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025B1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3025B1 KR101573025B1 KR1020130032719A KR20130032719A KR101573025B1 KR 101573025 B1 KR101573025 B1 KR 101573025B1 KR 1020130032719 A KR1020130032719 A KR 1020130032719A KR 20130032719 A KR20130032719 A KR 20130032719A KR 101573025 B1 KR101573025 B1 KR 101573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energy
- delete delete
- unit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53—Rotary generators driven by intermittent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면 형상이 변형되는 입력 유니트 및 상기 입력 유니트의 형상 변형을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변환 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external kinetic energy is applied and a conversion unit which converts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input unit into a renewable energy, so that waste energy can be recyc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려지는 운동 에너지를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for converting abandoned kinetic energy into renewable energy.
근래 각종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 에너지 자원의 소비 과정에서 유발되는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roblems of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which generate various kinds of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energy resources, have become seriou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tilize the abandoned energy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42595호에는 전기를 소모하는 전기/전자 장치의 구동에 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기/전자 장치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42595 discloses a technique for efficiently providing electricity for driving an electric / electronic device consuming electricity,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using th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re is no suggestion to utilize the abandoned energy.
본 발명은 버려지는 운동 에너지를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for converting waste kinetic energy into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면 형상이 변형되는 입력 유니트 및 상기 입력 유니트의 형상 변형을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변환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in which a shape is deformed when external kinetic energy is applied, 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input unit into renewed energy.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력의 유무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의 이동력을 제3 위치로 전달하는 링크부 및 상기 제3 위치로 전달된 상기 이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that reciprocates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xternal force, a link unit that transmits the movement force of the operation unit to a third position, And a power generation sec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는 제1 영역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운동 에너지를 활용 가능한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에너지 유니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nergy units arranged in a first region to which external kinetic energy is applied and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into usable renewable energy, and each energy unit is independently driven .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를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유니트 및 상기 에너지 유니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된 에너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nergy unit for converting external kinetic energy into regenerative energy and an energy module in which the energy units are independently arranged to be able to be driven independently.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동작부 및 상기 동작부의 형상 변형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perating portion in which a fluid is accommodated and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turbine portion rotated by the fluid to be flowed by deforming the operating portion.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버려지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수단을 마련하고, 해당 수단의 형상 변형을 동력원으로 하여 활용 가능한 재생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ans by which the shape is deformed by the external kinetic energy that is discarded and use the deformed shape of the means as a power source to generate renewable energy.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가 제1 영역에 복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에 적용된 변속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energy management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the first area.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to which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applied to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관리 장치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면 형상이 변형되는 입력 유니트(100) 및 입력 유니트(100)의 형상 변형을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변환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may include an
