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9766B1 -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766B1
KR101579766B1 KR1020137023153A KR20137023153A KR101579766B1 KR 101579766 B1 KR101579766 B1 KR 101579766B1 KR 1020137023153 A KR1020137023153 A KR 1020137023153A KR 20137023153 A KR20137023153 A KR 20137023153A KR 101579766 B1 KR101579766 B1 KR 10157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medium
salt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425A (ko
Inventor
시동 리우
자오리 장
이 첸
시우셩 왕
량량 지호우
샤오밍 지
Original Assignee
샹하이 테크웰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샹하이 테크웰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샹하이 테크웰 바이오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2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having a known sequence of two or more amino acids, e.g. glutathi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50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7/54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50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7/54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 C07K7/56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the cyclisation not occurring through 2,4-diamino-butano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난용성 유기질소원, 탄소원인 당알코올 함유한 배지에서 균주Coleophoma empetri F-11899( FERM BP2635 ) 또는 그의 돌연변이 균주를 배양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얻는 화학식 Ⅰ로 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CYCLIC LIPOPEPTIDE COMPOUND}
본 발명은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생물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생물의 발효를 통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균감염은 이미 면역결핍 환자의 발병률 및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되고 있다. 지나간 20년간 곰팡이균의 발병률도 현저히 제고되었다. 진균감염의 주요한 발병 대상은 중환자, 외과환자 및 HIV 감염, 백혈병 및 기타 종양 질병 환자이다. 인체기관 이식 환자 역시 진균감염의 위험 대상으로 되고 있다.
에치노칸딘(Echinocandins)은 일종의 신규 항진균 물질이며, 칸디다균 또는 누룩곰팡이에 의한 감염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약물에는 또한 카스포푼진 및 미카스포푼진 등이 있다. 에치노칸딘계 약물은 1,3-β 글리코시드 결합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통해 진균을 억제하여 인체에 대한 손상을 진일보 막아준다. 효과적인 동시에 부작용도 감소시켜 사용과정에 있어서 전통적인 항진균약물에 비해 더 안전하다.
FK463(미카스포푼진)은 화학식 Ⅲ로 표시된 화합물이며, 효소를 이용하여, 전구체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 FR901379(M0)의 측쇄를 자르는 방법을 통해 화학식 Ⅱ의 화합물 FR179642를 얻은 후, 다시 화학적 수식을 통해 얻는다. 즉, 고 순도의 미카스포푼진을 얻기 위하여 순도가 높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얻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는 줄곧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며, 사람들이 원가가 낮고 생산율이 높은 배지를 제조하려고 노력을 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약했다. 그리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난이도가 증가하고 원가가 높아 FK463가 장기적으로 비교적 고가였다. 이로써 사람들은 저렴하고 고효율적으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절박히 요구하였다.
일본 등택약품공업주식회사(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는 Improvement of FR901379 production by mutant selection and medium optimization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7No.5,530-534,2009)중 가용성 전분으로 옥수수 전분을 대체하여 멸균 후 배지의 점도를 낮추고 황산염과 인산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에서의 pH를 조절하여 A-3배지를 얻었다. 그후, 이 회사에서는 또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 A-3배지를 진일보 개선하여 A-3배지에 비교적 높은 농도의 황산암모늄을 첨가하여 점도를 진일보 저하시켰으며, 옥수수 침지액으로 면실박을 대체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지A-4를 얻었다.
그러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산량을 더 제고시켜야 하며, 상기 배지의 점도는 여전히 매우 높으며, 발효과정에서 균체의 생장이 구형을 이루어 발효과정에서의 용존 산소의 컨트롤과 후속의 여과 조작에 불리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창조성적인 사고와 대량의 실험을 통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배지를 찾았으며, 상기 배지로 발효시킬 경우 점도가 낮고 용존 산소를 쉽게 컨트롤 할 수 있으며 균사체가 구형으로 생장하지 않는다.
