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7377B1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377B1
KR101577377B1 KR1020130135843A KR20130135843A KR101577377B1 KR 101577377 B1 KR101577377 B1 KR 101577377B1 KR 1020130135843 A KR1020130135843 A KR 1020130135843A KR 20130135843 A KR20130135843 A KR 20130135843A KR 101577377 B1 KR101577377 B1 KR 10157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bearing
coupled
decel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278A (ko
Inventor
소연실
이영호
정기승
Original Assignee
소연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연실 filed Critical 소연실
Publication of KR2014013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7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완강기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부싱,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고정부싱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구동기어가 마련되고 로프가 감아 걸리는 걸이부를 갖는 로프휠을 포함하는 로프휠부; 상기 베이스플레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베이링과, 상기 제2 베어링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 고정부싱,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제2 고정부싱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마련되고 마찰면이 형성된 회전판을 갖는 감속휠을 포함하는 감속휠부; 상기 감속휠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이 상기 마찰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감속커버; 및 상기 로프휠부 및 상기 감속휠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강기{DESCENDING DEVICE FOR ESCAPE}
본 발명은 완강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과정에서 로프의 작동이 멈추지 않도록 하고 안정적으로 로프가 풀릴 수 있도록 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11층 이하)의 화재 발생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루프에 매달린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감속되어 서서히 지면으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완강기로는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5488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이 공보의 완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배치되는 속도조절기구 및 이 속도조절기구를 커버하는 덮개(200)로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단에는 완강기 거치대(미도시)에 지지되는 훅이 걸리는 걸이공(11)이 천공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로프(R)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승강시키는 롤(41,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제1지축(220)과 제2지축(320)의 일단이 일정간격 떨어진 채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상기 덮개(200)는 볼트 결합된다. 이 제1지축(220)과 제2지축(320)의 주위의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은 베이스플레이트(100) 및 덮개(200) 사이의 공간과 외부간에 공기 순환 구조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후술된 속도조절기구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자체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뿐 아니라 감속커버(300)를 통해 나온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작동부는 제1지축(2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르래(23)와 이 도르래(23)와 일체로 구성된 구동기어(24)로 구성된다. 도르래(23)에는 로프가 걸리고, 로프의 승강에 따라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구동기어(24)가 회전하게 된다.
감속부는 구동기어(24)와 맞물리는 피동기어(34), 이 피동기어(34)와 일체로 구성된 감속 휠(35), 감속 휠(35)에 재치되는 복수의 감속피스(36) 및 감속 휠(35)의 상부를 감싸는 감속커버(300)로 구성된다. 이 피동기어(34)와 감속 휠(35)은 제2지축(3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동기어(34)의 피치원은 감속피스(36)의 원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동기어(24)의 피치원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감속피스(36)는 감속 휠(35) 상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되게 재치되며, 이 감속피스(36)의 외주면이 피동기어(3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감속커버(300)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켜 로프의 하강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르래(23)는 그 중앙이 제1지축(220)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르래(23)의 중앙 내면과 제1지축(220)의 외면이 과도한 마찰접촉을 하면서 종국에는 도르래(23)가 멈춰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도르래(23)와 연결되는 감속휠(35)도 감속커버(300) 내에서 감속되는 과정에서 제2지축(320)과의 접촉면에 과도한 마찰접촉을 하게 되어 종국에는 도르래(23)가 멈춰버리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르래(23) 또는 감속휠(35)이 멈추게 되면, 인명구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548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과정에서 동작이 멈추는 일이 없이 로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로프가 풀릴 수 있도록 하는 완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완강기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부싱,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고정부싱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구동기어가 마련되고 로프가 감아 걸리는 걸이부를 갖는 로프휠을 포함하는 로프휠부; 상기 베이스플레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베이링과, 상기 제2 베어링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 고정부싱, 상기 제2 베어링과 상기 제2 고정부싱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마련되고 마찰면이 형성된 회전판을 갖는 감속휠을 포함하는 감속휠부; 상기 감속휠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이 상기 마찰면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감속커버; 및 상기 로프휠부 및 상기 감속휠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축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보조축과, 상기 보조축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보조휠을 포함하는 보조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종동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마찰면의 일면이 결합되는 링부와, 상기 마찰면의 저면이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링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리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면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상기 회전판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상기 마찰면 사이에 상기 감속커버와 마찰 접촉하는 감속피스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 상기 종동축, 및 상기 보조축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부에는 상기 로프와 접촉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휠은 상기 보조축에 제3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로프휠과 구동축 사이에 회전 가능한 제1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로프휠과 구동축 사이에 과도한 마찰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프휠이 작동과정에서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감속휠과 종동축 사이에도 회전 가능한 제2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감속휠과 종동축 사이에 과도한 마찰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감속휠이 작동과정에서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감속휠이 결합되는 종동축을 사이에 두고 로프휠이 결합되는 구동축의 반대편에 감속휠과 기어 연결되는 보조휠을 설치함으로써, 감속휠이 보조휠과 로프휠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며, 감속휠이 로프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강기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로프가 감기는 걸이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로프가 풀리면서 로프휠을 회전시킬 때, 로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조휠과 보조축 사이에 제3 베어링을 삽입함으로써, 보조휠과 보조축 사이에 과도한 마찰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휠이 작동과정에서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의 도면,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의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감속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5는 도4에서 감속휠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6은 도5에 로프휠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7은 도3의 측면도,
도8은 로프휠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로프가 걸이부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서 감속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5는 도4에서 감속휠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로프휠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7은 도3의 측면도이다. 도8은 로프휠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로프가 걸이부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500)는, 베이스플레이트(510), 로프휠부(520), 감속휠부(530), 감속커버(540), 및 외측커버(5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는 로프휠부(520), 감속휠부(530) 및 후술하는 보조휠부(550)가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는 완강기 거치대(미도시)에 지지되는 훅이 걸리는 걸이공(511)이 상측에 천공 설치되고, 하측에는 로프(R)의 꼬임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승강시키는 롤(512,513,51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는 후술하는 외측커버(560)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공(515)이 복수개 천공된다.