운동 에너지는 이동체(90)로부터 가해진 외력으로부터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동체(90)는 차량, 인간 등의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90)는 무게와 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는 이동체(90)에 의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 가능한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체(90)의 운동 에너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입력 유니트(100)가 마련된다.The kinetic energy may be generated from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입력 유니트(100)는 이동체(90)가 지나갈 때 인가되는 운동 에너지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의 형상 변형은 입력 유니티를 구성하는 동작부(110)의 위치 변경, 동작부(110) 자체의 형상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동체(90)의 운동 에너지로 속도 또는 무게를 고려할 수 있는데, 입력 유니트(100)는 이 둘을 모두 인가받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입력 유니트(100)는 이동체(90)가 지나가는 목표 위치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입력 유니티는 목표 위치를 지나가는 이동체(90)의 무게 또는 속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e kinetic energy of the moving
변환 유니트(200)는 입력 유니트(100)의 형상 변형을 원인으로 재생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환 유니트(200)는 입력 유니트(100)의 형상 변형으로 파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부(210), 링크부(210)에 의해 전달된 동력으로 구동되는 발전부(230) 또는 터빈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230)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 연결되거나 배터리(4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터빈부(220) 발전부(230) 또는 플라이휠 배터리(450)에 연결될 수 있다.Th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버려지는 이동체(90)의 운동 에너지를 재생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kinetic energy of the discarded moving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관리 장치는 동작부(110), 링크부(210), 발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2 may include an
동작부(110)는 입력 유니트(100)를 구성하는 요소로, 외력의 유무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할 수 있다.The
외부의 운동 에너지, 다시 말해 이동체(90)로부터 인가된 외력이 인가되면 동작부(110)는 제1 위치 P1으로부터 제2 위치 P2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움직인 동작부(110)의 힘, 즉 이동력을 원인으로 재생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데, 외력의 인가로 제2 위치 P2로 이동된 동작부(110)가 제2 위치 P2를 고수한다면, 이후 외력이 다시 가해진다 하더라도 동작부(110)는 움직일 수 없다. 이에 따르면 추가적인 재생 에너지의 생성이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스프링 등의 복원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kinetic energy, that is,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복원 수단은 외력의 해제시 제2 위치 P2의 동작부(110)를 다시 제1 위치 P1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The restoring means can restore the
동작부(110)의 이동력의 방향은 발전기 등의 발전부(230)에서 요구하는 힘의 방향과 다를 수 있다. 또는 초기 설계시 동작부(110)와 발전부(230)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동력의 방향을 발전부(230)에서 요구하는 힘의 방향과 일치시키거나 동작부(110)와 발전부(230)를 서로 이격시켜 배치하기 위해 링크부(210)가 이용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force of the
링크부(210)는 동작부(110)의 이동력을 발전부(230)가 위치하는 제3 위치 P3로 전달할 수 있다.The
링크부(210)는 서로 맞물린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어'는 다양한 종료의 기어 및 각 기어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동작부(110)에 직접 맞물린 기어의 회전 속도 ω1보다 제3 위치 P3의 기어의 회전 속도(각속도) ω2가 빠를 수 있다. 소위, 링크부(210)는 동작부(110)로부터 발전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속도가 빨라지는 가속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동작부(110)의 이동 거리가 클수록 재생 에너지가 많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차량 등 이동체(90)의 이동 경로에 마련되는 동작부(110)의 이동 거리가 크다면 해당 경로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커지므로, 가능한 동작부(110)의 이동 거리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동작부의 이동 거리를 작게 할 경우 동작부(110)에 직접 맞물린 기어의 회전 속도 역시 작아진다. 이에 따르면 발전부(230)가 신뢰성 있게 동작하기 어려우므로 링크부(210)를 가속기로 구성하여 발전부(230)를 신뢰성 있게 구동시키는 것이 좋다. 도 2의 링크부(210)는 제1 기어(211), 제2 기어(213), 제3 기어(215), 제1 기어(211)의 회전을 제2 기어(213)로 전달하는 제1 벨트(212), 제2 기어(213)의 회전을 제3 기어(215)로 전달하는 제2 벨트(214)를 포함하고 있다.The rotational speed (angular speed)? 2 of the gear at the third position P 3 may be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1 of the gear meshed directly with the
발전부(230)는 제3 위치 P3에 배치되고, 링크부(210)에 의해 제3 위치 P3로 전달된 이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발전부(230)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는 모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비싼 발전기 제품 대신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모터 제품으로 발전부(230)를 구성할 수 있다.
