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2490B1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 Google Patent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490B1
KR101582490B1 KR1020140044214A KR20140044214A KR101582490B1 KR 101582490 B1 KR101582490 B1 KR 101582490B1 KR 1020140044214 A KR1020140044214 A KR 1020140044214A KR 20140044214 A KR20140044214 A KR 20140044214A KR 101582490 B1 KR101582490 B1 KR 10158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vaccine
present
recombinant
influenz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400A (ko
Inventor
김세미
최여정
임교진
Original Assignee
아이디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디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4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4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N7/04Inactivation or attenuation; Producing viral sub-un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에 효과가 있는 신규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및 상기 백신을 개체에 투여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각기 다른 두 가지 아형(subtype)에서 유래된 헤마글루티닌 HA1 영역과 HA2 영역을 융합하여 제조한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아형(subtype) 및 계통(clade)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광범위한 중화 항체 효과를 가진 바이러스 백신의 용도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Novel virus vaccine to form cross-protection against multiple subtypes of influenza viruses}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아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에 효과가 있는 신규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신 및 상기 백신을 개체에 투여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경이 약 125nm인 입자 크기를 갖는 RNA 외피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는 기본적으로 리피드 이중층 구조 및 외부 글리코단백질을 갖는 바이러스 외피에 의해 둘러쌓여진 내부 뉴클레오캡시드 또는 핵단백질과 결합된 리보핵산(RNA)의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바이러스 외피의 내부층은 주로 매트릭스 단백질로 이루어지며, 외부층은 주로 숙주-유래 리피드 물질로 이루어진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게놈은 11개의 단백질 (HA, NA, NP, M1, M2, NS1, NEP, PA, PB1, PB1-F2, PB2)를 코드화시키는 8개의 단일 RNA 가닥 상에 함유된다. 게놈의 분절화 성질은 세포 공동서식 동안 상이한 바이러스 균주 사이에서 전체 유전자의 교환을 허용한다. 8개의 RNA 분절은 혈구응집소를 인코딩하는 HA; 뉴라미니다아제를 인코딩하는 NA; 핵단백질을 인코딩하는 NP; 동일한 RNA 분절로부터 상이한 해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2개의 매트릭스 단백질 (M1 및 M2)을 인코딩하는 M; 동일한 RNA 분절로부터 상이한 해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2개의 독특한 비구조 단백질 (NS1 및 NEP)을 인코딩하는 NS; RNA 폴리머라아제를 인코딩하는 PA; 동일한 RNA 분절로부터 상이한 해독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RNA 폴리머라아제 및 PB1-F2 단백질 (아팝토시스를 유도함)을 인코딩하는 PB1; 및 RNA 폴리머라아제를 인코딩하는 PB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두 개의 표면 당단백질인,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HA) 및 뉴라미니다아제(Neuraminidase: NA)로 구성된 고도의 다형성 입자로서, 헤마글루티닌은 바이러스의 숙주 세포에의 부착과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동안 바이러스-세포막의 융합을 매개하며, 이러한 표면 단백질, 특히 헤마글루티닌은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의 항원 특이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의 차이에 기초하여 A형, B형 및 C형으로 분류한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서브타입 또는 타입, 지리적 기원, 균주 번호 및 단리 연도를 포함하는 명명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A/베이징/353/89로 기술된다. 적어도 16개의 HA 서브타입(H1-H16)과 9개의 NA 서브타입(N1-N9)이 있다. 모든 서브타입은 조류에서 발견되나, H1-H3 및 N1-N2는 인간, 돼지 및 말에서 발견된다[참고 문헌 : Murphy and Webster, orthomyxoviruses, in Virology, ed. Fields, B.N., Knipe, D.M., Chanock,R.M., 1091-1152(Raven Press, New York, (1990)].최근 HA서브타입의 경우 H18, NA N11까지도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다[참고: Suxiang Tong et al,"New World Bats Harbor Diverse Influenza A Viruses" PLoS Pathogens,(October 2013)].
인플루엔자는 인수 공통 전염병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변이성이 크며 한 종에서 다른 종으로 바로 전파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고병원성 인플루엔자의 세계적인 전파를 해결하는 일이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수의분야와 관련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거의 모든 포유류에 감염을 일으키므로 숙주 범위가 넓은 질병에 속한다. 돼지, 닭과 같은 산업동물의 경우 단일 감염으로 소모성 질병 혹은 다른 바이러스 및 세균과 혼합 감염됨으로써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기 때문에, 지속적인 생독 및 사독백신을 통한 주기적인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아형을 가지고 있는 A형 인플루엔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각기 다른 두 가지 아형(subtype)에서 유래된 헤마글루티닌 HA1 영역과 HA2 영역을 융합하여 제조한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경우 H1N1 혈청형, H5N1혈청형 및 H5N2 혈청형을 가진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두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259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1321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두 가지 아형(subtype)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두 가지 아형(subtype)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A/Korea/CJ01/09 (H1N1) 유래의 HA1 및 융합펩티드 유전자 영역과; A/EM/Korea/W150/06 (H5N1) 유래의 HA2 엑토도메인 유전자 영역이 융합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외에 6개 혹은 7개(NA 유전자도 바뀔 수 있다는 가정하에)의 다른 유전자는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된 6개 혹은 7개의 유전자는 서열번호 4 내지 서열번호 10의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바이러스를 약독화된 생독 백신, 사독 백신 또는 서브유닛 백신(면역원성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H1N1 혈청형, H5N1혈청형 및 H5N2 혈청형을 가진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두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신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는 각기 다른 두 가지 아형(subtype)에서 유래된 헤마글루티닌 HA1 및 융합 펩타이드 영역과 HA2 영역을 융합하여 제조한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아형(subtype) 및 계통(clade)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광범위한 중화 항체 효과를 가진 바이러스 백신의 용도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구조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HA1/HA2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구조를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역유전학(Reverse Genetics)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인 마우스에 백신 스케쥴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동종 바이러스인 maCA04(H1N1);마우스 적응(mouse-adapted) CA04를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동종 바이러스인 maCA04(H1N1)를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이종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W150(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이종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W150(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다른 계통(clade)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VN1203(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다른 계통(clade)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VN1203(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이형 바이러스인 ma81(H5N2)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중화 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위해,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 1차 또는 2차 접종한 다음, 이형 바이러스인 ma81(H5N2)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에 관한 것이다.