개길이 L4는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가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길이 L2보다 큰 칫수를 갖는다. 따라서 파일(100)의 안쪽에서 보면, 웨브(160)의 절개면(162)이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면(122)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절개면(142)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절개면(162)과 절개면(122) 사이의 여유공간과 절개면(162)과 절개면(142) 사이의 여유공간이 형성된다. Figure 2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file 100 shown in FIG. 2 is similar to the file shown in FIG. However, the inner cutout shape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front flange part 120, the rear flange part 140, and the web 160 may have a somewhat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FIG. 1. That is, the cutout area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cut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dimensions of horizontal L1 and length L2, but the area where the web 160 is cut is of length L4 and height D. It is cut to size and formed. D is an inner distan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cutout of the p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the longitudinal cut length L4 of the web 160 is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a dimension greater than L2.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pile 100, the cut surface 162 of the web 160 is located in the inner side than the cut surface 122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cut surface 142 of the rear flange portion 140. Done. Therefore, a clearance between the incision surface 162 and the incision surface 122 and a clearance between the incision surface 162 and the incision surface 142 is formed.

한편, 슬리브부재(200)는, 그 외곽칫수가 가로길이 L3, 세로길이 L4 및 높이 H2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슬리브부재(200) 를 파일(10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서 웨브(160)가 부분절개된 영역에 끼워맞추게 된다. 이때, 슬리브부재(200)의 가로길이 L3는 L1보다 크고 상기 파일(100)의 너비 W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리브부재(200)의 상측면(222) 및 하측면(224)은 웨브(160)의 상하(上下) 절단면(162)에 부착되어 상기 웨브(16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슬리브부재(200)의 전후에 형성된 양단면(230,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대쪽 단면을 포함한다.)은 각각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양 플랜지부를 지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슬리브부재(200)는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영역(A)에 배치된다. 슬리브부재(200)를 배치한 후 파일(100)과 슬리브부재(200)의 접촉면을 용접체결방식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100)을 완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eeve member 200 is preferably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n outer dimension L3, a length L4 and a height H2. Thus, the sleeve member 200 is fitted to the region in which the web 160 is partially cut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pile 1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length L3 of the sleeve member 200 is larger than L1 and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 of the pile 100. Accordingly, the upper side 222 and the lower side 224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cut surfaces 162 of the web 160 to support the web 160. In addition, both end surfaces 230 formed before and after the sleeve member 200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ncluding opposite cross sections)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respectively. It will support the flange. In other words, the sleeve member 200 is disposed in the area A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2. After arranging the sleeve member 200,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le 100 and the sleeve member 200 is attached by welding, thereby completing the ground stabilization pi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슬리브부재(200)는 상하 또는 전후가 개방되고 네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을 갖는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방형(方形)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웨브(160)가 부분절단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절개면 또는 양플랜지의 내측에 부착되어 이들을 지지하기만 하면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도 무방하다.The sleeve member 200 of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2 has a tubular shape is opened up and down or front and rear and four sides are closed. In the drawing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ou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is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le or a rectangle. However, the fou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cut surfaces or both flanges formed by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web 160 is partially cut. The shape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y are suppor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부재(200)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슬리브부재(200)의 네개의 단면(222, 224, 226 및 228)들이 서로 만나는 네개의 모서리를 곡면처리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의 슬 리브부재(200)를 통하여 웨브(160)를 통해 전달되는 응력이 모서리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는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 안쪽에 데크플레이트 (232)가 부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3(c)는 주름형상의 지지판(234)을 부착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슬리브부재(200)의 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브부재(200)의 네측면(222, 224, 226, 및 228) 자체를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다양한 형상의 슬리브부재(20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슬리브부재(200)를 내측절개부 안쪽에 배치하여 그 양단면(230)을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경우에,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을 포함하거나 그 자체로 데크 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네측면을 갖는 슬리브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인가되는 지보재 또는 배후토사로 인한 응력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파일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leeve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FIG.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four edges 222, 224, 226, and 228 of the sleeve member 200 are curved at four corners where they meet each other. The stress transmitted through the web 160 through the sleeve member 200 of this configu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corner. FIG. 3 (b) shows a case where the deck plate 232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sleeve member 200, and FIG. 3 (c) shows the case where the corrugated support plate 234 is attach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stiffness of the sleeve member 200 can be further enhanc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our sides 222, 224, 226, and 228 itself of the sleeve member 200 as a deck plate or corrugated support plate. The sleeve members 200 of various shapes shown in FIGS. 3A to 3C are applicable to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n particular, when the sleeve member 200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cutout as shown in FIG. 2 to attach both end surfaces 230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he deck plate. Alternatively, by arranging a sleeve member having a corrugated support plate or having a deck plate or corrugated four sides as such,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stress caused by the supporting material or the back ground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file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과 슬리브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쌍의 결합부재(300)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300)는 슬리브부재(200)가 웨브(160)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상면(222) 및 하면(224) 각각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300)는 웨브(160)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 간격 사이에 상기 웨브(160)가 위치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300)는 상기 슬리브부재(200)에 볼트/너트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볼트 삽입홀(320)이 미리 천공되어 있어서 볼트 및 너트(322)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하여 체결하는 것도 무방하다.Figure 4 shows the case of using a pair of coupling members 300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pile and the sleeve member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300 are selectively attached to each of the upper surface 222 and the lower surface 224 of the sleeve member 200 at a portion where the sleeve member 200 contacts the web 160.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of the thickness of the web 160, and the web 160 is positioned between the gaps. As shown in FIG. 4, the pair of coupling members 300 may be coupled to the sleeve member 200 by a bolt / nut coupling method. In this case, the bolt insertion hole 320 is previously drilled in the coupling member 300, so that the bolt and nut 322 may be fastened, but it may be fastened by welding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 사용되는 슬리브부재(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한 슬리브부재(200)는 상하 또는 전후가 개방되고 네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다. 그러나, 도 5(a)에 도시한 슬리브부재(200)는 네 측면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동(空洞)을 지지하기 위한 공동지지판(240)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공동지지판(240)을 통하여 슬리브부재(200)의 굽힘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외부응력으로 인한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상기 슬리브부재(200)에 형성된 공동을 통하여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 등과 같은 지보재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동지지판(240)이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내부에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지보재삽입홀(24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보재삽입홀(242)의 형성위치는 삽입되는 지보재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결정되며 충분한 여유공간을 갖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는 지보재삽입홀(242)이 형성된 공동지지판(240) 및 슬리브부재(200)의 상면(222) 및 하면(224)의 절개단면을 나타낸다. 