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13B1 - 클립 너트 - Google Patents
클립 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7013B1 KR101567013B1 KR1020140079713A KR20140079713A KR101567013B1 KR 101567013 B1 KR101567013 B1 KR 101567013B1 KR 1020140079713 A KR1020140079713 A KR 1020140079713A KR 20140079713 A KR20140079713 A KR 20140079713A KR 101567013 B1 KR101567013 B1 KR 101567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fixing member
- supporting
- clip nut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고정부재(1)에 끼워져 피고정부재(2)를 결합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개방된 끼움부(51)가 형성되며, 고정부재(1)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편(52)에 나사체결홀(52a)이 구비되고,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의 사이에서 피고정부재(2) 상단에 위치하는 하부편(54)에 나사통과홀(54a)이 구비한 클립 너트(50)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52)은 텐션을 갖도록 개방된 선단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며, 상기 하부편(54)에는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 사이의 간격 단차(H)에 끼워져 받쳐주는 지지부(55)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부(55)는 하부편(54)의 양측에서 끼움부(51)를 향해 지지편(55a)이 돌출 구비되어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 사이의 간격 단차(H)를 받쳐줌과 더불어 상기 지지편(55a)의 높이(h)는 하부편의 단면두께(t)를 포함해 간격 단차(H)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성형시켜, 상기 끼움부(51)에 끼워진 고정부재(1)는 상부편(52)의 저면과 지지편(55a)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고, 하부편(54)의 저면은 피고정부재(2)의 상단에 놓여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 클립 너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클립 너트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클립 너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6은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52 - 상부편 52a - 나사체결홀
54 - 하부편 54a - 나사통과홀
55 ?? 지지부 55a ?? 지지편
56b - 지지면
H - 간격 단차 h - 높이
t - 단면두께
Claims (3)
- 고정부재(1)에 끼워져 피고정부재(2)를 결합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이 개방된 끼움부(51)가 형성되며, 고정부재(1)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편(52)에 나사체결홀(52a)이 구비되고,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의 사이에서 피고정부재(2) 상단에 위치하는 하부편(54)에 나사통과홀(54a)이 구비한 클립 너트(50)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52)은 텐션을 갖도록 개방된 선단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성형하며, 상기 하부편(54)에는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 사이의 간격 단차(H)에 끼워져 받쳐주는 지지부(55)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부(55)는 하부편(54)의 양측에서 끼움부(51)를 향해 지지편(55a)이 돌출 구비되어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 사이의 간격 단차(H)를 받쳐줌과 더불어 상기 지지편(55a)의 높이(h)는 하부편의 단면두께(t)를 포함해 간격 단차(H)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 성형시켜, 상기 끼움부(51)에 끼워진 고정부재(1)는 상부편(52)의 저면과 지지편(55a)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고, 하부편(54)의 저면은 피고정부재(2)의 상단에 놓여짐을 특징으로 한 클립 너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5)는 하부편(54)의 중앙부에 나사통과홀(54a)이 포함된 지지면(55b)을 하향 돌출시켜, 상기 끼움부(51)에 끼워진 고정부재(1)는 상부편(52)의 저면과 하부편(54)의 상면에 위치되고, 지지면(55b)의 저면이 피고정부재(2)의 상단에 놓여짐을 특징으로 한 클립 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713A KR101567013B1 (ko) | 2014-06-27 | 2014-06-27 | 클립 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9713A KR101567013B1 (ko) | 2014-06-27 | 2014-06-27 | 클립 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7013B1 true KR101567013B1 (ko) | 2015-11-09 |
Family
ID=5460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9713A Active KR101567013B1 (ko) | 2014-06-27 | 2014-06-27 | 클립 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701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8225A (ja) | 2000-11-30 | 2002-06-14 | Piolax Inc | プッシュナット |
JP2003120639A (ja) * | 2001-10-11 | 2003-04-23 | Hard Lock Industry Co Ltd | クリップナット |
-
2014
- 2014-06-27 KR KR1020140079713A patent/KR1015670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8225A (ja) | 2000-11-30 | 2002-06-14 | Piolax Inc | プッシュナット |
JP2003120639A (ja) * | 2001-10-11 | 2003-04-23 | Hard Lock Industry Co Ltd | クリップナッ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762456S1 (en) | Stringer clip | |
USD859953S1 (en) | Clamp | |
EP3115540A1 (en) | Frame with segments that are in flush with each other | |
WO2016054895A1 (zh) | 一种卡扣和卡扣组件 | |
KR20150088967A (ko) | 용골용 플로어링 지지대 | |
KR101567013B1 (ko) | 클립 너트 | |
US9156413B2 (en) | Fixing mount of bicycle carrier | |
USD770268S1 (en) | Stringer clip | |
JP5500560B2 (ja) | 転倒防止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 |
JP6000483B1 (ja) | 屋根上取り付け金具 | |
KR200442669Y1 (ko) |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 | |
JP5999771B2 (ja) | 屋根用設置物の取付け具およびその取付け具を用いた屋根用設置物の取付け方法 | |
JP2016037790A (ja) | 太陽電池パネル用固定具 | |
TWI618347B (zh) | 太陽能板扣件組 | |
KR200481395Y1 (ko) | 저면에 프레임 고정돌부가 부착된 법랑코팅 책상판 | |
KR101837007B1 (ko) | 테이블 프레임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 |
US20110290974A1 (en) | Retaining structure having locking apparatus | |
KR20070019015A (ko) | 자동문 안내레일 및 이를 위한 지지부재와 고정장치 | |
KR20210044989A (ko) | 코너선반용 지지패드 | |
JP6077977B2 (ja) | 棚板の取付構造 | |
KR102185012B1 (ko) | 간판 프레임 고정용 클립 | |
GB2548436A (en) | Trophy assembly | |
JP5123882B2 (ja) | 軒樋吊具 | |
CN205051998U (zh) | 医疗设备及带辅助固定的装配结构 | |
CN109199130B (zh) | 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