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5424B1 -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424B1
KR101575424B1 KR1020130156974A KR20130156974A KR101575424B1 KR 101575424 B1 KR101575424 B1 KR 101575424B1 KR 1020130156974 A KR1020130156974 A KR 1020130156974A KR 20130156974 A KR20130156974 A KR 20130156974A KR 101575424 B1 KR101575424 B1 KR 10157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wl
pawl lever
door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585A (ko
Inventor
권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24B1/ko
Priority to US14/296,037 priority patent/US20150167364A1/en
Priority to CN201410268855.2A priority patent/CN104712196B/zh
Publication of KR2015007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고 그립핸들(1)이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더라도 폴리프트레버(14)의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측면 충돌 사고시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래치장치{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 구비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핸들(1)을 잡고 당기면(화살표 M1), 로드(2)의 꺽임부(3)가 핸들베이스(4)에 결합된 밸런스웨이트(5)를 회전시키고(화살표 R1), 밸런스웨이트(5)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6)이 당겨지게 된다.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케이블(6)이 당겨지면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어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도어의 록 상태에서는 케이블(6)이 당겨지게 되더라도 도어래치장치가 작동되지 않음에 따라 도어는 개방이 되지 않는다.
즉, 도 2와 같은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는 폴핀(15)이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케이블(6)이 당겨지면(화살표 M2) 래치브라켓(11)에 대해 핸들레버(1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화살표 R2), 핸들레버(12)의 회전에 의해 레버축(13)이 폴리프트레버(14)를 아래로 당기게 되는 바(화살표 M3), 이때 폴리프트레버(14)의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아래로 끌어내리게 되고, 폴핀(15)의 하강 이동에 의해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A)는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케이블(6)의 당김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때이고, 도 2(B)는 케이블(6)의 당김작용이 발생했을 때이며, 도면부호 P1은 폴핀 셋팅위치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은 도어의 록 상태에서는 록레버(16)의 반 시계방향 회전(화살표 R3)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축(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화살표 R4)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폴핀(15)은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밖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케이블(6)이 당겨지고(화살표 M2) 핸들레버(12)가 회전하고(화살표 R2) 폴리프트레버(14)가 아래로 당겨지게 되더라도(화살표 M3),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되지 않아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14b와 16a는 각각 폴리프트레버(14)와 록레버(16)에 형성된 걸림돌기이다.
그런데, 도 2와 같은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그립핸들(1)은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인 화살표 M1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립핸들(1)의 회전에 의해 밸런스웨이트(5)가 회전하고 케이블(6)이 당겨지게 된다.(화살표 M2)
상기와 같이 케이블(6)이 당겨지면 핸들레버(12)가 회전하고 폴리프트레버(14)가 아래로 이동하고 폴리프트레버(14)의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아래로 끌어내리게 됨으로써, 폴핀(15)의 하강 이동에 의해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측면 충돌 사고시에 원치 않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262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폴리프트레버가 폴핀을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원치 않는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도어래치장치는, 폴리프트레버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웨이트; 및 상기 폴리프트레버와 래치브라켓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된 상태를 구속하는 레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 후 구속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폴리프트레버에 구비된 해제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웨이트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에서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의 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의 관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웨이트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폴리프트레버의 끝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폴리프트레버에서 상기 래치브라켓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톱퍼리브; 상기 래치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톱퍼블록; 및 상기 가이드통로와 상기 스톱퍼블록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스톱퍼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리브가 상기 스톱퍼블록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리브와 상기 스톱퍼블록이 서로 접촉하는 단부는 각각 삼각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록레버와 함께 회전된 도어 록 상태일 때 상기 스톱퍼블록은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궤적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톱퍼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리브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중심부에 위치하면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해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작동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했을 때 폴리프트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회전해서 레버돌기의 작동궤적밖에 폴핀이 위치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그립핸들이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레버돌기가 폴핀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측면 충돌 사고시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종래 차량용 도어래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측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시의 도면,
도 5와 도 6은 측면 충돌 사고시 폴리프트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버구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과 도 9는 측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시 도어의 언록 상태와 도어 록 상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제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장치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트레버(14)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 상기 폴리프트레버(14)가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F1)의 반대 방향(도 4의 화살표 F2)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웨이트(20); 상기 폴리프트레버(14)와 래치브라켓(11)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폴리프트레버(14)가 상기 레버웨이트(20)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도 4의 화살표 F2 방향)할 때에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회전된 상태를 구속하는 레버구속수단; 및 상기 폴리프트레버(14)가 상기 레버웨이트(20)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 후 구속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폴리프트레버(14)에 구비된 해제리브(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폴리프트레버(14)는 레버축(13)을 매개로 핸들레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레버(12)는 래치브라켓(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레버(12)에는 밸런스웨이트(5)와 케이블(6)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밸런스웨이트(5)는 그립핸들(1)의 작동시 핸들베이스(4)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케이블(6)이 당겨지면(화살표 M2) 래치브라켓(11)에 대해 핸들레버(1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화살표 R2), 핸들레버(12)의 회전에 의해 레버축(13)이 폴리프트레버(14)를 아래로 당기게 되는 바(화살표 M3), 이때 폴리프트레버(14)의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아래로 끌어내리게 되고, 폴핀(15)의 하강 이동에 의해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은 도어의 록 상태에서는 록레버(16)의 반 시계방향 회전(화살표 R3)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축(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화살표 R4)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폴핀(15)은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밖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케이블(6)이 당겨지고(화살표 M2) 핸들레버(12)가 회전하고(화살표 R2) 폴리프트레버(14)가 아래로 당겨지게 되더라도(화살표 M3),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되지 않아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어 록 상태에서 록레버(16)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축(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폴리프트레버(14)와 록레버(16)에 형성된 걸림돌기(14b,16a; 도 3 참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버웨이트(20)는 상기 폴리프트레버(14)에서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도 4의 화살표 F1 방향)의 면에 결합되고, 특히 상기 폴리프트레버(14)가 상기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웨이트(20)는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폴리프트레버(14)의 끝단에 결합된다.