아울러, 슬리브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공동지지판으로는 양 플랜지부에 수직한 평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동을 통해 삽입되는 지보재가 통과하는 영역의 좌우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leeve member 200 used in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member 200 shown in FIG. 5 (a) has the same tubular shape as above or below, and four sides are closed. However, the sleeve member 200 shown in FIG. 5 (a) has a difference in that a cavity supporting plate 240 is formed to support an inner cavity surrounded by four sides. By improving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leeve member 200 through the cavity support plate 24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deformation due to external stress. In addition,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support material such as an earth anchor or a nail nail through a cavity formed in the sleeve member (200). Therefore, when the cavity support plate 240 is formed of a flat plate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here is a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242 is formed therein the support material is inserted through It is preferabl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24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o have a sufficient free space. FIG. 5 (b) shows a cut-away cross section of the upper surface 222 and the lower surface 224 of the cavity support plate 240 and the sleeve member 200 in which the support insertion hole 242 is formed. In addition, the joint suppor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sleeve member 200 may be composed of a flat plate perpendicular to both flange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gion through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through the cavity.

도 5에 도시한 공동지지판(240)을 포함하는 슬리브부재(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동지지판(240)에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는, 공동지지판(240) 및 슬리브부재(200)에 브라켓(440)을 배치하고, 상기 브라켓(440)의 지보재고정면에 지보재헤드(420)를 부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공동지지판(240)에 형성된 지보재삽입홀을 통하여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 등의 지보재(400)를 시공한 후에 그 두부(頭部)를 지보재헤드(42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H형강띠를 사용하여 정착하던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엄지말뚝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100)에 형성된 공동(空洞) 내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보재(400)의 두부(頭部)를 고정한 후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공동(空洞) 내부를 충진재를 사용하여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영역을 덮는 덮개(422)를 채용하면 충진재를 사용하여 상기 공동을 밀폐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상기 덮개(422)는 평판을 사용하여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플랜지보강판을 상기 공동을 밀폐하는 덮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지보재 두부를 밀폐하기 위한 충진재(460)로는, 플라스틱(Plastic)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폭시,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콘크리트 몰탈 등을 충진함으로써, 지보재 두부가 장착된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공동을 방수 또는 방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의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상기 공동이 외부응 력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지보재의 두부정착부가 파일 자체에 형성된 공동에 배치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한 후 영구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옹벽설치에 필요한 콘크리트의 물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H형강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지보재의 두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이 필연적으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을 사용하여 파일 내부에 형성된 공동에 지보재 두부를 장착하게 되면 그 만큼 용지의 사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When using the sleeve member 200 including the hollow support plate 240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install a hea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to the hollow support plate 240. Do.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bracket 440 is disposed on the cavity support plate 240 and the sleeve member 200, and the support head 4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fixing surface of the bracket 440. In this configuration, the head is fixed to the support head 420 after constructing the support material 400 such as an earth anchor or a soil nail through the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vity support plate 24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which was conventionally fixed using the H-shaped steel strip, inside the cavity formed in the p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as a thumb pile. In addition, afte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ember 400 in this way, it is also possible to seal the inside of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using a filler. In this case, if the cover 422 is applied to cover the cutout region of the front flange 120, it is easier to seal the cavity using a filler. The cover 422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by welding or the like using a flat plate. Moreover, the flange reinforcement board mentioned later can also be used as a cover which seals the said cavity. As the filler 460 for sealing the support head, it is preferable to use plastic or concrete. That is, by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epoxy, urethane, or the like filling concrete mortar, it is possible to waterproof or anticorrosive treatment of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equipped with the support head. In addition, the use of reinforced plastics, such as fiber-reinforced plastics may prevent the cavity from being deformed due to external stress. In addition, since the head fixing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is disposed in the cavity formed in the pile itself, the area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reduced. Therefore,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permanent retaining wall after forming the retaining wall, the amount of concrete required for the retaining wall installatio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In addition, in the past, since the H-shaped steel strip was used, the area where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protrudes to the outside inevitably occupies a considerable area. However, when the support material head is mounted in the cavity formed inside the file using the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increase the usage rate of the paper.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 사용가능한 플랜지 보강판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한 플랜지 보강판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는 제1 플랜지보강판(5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에 부착되는 제2 플랜지보강판(54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100)에 내측절개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단면계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플랜지보강판(520, 540)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보강판(520, 540)은 양 플랜지부에 형성된 절개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그 일부만을 덮는 칫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플랜지보강판(520) 및 제2 플랜지보강판(540)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면플랜지부(120)만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1 플랜지보강판(520)만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플랜지보강판(520, 540)은 파일(100)에 볼트/너트체결방식으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용접방식에 의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플랜지보강판(520) 및 제2 플랜지보강판(540)을 모두 부착하는 경우에는, 각각에는 상기 슬리브부재(200)의 상기 공동을 통해 지보재(도시하지 않음)를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flange reinforcement plate usable in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reinforcement plate shown in FIG. 7 includes a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attached to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s shown in FIGS. 1 and 2, since the inner cutout is formed in the pile 100, cross-sectional coefficients of the front flange part 120 and the rear flange part 140 may be reduced. Therefore, a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540). Th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may have a size that includes all of the cutout regions formed in both flange portions, and may have a dimension covering only a part of th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In addition,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540 may be selectively employed, and if necessary, only the first flange reinforcement plate 520 may be employed to reinforce only the front flange part 120. It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hes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540) can be fastened to the pile 100 in a bolt / nut fastening method, it may be attached by a welding method. In addition, when attaching both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nd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each of the first insert through the support member (not shown) through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insert insertion holes are formed.