[화학식 Ⅰ]
Figure 112013079824222-pct00001
(화학식 Ⅰ의 화합물)
[화학식 Ⅱ]
Figure 112013079824222-pct00002
[화학식 Ⅲ]
Figure 112013079824222-pct00003
(미카스포푼진)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 생산균에 대한 화학식 Ⅰ의 화합물 고생산량 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자는 진탕 플라스크 실험 중, 우선 소분자의 유기물을 선택하여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지의 점도를 대폭 감소시켰으며, 최적화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탄소원 물질의 종류 및 함량을 확정하였다. 전구체 물질로 사용가능한 관점으로부터 보아, 발명자는 각종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을 첨가하는 방법을 통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산량을 제고시켰으며, 최적화를 통해 본 발명의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종류 및 함량을 확정하였다. 그외 배지에 효모 추출물과 각종 미량 금속이온을 첨가하여 균체 생장에 필요한 미량원소와 생장인자를 제공하였다. 배지에 대한 상기 개선을 통해 균주는 진탕 플라스크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능력이 대폭 증가되었으며, 발효액의 점도가 매우 낮고 균체도 쉽게 여과가 가능하였다.
발명자가 상기 배지를 50L로 증가시키자 균체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였으며, 균의 양이 비교적 적고 쉽게 구형을 이루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생산량도 비교적 낮았다. 발명자는 접종량, 용존 산소, 교반 전단응력 등 원인을 배제한 후, 난용성 유기질소원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하였다. 또한 진일보의 최적화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유기질소원의 종류 및 그 함량을 확정하였다.
배지에 대한 상기 개선을 통해, 균주는 50L 체계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능력이 대폭 제고되었으며, 발효액의 점도가 매우 낮고 균체도 아주 쉽게 여과 되었다. 발명자는 진일보 상기 배양지를 3000L로 확대시켰으며 그 결과는 50L인 경우와 상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균종은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및 돌연변이를 거쳐 선별한 균주이다. 예하며, 중국 특허 CN201010587865.4에 기재된 돌연변이 선별 균주이며, 기탁 번호는 CGMCC 4129이다.
발명자는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를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상기 배지가 후속의 여러개 돌연변이 균주에도 적용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배지에는 하기 기질이 꼭 포함된다.
(1)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2) 난용성 유기질소원
(3) 당알코올
상기 배지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 함유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아미노산은 글루타민산, 프롤린, 오르니틴, 트레오닌 또는 그의 염 중의 1종 및 1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글루타민산, 프롤린이다. 배지 중 농도가 0.5 내지 5.0wt%인 경우 효과가 특별히 양호하다.
상기 배지에는 일부분의 난용성 유기질소원이 필요하며, 상기 유기질소원은 대두박, 대두분리단백, 땅콩분말, 면실박, 대두케이크 중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면실박, 대두박, 땅콩분말 등 과립성 난용성 유기질소원이다. 배지 중 농도가 0.5 내지 3.0wt%인 경우에 특별히 양호하다.
상기배지에는 탄소원으로 당알코올이 필요하며, 상기 당알코올은 글리세린(글리세롤),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리비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만니톨 및 갈락티톨 중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 만니톨 및 갈락티톨 등 헥시톨이다. 배지 중 농도가 1.0 내지 10.0wt%일 경우, 효과가 특별히 양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농도가 2.0 내지 8.0wt%이다.
본 발명의 배지에는 효모추출물, 마그네슘염, 황산염 및 기타 미량원소 등 일정한 양의 기타 기질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균 배양과정에서 당알코올과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을 추가 첨가하였다.
그중, 당알코올과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을 추가 첨가하는 시간은 배양 40 내지 80시간 사이이다. 추가하는 당알코올의 양은 매일 0.5% 내지 3%이며, 추가하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양은 매일 0.1% 내지 1%이며, 초기 배양액의 체적에 따라 계산된다. 구체적은 추가시간과 양은 초기 배지 중 당알코올 및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함량에 근거하여 확정한다. 초기 배지 중의 함량이 높으면, 추가 시간을 적당히 지연시키고, 추가 양을 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초기 배지 중의 함량이 낮으면, 추가 양의 시간을 적당히 앞당기며, 추가 양을 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 과정에서 사용하는 종자 배지 및 부분적 공정변수는 문헌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 종자 배지 방법 및 발효 공정 변수를 참고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하기와 같다.
