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7400B1 -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00B1
KR101587400B1 KR1020150107165A KR20150107165A KR101587400B1 KR 101587400 B1 KR101587400 B1 KR 101587400B1 KR 1020150107165 A KR1020150107165 A KR 1020150107165A KR 20150107165 A KR20150107165 A KR 20150107165A KR 101587400 B1 KR101587400 B1 KR 10158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ixing
connection panel
rectangular frame
m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교각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빔 양단의 긴 구간에, 지상에서 적정 길이로 미리 조립된 연장거푸집장치를 조립함에 따라, 켄틸레버 브라켓을 하나씩 설치하면서 거푸집을 조립하는 종래 설치방식에 비하여 거푸집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한번에 넓게 거푸집이 설치되어 하부에 안전망을 설치하지 않고도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For any mold of construction for an extension of Bridge Deck}
본 발명은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 교각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상부 빔의 양단에 적정 길이로 조립된 연장거푸집장치를 지상에서 미리 조립하여 거치함으로 거푸집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켄틸레버 브라켓은 교량 상판의 가장자리 부분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도로 교량의 노면은 차량이 주행시 원심력에 의한 사고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가장자리 부분이 수평을 이루지 않고 위나 아래로 약간의 각도 편차를 두고 있다. 도로 교량 상판의 콘크리트 타설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도록 작업대를 조립한 다음, 해당 작업대 상에서 작업자가 이동을 하면서 지상에서 도면을 보고 각도조절을 완료한 후 켄틸레버 브라켓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그 위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며, 이후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교량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켄틸레버 브라켓의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0891985호(발명의 명칭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 및 공개특허 10-2013-083695호(발명의 명칭 : 격벽이 형성된 켄틸레버를 이용한 확장 보도교의 구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켄틸레버 브라켓은 현장별로 교대의 높이에 따라 각각 켄틸레버 브라켓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으며, 켄틸레버 브라켓을 거푸집 아래에 설치한 후의 각도 오차 수정과정의 작업성 저하를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향상이 되었다. 그리고, 격벽이 형성된 켄틸레버를 이용한 확장 보도교의 구조는, 켄틸레버의 둘레는 팔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된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어 휨 강도 및 비틀림강도를 향상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강도가 향상된 켄틸레버 구조물로부터 시공은 더욱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사용했던 자재를 줄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견고한 구조물로부터 안전성은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켄틸레버 브라켓을 하나씩 설치하여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시공작업의 연속적인 진행이 불가능하여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취약하여 교각의 하부에는 반드시 추락을 대비한 안전망을 설치하여 하는 등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 교각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빔의 양단에, 지상에서 미리 조립된 연장거푸집장치를 사용하여 상부 빔의 양단 긴 구간을 단기간에 조립함에 따라 거푸집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고 교각 상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빔; 및 상기 상부 빔 양단에 고정수단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사각프레임과, 수평사각프레임의 후면에 전면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수평연결패널과, 수평사각프레임 및 수평연결패널 하부에 구비되어 수평연결패널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연장거푸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교각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빔 양단의 긴 구간에, 지상에서 적정 길이로 미리 조립된 연장거푸집장치를 조립함에 따라, 켄틸레버 브라켓을 하나씩 설치하면서 거푸집을 조립하는 종래 설치방식에 비하여 거푸집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한번에 넓게 거푸집이 설치되어 하부에 안전망을 설치하지 않고도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된 상태의 측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수평사각프레임과 수평연결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수평사각프레임과 수평연결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평면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A"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이 시공된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수평사각프레임과 수평연결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의 수평사각프레임과 수평연결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은 고 교각(1) 상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빔(10)과; 상부 빔(10) 양단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빔(10) 양단을 연장하여 상판(3)의 좌우 폭을 연장시공 하기 위한 연장거푸집장치(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빔(10) 사이에는 미도시된 강제 거푸집으로 연결되어 상판(3)이 시공되고, 이 상판(3)의 좌우 폭을 연장거푸집장치(20)로 연장하여 연장상판(5)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연장거푸집장치(20)는 상부 빔(10) 양단에 고정수단(30)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직사각을 유지하여 띠 형으로 제작되는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사각프레임(22)의 후면에 전면이 볼트(24a)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직사각으로 조립유지되는 수평연결패널(24)과; 수평사각프레임(22) 및 수평연결패널(24)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연결패널(24)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연결패널(24)의 전면 상부에는 작업자들의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안전난간대(26)가 설치된다. 