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81564B1 -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 Google Patents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564B1
KR101581564B1 KR1020140080230A KR20140080230A KR101581564B1 KR 101581564 B1 KR101581564 B1 KR 101581564B1 KR 1020140080230 A KR1020140080230 A KR 1020140080230A KR 20140080230 A KR20140080230 A KR 20140080230A KR 101581564 B1 KR101581564 B1 KR 10158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opening
receiving
plat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연
장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5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1/00Heating of coke ovens with combustible gases
    • C10B21/10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1/00Heating of coke ovens with combustible gases
    • C10B21/10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 C10B21/16Regulating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by controlling or varying the openings between the heating flues and the regenerator f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는 오리피스(orifice)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오리피스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 수용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및 수용부에 형성되어 오리피스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에 수용부에 대한 오리피스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ORIFICE}
본 발명은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코크스는 코크스오븐(Coke Oven)에서 제조된다.
코크스오븐은 연소가스가 연소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실 및 장입된 석탄이 코크스가 되는 탄화실을 포함하는데,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탄화실의 석탄을 소정시간 동안 건류시켜 코크스를 제조하는 것이다.
코크스오븐에서 탄화실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소실에서 코크스오븐 가스(Coke Oven Gas) 등으로 이루어진 연소가스는 유입되는 산소와 함께 연소되고, 그 결과 생성된 배기가스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연소가스의 공급은 차단되고 20분 또는 30분의 리버설 타임(Reversal Time) 후에 연소가스의 공급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연소가스의 공급을 차단한 후 재개하는 연소가스의 교환과정을 리버싱(Reversing) 과정이라고 한다.
이러한 리버싱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리버싱 장치는 가스공급통로를 개폐시키는 리버싱 코크 밸브(Reversing Cock Valve)를 포함한다.
리버싱 코크 밸브의 상부에는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오리피스(Orifice)가 수용되는 오리피스 박스(Orifice Box)가 존재한다.
오리피스는 연소가스의 통로가 되는 개구를 가지고 있어 개구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연소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현재는 리버설 타임 내에 오리피스 박스로부터 오리피스를 분리하고, 바닥에서 스틸자 등을 이용해 오리피스 개구의 면적을 조절한 후 다시 오리피스를 오리피스 박스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바닥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자는 바닥에 쪼그릴 수 밖에 없어 요통 등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짧은 리버설 타임 내에 스틸자 등을 이용하여 개구의 면적을 조절해야 하므로 정확하게 개구의 면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0176호(2003.04.18, 코크스오븐용 리버싱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오리피스 개구 면적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리피스(orifice)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오리피스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 수용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및 수용부에 형성되어 오리피스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에 수용부에 대한 오리피스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3개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에 접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3개 이상의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지면에 대한 수용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지지부는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는 개구를 가지는 개구판, 개구판과의 중첩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 및 개구판과 조절판을 체결시키도록 개구판과 조절판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부는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에 체결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는 개구의 면적을 조절시 개구판의 개구에 배치되어 조절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블록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리피스 개구 면적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오리피스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수용되는 오리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의 수용홈에 오리피스의 체결부가 수용되는 모습을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의해 오리피스의 개구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의 수용부 및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오리피스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수용되는 오리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의 수용홈에 오리피스의 체결부가 수용되는 모습을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에 의해 오리피스의 개구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1000)는 수용부(100), 지지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하고, 블록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오리피스(Orifice, 500)의 개구(511) 면적을 조절하도록 오리피스(500)를 수용할 수 있는 부재이다. 즉, 오리피스(500)를 수용하여 오리피스(500)의 개구(511) 면적을 조절하는 작업(이하,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라고 한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오리피스(500)는 코크스 오븐(Coke Oven)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소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면적이 조절 가능한 개구(511)를 가질 수 있고, 오리피스 박스(Orifice box)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 박스는 리버싱 코크 밸브(Reversing Cock Valve)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연소실의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리버설 타임(Reversal Time) 동안 오리피스(500)는 오리피스 박스로부터 분리되어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00)에 수용된 상태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오리피스(500)의 개구(511)가 오리피스 박스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면 오리피스(500)의 크기나 형태에는 아무런 제한이 될 수 없으나, 오리피스 박스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판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00)도 오리피스(500)를 수용할 수 있다면 그 외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즉, 오리피스(500)의 외형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수용부(100)는 오리피스(500)를 수용할 수 있다면 오리피스(5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그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에 작업자가 조절한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가진 상태로 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면, 미 작업 시에 지면과 수용부(100)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즉, 수용부(100)는 회전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고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에만 원하는 지면과의 각도를 가지고 움직임이 제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수용부(100)가 후술할 지지부(20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에만 후술할 지지부(200)에 설치되도록 지지부(200)에서 분리가 가능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수용부(100)의 재질도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 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재,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수용부(1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다. 