한편, 제1 플랜지보강판(52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제조된 평판을 사용하여,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의 절개된 영역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위치에서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보강판(520)에는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522)이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브라켓(522)을 제1 플랜지보강판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522)에는 지보재의 두부를 고정할 지보재헤드(524)가 배치되어, 지보재를 시공한 후에 그 두부를 고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using a flat plate manufactured in an appropriate size, if necessary, in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t a position including all or a portion of the cut portion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ttached. In addition, a head fixing bracket 522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to fix the head of the support member. If necessary, the bracket 522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ntegrally with the. The bracket 522 is provided with a support head 524 to fix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to fix the hea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material.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그 자체로 공동(空洞)이 형성된 경우이다. 파일의 기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즉,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를 포함하며,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160)로 구성되어 세로방향으로 길다란 파일로 제조된다. 또한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 등의 지보재가 고정되는 영역을 지보재고정부(110)라고 할 때, 상기 파일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보재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의 특징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 stability method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is a case where a cavity is formed by itself.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file is similar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it comprises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consisting of a web 160 for interconnecting them are made of a long f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area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fixed, such as the earth anchor or the nail, is referred to as the support inventory 110, one or more support inventory is formed in the file. Hereinafter, the features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로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지보재가 시공될 위치마다 상기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지보재삽입홀(112)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4)이 각각 형성된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이 형성되지 영역으로서, 단면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웨브(160);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이 형성된 영역에서 그 좌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웨브(164); 및 상기 제1 웨브(160) 및 제2 웨브(164)와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웨브와 함께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연속부(16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파일(100)은 지보재고정부(110)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보재고정부(110)에서는 공동을 형성하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 (140) 및 상기 제1 웨브(16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지보재삽입홀(112)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4)이 지보재고정부(110)의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8 and 9 are a third and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112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112 which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through each posi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is to be constructed. A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a rear flange portion 140 in which holes 114 are formed, respectively; The first web 16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s a region where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112 and 114 are not formed. ); A second web 164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disposed parallel to left and right sides in an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112 and 114 are formed; And a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s 166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web 160 and the second web 164 to form a cavity together with the second web. The pile 100 of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one or two or more support stock 110, the support web 110,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ity 166 forming a cavit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first web 160.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112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114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are position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ront flange part 120 and the rear flange part 140 of the support member 110. Is formed.

도 8(a) 및 도 9(a)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8(b) 및 도 9(b)는 제1 지보재삽입홀(112)이 형성된 상기 지보재고정부(110)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c) 및 도 9(c)는 상기 지보재고정부(110)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 및 도 9(c)에 도시한 제1 지보재삽입홀(112)과 제2 지보재삽입홀(114)의 형성위치는 삽입될 지보재(도시하지 않음)가 하향으로 삽입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상기 제2 웨브(164)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된 경우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상기 제2 웨브(164)가 상기 전면플랜지부(120)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140)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의 좌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경우이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파일의 지보재고정부(110)의 횡단면을 비교하면, 도 8의 경우는 사각형상이고, 도 9는 "Ⅱ"자 형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는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관통하여 지보재를 시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엄지말뚝으로 사용되는 파일 자체에 지보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보재삽입홀들의 좌우측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제2 웨브(164)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로 인하여 파일의 강성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8 (a) and 9 (a) are perspective views of a pile for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b) and 9 (b) is a first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stock 110, and FIG. 8 (c) and FIG. 9 (c) show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stock 110. FIG. 8 (c) and 9 (c), the first support holder insertion hole 112 and the second support holder insertion hole 114 are formed at the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support member (not shown) to be inserted is inserted downward. It is formed to have. 8 (a) to 8 (c) show a case in which the second web 164 i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9C, the second web 164 includes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112 and 114. Is plac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edges. That is, when comparing the cross-sections of the support stock 110 of the piles shown in Figs. 8 and 9, the case of Fig. 8 is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nd Fig. 9 is a "II" shape is different.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s 112 and 114 are formed in the pile stabilization method fi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upport member can be constructed therethrough,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fixed to the pile itself used as a thumb pile.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by forming the second web 164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inserting hol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gidity of the pile due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inserting holes.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로 구성되는 공동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1(a)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로 구성되는 공동(空洞)의 수직단면이 사각형상인 경우이고, 도 10(b) 및 도 11(b)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로 구성되는 공동(空洞)의 수직단면이 육각형상인 경우이다. 이와 같이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로 형성된 공동(空洞)의 형상을 변형하여 제1 웨브(160)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이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가 연속되는 부분 및 웨브연속부(166) 및 제1 웨브(160)가 연속되는 부분이 곡면처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제1 웨브(160)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이 절곡된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cavity composed of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of th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and 11 (a) show a case wher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formed of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has a rectangular shape, and FIGS. 10 (b) and 11 ( b) is a case wher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which consists of the 2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6 is hexagon shape. As such, it is preferable to modify the shape of the cavity formed by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6 so that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first web 160 is not concentrated in a par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are continuous and the portion where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and the first web 160 are continuous may be curved. Do.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first web 160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at the bent portion.