이 안전난간대(26)는 수평연결패널(24)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대(27a)와; 이 수직대(27a)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대(27b)로 구성되어, 안전망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부 빔(10)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고정핀(32)과; 수평사각프레임(22) 후면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립공(34)과; 조립공(34)과 대응되게 삽입공(38a)이 형성되어 수평사각프레임(22)의 후면 상부에 수직고정볼트(36)로써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고정핀(32)에 걸리도록 경사걸림홈(38b)이 형성된 다수의 거치 브라켓(3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핀(32)은 상부 빔(10) 상부에 등 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부 빔(10)에 구비되는 철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치 브라켓(38)의 경사걸림홈(38b)은 수직고정핀(32)에 걸림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은 수평사각프레임(22)의 하부에 상부가 제1회동핀(4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다수의 수직고정대(42)와; 수직고정대(42)의 상부에 전면 일측이 제2회동핀(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다수의 수평회동지지대(44)와; 수직고정대(42) 하부와 수평회동지지대(44)의 후면 일측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50)는 수직고정대(42) 하부와 수평회동지지대(44)에 후면 일측에 고정핀(51)으로써 양단이 연결되고,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볼트(53)(54)와; 이동볼트(53)(54) 사이에 경사지게 체결되는 나사공(56a)이 형성되어, 이동볼트(53)(54)가 나사공(52)을 따라 상부 및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경사조절봉(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경사조절봉(56)의 중앙 영역에는 통공(57)이 형성되고, 이 통공(57)에 회전레버(58)를 삽입하여 경사조절봉(56)을 회전시켜 이동볼트(53)(54)를 동시에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는 상부 빔(10) 일면에 밀착지지 되는 하부지지부재(60)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지지부재(60)는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 수평으로 볼트(61)로써 체결 고정되고, 수평나사공(62a)이 형성된 수평고정구(62)와; 수평고정구(62)에 나사 체결되고 단부에 고정된 밀착대(64)가 상부 빔(10) 일면에 밀착 지지되는 밀착지지봉(6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시공되는 교각(1) 상부에 수직으로 다수의 상부 빔(10)을 설치한 다음, 이 상부 빔(10) 사이에는 미도시된 강제 거푸집을 연결하여 상부에 상판(3)을 시공하게 되고, 상부 빔(10)의 양단에는 연장거푸집장치(20)를 조립하여 상판(3)의 좌우 폭을 연장하여 연장상판(5)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장상판(5)을 연장시공하기 위한 연장거푸집조립장치(20)에 대한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띠형으로 제작된 수평사각프레임(22)을 적정 길이로 선택한 다음, 수평사각프레임(22)의 후면에 수평연결패널(24)의 전면을 순차적으로 일치시키고, 볼트(24a)로써 안정되게 체결 고정하여 수평사각프레임(22) 후면에 수평연결패널(24)을 체결 고정하게 된다.(도 4 내지 도 6참조)
그 다음으로 수평사각프레임(22) 및 수평연결패널(24) 하부에 수평연결패널(24)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을 설치하여 연장거푸집장치(20)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서 연장거푸집장치(20)를 상방으로 안정되게 들어올린 다음, 상부 빔(10)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고정핀(32) 위치에, 적합한 위치의 수평사각프레임(22)의 조립공(34)과 거치 브라켓(38)의 삽입공(38a)을 일치시킨 다음, 이 삽입공(38a)과 조립공(34)을 통해 하부에서 수직고정볼트(36)를 체결하여 수평사각프레임(22)에 다수의 거치 브라켓(38)을 순차적으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거치 브라켓(38)의 경사걸림홈(38b)을, 수직고정핀(32)에 순차적으로 걸어 수직고정핀(32)에 거치 브라켓(38)을 안정되게 거치시키게 된다.(도 7 및 도 11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5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켜 수평연결패널(24)을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회동부재(50)를 구성하는 경사조절봉(56)에 형성된 통공(57)에 회전레버(58)를 삽입시킨 다음, 경사조절봉(56)을 회전시키면,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고정대(42) 하부와 수평회동지지대(44)에 후면 일측에 고정핀(51)으로써 양단이 연결된 이동볼트(53)(54)가 경사조절봉(56)의 나사공(52)을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도 9참조)
이에 따라 이동볼트(53)에 고정핀(51)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상부가 제1회동핀(4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수직고정대(42)의 상부에 전면 일측이 제2회동핀(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평회동지지대(44)가 제1,2회동핀(41)(43)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의 상부면이 상부 빔(10)의 상부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도 10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지지부재(60)를 동작시켜 상부빔(10) 일면에 밀착지지봉(66) 일단의 밀착대(64)를 밀착시켜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을 지지하게 된다.