발전부(230)는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자와 고정자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축의 회전으로 전기를 생성한다. 이때 회전축의 회전은 발전기의 초기 설계시 설정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발전부(230)의 회전축은 링크부(210)를 구성하는 기어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데, 해당 기어는 동작부(1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시스템에서 발전부(230)의 회전축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The
한편, 동작부(110)에 외력이 가해진 초기에는 자연 법칙에 따라 동작부(110)를 움직이는데 큰 힘이 요구된다. 이때, 동작부에 맞물린 기어와 제3 위치의 기어의 회전비율 k(여기서, k=동작부에 맞물린 기어의 회전 각도/제3 위치의 기어 회전 각도)가 작다면 동작부(110)의 기동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동작부의 동작부의 운동 개시 초기의 회전비율 k1은 큰 것이 좋고, 운동 개시 후에는 고속 회전을 통한 발전 효율의 향상을 위해 회전비율이 작아지는 것이 발전에 유리하다.At the initial stag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이를 위해 링크부(210)에는 회전비율을 조정하는 변속기(300)가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변속기(300)에 따르면 외력에 의한 동작부(110)의 운동 개시 초기의 회전비율 k1보다 동작부(110)의 운동 개시 이후 t시간 경과시의 회전비율 k2가 작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에 적용된 변속기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applied to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는 동작부(110)의 운동 개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동작부(100)의 운동 개시 초기 이후 t시간 경과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동작부에 맞물린 기어를 제1 기어(211)로 나타내고, 제3 위치의 기어를 제2 기어(213)으로 나타내었다. 실질적으로 제3 위치의 기어는 제3 기어(215)이지만 제3 기어(215)의 회전 속도는 제3 기어(215)에 맞물린 제2 기어(213)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2 기어(213) 역시 제3 위치의 기어로 볼 수 있다.10 (a) shows a state at the start of movement of the
(a) 상태에서 제1 기어(211)의 크기보다 제2 기어(213)의 크기가 크다. 따라서, 동작부(110)에 가해진 적은 힘으로도 제2 기어(2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기어(211)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제1 기어(211)의 크기보다 제2 기어(213)의 크기가 작아지는 (b) 상태로 전이된다. 이에 따르면 제3 위치의 기어는 고속 회전이 가능해진다.the size of the
회전 속도에 따라 (a) 상태에서 (b) 상태로 전이되기 위해 제1 벨트(212)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벨트(212)의 단면을 'V'자로 형성하고, 제1 기어(211)와 제2 기어(213)를 제1 벨트(212) 단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2개의 휠로 마련할 수 있다. 이런 형태는 소위 무단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일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에너지 관리 장치는 링크부(210)로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3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in a
구체적으로, 링크부(210)는 발전부(23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치형이 기울어져 형성된 내접 기어(216), 내접 기어(216)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내접 기어(216)의 치형에 구속되거나 비구속되는 걸림부(217), 제3 위치 P3에 형성되고 걸림부(217)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3에는 동작부(110)에 직접 맞물리는 제1 기어(211), 제1 기어(211)에 맞물리는 제2 기어(213), 제2 기어(213)에 맞물리는 제3 기어(215)가 마련되고 있다. 이때, 제3 기어(215)가 걸림부(217)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가 된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벨트부가 배제되고 각 기어가 큰 지름과 작은 지름이 병합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3 shows a
제3 기어(215)의 위치가 제3 위치 P3가 되며 도 3의 (a)를 살펴보면 제3 위치에 발전부(230)가 배치되고 있다.The position of the
도 3의 (a)의 반대면인 도 3의 (b)에는 도 3의 (a)에서 발전부(230)에 가려져 있던 제3 기어(215), 걸림부(217), 내접 기어(216)가 개시되고 있다. 이하 에너지 관리 장치의 동작은 도 3의 (b)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3 (b), which is the reverse side of FIG. 3 (a), shows the
도 3의 동작부(110)는 제1 회전축(190)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연장부, (111))되고, 단부가 제1 회전축(190)을 중심으로 갖는 원호를 추종하도록 구부러져(꺾임부, (112)) 형성된다. 동작부(110)의 단부에서 제1 회전축(190)에 대면하는 면에 링크부(210)와 맞물리는 기어 치형(119)이 형성되고 있다.3 is extended in a radial direction (extension portion 111) around the
이동체(90)가 에너지 관리 장치를 지나가면 동작부(110)는 복원 수단의 힘을 초과한 이동체(90)의 무게에 눌려 아래로 하강하고 제1 기어(211)는 좌회전한다. 제2 기어(213)는 우회전하고, 제3 기어(215)는 좌회전한다. 제3 기어(215)의 좌회전으로 걸림부(217)의 단부는 내접 기어(216)의 치형에 맞물린다. 따라서 내접 기어(216)도 제3 기어(215)와 함께 회전하고 내접 기어(216)에 연결된 발전부(230)의 회전축이 회전된다. 회전축의 회전으로 발전부(230)를 구성하는 회전자가 회전하고 회전자의 회전으로 전기가 생성된다.When the moving
이동체(90)가 지나간 후 복원 수단에 의해 동작부(11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동작부(110)의 복원으로 제1 기어(211)는 우회전하고, 제2 기어(213)는 좌회전하고, 제3 기어(215)는 우회전한다. 제3 기어(215)의 우회전시 걸림부(217)의 단부는 내접 기어(216)의 치형에 맞물리지 못하고 헛돌게 된다. 따라서 내접 기어(216) 및 발전부(230)의 회전축은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After the moving
이상의 도 2 및 도 3에서 살펴본 에너지 관리 장치는 에너지 관리 장치를 지나가는 이동체(90)의 중력을 주요 힘으로 하고 있다. 이와 달리 도 4와 도 5는 이동체(90)의 속도를 주요 힘으로 하고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es shown in FIGS. 2 and 3 have gravity of the mov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의 동작부(110)는 외력을 생성하는 이동체(9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왕복하는 이동부(114), 이동부(114)의 움직임을 링크부(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includes a moving