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당단백질 중 하나로서 바이러스의 숙주 세포에의 부착과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동안 바이러스-세포막의 융합을 매개하며, 인플루엔자 서브타입의 항원 특이성을 결정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단백질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A/Korea/CJ01/09 (H1N1) 유래의 HA1 및 융합펩티드 유전자 영역과; A/EM/Korea/W150/06 (H5N1) 유래의 HA2 엑토도메인 유전자 영역이 융합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서열번호 3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서열번호 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적어도 95%, 적어도 98%, 적어도 98.5%, 적어도 99%, 적어도 99.2%, 적어도 99.4%, 적어도 99.6%, 적어도 99.8% 또는 적어도 9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외의 6개 혹은 7개의 다른 유전자는 현재 인체백신의 백본(backbone) 바이러스로 이용되는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된 7개의 유전자로서 NA(서열번호 4), M(서열번호 5), NP(서열번호 6), NS(서열번호 7), PA(서열번호 8), PB1(서열번호 9) 및 PB2(서열번호 10) 유전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와 이외 7개의 유전자를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제공받아 역유전학(Reverse Genetics)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cHA H1/H5N1'로 명명하였다. 또한, 본 바이러스를 2014년 3월 1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 KCTC12567BP를 부여받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감수성 숙주 동물을 감염시키고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백신은 상기 cHA H1/H5N1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이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숙주 동물은 인간, 개, 고양이, 돼지, 말, 닭, 오리, 칠면조, 페럿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백신은 약독화된 생독 백신 또는 사독 백신, 서브유닛 백신(subunit vaccine), 합성 백신(synthetic vaccine) 또는 유전공학 백신(genetic engineering vaccine)일 수 있으나,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생독 백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생독 백신"이란 살아있는 바이러스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백신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약독화된(attenuation)"이란 살아있는 병원체의 독성을 인공적으로 약하게 한 것으로, 병원체의 필수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변이시켜 체내에서 질병을 일으키지 못하고 면역 체계만을 자극해서 면역성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러스의 약독화는 자외선(UV) 조사, 약품처리 또는 시험관 내 고차 연속 계대배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약독화는 또한 명확한 유전 변화를 만듦으로써, 예를 들어 독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 서열의 특정 결실 또는 바이러스 게놈 내로의 서열의 삽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용어 "사독 백신"이란 불활화 백신 또는 사균 백신이라고도 하며, 죽은 바이러스를 포함한 백신이다. 이의 예로는 전 바이러스 백신(whole-virus vaccine)과 분할 백신(split vaccine)이 있으며, 이들은 공지된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가능하다. 예컨대 전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 전체에 포르말린을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분할 백신은 바이러스에 에테르를 처리하여 외피만을 분쇄, 수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어 "서브유닛 백신"은 바이러스의 구성성분 중 면역기능을 일으킬 수 있는 항원 성분만을 추출하여 제조한 백신으로, 바이러스 방어에 필요한 항원 부위에 대해서면 면역형성을 유도함으로써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전공학 백신"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일으키는 특이 유전자를 변형하거나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신으로 사용되는 바이러스 폴리펩티드(키메릭 헤마글루티닌) 또는 이의 단편들은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폴리펩티드는 고체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나출된(naked) 핵산 조성물들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핵산은 본 발명의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 백신접종 방법들은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통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제6,063,385호 및 제6,472,375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핵산은 플라스미드 또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핵산은 동물에 투여되는 리포좀에 둘러싸여진 채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백신은 추가적으로 용매, 면역증강제(adjuvant)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생리식염수 또는 증류수가 있으며, 면역증강제로는 프레운즈(Freund's) 불완전체 또는 완전체 어쥬번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겔과 식물성 및 광물성 오일 등이 있으며, 부형제로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23~28 HAU(hemagglutination unit, 혈구응집 단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백신의 혈구응집 단위가 23 HAU 미만인 경우, 투여 대상 개체에 효과적으로 항체형성을 유도하지 못할 수 있으며, 28 HAU을 초과하는 경우, 효율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경구형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형 제제인 주사액제로 제조하며,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비강 또는 경막외(eidural)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백신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에 투여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유발되는 질환으로서, 부비강염, 발작적 천식, 중이염, 낭성 섬유종, 기관지염, 폐렴, 설사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Pitkaranta와 Hayden, 1998. Ann. Med.),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조류 인플루엔자로 감염된 닭 또는 돼지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의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실험에 필요한 바이러스 준비
<1-1> A/ Korea / CJ01 /09 ( H1 / N1 ) 바이러스 분리
충북대학교 병원에 신종플루 증상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채취한 비후두 분비물을 10% Penicillin-Streptomycin (Gibco)항생제가 포함된 세포배양 배지에 넣고 혼탁액을 제조한 다음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비분비물을 제거한 후 상층액을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48시간 동안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RT-PCR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분리한 국내, 사람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A/Korea/CJ01/09 (H1N1)”라 명명하였고, 이를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소 미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10년 4월 27일자로 기탁하였으며, 그로부터 기탁번호 KCTC 11690 BP를 부여받았다.
<1-2> A/ EM / Korea / W150 /06 ( H5N1 ) 및 A/ Puerto Rico /08/34 ( H1N1 ) 바이러스 준비
A/Puerto Rico/08/34 (H1N1) 바이러스는 Dr. Robert G. Webster, Division of Virology, 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Memphis, TN 38105로부터 수득하였으며, A/EM/Korea/W150/06 (H5N1)바이러스는 본 실험실에서 분리하였다. 본 바이러스는 2006년 분리된 고병원성 바이러스로 야생조류의 분변에서 채취하여 분리하였다. 10% Penicillin-Streptomycin (Gibco)항생제가 포함된 세포배양 배지에 넣고 혼탁액을 제조한 다음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비분비물을 제거한 후 상층액을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48시간 동안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RT-PCR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 인 것을 확인하였다.[참고: Youn-Jeong Lee et al,"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5N1) in Domestic Poultry and Relationship with Migratory Birds, South Kore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March 2008)]
< 실시예 2>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제조
본 발명자들은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각기 다른 아형(subtype) 및 각기 다른 그룹형(clade)의 인플루엔자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cross-protection) 효과를 가지는 범 중화 항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헤마글루티닌의 HA1(globular head domain)과 HA2(stalk region) 유전자간 영역을 각각 두 가지 아형(혈청형)으로부터 분리 융합하여 키메릭 헤마글루타닌 유전자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현재 인체백신의 백본 바이러스(A/Puerto Rico/08/34 (H1N1))에 포함시켜 재조합 바이러스를 제조하였다.
<2-1>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제조
먼저, 본 발명자들은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A/Korea/CJ01/09 (H1N1)의 HA1 및 fusion peptide 유전자 영역(서열번호 1)과; A/EM/Korea/W150/06 (H5N1)의 HA2 Ectodomain 유전자 영역(서열번호 2)을 융합하여 하나의 키메릭 H1/H5 헤마글루티민 유전자를 제조하였다.
A/Korea/CJ01/09 (H1N1)는 Bm HA 1F (5‘-TAT TCG TCT CAG GGA GCA AAA GCA GGG G- 3‘)와 HA1을 특정하게 인식하는 프라이머(5’-CAT TCC CTG CCA TCC CCC TTC AAT GAA ACC- 3‘)를 사용하여 A/Korea/CJ01/09 (H1N1)의 HA1 및 fusion peptide 유전자 영역(서열번호 1)을 만들고, HA2를 특정하게 인식하는 프라이머(5’-GGT TTC ATT GAA GGG GGA TGG CAG GGA ATG- 3‘)와 Bm NS 890R(5’-ATA TCG TCT CGT ATT AGT AGA AAC AAG GGT GTT TT- 3‘) A/EM/Korea/W150/06 (H5N1)의 HA2 Ectodomain 유전자 영역(서열번호 2)을 사용하여 각각의 유전자 단편을 만들고 PCR 과정을 통하여 융합, 증폭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키메릭 유전자(서열번호 3)를 제조하였다.