즉, 하부지지부재(60)를 구성하는 밀착지지봉(66)을 회전시키면,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 수평으로 체결 고정된 수평고정구(62)의 수평나사공(61)을 따라 밀착지지봉(64)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단부에 고정된 밀착대(64)가 상부 빔(10) 일면에 밀착지지 된다.(도 9참조)
그 다음으로 상부 빔(10)과 수평을 유지하여 위치되는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3)과 좌우 폭을 연장하여 연장상판(5)을 시공하게 된다.(도 3참조)
한편, 이와 같이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3)과 연장되게 연장상판(5)을 시공한 다음, 수평사각프레임(22) 의 조립공(34)을 통하여 체결된 수직고정볼트(36)의 체결력을 거치 브라켓(38)으로부터 해제시키고,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다음의 상판(3)의 좌우 폭을 연장 시공하는 공사에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때, 경사걸림홈(38a)으로써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수직고정핀(32)에 거치된 거치 브라켓(38)은 연장상판(5)의 시공으로 콘크리트에 매몰된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고 교각 3 : 상판
5 : 연장상판 10 : 상부 빔
20 : 연장거푸집장치 22 : 수평사각프레임
24 : 수평연결패널 26 : 난간대
30 : 고정수단 32 : 수직고정핀
34 : 조립공 36 : 수직고정볼트
38 : 거치 브라켓 38a : 삽입공
38b : 경사걸림홈 40 :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
41,43 : 제1,2회동핀 42 : 수직고정대
44 : 수평회동지지대 50 : 회동부재
51 : 고정핀 53,54 : 이동볼트
56 : 경사조절봉 56a : 나사공
60 : 하부지지부재 62 : 수평고정구
62a : 나사공 64 : 밀착대
66 : 밀착지지봉

Claims (6)

  1. 고 교각(1) 상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빔(10);
    상기 상부 빔(10)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사각프레임(22)의 후면에 전면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수평연결패널(24)을 갖는 고정수단(30); 및
    상기 수평사각프레임(22) 및 수평연결패널(24)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연결패널(24)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으로 이루어진 연장거푸집장치(20)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상부 빔(10) 위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고정핀(32)과;
    상기 수평사각프레임(22) 후면 상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조립공(34)과;
    상기 조립공(34)과 대응되게 삽입공(38a)이 형성되어 수직고정볼트(36)로써 수평사각프레임(22) 후면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고정핀(32)에 걸림이 용이하도록 경사걸림홈(38b)이 형성된 다수의 거치 브라켓(38)의 구성을 갖으며,
    상기 수평연결패널지지수단(40)은
    상기 수평사각프레임(22)의 하부에 상부가 제1회동핀(4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다수의 수직고정대(42)와;
    상기 수직고정대(42)의 상부에 전면 일측이 제2회동핀(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다수의 수평회동지지대(44)와;
    상기 수직고정대(42) 하부와 수평회동지지대(44)의 후면 일측 사이에 양단이 장착되어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50)와;
    상기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 수평을 이루며 상부 빔(10) 일면에 밀착되고, 수평사각프레임(22)과 수평연결패널(24)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부재(60)로 구성고,
    상기 회동부재(50)는
    상기 수직고정대(42) 하부와 수평회동지지대(44)에 후면 일측에 고정핀(51)으로써 양단이 연결되고,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볼트(53)(54)와;
    상기 이동볼트(53)(54) 사이에 경사지게 체결되는 나사공(52)이 형성되어, 이동볼트(53)(54)가 나사공(52)을 따라 상부 및 하부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경사조절봉(56)으로 구성되어, 상부 빔(10) 사이에 상판(3)의 좌우 폭을 연장하여 연장상판(5)을 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재(60)는
    상기 수직고정대(42)의 하부에 수평으로 체결 고정되고, 수평나사공(62a)이 형성된 수평고정구(62)와;
    상기 수평고정구(62)에 나사 체결되고 단부에 고정된 밀착대(64)가 상부 빔(10) 일면에 지지되는 밀착지지봉(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KR1020150107165A 2015-07-29 2015-07-29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Expired - Fee Related KR10158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65A KR101587400B1 (ko) 2015-07-29 2015-07-29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65A KR101587400B1 (ko) 2015-07-29 2015-07-29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400B1 true KR101587400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7400B1 (ko) 2015-07-29 2015-07-29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0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79B1 (ko) * 2016-06-09 2016-09-2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토목 건축에 의한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 설치구조