1.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 역가를 대폭적으로 제고시킨 배지를 제공하였으며, 상기 배지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 역가가 제고되어, 추출 및 후속 처리 과정에서 유기용제의 사용량을 감소시켰으며, 환경에 대한 파괴를 감소시켰다.
2. 본 발명에서는 발효 점도를 대폭 감소시키고, 균체 생장 형태를 개선시킨 배지를 제공하였으며, 상기 배지는 점도를 감소시키고 균체의 생장형태를 개선시켜 발효 과정에서의 용존 산소를 쉽게 컨트롤할 수 있으며, 발효 후의 균체를 쉽게 여과할 수 있어 에너지소모와 생산 원가를 감소시켰다.
3.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 생산량을 대폭 제고시켜 화학식 Ⅰ의 화합물 및 후속적인 화학식 Ⅱ의 화합물 및 화학식 Ⅲ의 화합물의 생산 원가를 절감시켰으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산업화 생산 및 화학식 Ⅲ의 화합물의 보급에 더 유리하다.
본 발명자는 넓고 깊은 연구를 거쳐, 전통적인 발효배지를 최적화시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발효하는데 적합한 배지를 얻었으며, 상기 발효 배지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화학식 Ⅰ로 표시된 화합물" 또는 "화학식 Ⅰ 화합물"은 교환 사용가능하며, 모두 하기 구조식을 가진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가리킨다.
[화학식 Ⅰ]
Figure 112013079824222-pct00004
식 중, R은 H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을 형성가능한 양이온이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바람직하게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염기와 형성된 염(트리메틸 아민염, 트리에틸 아민염, 피리디늄염, 메틸피리디늄염, 디사이클로헥실 암모늄염, N, N'-디벤질에틸렌디아민염 등), 유기산 부가염(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말레인산염, 주석산염, 메틸술포산염, 벤젠술폰산염, 토실레이트 등) 무기산 부가염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 수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 아미노산(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 형성된 염 등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균종은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및 돌연변이를 거쳐 선별된 균주이다. 예하면, 중국 특허 CN201010587865.4에 기재된 돌연변이 선별 균주이며 기탁 번호는 CGMCC 4129이다.
본 발명의 생산방법은 돌연변이 선별 균주와 발효조건이 부동한 외에,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추출, 정제공정 등 기타 조건은 기존에 보도된 기술 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조건에는 상기 필수적인 영양원소인 아미노산, 난용성 유기질소원, 당알코올 외에 효모추출물, 마그네슘염, 황산염 및 기타 미량원소 등이 포함된다. pH 5.5 내지 6.5(바람직하게 pH 5.7 내지 6.2) 및 20℃ 내지 30℃(바람직하게 23℃ 내지 28℃)의 조건 하에서 발효시킨다.
일부 바람직한 배지는 하기와 같다.
사면배지는 감자 포도당 한천배지(PDA)를 사용하며, 그 조성은 감자 30%,포도당 2%,한천 1.5%이다.
종자액 배지는 문헌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의 배합법을 이용하며, 그 조성은 자당 1%,면화박 2%,건조 효모 1%, 펩톤 1%,KH2PO4 0.2%,CaCO3 0.2%, 소포제 0.05%이다.
발효배지(비교예에서)는 문헌(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 중의 배합법을 이용하여, 그 조성은 가용성 전분 12%,미강유 3%, 옥수수 침지액 4%,(NH4)2SO4 1%,KH2PO4 0.5%,MgSO4·7H2O 0.2%,Adekanol LG-109 0.05%이다.
본 발명의 발효배지 조성은 하기와 같다. 즉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바람직하게 글루타민산나트륨, 프롤린) 0.5 내지 5.0wt%, 난용성 유기질소원(바람직하게, 대두케이크, 면화박, 땅콩분말) 0.5 내지 3.0wt%, 당알코올(바람직하게, 소르비톨, 만니톨 및 갈락티톨) 2.0 내지 8.0wt%,(NH4)2SO4 0.1 내지 1.0% , KH2PO4 0.1 내지 0.5wt%, MgSO4·7H2O 0.02 내지 0.2wt%, 미량원소 1.0 내지 2.0wt%,소포제 0.05wt%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바람직한 화학식 Ⅰ 화합물의 발효과정은 하기와 같다.