<2-2>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제조
상기 실시예<2-1>에서 준비한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서열번호 3) 및 A/Puerto Rico/08/34의 NA(서열번호 4), M(서열번호 5), NP(서열번호 6), NS(서열번호 7), PA(서열번호 8), PB1(서열번호 9), PB2(서열번호 10) 유전자를 각각 발현벡터 vPHW2000(사용논문:J Gen Virol. 2013 Jun;94(Pt 6):1230-5. doi: 10.1099/vir.0.051284-0. Epub 2013 Mar 13.)에 삽입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서열번호 3~10의 유전자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발현벡터들을 형질감염 시약 TransIT-LT1 transfection reagent (Mirus Bio)를 이용하여 함께 모두 혼합한 후 40분간 실온에 놓아두었다.
24시간 전에 준비해 둔 Vero 세포(ATCCCCL-81™)에 벡터 혼합액을 조심스럽게 넣은 다음 6시간 후에 배양액을 무혈청 배양액(GIBCO™ Opti-MEM I Reduced-Serum Medium (1X) liquid)으로 교체해 주었다. 형질감염 후 36시간이 지나면 0.2μg/ml의 L-1-tosylamido-2-phenylehtyl chlorometyl ketone(TPCK)-트립신(Sigma-Aldrich)를 함유하는 Opti-MEM I 1ml를 형질감염된 세포에 첨가해주고, 48시간이 지난 후부터 10일령 SPF 유정란을 이용하여 상층액을 접종하였으며, 48시간 후 상기 유정란에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으며, 이렇게 분리된 재조합 바이러스는 ‘cHA H1/H5N1’라 명명하였으며, 불활성화하여 하기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는 2014년 3월 1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였으며, 기탁번호 KCTC12567BP를 부여받았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의 마우 스 동물실험을 통한 항원성 평가
본 발명에서 개발된 재조합 백신 후보주 바이러스 cHA H1/H5N1의 항원성을 평가화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재조합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를 10일령의 SPF 유정란에 10개씩 접종하고 48시간 후에 요수를 검출하여 0.5% 칠면조 RBC로 헤마글루티닌 테스트를 통해 역가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요수를 0.025% 농도로 포르말린을 처리하고 72시간 동안 4℃에서 보관한 후 완전히 불활화되어 증식 가능한 바이러스가 없는 것을 10일령 SPF 유정란에 접종하여 확인하였다.
20% 수크로오스 쿠션을 넣은 SW28 스윙로터 버켓(Beckman, USA)에 불활화된 바이러스 요수를 넣고 25,000rpm에서 3시간동안 침강시켜 바이러스만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는 단백질량을 측정한 후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농도가 1.7μg/1ml 및 3.5μg/1ml가 되도록 만들어 백신으로 이용하였다.
원하는 농도의 바이러스 용액을 4주령의 BALB/C 마우스에 헤마글루티닌 단백질의 함량(1.7μg/0.1ml, 3.5μg/0.1ml)에 따라 1차 근육접종 함으로써 항원성을 평가하였으며, 이후 2주가 경과한 시점에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접종을 실시하였다.
상기 1차 및 2차 접종 후 2주가 경과한 시점에 마우스의 혈청을 채취하여 중화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백신 효과가 입증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동종 및 이종, 이형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후 몸무게 변화와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는 대조군으로 A/Korea/CJ01/09 (H1N1) 바이러스만을 접종한 그룹과 PBS로 접종한 두 개의 그룹을 포함시켰다. 또한 감염 3, 5, 7일 후 마우스의 폐 조직을 채취하여 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마우스는 각 그룹당(실험군 및 대조군의 마우스 사용량은 동일함) 폐조직 채취용 3마리씩(3, 5, 7일간 1일 3마리씩: 총 9마리의 마우스 사용)과 몸무게 변화 및 생존율에 5마리 사용하였다.
중화항체에 대한 능력 검증에 사용된 동형, 이형 및 다른 계통(clade) 바이러스
바이러스 약칭 바이러스 정식 명칭 및 구입처
maCA04(H1N1) A/California/04/09(H1N1);mouse-adaptation strain; (주)아이디 바이오, 충북대학교
W150(H5N1) A/EM/Korea/W150/06 (H5N1);(주)바이오리더스, (주)아이디 바이오,
VN1203(H5N1) A/Viet Nam/1203/2004(H5N1);(주)바이오리더스, 국제 백신연구소
ma81(H5N2) A/aquatic bird/Korea/MA81/2007(H5N2);(주)바이오리더스, (주)아이디 바이오, 충북대학교
<3-1> 백신접종 후 동종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몸무게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의 범 인플루엔자 중화 능력효력을 검증하기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에 접종한 다음 동종 바이러스인 maCA04(H1N1)를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로 1차 및 2차 백신 실시한 실험군에서 동종 바이러스에 대하여 감염 후 7일까지 약간의 체중변화는 발생하였으나, 14일이 경과한 시점에는 대부분의 마우스에서 몸무게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존율을 100%인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
<3-2> 백신접종 후 이종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몸무게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의 범 인플루엔자 중화 능력효력을 검증하기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에 접종한 다음 이종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W150(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로 1차 백신 실시한 실험군에서 바이러스의 감염이 일어나면 2일째 경과 후부터 체중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0일째 모두 죽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도 6A 참조), 2차 백신 실시 후에는 11일째 몸무게의 20% 가량이 감소하며, 14일이 경과한 시점에는 90%까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B 참조).
또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백신 후 바이러스 감염 시에는 헤마글루타닌의 함량이 높은 백신에서의 생존율은 100%로 나타나는 반면, 헤마글루타닌 함량이 낮은 백신에서의 생존율이 50%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백신접종 후 다른 계통( clade )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몸무게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의 범 인플루엔자 중화 능력효력을 검증하기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에 접종한 다음, 다른 계통(clade) 바이러스인 고병원성 VN/1203(H5N1)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로 1차 백신 실시한 실험군에서 1차 백신 후 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나고, 2일째부터 몸무게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12일이 경과 후에는 체중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9에서는 타나낸 바와 같이, 1차 백신을 실시한 실험군에서는 감염 후 12일이 경과한 시점에 마우스가 모두 죽었으나, 2차 백신을 실시한 실험군에서는 마우스가 100%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백신접종 후 이형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몸무게 및 생존율 측정
본 발명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의 범 인플루엔자 중화 능력효력을 검증하기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에 접종한 다음, 헤마글루티닌 및 뉴라미다아제 유전자가 모두 다른 이형 바이러스인 ma81(H5N2)을 100MLD50의 양으로 감염한 뒤 14일 동안 마우스의 체중변화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차 백신 후 대조군에서는 체중이 모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감염 7일째는 모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0A 및 도 11A 참조). 반면에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로 1차 백신 실시한 실험군에서는 감염 7일째에 마우스가 100% 생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A 참조).