도 2의 동작부(110)는 외력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링크부(210)의 기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의 동작부(110)는 직선 운동을 하므로 링크부(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동력 전달부(115, 116, 118)를 포함하고 있다.The operating
이동부(114)는 이동체(90)의 속도를 신뢰성 있게 받기 위해 이동체(90)와의 접촉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의 형성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90)의 이동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The moving
도 4의 동력 전달부(118)는 제1 기어(211)와 함께 α각도로 회전하고, 제1 기어(211) 또는 제1 기어(211)의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이동부(114)에 연결되고 있다.The
도 5의 동력 전달부(115, 116)는 이동부(114)의 배면에 형성된 치형(117)에 맞물린 보조 기어(116), 보조 기어(116)와 제1 기어(211)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115)를 포함하고 있다.5 includes an
요컨대, 동력 전달부(115, 116, 118)는 링크부(210)의 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위치 변경되는 동작부(110)의 움직임을 링크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한편, 동작부(110), 링크부(210), 발전부(230)를 지지하는 수단인 동시에 이들을 보호하는 케이스(25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50)는 이동체(90)로부터 인가된 외력으로부터 내부에 배치된 각 요소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이상에서 살펴본 에너지 관리 장치는 큰 규모로 형성되어 타겟으로 하는 목표 위치에 단수로 배치되거나 적은 규모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목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지 보수의 편의성, 생산성을 고려하여 후자가 유리하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es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a large scale, and may be disposed in a single target position or in a small scale at a target position to be a target, and a plurality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es may be disposed at a target position. The latter is advantageous considering maintenance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도 6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가 제1 영역에 복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 장치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energy management apparat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the first area.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에 도시된 에너지 관리 장치는 버려지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 가능한 재생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the drawing may include an
에너지 유니트(300)는 도 1의 입력 유니트(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변환 유니트(200)도 함께 포함할 수 있다.The
살펴보면, 본 발명의 에너지 유니트(300)는 외부의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는 제1 영역 ①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영역 ①은 복수의 제2 영역 ②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에너지 유니트(300)는 각 제2 영역마다 설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도 6에는 격자 형태로 제2 영역이 마련된 제1 영역이 개시되고 있으나 제2 영역의 크기 및 거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심지어 랜덤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효율면에서는 제2 영역을 서로 밀착시켜 형성함으로써 에너지 유니트(30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FIG. 6 shows a first region provided with a second region in a lattice form, but the size and distance of the second region may vary, and may be even random. However, in terms of efficiency, it is preferable that the
제1 영역에 마련된 에너지 유니트(300) 복수개의 집합을 에너지 모듈(410)이라 칭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모듈(410)은 에너지 유니트(300)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ets of the
에너지 유니트(300)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각 에너지 유니트(300)마다 입력 유니트(100)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문제가 발생된 에너지 유니트(300)만 선별해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에너지 유니트(300)를 에너지 모듈(410)에 착탈되도록 형성하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The fact that the
재생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이고,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가 에너지 유니트(300)마다 포함될 수 있다.The renewable energy is electric energy, and a generator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into electric energy may be included in each
에너지 유니트(300)가 입력 유니트(100), 변환 유니트(200) 및 발전기를 포함함으로써, 에너지 유니트(300)는 독립적으로 외부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생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에너지 유니트(300) 중 문제가 발생한 에너지 유니트(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각 에너지 유니트(300)의 입력값이 크지 않으므로 소형의 발전기, 예를 들어 소형의 저렴한 모터, 예를 들어 CD-ROM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모터를 역으로 적용한 발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put value of each
일반적인 발전기가 규모가 크고 고가이므로 큰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데, 발전기를 소형의 모터로 대체함으로써 유지 보수 측면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의 측면에도 유리하다.Since a generic generator is large and expensive,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and the cost is increased. By replacing the generator with a small-sized motor, it is advantageous not only in terms of maintenance but also in productivity.