즉, 수용부(100)가 지면과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200)가 수용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수용부(1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 형태, 재질 및 길이에는 제한이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의 형태가 아니라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또한 단면이 중공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지지부(200)는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용부(100)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지지하므로, 작업자가 바닥에 쪼그리지 않고 서 있는 상태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을 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수용부(100)에 형성되어 오리피스(500)가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경우에 수용부(100)에 대한 오리피스(500)의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오리피스(500)를 수용부(100)에 반복적으로 수용함에 있어, 오리피스(500)가 수용부(100)의 일정한 면적 내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5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오리피스(500)를 수용부(100)에 수용할 때 마다 수용부(100)에서 오리피스(500)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가이드가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00)의 위치는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 수용부(100) 및 지지부(200)에 부가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1000)는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에 쪼그린 상태에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요통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0)에 의해 오리피스(500)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고,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작업자가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제한적인 리버설 타임 내에 보다 빠르게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오리피스(500)가 수용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3개 이상의 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0)는 오리피스(500)의 평면상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에는 수용 시 오리피스(500)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수용면에 수용된 이후의 오리피스(500)의 움직임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수용 시 돌기(310)에 의해 오리피스(500)가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수용 면적에 보다 정확하게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리피스(500)가 수용부(100)의 수용면에 수용된 이후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에도 돌기(310)에 의해 오리피스(500)의 수용면에 대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돌기(310)는 수용부(100)의 오리피스(500) 수용면 상에서 움직임이 가능한 돌기(310)일 수 있으나, 오리피스(500)의 크기가 모두 같은 경우에는 수용면에 고정되게 형성된 돌출 돌기(310)일 수 있다.
돌기(310)가 3개 미만인 경우에는 수용면에서 오리피스(500)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못하므로 3개 이상의 돌기(310)임이 바람직하다. 돌기(310)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310)는 오리피스(500)의 폭 방향(도 4의 b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리피스(500)의 길이 방향(도 4의 a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오리피스(500)의 수용면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면, 그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오리피스(500)를 수용부(100)에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 수용면에 대한 오리피스(5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00)는 지면에 대한 상기 수용부(10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지지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용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2 이상의 파이프 등이 암수 결합을 통해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2 이상의 파이프가 지지부(200)를 이루고 이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을 가지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용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지지부(2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수용부(100)에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변경되더라도 작업자도 편안한 자세에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부(200)가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이동바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200)가 이동 가능함에 따라 지면의 일정한 위치에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수 회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각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별로 다른 위치에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바퀴(210)는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2 개인 경우에는 지지부(200)가 수용부(10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3개 이상의 이동바퀴(210)가 지지부(200)의 하부 및 지면과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바퀴(210)는 이동바퀴(21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지지부(200)와 수용부(1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오리피스(500)는 개구(511)를 가지는 개구판(510), 개구판(510)과의 중첩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개구(511)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520) 및 개구판(510)과 조절판(520)을 체결시키도록 개구판(510)과 조절판(520)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용부(100)는 오리피스(500)가 수용되는 면에 체결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500)는 연소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개구(511)를 가지는 개구판(510), 조절판(520) 및 체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판(520)은 개구판(510)의 개구(511)와 중첩되어 개구판(510)의 개구(511)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체결부는 조절판(520) 및 개구판(510)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해 조절판(520)과 개구판(510)을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는 체결볼트(531) 및 체결너트(5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00)의 수용홈(110)은 오리피스(500)의 체결부가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오리피스(500)가 높이 편차를 가지지 않고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체결볼트(531) 길이는 조절판(520) 및 개구판(51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클 수 있는데 이 경우, 오리피스(500)는 수용부(100)에 높이 편차를 가지고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00)에 형성된 수용홈(110)은 체결부를 수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100)의 수용홈(110)은 체결부의 형태 및 가이드부(300)의 위치에 의해 그 길이 및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은 체결너트(532) 크기에 해당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홈(110)의 길이는 체결부에서 개구판(510)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1000)는 오리피스(500)를 수용부(100)에 수용함에 있어, 높이 편차를 가지지 않고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1000)는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 시 개구판(510)의 개구(511)에 배치되어 조절판(5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블록게이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게이지부(40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게이지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소실의 온도는 연소실에 공급되는 연소 가스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연소실에 공급되는 연소 가스의 양은 오리피스(500)의 개구(511)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목표하는 연소실의 온도에 따라 연소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오리피스(500)의 개구(511) 면적을 미리 계산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최초 오리피스(500)의 개구(511) 면적은 a1*b 이고, 목표하는 연소실의 온도에 의해 계산된 오리피스(500)의 개구(511) 면적이 a2*b 라고 하면, 개구(511)의 가로 길이 b는 고정된 값이므로 개구(511)의 세로 길이만을 a1에서 a2로 변경시켜 목표하는 개구(511) 면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때, a2 길이를 가지는 게이지블록을 오리피스(500)의 개구(511)에 배치시키고 조절판(520)의 변위를 조절하여, 개구(511)의 세로 길이를 a2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개구(511)에 배치된 게이지블록에 의해 조절판(520)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개구(511)의 세로 길이가 a2보다 짧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정확하게 개구(511)의 세로 길이를 a2로 변경할 수 있다.