균주Coleophoma empetri F-11899( FERM BP2635 ) 또는 돌연변이 균주CGMCC 4129를 25℃의 사면배지에서 6 내지 10일 배양하여 성숙시킨 후, 성숙 된 균사체 또는 포자를 선택하여 종자배지에 접종시킨 다음 25℃의 진탕기에서 280rpm으로 2 내지 4일 동안 배양한다.
발효배지에 2 내지 10%의 종자 배양액을 접종 시킨 후, 전자동 발효탱크에서 배양시킨다. 배양 온도는 23℃ 내지 28℃이며, pH는 pH 5.7 내지 6.2로 유지시킨다. 3 내지 6일 동안 균사체를 배양시킨 후, 매일 1 내지 6%의 탄소원(당알코올, 전분)를 추가하는 동시에 1 내지 4%의 질소원(프롤린, 글루타민산, 트레오닌 등)을 추가하며, 일반적으로 8 내지 12일 동안 배양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일정한 체적의 발효액을 취하여 2배 발효액 체적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추출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균사체를 제거한다. HPLC 외부표준물질법을 이용하여 추출물 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다.
실시예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HPLC 측정에 사용한 방법은 하기와 같다.
Waters 분석성 HPLC체계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역상 HPLC 분석은 FR901379, PneumocandinB0 및 기타 유사물의 측정에 사용된다. 역상 분석은 CALESIL ODS 크로마토그래픽 컬럼(입자 직경 5㎛,4.6mmi.d×250mm)을 이용하며, 35℃에 유지시킨다. 50% 아세토니트릴/0.5% 인산이수소암모늄 수용액을 유동상으로 하며, 유속은 1ml/분이며, 210nm하에서 UV측정을 실시한다.
실시예에서, 발효액 점도 측정방법은 본 분야의 주지의 방법을 사용한다. 예하면, Brookfield 점도측정기로 측정한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진일보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표기되지 않은 구체적인 실험조건은 통상의 실험조건 또는 제조상에서 제공한 조건에 따라 실시한다.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 백분비, 비율, 비례, 또는 분수는 중량으로 계산한다.
본 발명에서, 중량체적 백분비의 단위는 본 분야의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것이며, 예하면, 100ml의 용액중의 용질의 중량이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경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문용어 및 과학용어는 본 분야의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의미와 동일하다. 그외, 기재된 내용과 비슷하거나 균등한 방법 및 재료는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방법과 재료는 예시에 불과하다.
실시예1
발효균종의 제조 Coleophoma empetri F-11899( FERM BP2635 )
문헌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의 종자 배양방법을 참고로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종자액을 제조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에 사용한다.
사면배지는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PDA)를 사용하며, 그 조성은 감자 30%, 포도당 2%, 한천 1.5%이다.
종자 배지의 조성은 자당 1%,면화박 2%,건조 효모 1%, 펩톤 1%,KH2PO4 0.2%,CaCO3 0.2%, 소포제 0.05%이다.
균주Coleophoma empetri F-11899( FERM BP2635 )를 25℃의 사면배지에서 6 내지 10일 배양하여 성숙시킨 후, 성숙 된 균사체 또는 포자를 선택하여 종자배지에 접종시킨 다음 25℃의 진탕기에서 280rpm으로 2 내지 4일 동안 배양한다.
실시예2
발효 균종의 제조(돌연변이 균주 CGMCC 4129)
문헌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 종자배양 방법을 참고로 돌연변이 균주CGMCC 4129의 종자액을 제조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에 사용한다.
사면배지는 감자 포도당 한천 배지(PDA)를 사용하며, 그 조성은 감자 30%, 포도당 2%, 한천 1.5%이다.
종자 배지의 조성은 자당 1%,면화박 2%,건조 효모 1%, 펩톤 1%,KH2PO4 0.2%,CaCO3 0.2%, 소포제 0.05%이다.
