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222B1 -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7222B1 KR101567222B1 KR1020140073454A KR20140073454A KR101567222B1 KR 101567222 B1 KR101567222 B1 KR 101567222B1 KR 1020140073454 A KR1020140073454 A KR 1020140073454A KR 20140073454 A KR20140073454 A KR 20140073454A KR 101567222 B1 KR101567222 B1 KR 101567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er
- voltage
- pfc
- frequency
- d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2022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202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의 그래프들은 PFC 출력 제어 전압(Vdc)이 일정한 경우 도 1의 완속 충전 장치에 구비된 PFC 컨버터의 출력 전압(V)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들로서, 도 2(a)의 그래프는 입력 전원의 주파수(f)가 허용 임계 주파수(fcr)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며, 도 2(b)의 그래프는 입력 전원의 주파수(f)가 허용 임계 주파수(fcr)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의 그래프는 도 1의 완속 충전 장치에 구비된 PFC 컨버터의 출력 최대 전압(Vmax) 및 출력 제어 전압(Vdc)을 주파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완속 충전 장치에 구비된 콘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는 완속 충전기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완속 충전 장치에 구비된 PFC 컨버터의 출력 전압(V)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들로서, 도 6(a)의 그래프는 입력 전원의 주파수(f)가 허용 임계 주파수(fcr)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며, 도 6(b)의 그래프는 입력 전원의 주파수(f)가 허용 임계 주파수(fcr)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의 완속 충전 장치에 구비된 PFC 컨버터의 출력 최대 전압(Vmax) 및 출력 제어 전압(Vdc)을 주파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00 : 완속 충전기
210 : AC 정류기
220 : PFC 컨버터
221 : 출력 커패시터
230 : DC/DC 컨버터
Claims (10)
-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충전기에 연결되는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주파수 미만이면 상기 충전기의 PFC 출력 제어 전압을 디레이팅(derating)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기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주파수 이상이면 상기 충전기의 PFC 출력 제어 전압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PFC 출력 제어 전압에 대한 디레이팅은 적어도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전압(Vcr)에 대한 상기 충전기의 PFC 출력 최대 전압(Vmax)의 초과값(δVmax) 만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어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PFC 출력 제어 전압에 대한 디레이팅은 상기 초과값(δVmax)에 마진값 δVm을 더한 값 만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어 방법.
-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에 있어서,
교류 입력 전압을 정류하는 AC 정류기와, 상기 AC 정류기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는 PFC 컨버터와, PF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고전압 배터리에 적합한 크기로 감압시키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및
상기 교류 입력 전압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주파수가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주파수 미만이면 상기 PFC 컨버터의 출력 제어 전압을 디레이팅(derating)시킨 이후 상기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을 진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주파수가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주파수 이상이면 상기 PFC 컨버터의 출력 제어 전압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출력 제어 전압에 대한 디레이팅 수행 시, 적어도 상기 충전기의 허용 임계 전압(Vcr)에 대한 상기 충전기의 PFC 출력 최대 전압(Vmax)의 초과값(δVmax) 만큼 디레이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출력 제어 전압에 대한 디레이팅 수행 시, 상기 초과값(δVmax)에 마진값 δVm을 더한 값 만큼 디레이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3454A KR101567222B1 (ko) | 2014-06-17 | 2014-06-17 |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3454A KR101567222B1 (ko) | 2014-06-17 | 2014-06-17 |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7222B1 true KR101567222B1 (ko) | 2015-11-06 |
Family
ID=5460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34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7222B1 (ko) | 2014-06-17 | 2014-06-17 |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722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639B1 (ko) * | 2016-05-23 | 2018-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교류 전원의 주파수 판단 장치 및 방법 |
KR101846682B1 (ko) * | 2016-06-28 | 2018-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846683B1 (ko) * | 2016-06-28 | 2018-05-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시스템 및 충전 제어방법 |
KR20180063941A (ko) | 2016-12-02 | 2018-06-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7252A (ja) * | 1999-07-20 | 2001-02-09 | Lg Electronics Inc | 力率補正制御のための正弦波発生方法 |
JP2013034349A (ja) * | 2011-08-03 | 2013-02-14 | Toyota Motor Corp | 充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ならびに充電装置の制御方法 |
-
2014
- 2014-06-17 KR KR1020140073454A patent/KR10156722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7252A (ja) * | 1999-07-20 | 2001-02-09 | Lg Electronics Inc | 力率補正制御のための正弦波発生方法 |
JP2013034349A (ja) * | 2011-08-03 | 2013-02-14 | Toyota Motor Corp | 充電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ならびに充電装置の制御方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6639B1 (ko) * | 2016-05-23 | 2018-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교류 전원의 주파수 판단 장치 및 방법 |
US10338114B2 (en) | 2016-05-23 | 2019-07-02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frequency of AC power source |
KR101846682B1 (ko) * | 2016-06-28 | 2018-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846683B1 (ko) * | 2016-06-28 | 2018-05-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시스템 및 충전 제어방법 |
US10899244B2 (en) | 2016-06-28 | 2021-01-26 | Hyundai Motor Company | Charging control method with use of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KR20180063941A (ko) | 2016-12-02 | 2018-06-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887785B1 (ko) | 2016-12-02 | 2018-08-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2743B1 (ko) | 친환경 차량용 충전기의 충전 제어 방법 | |
KR101592700B1 (ko) | 자동차의 충전기를 이용한 배터리충전시스템 및 이의 충전기 구동 제어 방법 | |
KR101509910B1 (ko)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 |
US10118501B2 (en) |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 |
CN110014935B (zh) | 用于对电动车辆的电池充电的方法 | |
US11211813B2 (en) | Battery char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of vehicle | |
JPWO2016151695A1 (ja) | 車両の電力制御装置 | |
KR101628525B1 (ko) |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 |
WO2015190094A1 (ja) | 電力貯蔵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US20140362605A1 (en) | Dut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low voltage dc-dc converter | |
KR101567222B1 (ko) | 충전기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5100169A (ja) | 電力変換システム | |
CN106169779A (zh) | 用于控制车辆的车载电池充电器的方法和系统 | |
JP5258831B2 (ja) | 車両の充電装置 | |
KR101683504B1 (ko) | 저전압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
JP2014023263A (ja) | 電気自動車 | |
WO2016132580A1 (ja) | 充放電制御装置、移動体及び電力分担量決定方法 | |
US8704496B2 (en) | Charge control system | |
JP2015082866A (ja) | 太陽電池を備えた電気自動車 | |
KR101836603B1 (ko) | 친환경차량의 직류변환장치 출력 제어 방법 | |
JP6470947B2 (ja) | 駆動システム、及び気動車 | |
CN104734486A (zh) | 改变功率因数校正器的输出电容器的电容值的方法和电路 | |
KR20160093285A (ko) | Dc-dc 컨버터 제어방법 | |
JP2015104195A (ja) | 電気自動車の電源システム | |
US20170101028A1 (en) | Electrical source control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