위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에너지 유니트(300)는 전기 에너지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들 전기 에너지를 취합할 수 있는 취합부(430)가 필요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취합부(430)는 소량의 전기 에너지를 입력받아 초기 설계치에 부합하는 전기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취합부(430)는 멀티 플렉서, 합산기, 정전압 레귤레이터, 평활 회로, 전력 조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ng
취합부(430)에서 취합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4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전송부(미도시)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요구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에너지 관리 장치는 전력을 적재 적소에 공급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전원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송부로부터 출력된 전기 에너지는 대형 상가의 전등을 구동시키거나, 도로에 매설된 열선을 가열함으로써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도로의 가로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energy collected at the collecting
한편, 에너지 유니트(300)에 마련된 입력 유니트(100)가 도 3과 같이 외부로 돌출된 동작부(110)를 갖는 경우, 설치 장소의 미적 외관을 훼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작부(110)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 사고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동작부(110)의 틈을 통해 에너지 유니트(300)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에너지 유니트(300)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너지 관리 장치는 에너지 유니트(300)에서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는 부위, 예를 들어 동작부(110) 등을 덮는 커버 유니트(49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의 커버 유니트(490)는 각 에너지 유니트(300)를 개별적으로 덮거나, 복수의 에너지 유니트(300)를 함께 덮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특정 에너지 유니트(300)의 동작부(11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커버로 인해 인접한 에너지 유니트(300)의 동작부(110)까지 작동되므로 재생 에너지의 생산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또는 차량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빗물 등 이물질의 침입을 최소화기켜 에너지 유니트(3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외력을 용이하게 입력받기 위해 에너지 모듈(410)은 도로 등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도로 등의 표면을 깎아내고 에너지 모듈(410)을 설비할 수도 있으나, 도로의 훼손이 불가피하다. 도로의 훼손은 각종 법률 규제와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도로를 훼손시키지 않고 에너지 모듈(410)을 설비하는 것이 좋다.The
이를 위해 에너지 모듈(410)은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는 제1 영역에 거치될 수 있다. 에너지 모듈(410)의 거치시 도로면과의 높이차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 및 보행자의 이동에 장애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에너지 관리 장치는 에너지 모듈(4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제1 영역과 에너지 모듈(410)의 높이차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된 가이드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에너지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nergy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에너지 관리 장치는 유체가 수용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동작부(110) 및 동작부(110)의 형상 변형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8 includes an
동작부(110)는 외력의 유무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왕복할 수 있다.The
이동체(90)로부터 인가된 외력이 인가되면 동작부(110)는 제1 위치 P1으로부터 제2 위치 P2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움직인 동작부(110)의 힘, 즉 이동력을 원인으로 재생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추가적인 재생 에너지의 생산을 위해 스프링 등의 복원 수단(135)이 마련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복원 수단(135)은 외력의 해제시 제2 위치 P2의 동작부(110)를 다시 제1 위치 P1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The restoring means 135 can restore the operating
동작부(11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플렉시블 재질의 제1 부재(133), 유체가 수용되고 고정된 형상의 제2 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137)가 플렉시블하게 구성되면 제1 부재(133)의 형상 변형으로 유동되는 유체로 제2 부재(137)의 형상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유체는 관부(221, 222)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부재(137)는 고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rating