균주CGMCC 4129를 25℃의 사면배지에서 6 내지 10일 배양하여 성숙시킨 후, 성숙 된 균사체 또는 포자를 선택하여 종자배지에 접종시킨 다음 25℃의 진탕기에서 280rpm으로 2 내지 4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3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250 mL 플라스크에, 50 ml의 만니톨 농도 5%, 효모 추출물 농도 0.5%, L-프롤린 농도 1%, 면실박 농도 1%, 황산암모늄 농도 0.1%, 황산마그네슘 농도 0.06%, 미량원소 용액의 농도 0.1%, MES 농도 2%를 함유한 배지를 첨가한 후, pH를 5.5±0.5로 유지시키고,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 1 ml(2%)를 상기 배지에 접종시키고 25℃, 280 rpm에서 240시간을 배양시켰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 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200 cp이며, 그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5 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4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250 mL 플라스크에, 50 ml의 만니톨 농도 4%, 글루타민산 나트륨 농도 1%, 트레오닌 농도 0.8%, 대두케이크 농도 2%, 효모 추출물 농도 0.8%, 황산암모늄 농도 0.2%, 황산마그네슘 농도 0.05%, 미량원소 용액의 농도 0.1%, MES 농도 2.5%를 함유한 배지를 첨가한 후, pH를 5.5±0.5로 유지시키고,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하였다. 실시예2에서 얻은 종자액 1 ml(2%)를 상기 배지에 접종시키고 25℃, 280 rpm에서 240시간을 배양시켰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 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300 cp이며, 그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1.94 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5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 L 발효탱크에, 29L 의 수돗물, 600g 대두케이크 (농도 2%), 2400g 만니톨(농도 8%), 600g L-프롤린 (농도 2%),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 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60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45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5 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6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 L 발효탱크에, 29L 의 수돗물, 150g 대두케이크 (농도 0.5%), 300g 만니톨(농도 1%), 750g L-프롤린 (농도 2.5%), 750g 글루타민산 나트륨(농도 2.5%),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4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만니톨1.5%,L-프롤린 0.8%(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3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43g/L이다.
실시예7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 의 수돗물, 900g 대두케이크(농도 3.0%), 3000g 만니톨(농도 10%), 150g L-프롤린 (농도 0.5%), 30g 트레오닌(농도 0.1%),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8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만니톨 0.5%,L-프롤린 1%(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6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44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8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 의 수돗물, 300g 면실박(농도 1.0%), 2400g 만니톨(농도 8.0%), 900g 글루타민산나트륨(농도 3.0%), 300g 트레오닌(농도 1.0%),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6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만니톨 1%,트레오닌 0.3%(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1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58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9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의 수돗물, 600g 땅콩 분말(농도 2%), 600g 만니톨(농도 2%), 600g L-프롤린 (농도 2%),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1에서 얻은 종자를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5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만니톨 3%,L-프롤린 0.5%(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9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0.52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10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의 수돗물, 600g 면실박(농도 2%), 1800g 만니톨(농도 6%), 600g L-프롤린 (농도 2%), 240g 효모 추출물(농도 0.8%),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12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4%), 30 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2에서 얻은 종자액을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5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만니톨 1%,L-프롤린 0.5%(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3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2.5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7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11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의 수돗물, 300g 면실박(농도 1%), 2400g 소르비톨(농도 8%), 600g L-프롤린 (농도 2%), 120g 효모 추출물(농도 0.4%), 3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1%), 30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1%), 30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2에서 얻은 종자액을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7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소르비톨 1%,L-프롤린 0.5%(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3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2.0g/L이다.
미량원소:FeSO4·7H2O 10 g/L,MnSO4·H2O 10 g/L,ZnSO4·7H2O 2g/L,CaCl2 0.7 g/L,H3BO3 0.56 g/L,CuCl2·2H2O 0.25 g/L,(NH4)6Mo7O24·H2O 0.19g/L,농염산 500 ml/L.