CN106245534A (zh) * 2016-08-31 2016-12-21 中交二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桥梁悬挑人行道板模板系统及施工方法
KR101798540B1 (ko) * 2017-04-19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다용도 켄틸레버 브라켓 장치
CN108797380A (zh) * 2018-06-05 2018-11-13 中铁十二局集团有限公司 悬灌连续梁托架悬吊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09826104A (zh) * 2019-03-19 2019-05-3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墩柱翻模接缝处的混凝土浇筑施工方法
CN110241740A (zh) * 2019-07-25 2019-09-17 贵州省交通工程有限公司 旋转机构
CN114016433A (zh) * 2021-12-24 2022-02-08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0号块与1号块的桁架托架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416492B1 (ko) * 2021-08-12 2022-07-05 주식회사 제현산업 점검로
KR102487850B1 (ko) * 2022-03-25 2023-01-12 (주)한맥기술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256658Y1 (ko) * 1999-03-15 2001-12-24 김남식 착탈이 용이한 건축용 클램프
KR101101208B1 (ko) * 2011-06-03 2012-01-04 (주) 효성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58Y1 (ko) * 1999-03-15 2001-12-24 김남식 착탈이 용이한 건축용 클램프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101101208B1 (ko) * 2011-06-03 2012-01-04 (주) 효성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79B1 (ko) * 2016-06-09 2016-09-2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토목 건축에 의한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 설치구조
CN106245534A (zh) * 2016-08-31 2016-12-21 中交二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桥梁悬挑人行道板模板系统及施工方法
CN106245534B (zh) * 2016-08-31 2018-03-16 中交二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桥梁悬挑人行道板模板系统及施工方法
KR101798540B1 (ko) * 2017-04-19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다용도 켄틸레버 브라켓 장치
CN108797380A (zh) * 2018-06-05 2018-11-13 中铁十二局集团有限公司 悬灌连续梁托架悬吊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09826104A (zh) * 2019-03-19 2019-05-3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墩柱翻模接缝处的混凝土浇筑施工方法
CN110241740A (zh) * 2019-07-25 2019-09-17 贵州省交通工程有限公司 旋转机构
CN110241740B (zh) * 2019-07-25 2024-02-13 贵州省交通工程有限公司 旋转机构
KR102416492B1 (ko) * 2021-08-12 2022-07-05 주식회사 제현산업 점검로
CN114016433A (zh) * 2021-12-24 2022-02-08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0号块与1号块的桁架托架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487850B1 (ko) * 2022-03-25 2023-01-12 (주)한맥기술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400B1 (ko) 교량 상판 연장 시공용 일체형 거푸집
KR100969992B1 (ko) 교각용 거푸집 시스템
CA2883418C (en) A panel support bracket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798540B1 (ko) 다용도 켄틸레버 브라켓 장치
KR20130061127A (ko) 조절 가능한 거푸집 클라이머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0442545Y1 (ko) 높이조절 거푸집
CN111719855A (zh) 用于楼板模板的连接条
KR102089758B1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RU2310033C1 (ru) Консольные подмости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консольных плит или карнизных блоков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JP3175075U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JP2003138581A (ja) コンクリート製捨て型枠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製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819196B1 (ko) 거푸집 시스템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9980053385A (ko) 벽체 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JP2004232214A (ja) 橋梁床版支持用型枠及びこれを使用した橋梁床版の施工方法
KR200300525Y1 (ko) 벽체용 폼패널의 절첩식 수평조절 받침대
RU2809450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й площадки
CN221194257U (zh) 一种模板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