도 12(a) 및 도 12(b)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를 평판형상이 아닌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으로 구성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를 통해,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가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보재 및/또는 배후토사로부터 전달되는 수평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웨브(160)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이 국부에 집중됨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에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 모두가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만을 데크플레이트 또는 주름형상의 지지판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12 (a) and 12 (b) show a case where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are formed of deck plates or corrugated support plates instead of flat plates. As a result,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6 may increase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resulting in a horizontal stress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material and / or the rearing so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e from being modified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first web 160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localization of the pile. FIG. 1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both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ortion 166 are formed of a deck plate or a corrugated support plate. However, only one of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6 is formed of a deck plate or a corrugated support plate. It is also possible.

한편,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로 둘러싸인 공동(空洞)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공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상기 제2 웨브(164) 및 상기 한쌍의 웨브연속부(116)를 지지하는 공동지지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동지지판은 상기 공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다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동지지판은 양 플랜지부에 평행한 평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양 플랜지부에 수직한 평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3에 도시한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일의 절단면도에서 보듯이, 상기 공동지지판(168)을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공동지지판(168)의 소정의 위치에 지보재(400)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3 지보재삽입홀(16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지보재(400)의 두부(頭部)를 상기 공동의 내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공동지지판(168)에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440)을 배치하고, 지보재(400)를 시공한 후 그 두부(頭部)를 지보재헤드(420)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동의 내부에 플라스틱(Plastic) 또는 콘크리트로 충진함으로써 지보재의 두부를 방수처리 또는 방식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충진재(46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충진재(460)를 사용하여 공동 내부를 밀폐하는 경우에는, 덮판(42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보재의 두부를 정착한 후 덮판(422)을 볼트/너트체결방식 또는 용접체결방식으로 상기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하고 상기 덮판에 미리 천공된 홀(미도시)을 통해 충진재(460)를 주입하게 된다. 상기 덮판(422)은 전면플랜지부(120)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플랜지보강판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 본체에 형성된 공동에 지보재의 두부를 정착하는 경우에, 지보재(400)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은 상기 공동지지판(168)을 통해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8)로 전달되며, 그 응력은 전면플랜지부(120), 후면플랜지부(140) 및 제1 웨브(160)으로 전달되어 파일(100) 전체에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ground stabilization pil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vity surrounded by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ity (16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cavity support plate therein for supporting the second web 164 and the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s 116 therein to support the cavity. The cavity support plate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therein to support the cavity. For example, the cavity support plate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parallel to both flange portions, or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perpendicular to both flange portions.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cu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e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shown in Figure 13, when the joint supporting plate 168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ir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169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400 can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vity support plate 168.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include the head of the support member 400 in the interior of the cavity. Furthermore, the head fixing bracket 440 fo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is disposed on the joint support plate 168, and after the support material 400 is constructed, the hea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head 420. ) To fix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terproof or anticorrosive the head of the support by filling the interior of the cavity with plastic or concrete. The filler 460 used herein is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ide of the cavity is sealed using the filler 460,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ver plate 422. In this case, afte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the cover plate 422 is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art 120 in a bolt / nut fastening method or a welding fastening method, and the filler (not shown) is pre-drilled through the cover plate (not shown). 460). The cover plate 422 may also be used as a means for reinforc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in which case a flange reinforcement plate may be employed. In the case of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in the cavity formed in the pile body 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material 4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8 through the joint support plate 168. The stress is transmitt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rear flange portion 140, and the first web 160 to be transferred to the entire pile 100.