또한, 2차 백신 후에는 대조군인 A/Korea/CJ01/09 (H1N1)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함량이 높은 백신 그룹에서 급격한 체중변화가 나타났으나 8일째부터는 회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생존율을 30% 가량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로 2차 백신 실시한 실험군에서는 감염 후 시간경과에 따른 큰 체중변화 및 생존율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이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B 및 도 11B 참조).
<3-4> 백신접종 후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바이러스의 역가 측정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을 마우스에 접종한 다음 maCA04(H1N1), W150(H5N1;clade 2.2), VN/1203(H5N1;clade 1) 및 ma81(H5N2) 바이러스 각각으로 마우스를 감염시킨 후 3, 5, 7일 후 마우스 폐조직을 채취하여 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였다. 마우스는 마취제를 이용하여 마우스 체중 ㎏당 30~40㎎으로 복강 마취를 실시한 후 비강 내 접종(intranasal inoculation)을 통하여 100MLD50 30ul를 감염시켰다. MLD50 는 마우스가 50% 치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역가를 나타내며, 본 실험에서는 MLD50의 100배에 해당하는 양을 감염시켰다. 이에 따른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폐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마우스는 바이러스 감염 후 3, 5, 7일 째에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3마리씩 폐 조직을 채취하였다.
측정된 바이러스 역가는 하기 표 2에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재조합 백신접종 후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바이러스 역가
challenge virus and HA content A/Korea/CJ01/09 (H1N1) 백신 접종 본 발명의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접종
Days post infection Days post infection
3일 5일 7일 3일 5일 7일
1차 백신 그룹
1.7μg HA
maCA04 (H1N1) 3.8 2.8 1.3 4.3 3.8 1.0
W150 (H5N1) 5.5 4.5 4.5 5.5 5.5 4.5
VN1203 (H5N1) 5.5 5.5 4.5 4.5 5.5 5.5
ma81 (H5N2) 8.5 4.5 4.5 6.5 4.5 2.5
3.5μg HA
maCA04 (H1N1) 3.6 1.7 0.7 4.0 3.8 1.4
W150 (H5N1) 4.5 5.5 3.5 4.5 3.5 2.5
VN1203 (H5N1) 4.5 5.5 5.5 4.5 4.5 3.5
ma81 (H5N2) 5.5 4.5 1.5 4.5 4.5 0.7
2차 백신 그룹
1.7μg HA
maCA04 (H1N1) 2.8 1.7 0.7 4.3 2.8 0.7
W150 (H5N1) 3.5 5.5 3.5 2.5 2.5 0.7
VN1203 (H5N1) 3.5 4.5 5.5 4.5 2.5 0.7
ma81 (H5N2) 3.5 6.5 5.5 5.5 5.5 0.7
3.5μg HA
maCA04 (H1N1) 1.7 1.7 0.7 3.0 1.7 0.7
W150 (H5N1) 3.5 2.5 0.7 2.5 1.7 0.7
VN1203 (H5N1) 3.5 4.5 4.5 2.5 1.3 0.7
ma81 (H5N2) 4.3 2.8 1.7 2.5 2.5 0.7
mock-vaccination group Days post infection
3일 5일 7일
maCA04 (H1N1) 3.3 3.3 1.7
W150 (H5N1) 4.7 5.3 4
VN1203 (H5N1) 4.3 4.5 6.3
ma81 (H5N2) 5.5 7.5 4.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567BP 20140314
<110> I.D.BIO. <120> Novel virus vaccine to form cross-protection against multiple subtypes of influenza viruses <130> PN1312-424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068 <212> DNA <213> plynucelotide sequence of A/Korea/CJ01/09(H1N1) derived HA1 and fusion peptide gene region <400> 1 atgaaggcaa tactagtagt tctgctatat acatttgcaa ccgcaaatgc agacacatta 60 tgtataggtt atcatgcaaa caattcaaca gacactgtag acacagtact agaaaagaat 120 gtaacagtaa cacactctgt taaccttcta gaagacaagc ataacgggaa actatgcaaa 180 ctaagagggg tagccccatt gcatttgggt aaatgtaaca ttgctggctg gatcctggga 240 aatccagagt gtgaatcact ctccacagca agctcatggt cctacattgt ggaaacatct 300 agttcagaca atggaacgtg ttacccagga gatttcatcg attatgagga gctaagagag 360 caattgagct cagtgtcatc atttgaaagg tttgagatat tccccaagac aagttcatgg 420 cccaatcatg actcgaacaa aggtgtaacg gcagcatgtc ctcatgctgg agcaaaaagc 480 ttctacaaaa atttaatatg gctagttaaa aaaggaaatt catacccaaa gctcagcaaa 540 tcctacatta atgataaagg gaaagaagtc ctcgtgctat ggggcattca ccatccatct 600 actagtgctg accaacaaag tctctatcag aatgcagatg catatgtttt tgtggggaca 660 tcaagataca gcaagaagtt caagccggaa atagcaataa gacccaaagt gagggatcaa 720 gaagggagaa tgaactatta ctggacacta gtagagccgg gagacaaaat aacattcgaa 780 gcaactggaa atctagtggt accgagatat gcattcgcaa tggaaagaaa tgctggatct 840 ggtattatca tttcagatac accagtccac gattgcaata caacttgtca gacacccaag 900 ggtgctataa acaccagcct cccatttcag aatatacatc cgatcacaat tggaaaatgt 960 ccaaaatatg taaaaagcac aaaattgaga ctggccacag gattgaggaa tgtcccgtct 1020 attcaatcta gaggcctatt tggggccatt gccggtttca ttgaaggg 1068 <210> 2 <211> 633 <212> DNA <213> polynucletide sequence of A/EM/Korea/W150/06(H5N1) derived HA2 ectodomain gene region <400> 2 ggatggcagg gaatggtaga tggttggtat ggataccacc atagcaacga gcaggggagt 60 gggtacgctg cagacaaaga atccactcaa aaggcaatag atggagtcac caataaagtc 120 aactcgatca ttgacaaaat gaacactcaa tttgaggccg ttggaaggga atttaataac 180 ttagaaagga gaatagagaa tttaaacaag aagatggaag acggatttct agatgtctgg 240 acttataatg ctgaacttct ggttctcatg gaaaatgaga gaactctaga ctttcatgac 300 tcaaatgtca agaaccttta cgacaaggtc cgactacagc ttagggataa tgcaaaggag 360 cttggtaacg gttgtttcga gttctatcac agatgtgata atgaatgtat ggaaagtgta 420 agaaacggaa cgtatgacta cccgcagtat tcagaagaat caagattaaa aagagaggaa 480 ataagtggag taaaattgga atcaatagga acttatcaaa tactgtcaat ttattcaaca 540 gtggcgagct ccctagcact ggcaatcatg gtggctggtc tatctttatg gatgtgttcc 600 aatggatcgt tacaatgcag aatttgcatt taa 633 <210> 3 <211> 169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imeric hemagglutinin gene polynucleotide sequence <400> 3 atgaaggcaa tactagtagt tctgctatat acatttgcaa ccgcaaatgc agacacatta 60 tgtataggtt atcatgcaaa caattcaaca gacactgtag acacagtact agaaaagaat 120 gtaacagtaa cacactctgt taaccttcta gaagacaagc ataacgggaa actatgcaaa 180 ctaagagggg tagccccatt gcatttgggt aaatgtaaca ttgctggctg gatcctggga 240 aatccagagt gtgaatcact ctccacagca agctcatggt cctacattgt