실시예12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제조
50L 발효탱크에, 29L의 수돗물, 600g 면실박(농도 2%), 2400g 갈락티톨(농도 8%), 300g 글루타민산 나트륨 (농도 1%), 120g 효모 추출물(농도 0.4%), 60g의 황산암모늄 (농도 0.2%), 15g의 황산마그네슘(농도 0.05%), 30ml의 미량원소 용액(농도 0.1%)을 가하고,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산으로 pH를 5.5±0.5로 조절한 후, 121℃에서 30분을 멸균하였다. 실시예2에서 얻은 종자액을 상기 배지에 접종하였으며, 종자액 체적은 0.9L(3%)이며, 30L의 배양액을 얻었다. 기체 통과량은 1 내지 2vvm이며, 용존 산소는 80% 이상이며, pH는 6.0±0.5이며, 배양온도는 25±5℃이며, 6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매일 갈락티톨 1%,글루타민산나트륨 0.5%(초기 배양액 체적을 30L로 계산)를 추가 첨가하였다. 배양 240시간 후 배양을 정지하였다. 시료를 취하여 분석한 결과,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2600cp이며,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1.8g/L이다.
대조예1
50L의 발효탱크에서, 문헌 Scale-up fermentation of echinocandin type antibiotic FR901379(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 109 No. 2,138-144,2010)중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방법을 참고로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및 돌연변이 균주CGMCC 4129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얻은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각각 11000cp와 9800cp이며, 그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0.2 g/L와 1.4g/L이다.
대조예2
50L의 발효탱크에서, EP0431350B1의 실시예1 중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발효방법을 참고로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및 돌연변이 균주CGMCC 4129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얻은 최종 배양액의 점도는 각각10500cp와9400cp이며, 그중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함량은 각각 0.14 g/L와 1.2g/L이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기술 내용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질적 기술 내용은 광의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으며, 임의의 타인에 의해 완성된 기술 실체 또는 방법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한 내용과 완전히 같거나 또는 등가의 변경일 경우, 모두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난용성 유기질소원, 및 탄소원인 당알코올을 함유한 배지에서 균주 Coleophoma empetri F-11899(FERM BP2635) 또는 그의 돌연변이 균주를 배양하여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연변이 균주는 돌연변이 균주 CGMCC 4129이며,
    상기 난용성 유기질소원은 대두박, 대두분리단백, 땅콩분말, 면실박 및 대두케이크 중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아미노산이 글루타민산, 프롤린, 오르니틴, 트레오닌 또는 그의 염 중의 1종 및 1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당알코올은 글리세린(글리세롤),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리비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만니톨 및 갈락티톨 중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Ⅰ로 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화학식 Ⅰ]
    Figure 112015049181632-pc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농도가 0.5 내지 5.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난용성 유기질소원의 농도가 0.5 내지 3.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총중량에 대하여, 상기 당알코올의 농도가 1.0 내지 10.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을 20℃ 내지 30℃,pH 5.5 내지 6.5하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과정에서 당알코올 및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을 추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당알코올 및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추가첨가 시간은 배양 40 내지 80시간 정도에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의 추가 첨가량은 매일 0.5% 내지 3%이며,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의 추가 첨가량은 매일 0.1% 내지 1%이며, 초기 배양액의 체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7023153A 2011-01-31 2012-01-31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Active KR101579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034243.3 2011-01-31
CN201110034243.3A CN102618604B (zh) 2011-01-31 2011-01-31 一种环脂肽化合物的制备方法
PCT/CN2012/070783 WO2012103800A1 (zh) 2011-01-31 2012-01-31 一种环脂肽化合物的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25A KR20140007425A (ko) 2014-01-17
KR101579766B1 true KR101579766B1 (ko) 2015-12-24

Family