본 발명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는 파일(100)의 지보재고정부(110)에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이 형성된다. 이들 지보재삽입홀(112, 114)의 형성위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될 지보재가 하향으로 삽입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향으로 삽입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a)에서 보듯이, 후면플랜지부(140)에 형성되는 제2 지보재삽입홀(114)이 수직방향으로 장경을 갖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지보재의 시공시 주위환경에 따라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삽입할 배후토사가 연약지반이거나 국부적으로 암반이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피해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고정된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시공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마찬가지 이유로,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장경을 갖는 제2 지보재삽입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도 14(c)에서는 지보재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2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된 위치에서 후면플랜지부(140)로부터 연장된 지보재고정용 돌기부(116)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4(c)에서의 제2 지보재삽입홀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후면플랜지부(140)로부터 연장되는 제2 웨브(164) 및 웨브연속부(166)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형상을 자유로이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inserting holes 112 and 114 are formed in the support stock fixing unit 110 of the pile 100. The forming positions of the support inserting holes 112 and 114 may be arrang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in which the support insert to be inserted downward is inserted, as shown in FIGS. 8 and 9. It may be formed to have.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4 (a),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114 formed in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long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It is preferable to avoid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soil to insert the support material such as earth anchor or soil nail, if it is soft ground or locally, so that it can actively cope with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than if it is formed at a fixed inclination angle. Is advantageous in For the same reason, as shown in Fig. 14B,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having a long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urthermore, FIG. 14 (c) shows a case in which the support fixing portion 116 extending from the rear flange portion 140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upport inserting hole is formed in order to more easily fix the support. The second support insert insertion hole in FIG. 14 (c)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but does not affect the second web 164 and the web continuous part 166 extending from the rear flange part 140. It is also possible to freely deform the shape.

도 15에는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에 부착가능한 플랜지보강판을 도시하였다. 제1 플랜지보강판(520)은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며, 제2 플랜지보강판(540)은 후면플랜지부(540)에 부착된다. 상기 플랜지보강판(520, 540)은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이 형성됨으로 인한 단면계수감소 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되며, 상기 전면플랜지부 또는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랜지보강판(520, 540)에는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4 지보재삽입홀(526)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파일(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면플랜지부(120)에 부착되는 제1 플랜지보강판(520)에는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522)이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522)은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상기 제1 플랜지보강판(52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제1 플랜지보강판(520)과 일체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보재를 시공한 후 지보재헤드(524)를 통해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플랜지보강판(520)은 전면플랜지부(120)을 보강하는 보강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보재를 통해 전달되는 지지력에 대한 지압판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5에서는 도 8에 도시한 파일에 플랜지보강판(520, 540)을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한 파일에도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15 shows a flange reinforcing plate attachable to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ty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is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the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540 is attached to the rear flange portion 540.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540) is attached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due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s (112, 114) formed, selectively in the front flange portion or the rear flange portion Can be used. In particular, the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540) is provided with a fourth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526 through which the support material can be inserted, which i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s (112, 114) formed in the pile 100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coincide with. In addition, a head fixing bracket 522 fo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is disposed on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art 120. The bracket 522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and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material to secure the head (頭部) of the support material through the support head 524. Here,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520 functions not only as reinforcing means for reinforcing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but also as a pressure plate for a bear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ing material. Although FIG. 1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lange reinforcing plates 520 and 540 are attached to the pile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pile shown in FIG. 9.

한편, 도 8에 도시한 파일 구조에서는 제2 웨브(164)가 전면플랜지부(120) 및 후면플랜지부(14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보재고정부(110)의 수평단면이 사각형상이므로 엄지말뚝 토류판 공법에서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토류판을 배치할 여유공간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지보재고정부(110)에 배치될 제1 플랜지보강판은 그 폭이 전면플랜지부(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좌우측에 각각 토류판걸림부(526)가 형성된다. 또한, 토류판을 보다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토류판걸림부(526)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28)가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pil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8, the second web 164 extends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and the rear flange portion 140. Therefore, since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support stock 110 is in a quadrangular shape, the free space for arranging the earth plate constituting the retaining wall in the thumb pile earth plate method is not provid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to be disposed in the support stock fixing unit 110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front flange portion 120 so that the earth plate catching portions 526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easily arrange the earth plate, an inclined portion 528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earth plate catching portion 526.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및 제4 실시예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지보재고정부(110)의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파이프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부재(600)는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112, 114)에 끼워맞춘 후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파일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600)를 통하여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파이프부재 내부를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충진함으로서 지보재의 두부를 방수 또는 방식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6,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s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der insertion holes 112, 114 of the support stock 110 It includes a formed pipe member 600. The pipe member 600 may be made of a separate member, and may be formed by fit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s 112 and 114 and then welding them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etaining insertion holes through the pipe member 600. It is also possible to waterproof or anticorrosive the head of the support by filling the pipe member with plastic or concret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이에 부가하여 체결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보강판, 파이프부재 및 슬리브부재 등은 구조설계시 요구되는 강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은 스틸재질을 갖는 H형강(H-Pile)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하벽 또는 옹벽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나,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을 플라스틱에 복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ecd Plastics) 등과 같은 강화플라스틱(Reinforced Plastics)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좋으므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영구옹벽의 시공에 보다 유리하다. 