ggaaacatct 300 agttcagaca atggaacgtg ttacccagga gatttcatcg attatgagga gctaagagag 360 caattgagct cagtgtcatc atttgaaagg tttgagatat tccccaagac aagttcatgg 420 cccaatcatg actcgaacaa aggtgtaacg gcagcatgtc ctcatgctgg agcaaaaagc 480 ttctacaaaa atttaatatg gctagttaaa aaaggaaatt catacccaaa gctcagcaaa 540 tcctacatta atgataaagg gaaagaagtc ctcgtgctat ggggcattca ccatccatct 600 actagtgctg accaacaaag tctctatcag aatgcagatg catatgtttt tgtggggaca 660 tcaagataca gcaagaagtt caagccggaa atagcaataa gacccaaagt gagggatcaa 720 gaagggagaa tgaactatta ctggacacta gtagagccgg gagacaaaat aacattcgaa 780 gcaactggaa atctagtggt accgagatat gcattcgcaa tggaaagaaa tgctggatct 840 ggtattatca tttcagatac accagtccac gattgcaata caacttgtca gacacccaag 900 ggtgctataa acaccagcct cccatttcag aatatacatc cgatcacaat tggaaaatgt 960 ccaaaatatg taaaaagcac aaaattgaga ctggccacag gattgaggaa tgtcccgtct 1020 attcaatcta gaggcctatt tggggccatt gccggtttca ttgaaggggg atggcaggga 1080 atggtagatg gttggtatgg ataccaccat agcaacgagc aggggagtgg gtacgctgca 1140 gacaaagaat ccactcaaaa ggcaatagat ggagtcacca ataaagtcaa ctcgatcatt 1200 gacaaaatga acactcaatt tgaggccgtt ggaagggaat ttaataactt agaaaggaga 1260 atagagaatt taaacaagaa gatggaagac ggatttctag atgtctggac ttataatgct 1320 gaacttctgg ttctcatgga aaatgagaga actctagact ttcatgactc aaatgtcaaa 1380 cctttacgac aaggtccgac tacagcttag ggataatgca aaggagcttg gtaacggttg 1440 tttcgagttc tatcacagat gtgataatga atgtatggaa agtgtaagaa acggaacgta 1500 tgactacccg cagtattcag aagaatcaag attaaaaaga gaggaaataa gtggagtaaa 1560 attggaatca ataggaactt atcaaatact gtcaatttat tcaacagtgg cgagctccct 1620 agcactggca atcatggtgg ctggtctatc tttatggatg tgttccaatg gatcgttaca 1680 atgcagaatt tgcatttaa 1699 <210> 4 <211> 1373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NA gene <400> 4 atgaatccaa atcagaaaat aataaccatt ggatcaatct gtctggtagt cggactaatt 60 agcctaatat tgcaaatagg gaatataatc tcaatatgga ttagccattc aattcaaact 120 ggaagtcaaa accatactgg aatatgcaac caaaacatca ttacctataa aaatagcacc 180 tgggtaaagg acacaacttc agtgatatta accggcaatt catctctttg tcccatccgt 240 gggtgggcta tatacagcaa agacaatagc ataagaattg gttccaaagg agacgttttt 300 gtcataagag agccctttat ttcatgttct cacttggaat gcaggacctt ttttctgacc 360 caaggtgcct tactgaatga caagcattca agtgggactg ttaaggacag aagcccttat 420 agggccttaa tgagctgccc tgtcggtgaa gctccgtccc cgtacaattc aagatttgaa 480 tcggttgctt ggtcagcaag tgcatgtcat gatggcatgg gctggctaac aatcggaatt 540 tcaggtccag ataatggagc agtggctgta ttaaaataca acggcataat aactgaaacc 600 ataaaaagtt ggaggaagaa aatattgagg acacaagagt ctgaatgtgc ctgtgtaaat 660 ggttcatgtt ttactataat gactgatggc ccgagtgatg ggctggcctc gtacaaaatt 720 ttcaagatcg aaaaggggaa ggttactaaa tcaatagagt tgaatgcacc taattctcac 780 tatgaggaat gttcctgtta ccctgatacc ggcaaagtga tgtgtgtgtg cagagacaat 840 tggcatggtt cgaaccggcc atgggtgtct ttcgatcaaa acctggatta tcaaatagga 900 tacatctgca gtggggtttt cggtgacaac ccgcgtcccg aagatggaac aggcagctgt 960 ggtccagtgt atgttgatgg agcaaacgga gtaaagggat tttcatatag gtatggtaat 1020 ggtgtttgga taggaaggac caaaagtcac agttccagac atgggtttga gatgatttgg 1080 gatcctaatg gatggacaga gactgatagt aagttctctg tgaggcaaga tgttgtggca 1140 atgactgatt ggtcagggta tagcggaagt ttcgttcaac atcctgagct gacagggcta 1200 gactgtatga ggccgtgctt ctgggttgaa ttaatcaggg gacgacctaa ggagggaaca 1260 atctggacta gtgcgagcag catttctttt tgtggcgtga atagtgatac tgtagattgg 1320 tcttggccag acggtgctga gttgccattc agcattgaca agtagtctgt tca 1373 <210> 5 <211> 1000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M gene <400> 5 gtagatattg aaagatgagt cttctaaccg aggtcgaaac gtacgtactc tctatcatcc 60 cgtcaggccc cctcaaagcc gagatcgcac agagacttga agatgtcttt gcagggaaga 120 acaccgatct tgaggttctc atggaatggc taaagacaag accaatcctg tcacctctga 180 ctaaggggat tttaggattt gtgttcacgc tcaccgtgcc cagtgagcga ggactgcagc 240 gtagacgctt tgtccaaaat gcccttaatg ggaacgggga tccaaataac atggacaaag 300 cagttaaact gtataggaag ctcaagaggg agataacatt ccatggggcc aaagaaatct 360 cactcagtta ttctgctggt gcacttgcca gttgtatggg cctcatatac aacaggatgg 420 gggctgtgac cactgaagtg gcatttggcc tggtatgtgc aacctgtgaa cagattgctg 480 actcccagca tcggtctcat aggcaaatgg tgrcaacaac caatccacta atcagacatg 540 agaacagaat ggttttagcc agcactacag ctaaggctat ggagcaaatg gctggatcga 600 gtgagcaagc agcagaggcc atggaggttg ctattcgggc taggcaaatg gtgcaggcaa 660 tgagaaccat tgggactcat cctagctcca gtgctggtct gaaaaatgat cttcttgaaa 720 atttgcaggc ctatcagaaa cgaatggggg tgcagatgca acggttcaag tgatcctctc 780 attattgcct caartatcat tgggatcttg cacttgayat tgtggattct tgatcgtctt 840 tttttcaaat gcatttaccg tctctttaaa tacggtttga aaagagggcc ttctacggaa 900 ggagtgccaa agtctatgag ggaagaatat caaaaggaac agcagagtgc tgtggatgct 960 gacgatggtc attttgtcag catagagctg gagtaaaaaa 1000 <210> 6 <211> 1501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NP gene <400> 6 atggcgtccc aaggcaccaa acggtcttac gaacagatgg agactgatgg agaacgccag 60 aatgccactg aaatcagagc atccgtcgga aaaatgattg gtggaattgg acgattctac 120 atccaaatgt gcaccgaact caaactcagt gattatgagg gacggttgat ccaaaacagc 180 ttaacaatag agagaatggt gctctctgct tttgacgaaa ggagaaataa atacctggaa 240 gaacatccca gtgcggggaa agatcctaag aaaactggag gacctatata caggagagta 300 aacggaaagt ggatgagaga actcatcctt tatgacaaag aagaaataag gcgaatctgg 360 cgccaagcta ataatggtga cgatgcaacg gctggtctga ctcacatgat gatctggcat 420 tccaatttga atgatgcaac ttatcagagg acaagagctc