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686B1 -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1686B1 KR101581686B1 KR1020150015148A KR20150015148A KR101581686B1 KR 101581686 B1 KR101581686 B1 KR 101581686B1 KR 1020150015148 A KR1020150015148 A KR 1020150015148A KR 20150015148 A KR20150015148 A KR 20150015148A KR 101581686 B1 KR101581686 B1 KR 101581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eam focusing
- unit
- multiplexer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3—Tomography
- A61B8/14—Echo-tomograph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은 하나의 칩 혹은 IP로 구현하여 제품 개발에 적용할 경우, 다양한 제품군에서 동일한 빔집속 구조를 가지면서도 서로 다른 빔 집속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곧 응용분야를 확장하여 제품의 다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신생 업체는 다양한 제품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기존 업체는 출시되었던 제품의 빔집속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제품을 다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수 지연 빔 집속기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위상변환 빔 집속기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신호 빔 집속기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빔 집속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가변 필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보간 빔 집속 구조에서의 가변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분수지연 빔 집속 구조에서의 가변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9는 위상변환 빔 집속 구조에서의 가변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분석신호 빔 집속 구조에서의 가변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빔 집속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300: 메모리부 1400: 지연계산부
1500: 가변필터부
Claims (16)
- 집속점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배열 변환자가 갖는 중심 주파수의 N(상기 N은 자연수이다.)배의 표본화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신호를 표본화하는 표본화부;
상기 표본화부에서 표본화된 초음파 신호에 가변 가능한 계수를 곱하는 가변곱셈부;
상기 가변곱셈부로부터 출력된 초음파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초음파 신호들 중에서 빔 집속을 수행하고자 하는 초음파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시간 지연값을 계산하는 지연계산부;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 중 빔 집속을 수행하고자 하는 초음파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초음파 신호에 대하여 상기 시간 지연값 및 기설정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가변필터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필터부는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 방법이 변화함에 따라 내부 구성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필터부는
두 개의 데이터 경로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어, 초음파 신호의 동상(Inphase)성분 및 직교(Quadrature)성분을 각각 나누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필터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 연산을 수행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 중 하나의 초음파 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부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초음파 신호에 대하여 필터 연산, 위상 변환 및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제 2 필터부;를 각각 포함하여,
제1 데이터 경로 및 제2 데이터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의 데이터율을 기설정된 상향 표본화 인수 배로 증가시키는 상향 표본화부;
상기 상향 표본화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기설정된 탭 수에 해당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신호마다 기설정된 필터 계수를 곱하는 복수 개의 곱셈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곱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합산하는 복수 개의 가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부는
상기 제 1 필터부 내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마지막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1 필터부의 복수 개의 가산기 중 마지막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 1 필터부 내 복수 개의 가산기 중 마지막 가산기의 출력 신호와, 접지 신호를 입력 받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2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멀티플렉서부 내 제 1 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 신호의 데이터율을 기설정된 하향 표본화 인수 배로 감소시켜 출력하는 하향 표본화부;
상기 하향 표본화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내 제2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 및 다른 데이터 경로 내 제 2 필터부에 포함된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3 멀티플렉서;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3 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마다 각각 기설정된 필터 계수를 곱하는 복수 개의 곱셈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곱셈기로부터 각각 출력된 신호들을 합산하는 복수 개의 가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보간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터부는
입력받은 초음파 신호에 대하여 보간 필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보간 빔 집속 방법, 분수 지연 빔 집속 방법 및 분석 신호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부는
상기 제 1 필터부의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마지막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 1 필터부의 복수 개의 가산기 중 마지막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2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보간 빔 집속 방법, 분수 지연 빔 집속 방법 및 분석 신호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필터부는
하향 표본화 인수를 1로 설정하여 상기 멀티플렉서부로부터 선택된 신호의 데이터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하향 표본화부;
상기 하향 표본화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내 마지막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3 멀티플렉서;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3 멀티플렉서의 출력 신호에 각각 기설정된 필터 계수를 곱하는 복수 개의 곱셈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곱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합산하는 복수 개의 가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분수 지연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터부는
분수 지연 필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분수 지연 빔 집속 방법, 위상 변환 빔 집속 방법 및 분석 신호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필터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고, 상향 표본화 인수를 1로 설정하여 입력받은 초음파 신호의 데이터율을 증가시키지 않는 상향 표본화부;
상기 상향 표본화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기설정된 탭 수에 해당하도록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마다 각각 기설정된 필터 계수를 곱하는 복수 개의 곱셈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곱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합산하는 복수 개의 가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위상 변환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가변필터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안티 엘리어싱 필터(Anti-aliasing filter)를 수행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복수 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