상기 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폴리프트레버(14)에서 상기 래치브라켓(11)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톱퍼리브(41); 상기 래치브라켓(11)에 형성된 가이드통로(4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톱퍼블록(43); 및 상기 가이드통로(32)와 상기 스톱퍼블록(43)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스톱퍼블록(4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4)을 포함한다.
상기 스톱퍼리브(41)가 상기 스톱퍼블록(43)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리브(41)와 상기 스톱퍼블록(43)이 서로 접촉하는 단부는 각각 삼각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측면 충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상기 폴리프트레버(14)가 록레버(16)와 함께 회전된 도어 록 상태일 때 상기 스톱퍼블록(43)은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회전궤적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톱퍼리브(41)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제리브(30)는 도 10과 같이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회전중심부에 위치하면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해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의 작동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도 4와 같은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와 같은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고 이때 발생된 충돌에너지가 폴리프트레버(14)로 전달되면(도 4의 화살표 F1 방향), 폴리프트레버(14)는 레버웨이트(20)에 의해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도 4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관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는 레버축(13)을 중심으로 도 5와 같이 시계방향(화살표 R4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폴핀(15)은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밖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가 회전하게 되면 스톱퍼레버(41)는 스톱퍼블록(43)을 타고 넘어가서 도 7과 같이 걸려진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폴리프트레버(14)는 관성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폴리프트레버(14)에 연결된 스프링(미도시)은 압축되고 이때의 축적된 탄성력으로 폴리프트레버(14)에 복귀력을 제공하게 되나, 상기와 같이 스톱퍼블록(43)에 걸려진 스톱퍼레버(41)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는 복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폴리프트레버(14)게 구비된 해제리브(30)는 도 10과 같이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고 이때 발생된 충돌에너지에 의해 그립핸들(1)이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도 1의 화살표 M1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립핸들(1)의 회전에 의해 밸런스웨이트(5)가 회전하고 케이블(6)이 당겨지게 되더라도(화살표 M2),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회전해서 스톱퍼레버(41)와 스톱퍼블록(43)에 의해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폴핀(15)이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밖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때에 케이블(6)이 당겨지고(화살표 M2) 핸들레버(12)가 회전하고(화살표 R2) 폴리프트레버(14)가 아래로 당겨지게 되더라도(화살표 M3),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래치포크를 통한 래치작동이 진행되지 않아서 도어의 개방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폴리프트레버(14)가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회전해서 스톱퍼레버(41)와 스톱퍼블록(43)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면, 폴리프트레버(14)게 구비된 해제리브(30)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하게 되는 바, 이후에 사용자가 도어 인사이드 핸들을 작동시키면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50)의 작동으로 해제리브(3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폴리프트레버(14)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스톱퍼레버(41)와 스톱퍼블록(43)에 의한 폴리프트레버(14)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폴리프트레버(14)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내에 폴핀(15)이 위치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정상적인 도어의 개방동작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어의 언록 상태에서 측면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레버웨이트(20)의 관성력에 의해 폴리프트레버(14)가 회전하고, 이때에 폴핀(15)은 레버돌기(14a)의 작동궤적밖에 위치하게 되는 바, 따라서 그립핸들(1)이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상기 폴리프트레버(14)의 레버돌기(14a)가 폴핀(15)을 작동시키지 못함에 따라 측면 충돌 사고시 원치 않는 차량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그립핸들 6 - 케이블
11 - 래치브라켓 12 - 핸들레버
13 - 레버축 14 - 폴리프트레버
14a - 레버돌기 15 - 폴핀
16 - 록레버 20 - 레버웨이트
30 - 해제리브 41 - 스톱퍼리브
42 - 가이드통로 43 - 스톱퍼블록
44 - 스프링

Claims (8)

  1. 폴리프트레버에 결합된 것으로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관성력을 제공하는 레버웨이트; 및
    상기 폴리프트레버와 래치브라켓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된 상태를 구속하는 레버구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에 의한 관성력으로 회전 후 구속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폴리프트레버에 구비된 해제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웨이트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에서 충돌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의 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상기 레버웨이트의 관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웨이트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폴리프트레버의 끝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구속수단은 상기 폴리프트레버에서 상기 래치브라켓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톱퍼리브;
    상기 래치브라켓에 형성된 가이드통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톱퍼블록; 및
    상기 가이드통로와 상기 스톱퍼블록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스톱퍼블록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리브가 상기 스톱퍼블록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리브와 상기 스톱퍼블록이 서로 접촉하는 단부는 각각 삼각단면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트레버가 록레버와 함께 회전된 도어 록 상태일 때 상기 스톱퍼블록은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궤적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스톱퍼리브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리브는 상기 폴리프트레버의 회전중심부에 위치하면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작동궤적내에 위치해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의 작동시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레버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KR1020130156974A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4A KR101575424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US14/296,037 US20150167364A1 (en) 2013-12-17 2014-06-04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CN201410268855.2A CN104712196B (zh) 2013-12-17 2014-06-17 用于车辆的车门门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74A KR101575424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585A KR20150070585A (ko) 2015-06-25