ttgttcgcac cggaatggat 480 cccaggatgt gctctctgat gcaaggttca actctcccta ggaggtctgg agccgcaggt 540 gctgcagtca aaggagttgg aacaatggtg atggaattgg tcaggatgat caaacgtggg 600 atcaatgatc ggaacttctg gaggggtgag aatggacgaa aaacaagaat tgcttatgaa 660 agaatgtgca acattctcaa agggaaattt caaactgctg cacaaaaagc aatgatggat 720 caagtgagag agagccggaa cccagggaat gctgagttcg aagatctcac ttttctagca 780 cggtctgcac tcatattgag agggtcggtt gctcacaagt cctgcctgcc tgcctgtgtg 840 tatggacctg ccgtagccag tgggtacgac tttgaaagag agggatactc tctagtcgga 900 atagaccctt tcagactgct tcaaaacagc caagtgtaca gcctaatcag accaaatgag 960 aatccagcac acaagagtca actggtgtgg atggcatgcc attctgccgc atttgaagat 1020 ctaagagtat taagcttcat caaagggacg aaggtgctcc caagagggaa gctttccact 1080 agaggagttc aaattgcttc caatgaaaat atggagacta tggaatcaag tacacttgaa 1140 ctgagaagca ggtactgggc cataaggacc agaagtggag gaaacaccaa tcaacagagg 1200 gcatctgcgg gccaaatcag catacaacct acgttctcag tacagagaaa tctccctttt 1260 gacagaacaa ccattatggc agcattcaat gggaatacag agggaagaac atctgacatg 1320 aggaccgaaa tcataaggat gatggaaagt gcaagaccag aagatgtgtc tttccagggg 1380 cggggagtct tcgagctctc ggacgaaaag gcagcgagcc cgatcgtgcc ttcctttgac 1440 atgagtaatg aaggatctta tttcttcgga gacaatgcag aggagtacga caattaaaga 1500 a 1501 <210> 7 <211> 848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NS gene <400> 7 atggattcca acactgtgtc aagctttcag gtagattgct ttctttggca tgtccgcaaa 60 cgagttgcag accaagaact aggtgatgcc ccattccttg atcggcttcg ccgagatcag 120 aaatccctaa gaggaagggg cagcactctc ggtctggaca tcgagacagc cacacgtgct 180 ggaaagcaga tagtggagcg gattctgaaa gaagaatccg atgaggcact taaaatgacc 240 atggcctctg tacctgcgtc gcgttaccta actgacatga ctcttgagga aatgtcaagg 300 gactggtcca tgctcatacc caagcagaaa gtggcaggcc ctctttgtat cagaatggac 360 caggcgatca tggataagaa catcatactg aaagcgaact tcagtgtgat ttttgaccgg 420 ctggagactc taatattgct aagggctttc accgaagagg gagcaattgt tggcgaaatt 480 tcaccattgc cttctcttcc aggacatact gctgaggatg tcaaaaatgc agttggagtc 540 ctcatcggag gacttgaatg gaatgataac acagttcgag tctctgaaac tctacagaga 600 ttcgcttgga gaagcagtaa tgagaatggg agacctccac tcactccaaa acagaaacga 660 gaaatggcgg gaacaattag gtcagaagtt tgaagaaata agatggttga ttgaagaagt 720 gagacacaaa ctgaagataa cagagaatag ttttgagcaa ataacattta tgcaagcctt 780 acatctattg cttgaagtgg agcaagagat aagaactttc tcgtttcagc ttatttagta 840 ataaaaaa 848 <210> 8 <211> 2193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PA gene <400> 8 atggaagatt ttgtgcgaca atgcttcaat ccgatgattg tcgagcttgc ggaaaaaaca 60 atgaaagagt atggggagga cctgaaaatc gaaacaaaca aatttgcagc aatatgcact 120 cacttggaag tatgcttcat gtattcagat tttcacttca tcaatgagca aggcgagtca 180 ataatcgtag aacttggtga tccaaatgca cttttgaagc acagatttga aataatcgag 240 ggaagagatc gcacaatggc ctggacagta gtaaacagta tttgcaacac tacaggggct 300 gagaaaccaa agtttctacc agatttgtat gattataagg agaatagatt catcgaaatt 360 ggagtaacaa ggagagaagt tcacatatac tatctggaaa aggccaataa aattaaatct 420 gagaaaacac acatccacat tttctcgttc actggggaag aaatggccac aaaggcagac 480 tacactctcg atgaagaaag cagggctagg atcaaaacca gactattcac cataagacaa 540 gaaatggcca gcagaggcct ctgggattcc tttcgtcagt ccgagagagg agaagagaca 600 attgaagaaa ggtttgaaat cacaggaaca atgcgcaagc ttgccgacca aagtctcccg 660 ccgaacttct ccagccttga aaattttaga gcctatgtgg atggattcga accgaacggc 720 tacattgagg gcaagctgtc tcaaatgtcc aaagaagtaa atgctagaat tgaacctttt 780 ttgaaaacaa caccacgacc acttagactt ccgaatgggc ctccctgttc tcagcggtcc 840 aaattcctgc tgatggatgc cttaaaatta agcattgagg acccaagtca tgaaggagag 900 ggaataccgc tatatgatgc aatcaaatgc atgagaacat tctttggatg gaaggaaccc 960 aatgttgtta aaccacacga aaagggaata aatccaaatt atcttctgtc atggaagcaa 1020 gtactggcag aactgcagga cattgagaat gaggagaaaa ttccaaagac taaaaatatg 1080 aagaaaacaa gtcagctaaa gtgggcactt ggtgagaaca tggcaccaga aaaggtagac 1140 tttgacgact gtaaagatgt aggtgatttg aagcaatatg atagtgatga accagaattg 1200 aggtcgcttg caagttggat tcagaatgag tttaacaagg catgcgaact gacagattca 1260 agctggatag agctcgatga gattggagaa gatgtggctc caattgaaca cattgcaagc 1320 atgagaagga attatttcac atcagaggtg tctcactgca gagccacaga atacataatg 1380 aagggggtgt acatcaatac tgccttgctt aatgcatctt gtgcagcaat ggatgatttc 1440 caattaattc caatgataag caagtgtaga actaaggagg gaaggcgaaa gaccaacttg 1500 tatggtttca tcataaaagg aagatcccac ttaaggaatg acaccgacgt ggtaaacttt 1560 gtgagcatgg agttttctct cactgaccca agacttgaac cacataaatg ggagaagtac 1620 tgtgttcttg agataggaga tatgcttata agaagtgcca taggccaggt ttcaaggccc 1680 atgttcttgt atgtgagaac aaatggaacc tcaaaaatta aaatgaaatg gggaatggag 1740 atgaggcgtt gcctcctcca gtcacttcaa caaattgaga gtatgattga agctgagtcc 1800 tctgtcaaag agaaagacat gaccaaagag ttctttgaga acaaatcaga aacatggccc 1860 attggagagt cccccaaagg agtggaggaa agttccattg ggaaggtctg caggacttta 1920 ttagcaaagt cggtattcaa cagcttgtat gcatctccac aactagaagg attttcagct 1980 gaatcaagaa aactgcttct tatcgttcag gctcttaggg acaacctgga acctgggacc 2040 tttgatcttg gggggctata tgaagcaatt gaggagtgcc tgattaatga tccctgggtt 2100 ttgcttaatg cttcttggtt caactccttc cttacacatg cattgagtta gttgtggcag 2160 tgctactatt tgctatccat actgtccaaa aaa 2193 <210> 9 <211> 2300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PB1 gene <400> 9 atggatgtca atccgacctt acttttctta aaagtgccag cacaaaatgc tataagcaca 60 actttccctt atactggaga ccctccttac agccatggga caggaacagg atacaccatg 120 gatactgtca acaggacaca