아울러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제조비 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부산물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철근을 배근한 콘크리트 재질의 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The ground stability method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 the pipe member, and the sleeve member, etc., which are fastened in addition thereto, may be adopted as long as the material has the rigidity required for structural design. . Although 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H-Pile having a steel material, it can be made of plastic as long as it satisfies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wall or retaining wall. . In particular, when manufacturing the ground stability method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stic material, reinforced plastics such as engineering plastics (FRP: Fiber Reinforecd Plastics) such as engineering plastics, or carbon fiber or glass fiber composited in plastic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with Reinforced Plastics. In particular, when the plastic is manufactured, since the corrosion resistance is good, it is more advantageou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ermanent retaining wall in consideration of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the use of recycled plastics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not only saving manufacturing costs but also reducing plastic by-products. It will also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pile of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또한 고정부재에 공동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를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 등의 충진재로 밀폐하여 방수 및 방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재의 두부를 공동 내부에 매설하여 정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보강재의 두부를 고정부재의 전면플랜지에 정착하는 경우에도 공동 내부를 충진재로 밀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및 제2 보강재삽입홀에 슬리브부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충진재로 밀폐처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ing a cavity in the fix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side with a filler such as synthetic resin or concrete to waterproof and anticorrosive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seal the interior of the cavity with a filler even when the head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embedded and fixed in the cavity, as well as when the head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the front flange of the fixing member. In particular, when the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holes, it is easier to seal the filler material.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H형강띠를 사용하지 않고도 엄지말뚝 자체에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과 같은 지보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흙막이 벽체용 엄지말뚝을 제공한다. 따라서 H형강띠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장비를 사용하여 긴 파일을 들어올리거나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앵커를 고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H형강띠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이상의 자재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절감하고, 또한 띠장으로 인한 용지의 사용면적을 줄임으로써 용지사용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umb pile for the wall of the mud wall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thumb pile itself, such as earth anchors or soil nails without using the H-shaped steel strip as in the prior art.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use H-steel strips, so complicated work processes such as lifting and rotating long piles using heavy equipment can be omitted. In addition, by using a pair of H-shaped steel strips to fix the anch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more than necessary materials, and also to maximize the paper usage rate by reducing the paper use area due to the banding.

나아가, 본 발명은 지보재 및 배후토사의 응력으로 인한 파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일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 용 파일은 지보재가 고정되는 위치에 공동을 형성하므로 이를 통해 지보재 고정부를 파일 내부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보재 고정부가 파일 외부로 돌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용지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e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ile due to the stress of the support material and the soil backing. In addition, the f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vity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is fixed, it is possible to place the support holding part inside the file through this. Therefore, the support holder fixing portion can reduce the area protruding out of the file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paper.

또한, 본 발명은 지보재가 시공되는 위치에 공동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을 현장에서 즉시 제작할 수 있는 파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공현장에서 보다 단시간에 강성이 뛰어난 파일을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지질환경 등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file that can be immediately produced on site in the field stabilization method file including a tubular sleeve member formed with a cavity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construc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geologic environments more efficiently by manufacturing piles with superior rigidity in a short time at the construction site.

이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상기 파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mentioned above, the ground stability method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ile which were demonstrated by demonstra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were demonstrated.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should be considered in a descriptive sense, not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are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Claims (54)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파일로서,As a file used in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A front flange portion and a rear flange portion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 A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웨브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이르는 일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된 내측절개부; 및An inner cutout portion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to the rear flange portion through a web for each portion of the support material to be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A tubular sleeve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incision to support the web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eotechnical stability method for the fi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일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상기 후면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로 형성되는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pile is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formed by the front flange portion, the rear flange portion and the web H-shap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리브부재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leeve member is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back (front) is open and the side is closed tubular shap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내측절개부는, 가로길이 L1, 세로길이 L2 및 높이 H1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H1은 상기 파일의 높이 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into a cube shape having a horizontal length L1, a vertical length L2, and a height H1, and H1 is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pi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상기 후면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의 절개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플랜지부, 상기 후면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leeve memb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cutout,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is attached to the cut face of the front flange, the rear flange and the web and the front flange And a pile for supporting the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rear flange and the web.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내측절개부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절개부는 가로길이 L1 및 세로길이 L2로 부분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웨브의 절개부는 세로길이 L4 및 높이 D로 부분절개되어 형성되며, L4는 L2보다 크고, D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 사이의 내측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into a horizontal length L1 and a vertical length L2, and the cut portion of the web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vertical length L4 and the height D, and L4. Is greater than L2, D is the ground stability method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stance between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슬리브부재는, 그 외곽칫수가 가로길이 L3, 세로길이 L4 및 높이 H2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L3는 L1보다 크고 상기 파일의 너비 W보다 작거나 같으며, 그 상측면 및 하측면은 상기 웨브의 상하(上下) 절단면에 부착되어 지지하고, 그 전후에 형성된 양단면은 각각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leeve memb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n outer dimension L3, a length L4 and a height H2, L3 is larger than L1 and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 of the pile, and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cutting surfaces of the web, and supported, and both end surface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for the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전면플랜지부에 평행한 수직단면이 방형(方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leeve member is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 parallel to the front flang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슬리브부재는 네개의 모서리부가 곡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leeve member is a pile for the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corners are curved.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7, 상기 슬리브부재의 측면이 데크플레이트형상 또는 주름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ide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has a deck plate shape or pleat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웨브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한쌍의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 일.And a pair of coupling pieces attach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to reinforce the coupling with the web.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슬리브부재는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동(空洞)을 지지하기 위한 공동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nd the sleeve member further comprises a cavity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cavity formed therein.