상기 멀티플렉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하향 표본화 및 위상변환을 수행하는 제 2 필터부;
를 각각 포함하여, 제1 데이터 경로 및 제2 데이터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위상 변환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부는
상기 제 1 필터부의 복수 개의 가산기 중 마지막 가산기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멀티플렉서; 및
접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멀티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위상 변환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2 필터부는
상기 멀티플렉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고, 하향 표본화 인수를 설정하여 입력받은 신호의 데이터율을 감소시키는 하향 표본화부;
상기 하향 표본화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고,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지스터;
다른 데이터 경로 내 제 2 필터부의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 3 멀티플렉서;
상기 제1 데이터 경로 내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 3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각각 와 를 곱하며, 상기 제2 데이터 경로 내 상기 복수 개의 레지스터 중 제1 레지스터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제 3 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각각 와 를 곱하여 위상변환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곱셈기; 및
상기 복수 개의 곱셈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합산하는 복수 개의 가산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분석 신호 빔 집속 방법을 이용하여 초음파 신호의 빔 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가변필터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복수 개의 초음파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초음파 신호에 대하여 L배 상향 표본화 및 직교 대역 필터(Qaudrature bandpass filter)연산을 수행하는 제 1 필터부;
상기 제 1 필터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 및
상기 멀티플렉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직교 대역 필터 연산을 연장하여 수행하는 제 2 필터부;
를 각각 포함하며, 필터 계수를 조정하여 초음파 신호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데이터율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148A KR101581686B1 (ko) | 2015-01-30 | 2015-01-30 |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148A KR101581686B1 (ko) | 2015-01-30 | 2015-01-30 |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1686B1 true KR101581686B1 (ko) | 2015-12-31 |
Family
ID=5512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148A Active KR101581686B1 (ko) | 2015-01-30 | 2015-01-30 |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16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8012A1 (ko) * | 2017-11-30 | 2019-06-06 |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 신호를 위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빔 집속장치 및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287A (ko) * | 2001-09-05 | 2003-03-15 | 주식회사 메디슨 | 다단계 구조의 펄스 압축기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형성 장치 |
KR101118515B1 (ko) * | 2009-08-27 | 2012-03-12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 신호 빔포머 및 이를 이용한 빔포밍 방법 |
KR20130014822A (ko) * | 2011-08-01 | 2013-02-12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적응 수신 빔 집속 장치 및 방법 |
KR20130047449A (ko) * | 2011-10-31 | 2013-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샘플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프로브, 수신 빔포밍 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 |
KR20130124210A (ko) | 2012-05-03 | 2013-11-13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5148A patent/KR1015816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1287A (ko) * | 2001-09-05 | 2003-03-15 | 주식회사 메디슨 | 다단계 구조의 펄스 압축기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형성 장치 |
KR101118515B1 (ko) * | 2009-08-27 | 2012-03-12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 신호 빔포머 및 이를 이용한 빔포밍 방법 |
KR20130014822A (ko) * | 2011-08-01 | 2013-02-12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적응 수신 빔 집속 장치 및 방법 |
KR20130047449A (ko) * | 2011-10-31 | 2013-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샘플링 방법, 이를 수행하는 장치, 프로브, 수신 빔포밍 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 |
KR20130124210A (ko) | 2012-05-03 | 2013-11-13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수신 빔포밍을 수행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8012A1 (ko) * | 2017-11-30 | 2019-06-06 |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 신호를 위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빔 집속장치 및 방법 |
KR20190064070A (ko) * | 2017-11-30 | 2019-06-1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 신호를 위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빔 집속장치 및 방법 |
KR102087266B1 (ko) | 2017-11-30 | 2020-03-1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 신호를 위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빔 집속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00472A1 (en) | Ultrasonic imaging compression methods and apparatus | |
US7508737B1 (en) | Ultrasound receive beamformer | |
US7744536B2 (en) | Multi stage beamforming | |
US7583214B2 (en) | Dynamic receive beamformer with oversampling for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 |
KR101118515B1 (ko) | 초음파 신호 빔포머 및 이를 이용한 빔포밍 방법 | |
DE19756024A1 (de)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chaffung dynamisch veränderlicher Zeitverzögerungen für einen Ultraschall-Strahlformer | |
JPH0751266A (ja) | ディジタルフェイズドアレイ型の超音波ビーム形成器のための遅延補間回路 | |
DE69535537T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igitalen mehrkanalempfang und zur diagnose mittels ultraschall | |
KR20080056068A (ko) | 후치필터링을 이용한 분수지연 필터 기반의 빔집속 장치 및 방법 | |
KR101581686B1 (ko) | 다목적 빔 집속 시스템 | |
KR101646626B1 (ko) | 후치 기반 위상 회전을 수행하는 빔 집속기 및 빔 집속 방법 | |
KR101646627B1 (ko) | 진폭 에러 보상을 위한 위상 회전 빔 집속기 및 빔 집속 방법 | |
KR101334381B1 (ko) | 위상 회전 빔포머를 이용한 합성 구경 빔집속 시스템 | |
KR100886932B1 (ko) | 단일 보간기를 이용한 다채널 빔집속장치 및 방법 | |
US20140350406A1 (en) | Dynamic Operation for Subarrays i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 |
Tomov et al. | Scalable intersample interpolation architecture for high-channel-count beamformers | |
KR20190141473A (ko) | 캐비테이션 모니터링 빔포머 및 빔포밍 방법 | |
JPH09230043A (ja) | 超音波装置および超音波装置用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