유체는 링크부(210)에 해당하는 관부(221, 222)를 따라 터빈부(220)로 유동될 수 있으며, 관부(221, 222)는 제1 관(221), 제2 관(222) 및 제2 부재(137) 또는 각 관 내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관(221)은 동작부(110), 터빈부(220), 유체 탱크(280)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제2 관(222)은 유체 탱크(280)로부터 동작부(110)까지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fluid may flow to the
관부는 동작부(110)의 유체를 터빈부(220)가 위치하는 제3 위치 P3로 전달할 수 있다.The tube portion may deliver fluid in the
예를 들어 동작부(110)의 출력단에는 동작부(110)로부터 터빈부(220)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의 유체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유체 이동을 제한하는 제1 밸브(131)가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또한, 외력이 해제되면 동작부(110)의 형상을 복원시키는 복원 수단(135)이 마련되고, 터빈부(220)를 경유한 유체는 동작부(110)의 복원에 의해 동작부(110)로 재입력될 수 있다. 이때, 동작부(110)의 입력단에는 터빈부(220)로부터 동작부(110)로 향하는 방향(제1 방향)으로의 유체 이동을 허용하고, 그 반대 방향(제2 방향)으로의 유체 이동을 제한하는 제2 밸브(132)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restoration means 135 for restoring the shape of th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동작부(110)의 형상이 변형되고, 동작부(110)의 형상 변형에 의한 유체의 흐름으로 터빈부(220)가 회전한다. 터빈부(220)에는 발전부(230) 또는 플라이휠 배터리(290)가 연결될 수 있다. 발전기에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 연결되거나 배터리(450)가 연결될 수 있다. 플라이휠 배터리(290)는 에너지 유니트에서 생상된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ape of the operating
한편, 동작부(110)는 운동 에너지가 인가되는 제1 영역에 복수로 설치되고, 각 동작부(11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도 9에는 제1 영역 ①에 서로 독립적으로 마련된 복수의 동작부(110)가 마련된 예가 개시된다. 영역 ①을 커버하는 하나의 동작부(110)가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런 구성에 의하면 신뢰성 있는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좌측 첫번째 동작부(110)가 마련된 자리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도 9의 구성에 따르면 좌측 첫번째 동작부(110)가 정상 구동된다. 그러나, 영역 ①을 커버하는 하나의 동작부(110)가 마련된 경우라면 좌측 첫번째 동작부(110)의 형상 변형으로 유출된 유체가 좌측 두번째 동작부(110), 세번째 동작부(110),... 등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터빈부(220)로의 유체 이동이 거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터빈부(220)의 신뢰성 있는 구동이 어려우므로 각 동작부(110)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ng
외력으로 동작부(110)가 변형되면 동작부(110) 내의 유체는 제1 밸브(131), 제1 관(221)을 거쳐 터빈부(220)로 이동한다. 터빈부(220)를 거친 유체는 유체 탱크(280)로 수용된다. 외력의 해제 후 동작부(110)가 복원 수단(135)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 유체 탱크(280)의 유체는 제2 관(222), 제2 밸브(132)를 거쳐 동작부(110)로 유입된다. 이러한 동작은 제1 영역에 배치된 각 동작부(110)에 대해 이루어진다.The fluid in the
유체를 이용하여 터빈부(220)를 이용함으로써 외력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재생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By using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90...이동체 100...입력 유니트
110...동작부 111...연장부
112...꺾임부 114...이동부
115, 116, 118...동력 전달부 117...치형
119...기어 치형 131...제1 밸브
132...제2 밸브 133...제1 부재
135...복원 수단 137...제2 부재
200...변환 유니트 210...링크부
211...제1 기어 212...제1 벨트
213...제2 기어 214...제2 벨트
215...제3 기어 216...내접 기어
217...걸림부 220...터빈부
221...제1 관 222...제2 관
230...발전부 250...케이스
280...유체 탱크 290...플라이휠 배터리
410...에너지 모듈 430...취합부
450...배터리 480...가이드부
490...커버 유니트90 ...
110 ... operating
112 ...
115, 116, 118 ...
119 ...
132 ...
135 ... restoring means 137 ... second member
200 ...
211 ...
213 ...
215 ...
217 ... engaging
221 ...
230 ...
280 ...
410 ...
450 ...
490 ... Cover unit
Claims (20)
상기 동작부의 이동력을 제3 위치로 전달하는 링크부; 및
상기 제3 위치로 전달된 상기 이동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동작부에 맞물린 기어와 상기 제3 위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에 맞물린 기어와 상기 제3 위치의 기어의 회전비율 k(여기서, k=동작부에 맞물린 기어의 회전 각도/제3 위치의 기어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변속부가 마련되며,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동작부의 운동 개시 초기의 회전비율 k1보다 상기 동작부의 운동 개시 이후 t시간 경과시의 회전비율 k2가 작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외력을 생성하는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왕복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링크부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이동체에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외력의 해제시 상기 제2 위치의 상기 이동부를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작부에 맞물린 제1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 또는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는 에너지 관리 장치.