tcagtactca gaaaagggaa gatggacaac aaacaccgaa 180 actggagcac cgcaactcaa cccgattgat gggccactgc cagaagacaa tgaaccaagt 240 ggttatgccc aaacagattg tgtattggag gcgatggctt tccttgagga atcccatcct 300 ggtatttttg aaaactcgtg tattgaaacg atggaggttg ttcagcaaac acgagtagac 360 aagctgacac aaggccgaca gacctatgac tggactctaa atagaaacca acctgctgca 420 acagcattgg ccaacacaat agaagtgttc agatcaaatg gcctcacggc caatgagtct 480 ggaaggctca tagacttcct taaggatgta atggagtcaa tgaacaaaga agaaatgggg 540 atcacaactc attttcagag aaagagacgg gtgagagaca atatgactaa gaaaatgata 600 acacagagaa caatgggtaa aaagaagcag agattgaaca aaaggagtta tctaattaga 660 gcattgaccc tgaacacaat gaccaaagat gctgagagag ggaagctaaa acggagagca 720 attgcaaccc cagggatgca aataaggggg tttgtatact ttgttgagac actggcaagg 780 agtatatgtg agaaacttga acaatcaggg ttgccagttg gaggcaatga gaagaaagca 840 aagttggcaa atgttgtaag gaagatgatg accaattctc aggacaccga actttctttc 900 accatcactg gagataacac caaatggaac gaaaatcaga atcctcggat gtttttggcc 960 atgatcacat atatgaccag aaatcagccc gaatggttca gaaatgttct aagtattgct 1020 ccaataatgt tctcaaacaa aatggcgaga ctgggaaaag ggtatatgtt tgagagcaag 1080 agtatgaaac ttagaactca aatacctgca gaaatgctag caagcatcga tttgaaatat 1140 ttcaatgatt caacaagaaa gaagattgaa aaaatccgac cgctcttaat agaggggact 1200 gcatcattga gccctggaat gatgatgggc atgttcaata tgttaagcac tgtattaggc 1260 gtctccatcc tgaatcttgg acaaaagaga tacaccaaga ctacttactg gtgggatggt 1320 cttcaatcct ctgacgattt tgctctgatt gtgaatgcac ccaatcatga agggattcaa 1380 gccggagtcg acaggtttta tcgaacctgt aagctacttg gaatcaatat gagcaagaaa 1440 aagtcttaca taaacagaac aggtacattt gaattcacaa gttttttcta tcgttatggg 1500 tttgttgcca atttcagcat ggagcttccc agttttgggg tgtctgggat caacgagtca 1560 gcggacatga gtattggagt tactgtcatc aaaaacaata tgataaacaa tgatcttggt 1620 ccagcaacag ctcaaatggc ccttcagttg ttcatcaaag attacaggta cacgtaccga 1680 tgccatagag gtgacacaca aatacaaacc cgaagatcat ttgaaataaa gaaactgtgg 1740 gagcaaaccc gttccaaagc tggactgctg gtctccgacg gaggcccaaa tttatacaac 1800 attagaaatc tccacattcc tgaagtctgc ctaaaatggg aattgatgga tgaggattac 1860 caggggcgtt tatgcaaccc actgaaccca tttgtcagcc ataaagaaat tgaatcaatg 1920 aacaatgcag tgatgatgcc agcacatggt ccagccaaaa acatggagta tgatgctgtt 1980 gcaacaacac actcctggat ccccaaaaga aatcgatcca tcttgaatac aagtcaaaga 2040 ggagtacttg aggatgaaca aatgtaccaa aggtgctgca atttatttga aaaattcttc 2100 cccagcagtt catacagaag accagtcggg atatccagta tggtggaggc tatggtttcc 2160 agagcccgaa ttgatgcacg gattgatttc gaatctggaa ggataaagaa agaagagttc 2220 actgagatca tgaagatctg ttccaccatt gaagagctca gacggcaaaa atagtgaatt 2280 tagcttgtcc ttcatgaaaa 2300 <210> 10 <211> 2280 <212> DNA <213> polynucleotide sequence of A/Puerto Rico/08/34(H1N1) derived PB2 gene <400> 10 atggaaagaa taaaagaact acgaaatcta atgtcgcagt ctcgcacccg cgagatactc 60 acaaaaacca ccgtggacca tatggccata atcaagaagt acacatcagg aagacaggag 120 aagaacccag cacttaggat gaaatggatg atggcaatga aatatccaat tacagcagac 180 aagaggataa cggaaatgat tcctgagaga aatgagcaag gacaaacttt atggagtaaa 240 atgaatgatg ccggatcaga ccgagtgatg gtatcacctc tggctgtgac atggtggaat 300 aggaatggac caataacaaa tacagttcat tatccaaaaa tctacaaaac ttattttgaa 360 agagtcgaaa ggctaaagca tggaaccttt ggccctgtcc attttagaaa ccaagtcaaa 420 atacgtcgga gagttgacat aaatcctggt catgcagatc tcagtgccaa ggaggcacag 480 gatgtaatca tggaagttgt tttccctaac gaagtgggag ccaggatact aacatcggaa 540 tcgcaactaa cgataaccaa agagaagaaa gaagaactcc aggattgcaa aatttctcct 600 ttgatggttg catacatgtt ggagagagaa ctggtccgca aaacgagatt cctcccagtg 660 gctggtggaa caagcagtgt gtacattgaa gtgttgcatt tgactcaagg aacatgctgg 720 gaacagatgt atactccagg aggggaagtg aggaatgatg atgttgatca aagcttgatt 780 attgctgcta ggaacatagt gagaagagct gcagtatcag cagatccact agcatcttta 840 ttggagatgt gccacagcac acagattggt ggaattagga tggtagacat ccttaggcag 900 aacccaacag aagagcaagc cgtggatata tgcaaggctg caatgggact gagaattagc 960 tcatccttca gttttggtgg attcacattt aagagaacaa gcggatcatc agtcaagaga 1020 gaggaagagg tgcttacggg caatcttcaa acattgaaga taagagtgca tgagggatat 1080 gaagagttca caatggttgg gagaagagca acagccatac tcagaaaagc aaccaggaga 1140 ttgattcagc tgatagtgag tgggagagac gaacagtcga ttgccgaagc aataattgtg 1200 gccatggtat tttcacaaga ggattgtatg ataaaagcag tcagaggtga tctgaatttc 1260 gtcaataggg cgaatcaacg attgaatcct atgcatcaac ttttaagaca ttttcagaag 1320 gatgcgaaag tgctttttca aaattgggga gttgaaccta tcgacaatgt gatgggaatg 1380 attgggatat tgcccgacat gactccaagc atcgagatgt caatgagagg agtgagaatc 1440 agcaaaatgg gtgtagatga gtactccagc acggagaggg tagtggtgag cattgaccgt 1500 tttttgagaa tccgggacca acgaggaaat gtactactgt ctcccgagga ggtcagtgaa 1560 acacagggaa cagagaaact gacaataact tactcatcgt caatgatgtg ggagattaat 1620 ggtcctgaat cagtgttggt caatacctat caatggatca tcagaaactg ggaaactgtt 1680 aaaattcagt ggtcccagaa ccctacaatg ctatacaata aaatggaatt tgaaccattt 1740 cagtctttag tacctaaggc cattagaggc caatacagtg ggtttgtaag aactctgttc 1800 caacaaatga gggatgtgct tgggacattt gataccgcac agataataaa acttcttccc 1860 ttcgcagccg ctccaccaaa gcaaagtaga atgcagttct cctcatttac tgtgaatgtg 1920 aggggatcag gaatgagaat acttgtaagg ggcaattctc ctgtattcaa ctataacaag 1980 gccacgaaga gactcacagt tctcggaaag gatgctggca ctttaactga agacccagat 2040 gaaggcacag ctggagtgga gtccgctgtt ctgaggggat tcctcattct gggcaaagaa 2100 gacaagagat atgggccagc actaagcatc aatgaactga gcaaccttgc gaaaggagag 2160 aaggctaatg tgctaattgg gcaaggagac gtggtgttgg taatgaaacg gaaacgggac 2220 tctagcatac ttactgacag ccagacagcg accaaaagaa ttcggatggc catcaattag 2280 2280