상기 로프휠부(520)는 로프(R)가 감겨서 로프(R)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구동축(521), 로프휠(522), 제1 베어링(523), 및 제1 고정부싱(52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52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축(52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치우쳐 결합된다.
상기 로프휠(522)은 상기 구동축(52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로프휠(522)은 구동기어(525)와 걸이부(526)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525)와 상기 걸이부(526)는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구동축(521)이 삽입되는 제1 축공(527)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어(525)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종동기어(535)와 기어 연결된다.
상기 걸이부(526)는 로프(R)가 감겨져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부(526)는 상기 구동기어(525)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걸이부(526)에는 로프(R)가 걸리는 로프홈(528)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526)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프(R)와 접촉하는 돌기부(529)가 형성된다. 로프(R)가 로프휠(522)을 회전시킬 때 돌기부(529)에 의해 로프(R)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 베어링(523)은 상기 구동축(52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베어링(523)은 상기 로프휠(522)과 구동축(52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부싱(524)은 상기 제1 베어링(523)의 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제1 고정부싱(524)은 상기 로프휠(522)의 중심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휠(522)은 상기 제1 베어링(523)과 상기 제1 고정부싱(5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52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523)은 상기 구동축(521) 및 상기 제1 고정부싱(524)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베어링(523)은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끄럼이 용이한 황동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베어링(523)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베어링(523)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521)의 표면이 쉽게 마모되는 일이 없으며 상기 로프휠(52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속휠부(530)은 상기 로프휠(522)과 기어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로프휠(522)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감속휠부(530)는 종동축(531), 감속휠(532), 제2 베어링(533), 및 제2 고정부싱(534)를 포함한다.
종동축(53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결합된다. 상기 종동축(531)은 상기 구동축(521)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치우쳐 결합된다.
상기 감속휠(532)은 상기 종동축(53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감속휠(532)은 종동기어(535)와 회전판(536)을 포함한다. 상기 종동기어(535)와 상기 회전판(536)은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에 상기 종동축(531)에 삽입되는 제2 축공(537)이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535)는 그 외주면에 상기 구동기어(525)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535)의 외경은 상기 구동기어(525)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회전판(536)은 회전시 후술하는 감속커버(540)과 마찰하여 로프휠(522)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마찰면(538)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536)은 상기 종동기어(535)의 상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536)은 결합부(5361), 링부(5362), 안착부(5363), 및 브리지(536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361)는 종동축(53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판(536)의 중심부를 형성한다.
상기 링부(5362)는 상기 마찰면(538)의 일면이 결합된다. 상기 링부(5362)는 상기 결합부(5361)와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5361)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마찰면(538)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링부(536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착부(5363)는 상기 마찰면(538)의 저면이 결합되어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5363)는 상기 링부(536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면(538)은 상기 회전판(536)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서로 이격된 상기 마찰면(538) 사이에는 감속커버(540)와 마찰 접촉하는 감속피스(539)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5363)은 상기 마찰면(538)의 저면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기능 이외에, 상기 감속피스(539)가 안착되는 면을 제공한다.