개구(511) 면적 마다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다수의 게이지블록을 미리 준비하고, 조절하고자 하는 개구(511) 면적에 대응하는 게이지블록을 이용하여 개구(511) 면적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2000)의 수용부(100) 및 가이드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2000)에서 가이드부(300)는 오리피스(500)가 수용되는 면에 접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3개 이상의 경첩(32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첩(3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오리피스(500)를 수용부(100)에 수용한 후, 경첩(320)을 접음으로써 오리피스(500)의 평면상 움직임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지지대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오리피스(500)의 수직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오리피스(500) 조절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2000)에서 개시되는 각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1000)에서 전술하였기 때문에,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수용부
110: 수용홈
200: 지지부
210: 이동바퀴
300: 가이드부
310: 돌기
320: 경첩
400: 블록게이지부
500: 오리피스
510: 개구판
511: 개구
520: 조절판
531: 체결볼트
532: 체결너트
1000, 2000: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Claims (7)

  1. 오리피스(orifice)의 개구 면적을 조절하도록 상기 오리피스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
    상기 수용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수용부에 대한 상기 오리피스의 배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지부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대한 상기 수용부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파이프가 암수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가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3개 이상의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에 접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3개 이상의 경첩
    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개구를 가지는 개구판,
    상기 개구판과의 중첩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개구의 면적을 조절하는 조절판 및
    상기 개구판과 상기 조절판을 체결시키도록 상기 개구판과 상기 조절판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오리피스가 수용되는 면에 상기 체결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면적을 조절시 상기 개구판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조절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블록게이지부;
    를 더 포함하는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KR1020140080230A 2014-06-27 2014-06-27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30A KR101581564B1 (ko) 2014-06-27 2014-06-27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30A KR101581564B1 (ko) 2014-06-27 2014-06-27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564B1 true KR101581564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2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64B1 (ko) 2014-06-27 2014-06-27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5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333U (ko) * 1991-12-27 1993-07-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코크스로의 연료가스 연소용 공기조절장치
KR20030010156A (ko) *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노즐 플레이트의 가스 및 에어 조절장치
KR20030030176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용 리버싱장치
KR20120031395A (ko) * 2010-09-24 2012-04-03 신일테크(주) 가스 유량 조절용 세라믹 노즐 플레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4333U (ko) * 1991-12-27 1993-07-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코크스로의 연료가스 연소용 공기조절장치
KR20030010156A (ko) *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노즐 플레이트의 가스 및 에어 조절장치
KR20030030176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용 리버싱장치
KR20120031395A (ko) * 2010-09-24 2012-04-03 신일테크(주) 가스 유량 조절용 세라믹 노즐 플레이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588B1 (ko)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US9739019B1 (en) Bridge paving device
CN101389444A (zh) 重量平衡器和管道结合方法
KR101581564B1 (ko) 오리피스 조절용 장치
CN110167395A (zh) 改进的用于家具调平脚的前调节系统
JP2017523566A5 (ja) イオン源の温度制御装置
KR100883316B1 (ko) 절단장치
DE102011054018A1 (de) Heizungssystem
KR20200033683A (ko) 용접변형 교정 지그
KR20150060461A (ko) 판유리의 곡면 성형 장치 및 곡면 성형 방법
US20160377346A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140060069A (ko) 선박의 기관실 정비를 위한 이동식 운반장치와 그 운반방법
EP3108062A1 (en) Machine for realizing pavements
US20170113431A1 (en) Ultra-high speed transfer robot for ultra-high speed hybrid press
KR102004234B1 (ko) 모빌랙용 자동수평조절식 대차어셈블리
JP6767784B2 (ja) 連続熱処理炉
KR20170043860A (ko) 고정식 플랫폼 웰헤드 모듈의 파이프랙 구조
US9238280B2 (en) Dual shift unit for welder
JP6992405B2 (ja) コークス炉の炉体炉締構造及びコークス炉の構築方法
KR101767772B1 (ko) 슬래브용 보온 장치
JP6951500B2 (ja) 連続熱処理炉
KR102547187B1 (ko) 갠트리 스테이지장치
EP0908562B1 (en) A finishing machine for laying bituminous aggregates equipped with an improved expandable screed
KR20140016590A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KR20180046073A (ko) 선박의 블록 내부재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