Claims (9)

  1. 두 가지 아형(subtype)의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기탁번호: KCTC12567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A/Korea/CJ01/09 (H1N1) 유래의 HA1 및 융합펩티드 유전자 영역과; A/EM/Korea/W150/06 (H5N1) 유래의 HA2 엑토도메인 유전자 영역이 융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메릭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는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헤마글루티닌 유전자 외에 7개의 다른 유전자는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Puerto Rico/08/34 (H1N1)로부터 유래된 7개의 유전자는 서열번호 4 내지 서열번호 10 까지의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바이러스를 약독화시킨 생독 백신 또는 사독 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가 H1N1 혈청형, H5N1혈청형 및 H5N2 혈청형을 가진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모두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9. 제6항의 백신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KR1020140044214A 2014-04-14 2014-04-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Active KR10158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14A KR101582490B1 (ko) 2014-04-14 2014-04-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14A KR101582490B1 (ko) 2014-04-14 2014-04-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400A KR20150118400A (ko) 2015-10-22
KR101582490B1 true KR101582490B1 (ko) 2016-01-19

Family

ID=5442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214A Active KR101582490B1 (ko) 2014-04-14 2014-04-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38B1 (ko) * 2018-06-01 2020-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 적응된 약독화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니버설 독감 백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63A2 (en) 2011-12-02 2013-06-06 Aimm Therapeutics B.V. Influenza a virus specific antibodi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U23576A1 (es) 2006-02-28 2010-09-30 Ct Ingenieria Genetica Biotech Antígenos vacunales quiméricos contra el virus de la influenza aviar
EP1925318A1 (en) * 2006-11-20 2008-05-28 Paul-Ehrlich-Institut Recombinant modified vaccinia virus Ankara (MVA)-based vaccine for the avian flu
EP2072058A1 (en) 2007-12-21 2009-06-24 Avir Green Hills Biotechnology Research Development Trade Ag Modified influenza virus
KR101183251B1 (ko) * 2010-05-31 2012-09-27 대한민국 A/Korea/CJ01/09 및 A/swine/Korea/CAN01/04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돼지 신종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KR101170113B1 (ko) * 2010-05-31 2012-07-3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Korea/CJ01/09 및 A/Puerto Rico/08/34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돼지 신종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63A2 (en) 2011-12-02 2013-06-06 Aimm Therapeutics B.V. Influenza a virus specific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400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dvances i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luenza vaccines
US11180737B2 (en) Generation of infectious influenza viruses from virus-like particles
JP2021036878A (ja) ワクチン開発のための改善されたb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
Tabynov et al. Novel influenza virus vectors expressing Brucella L7/L12 or Omp16 proteins in cattle induced a strong T-cell immune response, as well as high protectiveness against B. abortus infection
JP2021536228A (ja) ヘマグルチニン(ha)タンパク質内の非ドミナントエピトープに対する免疫応答を誘起するためのベクター
JP6875274B6 (ja) ピチンデウイルスのリバースジェネティクス系及び使用方法
KR102027758B1 (ko) 약독화된 돼지 인플루엔자 백신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17529084A5 (ko)
AU2016308917A1 (en) Live-attenuated vaccine having mutations in viral polymeras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ine influenza virus
KR101835989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 h3 및 h7 에 대한 다중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Choi et al. Development of a dual-protective live attenuated vaccine against H5N1 and H9N2 avian influenza viruses by modifying the NS1 gene
US2023035574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infections
KR101908905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9 및 h5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KR101582490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다중 아형에 대한 교차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바이러스 백신
US20090191158A1 (en) Defective interfering virus
KR101855006B1 (ko)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US10272149B2 (en) Modified bat influenza viruses and their uses
KR102370100B1 (ko) 이종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치료반응을 형성하는 신규한 재조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 및 치료백신
US12090199B2 (en) H5N6 recombinant influenza virus, a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vaccin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11214799B2 (en) HA-specific influenza virus attenuated vaccine comprising mutations in segment 7, and uses therefor
US20230321215A1 (en) Avian influenza vaccin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443983B1 (ko) Mdck 세포 특이적으로 증식성이 향상된 다중 돌연변이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