상기 브리지(5364)는 상기 결합부(5361)와 상기 링부(5362)를 연결하며, 복수 개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부(5362)와 상기 결합부(5361)는 상기 결합부(5361)를 제외한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감속휠(532)의 회전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베어링(533)은 상기 종동축(53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베어링(533)은 상기 감속휠(532)과 종동축(53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부싱(534)은 상기 제2 베어링(533)의 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제2 고정부싱(534)은 상기 감속휠(532)의 중심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휠(532)은 상기 제2 베어링(533)과 상기 제2 고정부싱(53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축(531)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533)은 상기 종동축(531)과 상기 제2 고정부싱(534)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제1 베어링(523)과 마찬가지로상기 제2 베어링(533)은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끄럼이 용이한 황동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2 베어링(533)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베어링(533)에 의하여 상기 종동축(531)의 표면이 쉽게 마모되는 일이 없으며 상기 감속휠(53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속커버(540)는 상기 감속휠부(530)에 결합되고, 감속커버(540)의 내주면은 상기 마찰면(538)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커버(540)가 상기 감속휠부(530)의 회전판(536)을 덮을 때, 상기 감속커버(540)의 내주면이 상기 마찰면(538)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536)이 회전할 때, 상기 감속커버(540)의 내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판(536)에는 상기 마찰면(538) 사이에 감속피스(539)가 삽입되어 배치되는데, 상기 감속피스(539)의 외주면 역시 상기 감속커버(54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다수의 감속피스(539)는 상기 마찰면(538)과 함께 감속커버(540)의 내주면에 마찰접촉되면서 상기 로프휠(522)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제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감속커버(540)에는 상기 구동축(521)이 삽입되는 제1 결합공(541)과 상기 종동축(531)이 삽입되는 제2 결합공(5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속휠부(530)와의 마찰 접촉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는 열방출공(543)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커버(560)는 상기 로프휠부(520)와 상기 감속휠부(530)를 수용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휠부(5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휠부(550)는 감속휠(532)이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감속휠(532)이 로프휠(5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강기(500)가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보조휠부(550)는 보조축(551)과 보조휠(552)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축(551)은 종동축(531)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마련된다. 상기 보조축(551)은 종동축(5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521)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축(551), 종동축(531), 및 구동축(521)은 이 순서대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구동축(521), 종동축(531) 및 보조축(551)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휠(552)은 상기 보조축(551)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535)와 맞물리는 보조기어(55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535)는 상기 구동기어(525)와 보조기어(553)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감속휠(532)은 로프휠(522)과 보조휠(552) 사이에서 정위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고, 보조휠(552)에 의해 감속휠(532)이 감속되는 과정에서 로프휠(5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조축(551)에는 제3 베어링(554)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휠(552)은 상기 제3 베어링(554)을 사이에 두고 보조축(551)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축(551)과 보조휠(552)의 과도한 마찰 접촉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500)는, 로프휠(522)이 구동축(52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1 베어링(523)에 의해 과도하게 마찰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모를 방지하고 로프휠(522)이 작동과정에서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로프휠(522)과 기어 결합된 감속휠(532)이 종동축(53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2 베어링(533)에 의해 과도하게 마찰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마모를 방지하고 감속휠(532)이 작동과정에서 멈추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감속휠(532)은 보조휠(552)에 의해 회전시 정위치된 상태에서, 로프휠(5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보조휠(552)은 제3 베어링(554)에 의해 보조축(551)과 과도한 마찰 접촉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500)는, 작동 중에 로프휠(522), 감속휠(532), 보조휠(552)이 과도한 마찰 접촉에 의해 멈춰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완강기(500)가 신뢰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완강기 510... 베이스플레이트
520... 로프휠부 521... 구동축
522... 로프휠 523... 제1 베어링
524... 제1 고정부싱 525... 구동기어
526... 걸이부 527... 제1 축공
528... 로프홈 529... 돌기부
530... 감속휠부 531... 종동축
532... 감속휠 533... 제2 베어링
534... 제2 고정부싱 535... 종동기어
536... 회전판 5361... 결합부
5362... 링부 5363... 안착부
5364... 브리지 537... 제2 축공
538... 마찰면 539... 감속피스
540... 감속커버 541... 제1 결합공
542... 제2 결합공 543... 열방출공
550... 보조휠부 551... 보조축
552... 보조휠 553... 보조기어
554... 제3 베어링 560... 외측커버
R...로프 512,513,514 ... 롤

Claims (7)

  1. 베이스플레이트(5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결합되는 구동축(521)과, 상기 구동축(52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황동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베어링(523)과, 상기 제1 베어링(523)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 고정부싱(524), 상기 제1 베어링(523)과 상기 제1 고정부싱(524)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52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구동기어(525)가 마련되고 로프(R)가 감아 걸리는 걸이부(526)를 갖는 로프휠(522)을 포함하는 로프휠부(520);