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공동지지판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지보재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joint supporting plate is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which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nd the support material is inserted through the insid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공동지지판은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joint support plate is a ground stabilizing method file further comprises a hea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d (頭部) of the support material.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4, wherein 상기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한 후 상기 공동의 내부를 충진재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round stabilization method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of the interior of the cavity with a filler afte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충진재는 플라스틱(Plastic) 또는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The filler is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Plastic) or concr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플랜지부에 부착되는 제1 플랜지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round stabilization method pile further comprises a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부착되는 제2 플랜지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round stabilization method pile further comprises a second flange reinforcing plate attached to the rear flange.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보강판은 상기 슬리브부재의 상기 공동을 통해 지보재를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 reinforcement plates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material through the cavity of the sleeve member, respectively.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플랜지보강판은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irst flange reinforcing plate is ground stabilized pile method further comprises a hea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d (頭部) of the support material. 지반안정공법에 사용되는 파일로서,As a file used in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서로 대향 배치되고 지보재가 시공될 위치마다 상기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A front flange portion and a rear flange portion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having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the support material can be inserted at every position where the support material is to be constructed;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단면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웨브;A first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are not formed, the first web being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 삽입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그 좌우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웨브; 및A second web inter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nd disposed parallel to left and right sides in an area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are formed; And 상기 제1 웨브 및 상기 제2 웨브와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웨브와 함께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한쌍의 웨브연속부;A pair of web continuous part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first web and the second web and forming a cavity together with the second we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eotechnical stability method for the file comprising a.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2 웨브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nd the second web is formed continuously from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2 웨브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및 상기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의 좌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nd the second web is disposed between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nd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der insertion holes.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제2 웨브 및 그 양단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웨브연속부로 구성되는 상기 공동의 수직단면이 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avity composed of the second web and the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has a quadrangular shap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제2 웨브 및 그 양단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웨브연속부로 구성되는 상기 공동의 수직단면이 육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 pile for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ection of the cavity composed of the second web and the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has a hexagonal shap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제2 웨브는 데크플레이트형상 또는 주름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파일.The second web is a holding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k plate shape or pleated shape.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한쌍의 웨브연속부는 데크플레이트형상 또는 주름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파일.The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k plate shape or pleated shap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공동은 그 내부에 상기 제2 웨브 및 상기 한쌍의 웨브연속부를 지지하 는 공동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cavity further includes a cavity suppor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second web and the pair of web continuous portion therein.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공동지지판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3 지보재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joint supporting plate is a ground stabilized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the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material can be inserted.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공동지지판은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joint support plate is a ground stabilizing method file further comprises a hea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d (頭部) of the support material.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21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or 30, 상기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한 후 상기 공동의 내부를 충진재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Ground stabilization method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of the interior of the cavity with a filler after fixing the head of the support material.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충진재는 플라스틱(Plastic) 또는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iller is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Plastic) or concret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전면플랜지부 또는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부착되는 플랜지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File for stabilizing the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lange reinforcing plate attached to the front flange portion or the rear flange portion.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플랜지보강판은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제4 지보재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s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플랜지보강판은 지보재의 두부(頭部)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부정착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lange reinforcement plate is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d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head (頭部) of the support.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플랜지보강판은 좌우측에 토류판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s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th plat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제3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토류판 걸림부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oil plate engaging portion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ope.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플랜지보강판은 볼트/너트 체결방식 또는 용접체결방식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lange reinforcing plate is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by the bolt / nut fastening method or welding fastening method.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은 삽입될 지보재가 상향으로 삽입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r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to be inserted upward.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지보재삽입홀은 삽입될 지보재가 하향으로 삽입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ground stabil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to be inserted downward.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형성된 제2 지보재삽입홀은 상기 전면플랜지부에 형성된 제1 지보재삽입홀의 직경보다 큰 수직방향 장경(長徑)을 갖는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ar flange portion is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liptical shape having a vertical long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ront flange portion.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형성된 제2 지보재삽입홀은 상기 전면플랜지부에 형성 된 제1 지보재삽입홀의 직경보다 큰 수평방향 장경(長徑)을 갖는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econ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ar flange portion is a ground stabilization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liptical shape having a horizontal long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ront flange portion.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제2 지보재삽입홀은 삽입될 지보재가 복수의 경사각도로 고정가능한 지보재고정용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econd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is a ground support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aterial to be inserted includes a support for fixing the support for a plurality of inclination angles.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상기 제1 지보재삽입홀로부터 제2 지보재삽입홀에 배치되는 파이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And a pipe member disposed in the second support insertion hole from the first support insertion hole.