ID=4655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153A Active KR101579766B1 (ko) 2011-01-31 2012-01-31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46197B2 (ko)
EP (1) EP2671952B1 (ko)
JP (1) JP5818915B2 (ko)
KR (1) KR101579766B1 (ko)
CN (1) CN102618604B (ko)
AU (1) AU2012213854B2 (ko)
CA (1) CA2826037C (ko)
WO (1) WO2012103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5810B (zh) * 2012-12-20 2016-02-17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米卡芬净的方法
CN106755221A (zh) * 2016-11-28 2017-05-31 无锡福祈制药有限公司 一种米卡芬净母核fr179642的制备方法
CN116496911B (zh) * 2023-04-23 2023-12-26 浙江昊清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米卡芬净中间体fr901379高产菌株及其应用
CN116987153A (zh) * 2023-07-31 2023-11-03 上海天伟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高纯度棘白菌素药物杂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35B1 (ko) 1990-06-18 1999-06-15 후지야마 아키라 폴리펩티드 화합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01379A (fr) 1943-09-10 1945-07-25 Télégraphie par variations de fréquence
NZ234225A (en) * 1989-06-30 1993-09-27 Merck & Co Inc Antibiotic from zalerion arboricola and its use as an antifungal agent and antipneumocystis agent
GB8925593D0 (en) * 1989-11-13 1990-01-04 Fujisawa Pharmaceutical Co Fr901379 substance and preparation thereof
KR0143769B1 (ko) * 1989-11-13 1998-07-01 후지사와 도모키치로 항균성 폴리펩티드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US5306708A (en) * 1990-12-19 1994-04-26 Merck & Co., Inc. Antibiotic agent
CN1371423A (zh) * 1999-07-02 2002-09-25 藤泽药品工业株式会社 编码环状脂肽酰基转移酶的基因及其表达
US20100239711A1 (en) * 2009-03-23 2010-09-23 Pei-Jung Li Method for manufacturing coffee by solid state fermentation
CN102533551B (zh) * 2010-12-15 2013-10-09 上海天伟生物制药有限公司 一种肽类抗生素的高产菌株及其制备方法和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35B1 (ko) 1990-06-18 1999-06-15 후지야마 아키라 폴리펩티드 화합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13854A1 (en) 2013-09-19
WO2012103800A1 (zh) 2012-08-09
CN102618604A (zh) 2012-08-01
US9546197B2 (en) 2017-01-17
EP2671952B1 (en) 2015-12-16
CA2826037A1 (en) 2012-08-09
JP2014505478A (ja) 2014-03-06
JP5818915B2 (ja) 2015-11-18
CN102618604B (zh) 2014-09-03
KR20140007425A (ko) 2014-01-17
US20140057320A1 (en) 2014-02-27
CA2826037C (en) 2017-02-21
AU2012213854B2 (en) 2014-05-22
EP2671952A1 (en) 2013-12-11
EP2671952A4 (en)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1470B2 (ja) 新規ポリペプチド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222233B1 (ko) 항생물질의 고 생산 균주와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N103087928B (zh) 真菌Glarea lozoyensis及其在调控微生物代谢物纽莫康定B0中的应用
KR101579766B1 (ko) 일종의 사이클릭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CN101225411A (zh) 生物合成生产混合长链二元酸的新方法
WO2010058427A2 (en) Process for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polymyxin b sulfate
CA2037959C (en) Cyclohexapeptides compound
CN102485879A (zh) 一种用于生产wf11899a的发酵培养基
US5334517A (en) Microbi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rans-4-hydroxy-L-proline
CN107217007B (zh) 一种生产pf1022a的发酵培养基及发酵方法
JPH0622750A (ja) ストレプトマイセス・スペクタビリスの高生産性菌株、その選別方法、およびストレプトバリシンcの製造方法
EP0846699A1 (en) Substance wf16616,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09593808B (zh) 达托霉素发酵培养基及其制备方法
El-Enshasy et al. Improvement of rifemycins production by Amycolatopsis mediterranei in batch and fed-batch cultures
CN118256404B (zh) 一株枯草芽孢杆菌及其在纳豆激酶和维生素k2联产中的应用
WO2008002665A1 (en) Regulation of acid metabolite production
CN102277301A (zh) 一株绿青色拟青霉及其应用
CN115976141A (zh) 一种发酵制备Didemnin B的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8441534B (zh) 一种米卡芬净钠前体的新的制备方法
EP1087987B1 (en) A compound, wf002,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GB2241955A (en) Cyclohexapeptide compounds
HK40003763A (en) Aneurinibacillus migulanus strain and use thereof
HK40003763B (en) Aneurinibacillus migulanus strain and use thereof
WO2001029182A1 (en) Novel compound, wf217
JPH0597858A (ja) アラノロシノール−aおよびアラノロシノール−b、それらの生産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