    상기 베이스플레트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52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종동축(531)과, 상기 종동축(5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황동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 베어링(533)과, 상기 제2 베어링(533)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 고정부싱(534), 상기 제2 베어링(533)과 상기 제2 고정부싱(53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종동축(53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상기 구동기어(525)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기어(525)의 외경보다 작은 종동기어(535)가 마련되고 마찰면(538)이 형성된 회전판(536)을 갖는 감속휠(532)을 포함하는 감속휠부(530);
    상기 감속휠부(530)에 결합되며, 내주면이 상기 마찰면(538)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축(521)이 삽입되는 제1 결합공(541)과 상기 종동축(531)이 삽입되는 제2 결합공(542)이 형성되고, 상면에 열방출공(543)이 형성된 감속커버(540);
    상기 종동축(531)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마련되는 보조축(551)과, 상기 보조축(551)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기어(535)와 맞물리는 보조기어(553)를 구비하는 보조휠(552)을 포함하는 보조휠부(550); 및
    상기 로프휠부(520), 상기 감속휠부(530), 및 상기 보조휠부(550)를 수용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하는 외측커버(5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536)은 상기 종동축(531)에 결합되는 결합부(5361)와, 상기 마찰면(538)의 일면이 결합되는 링부(5362)와, 상기 마찰면(538)의 저면이 결합되는 안착부(5363)와, 상기 결합부(5361)와 상기 링부(5362)를 연결하는 복수의 브리지(5364)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면(538)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상기 회전판(536)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상기 마찰면(538) 사이에 상기 감속커버(540)와 마찰 접촉하는 감속피스(539)가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521), 상기 종동축(531), 및 상기 보조축(551)은, 상기 구동축(521), 상기 종동축(531) 및 상기 보조축(551)의 순서대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걸이부(526)에는 상기 로프(R)와 접촉하는 돌기부(529)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휠(552)은 상기 보조축(551)에 제3 베어링(554)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35843A 2013-05-22 2013-11-08 완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577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961 2013-05-22
KR20130057961 2013-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8A KR20140137278A (ko) 2014-12-02
KR101577377B1 true KR101577377B1 (ko) 2015-12-14

Family

ID=5245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8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7377B1 (ko) 2013-05-22 2013-11-08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22B1 (ko) 2016-10-31 2017-03-02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101900487B1 (ko) 2017-06-08 2018-09-19 주식회사 대성기계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0487899Y1 (ko) * 2017-06-05 2018-11-19 주식회사 대성기계 방열 성능이 향상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210056568A (ko) *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8395B (zh) * 2015-01-26 2018-06-08 刘四林 高空应急救援多功能救生装置
KR101871480B1 (ko) * 2015-11-30 2018-08-02 소연실 완강기용 기어 및 완강기
CN106730437A (zh) * 2017-02-21 2017-05-31 于贵海 一种往复式逃生缓降器
CN107281661B (zh) * 2017-08-15 2022-04-15 南通金露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轮带式高层逃生装置
CN109114162B (zh) * 2018-10-15 2023-12-08 张文革 一种具有平衡下落物体速度阻尼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90Y1 (ko) 2002-08-21 2003-03-04 안재현 완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90Y1 (ko) 2002-08-21 2003-03-04 안재현 완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22B1 (ko) 2016-10-31 2017-03-02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200487899Y1 (ko) * 2017-06-05 2018-11-19 주식회사 대성기계 방열 성능이 향상된 피난기구용 완강기
KR101900487B1 (ko) 2017-06-08 2018-09-19 주식회사 대성기계 피난기구용 완강기
KR20210056568A (ko) * 2019-11-11 2021-05-2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강기 외부 케이스용 완충패드
KR102432083B1 (ko) * 2019-11-11 2022-08-12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완강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8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77B1 (ko) 완강기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71282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KR101311643B1 (ko) 이중 브레이크 완강기
JP5677493B2 (ja) ロープ牽引装置
JP2011126679A (ja)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EP2001783B1 (en) Arrangement for stopping an elevator car in an emergency braking situation, and elevator
CN107986134A (zh) 一种电梯停电应急救援装置
JP4725521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1685463B1 (ko) 완강장치
EP1717474B1 (en) Brake device and hoist for elevator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JP6231248B1 (ja) エレベーターロープの交換支援用ブレーキ装置
JP6643406B2 (ja) 速度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昇降装置
US20090014253A1 (en)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assemblies
KR20200090521A (ko) 가속도 방지 기능을 갖는 완강기
JP4769530B2 (ja) ロープ牽引装置
JP6751986B2 (ja) 回転体制動装置
JP5349259B2 (ja) 遠心ブレーキ装置
JP2014218344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KR10181311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JP2011063448A (ja) ロープ牽引装置
JP6579446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KR10082212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20040054886A (ko)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