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1, 상기 파일은 스틸(steel), 플라스틱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pile is ground (ste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for the soil stabilization method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or 21, 상기 지보재는 어스앵커 또는 쏘일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The support material is a ground stability method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th anchor or a nail.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1항에 따른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으로서,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면플랜지부 및 후면플랜지부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웨브를 포함하고, 높이가 H이고 너비가 W이며 횡단면이 에이치형인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Preparing a pile having a front flange portion and a rear flange portion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web connect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to each other and having a height H, a width W, and a cross-section H-shaped; 상기 에이치형 파일에서 지보재를 시공할 부위마다 상기 전면플랜지부로부터 상기 웨브를 경유하여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이르는 내측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부분절개하여 내측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n inner incision by partially cutting an inner portion from the front flange portion to the rear flange portion through a web for each portion of the H-shaped pile to be constructed; And 상기 내측절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웨브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부재를 부착하는 단계;Attaching a tubular sleeve member disposed in the inner incision to support the web and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file for the ground stability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8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fee was paid.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슬리브부재는 전후(前後)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sleeve memb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front and back) is opened and the side is closed.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내측절개부는, 가로길이 L1, 세로길이 L2 및 높이 H1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H1은 상기 파일의 높이 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into a hexahedral shape having a horizontal length L1, a vertical length L2, and a height H1, and H1 is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pile.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4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슬리브부재는, 상기 내측절개부와 동일한 외곽칫수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상기 후면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의 절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sleeve memb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mensions as the inner incis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incision surface of the front flange, the rear flange and the web. Method of manufacturing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내측절개부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절개부분을 가로길이 L1 및 세로길이 L2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되고, 상기 웨브의 절개부분을 세로길이 L4 및 높이 D로 부분절개하여 형성되며, L4는 L2보다 크고, D는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 사이의 내측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inner cutout portion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cut portions of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into a horizontal length L1 and a vertical length L2, and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cut portion of the web into a vertical length L4 and a height D. , L4 is larger than L2, D is the inner distance between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round stabilization method pile.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5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1, 상기 슬리브부재는, 그 외곽칫수가 가로길이 L3, 세로길이 L4 및 높이 H2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L3는 L1보다 크고 상기 파일의 너비 W보다 작거나 같으며, 그 상측면 및 하측면은 상기 웨브의 상하(上下) 절단면에 부착되고, 그 전후에 형성된 양단면은 각각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sleeve member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n outer dimension L3, a length L4 and a height H2, L3 is larger than L1 and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 of the pile, and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re Both end surface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cutting surfaces of the web, and formed before and after the web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respectively. 청구항 5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슬리브부재는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동(空洞)을 지지하기 위한 공동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지지판은 상기 전면플랜지부 및 상기 후면플랜지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내부에 지보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The sleeve member further includes a cavity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cavity formed therein, wherein the cavity support plat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and the support material is inserted therethrough.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aterial insertion hole is formed. 청구항 5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슬리브부재를 부착한 후 상기 전면플랜지부 또는 상기 후면플랜지부를 보강하는 플랜지보강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보강판은 상기 공동을 통해 지보재를 관통하여 삽입가능한 지보재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공법용 파일의 제조방법.And attaching a flange reinforcement plate to reinforce the front flange portion or the rear flange portion after attaching the sleeve member, wherein the flange reinforcement plat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Method for producing a pile for ground stabi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KR1020040001855A 2004-01-10 2004-01-10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6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855A KR100657656B1 (en) 2004-01-10 2004-01-10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855A KR100657656B1 (en) 2004-01-10 2004-01-10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777A KR20050073777A (en) 2005-07-18
KR100657656B1 true KR100657656B1 (en) 2006-12-14

Family

ID=3726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7656B1 (en) 2004-01-10 2004-01-10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65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415A (en)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불독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8628B1 (en) 2014-02-27 2016-05-09 박민서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KR20200015034A (en)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130519B1 (en) 2019-12-19 2020-07-06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562702B1 (en) * 2022-09-19 2023-08-04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Reinforcement device of pile anchor using earth anch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785B1 (en) * 2014-11-11 2017-02-13 주식회사 한국지오콘 Apparatus for Supporting Anchor box for Tie-Back Anchor of H-Pipe Pile used in the Panel Retaining Wall Method without Wale and Method for Installing Tie-Back Anchor of H-Pipe Pile without Wa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415A (en) * 2013-10-08 2015-04-16 주식회사 불독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88693B1 (en) * 2013-10-08 2016-01-27 주식회사 불독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8628B1 (en) 2014-02-27 2016-05-09 박민서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KR20200015034A (en)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130519B1 (en) 2019-12-19 2020-07-06 주식회사 여주철강산업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102562702B1 (en) * 2022-09-19 2023-08-04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Reinforcement device of pile anchor using earth anch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777A (en)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393A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KR100789210B1 (en) Earthquake construction method using sheet pile and composite beam
KR20200011068A (en) Butress type Self-relianc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having arching earth pressure by the silo earth pressure
KR101136240B1 (en)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KR101077949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57655B1 (en) Prefab pile for ground stability method
KR100657656B1 (en) Ground stabilization p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50010419A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1061516B1 (en)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arched steel pile
KR102130519B1 (en) Waling member for earth anchor
KR20220135682A (en) Steel Assembly Pile
KR101015610B1 (en) Tunnel structure with inclined plate anchor member protruding from the wall
KR100657654B1 (en) H-type pile with a plurality of anchor insertion holes
JP3051321B2 (en) Double sheet pile structure
KR101588693B1 (en)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1702B1 (en) The hybrid truss frame compsited by mix stress member for reinforcement of earth retaining concrete pile and composit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426992B1 (en) A wall face panel and a reinforcement soil structure
KR100614847B1 (en) Pile for pile stability and pile for reinforcement
KR102482690B1 (en)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KR101861684B1 (en) Reinforced earth-anchor structure for weakground
JP2005256571A (en) Continuous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52011B1 (en) Composite Pile Using Angled Channel With Different Strength Steels
KR20230153660A (en) Steel Assembly Pile
KR20010028793A (en) Precast Retaining Wall Using High Strength Micro Pile
JP2548634B2 (en) Underwater structure using underwater ground driv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