An operating portion that reciprocates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xternal force;
A link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force of the operating portion to a third position; And
And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moving force transmitted to the third position,
Wherein the link portion includes a gear engaged with the operating portion and a gear in the third position,
(K = rotation angle of the gear mesh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 gear rotation angle at the third position) of the gear mesh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gear at the third position,
After the start of mo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than the rotational rate k 1 of the initial start of mo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by the external force, the rotation rate at the time t k 2 over time is small,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portion that reciprocates in parallel with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that generates the external force, and a power transmitting portion that transmit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 to the link portion,
A protrusion protruding perpendicular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moving par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body,
The moving part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And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the moving portion at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engaged with the operation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or the first gear and the extended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portion.
상기 링크부는 상기 발전부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치형이 기울어져 형성된 내접 기어, 상기 내접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내접 기어의 치형에 구속되거나 비구속되는 걸림부, 상기 제3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nk portion includes an internal gear formed by inclining the teeth of the power genera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power generation portion, a retaining portion restrained by the teeth of the internal gea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ternal gear, And a gear rotating together with the gear.
상기 동작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갖는 원호를 추종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에 대면하는 면에 상기 링크부와 맞물리는 기어 치형이 형성된 에너지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so as to follow the arc having the first rotation axis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And a gear tooth engaged with the link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rotation shaft at an end of the operation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719A KR101573025B1 (en) | 2013-03-27 | 2013-03-27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
PCT/KR2014/002554 WO2014157942A1 (en) | 2013-03-27 | 2014-03-26 | Energy manage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719A KR101573025B1 (en) | 2013-03-27 | 2013-03-27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7870A KR20140117870A (en) | 2014-10-08 |
KR101573025B1 true KR101573025B1 (en) | 2015-11-30 |
Family
ID=5162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27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3025B1 (en) | 2013-03-27 | 2013-03-27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3025B1 (en) |
WO (1) | WO2014157942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509B1 (en) * | 2008-04-07 | 2011-10-17 | 강종수 | Pumping generator using load of passing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8070A (en) * | 2010-05-20 | 2011-11-28 | (주)대우건설 | Overspeed prevention device |
KR20120049772A (en) * | 2010-11-09 | 2012-05-17 | 권혁숙 | Overspeed preventing device with power generating function of load |
KR101288235B1 (en) * | 2011-09-05 | 2013-07-26 | 윤광영 | Generator using vehicle weight |
-
2013
- 2013-03-27 KR KR1020130032719A patent/KR1015730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3-26 WO PCT/KR2014/002554 patent/WO201415794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4509B1 (en) * | 2008-04-07 | 2011-10-17 | 강종수 | Pumping generator using load of passing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57942A1 (en) | 2014-10-02 |
KR20140117870A (en)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4192C (en) | Vehicular movement electricity converter embedded within a road hump | |
US9590473B2 (en) | Automobile roller-type power generating device | |
US8485933B2 (en) | Infinitely variable motion control (IVMC) for river turbines | |
US8164204B2 (en) | Electrical generator apparatus, particularly for use on a vehicle roadway | |
EP2373890A1 (en) | Road vehicle actuated energy device | |
US20120211996A1 (en) | Electrical Generator Apparatus, Particularly For Use On A Vehicle Roadway | |
WO2010025616A1 (en) |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driven by gravity of vehicles | |
GB2490888A (en) |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wheeled vehicles moving along a road | |
US8080893B2 (en) | Tidal power generation device | |
CN101103217B (en) | Mechanical system for power chang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thereof | |
KR101573025B1 (en) | Apparatus for energy management | |
CN103410686B (en) | A kind of road car gravity force power generation apparatus | |
CN109866614A (en) | A kind of electric vehicle and its accessory drive system | |
CN104153948A (en) | Overload protector for wind driven generator | |
EP3039777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rom vehicles moving on a road | |
WO2016207689A1 (en) | System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 |
KR101630206B1 (en) | The generator of air conditioner or air filter using power of blower | |
CN101660507A (en) | Vehicle gravity driven power generation device | |
EP3161345B1 (en) | Instant energy system | |
CA2916664A1 (en) | Road bump electricity generating system | |
US20120223621A1 (en) | Multipurpose portable power generating system | |
CN205429975U (en) | Two driving motor of over -and -under type geomantic omen power | |
KR20150138955A (en) |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Hydraulic pump | |
KR20130023489A (en) |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hydraulic pump | |
CN102128156A (en) | Power generation device assembly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vibration ener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