KR101575424B1 true KR101575424B1 (ko) 2015-12-07

Family

ID=5336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424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67364A1 (ko)
KR (1) KR101575424B1 (ko)
CN (1) CN104712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8643A1 (ko) * 2015-07-06 2017-01-13 Inteva Products Llc
DE102016112182A1 (de) * 2016-07-04 2018-01-04 Kiekert Ag Schließ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634391B1 (ko) * 2018-06-26 2024-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DE102018116325A1 (de) * 2018-07-05 2020-01-09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01B1 (ko) * 2008-06-16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5345C2 (de) * 1977-06-04 1985-05-23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us einem Stahlblechzuschnitt gebogener Schließkloben für einen Kraftfahr-Türverschluß
CA2015445C (en) * 1989-04-27 1998-08-18 Yoshikazu Hamada Lock device for vehicle
GB2282843B (en) * 1993-10-13 1996-03-20 Rockwell Body & Chassis Syst Latch assembly
US6042159A (en) * 1997-08-01 2000-03-28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DE19949119B4 (de) * 1999-01-20 2005-12-29 Valeo Gmbh & Co Schliesssysteme K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bewegbaren a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Teiles
IT1309802B1 (it) * 1999-05-07 2002-01-30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DE19929022C2 (de) * 1999-06-25 2001-06-07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126045A1 (de) * 2001-05-29 2002-12-12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Bausatz,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7029042B2 (en) * 2004-01-22 2006-04-18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obile door handle
DE102004037983B3 (de) * 2004-08-05 2006-01-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US7070216B2 (en) * 2004-09-09 2006-07-04 Siegel-Robert, Inc.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20060237973A1 (en) * 2005-04-19 2006-10-26 Romain Anguila Momentary inertial latching device
US20060261602A1 (en) * 2005-05-20 2006-11-23 Jankowski Krystof P Inertia catch for door latches
US20060261603A1 (en) * 2005-05-20 2006-11-23 Roman Cetnar Safety mechanism for vehicle door latch systems
US20070085349A1 (en) * 2005-10-13 2007-04-19 Ford Motor Company Inertia-actuated locking device
US7481468B2 (en) * 2006-10-25 2009-0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an inertially activated component
KR20090040769A (ko) * 2007-10-22 2009-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핸들의 해제방지 장치
US8152209B2 (en) * 2008-03-31 2012-04-10 Illinois Tool Works Inc.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KR100957103B1 (ko) *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CN103031996B (zh) * 2009-09-04 2015-07-29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与门闩锁设备一起使用的内侧把手组件
US8191953B2 (en) * 2010-07-02 2012-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inertial lock and latch for console lid
US8474883B2 (en) * 2010-08-03 2013-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ching mechanism
ITMI20101664A1 (it) * 2010-09-13 2012-03-14 Valeo Spa Maniglia di battente di veicolo comprendente una massa inerziale ed un fusibile
DE102011010816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KR101806565B1 (ko) * 2011-12-13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US9394729B2 (en) * 2012-07-11 2016-07-1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electrically deployable latch connection
US9404292B2 (en) * 2012-07-11 2016-08-02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deployable latch connection
KR101491312B1 (ko) * 2013-09-0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101B1 (ko) * 2008-06-16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7364A1 (en) 2015-06-18
KR20150070585A (ko) 2015-06-25
CN104712196B (zh) 2020-05-19
CN104712196A (zh)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051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1673685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481349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1806564B1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100893442B1 (ko) 오픈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트레이
KR101575424B1 (ko)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JP2013527345A (ja) 車両の開閉式部分のための安全装置付きハンドル
KR101610499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KR20130066736A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KR20200014191A (ko) 자동차 도어 핸들 관성 잠금 구조
KR101459964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882745B1 (ko) 후드래치 장치
KR20180070396A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KR100962139B1 (ko) 보행자 보호 기능을 갖는 후드래치장치
KR100897693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20160054690A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0901416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어셈블리
KR20170019540A (ko) 차량용 도어래치의 잠금구조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96572B1 (ko) 자동차용 래치장치
KR100812439B1 (ko) 측면 충돌시 관성력에 의한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개방동작구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